KR20120033892A - 감광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광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892A
KR20120033892A KR1020100095632A KR20100095632A KR20120033892A KR 20120033892 A KR20120033892 A KR 20120033892A KR 1020100095632 A KR1020100095632 A KR 1020100095632A KR 20100095632 A KR20100095632 A KR 20100095632A KR 20120033892 A KR20120033892 A KR 20120033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binder resin
monomer
alkal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198B1 (ko
Inventor
서영성
윤경근
한재국
강충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198B1/ko
Priority to TW100135059A priority patent/TW201213474A/zh
Priority to PCT/KR2011/007208 priority patent/WO2012044099A2/en
Publication of KR2012003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6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perfluoro compounds, e.g. for dry lith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with ethylenic or acetylenic bands in the side chains of the photo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 형성시 적정한 광학밀도를 나타내면서 적정의 소수성을 나타내어 격벽(차광막) 형성 후 격벽으로 정의되는 영역 내에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법으로 컬러잉크 주입시 색 혼입이나 컬러잉크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데 유용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광성 수지 조성물{Photopolymerizabl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Lig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고 함) 등 영상 표시소자의 차광막 형성에 적합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분자의 광학적 이방성과 복굴절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전계가 인가되면 액정의 배열이 달라지고 달라진 액정의 배열 방향에 따라 빛이 투과되는 특성 또한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전계 생성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널리 쓰이고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TFT-LCD)의 구조의 일예를 보면,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이 배열되어 있는 하부 기판, 일명 어레이 기판과;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된 기판 상부에, 블랙매트릭스와 적, 녹, 청의 삼색의 착색층이 반복되며, 그 위에 컬러필터의 보호와 표면평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료의 두께 1 내지 3um의 오버코트층(OVERCOAT)과 이 오버코트층 상부에 액정 구동을 위한 전압이 인가되는 ITO(Indium Tin Oxide) 투명전도막층이 형성된 상부 기판, 일명 컬러필터 기판; 그리고 상, 하부 기판 사이에 채워져 있는 액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기판의 양쪽 면에는 가시광선(자연광)을 선편광하여 주는 편광판이 각각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외부의 주변회로에 의해 화소를 이루고 있는 TFT의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트랜지스터를 turn-on 상태로 하여 액정에 영상전압이 입력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영상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에 영상정보를 저장한 뒤 트랜지스터를 turn-off하여 액정 충전기 및 보조 충전기에 저장된 전하가 보존되도록 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의 배열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 상태의 액정을 빛이 투과하게 되면 회절이 일어나게 된다. 이 빛을 편광판에 투과시켜 원하는 영상을 얻게 된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컬러필터를 상부 기판 즉, 컬러필터 기판이 아닌 하부 기판 즉, 어레이 기판 위에 형성하여 개구율을 높이고 또한 제조 공정을 줄이면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를 고려하더라도,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은 공통적으로 염색 방식, 분산 방식, 전착 방식, 인쇄 방식, 젯팅 방식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식으로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기술은 컬러필터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식에 의해 제조된 컬러필터들은 유리 기판 내, 표시셀 내의 균일성 확보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컬러필터의 균일성 불량의 원인으로는 주로, 잉크젯 프린트 헤드의 각 노즐들이 토출하는 잉크량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잉크젯 프린트 헤드의 각 노즐들이 토출하는 잉크량의 차이는 각 화소 영역에 채워지는 컬러잉크의 양이 달라짐에 따라 얼룩으로 시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광 패턴, 즉 블랙 매트릭스가 정의하는 화소 영역과 대응하는 내부 공간에 컬러잉크가 채워지는 경우에 차광 패턴과 상기 컬러잉크간의 반발력과 컬러잉크의 표면장력에 의해 컬러잉크의 표면이 볼록하게 솟아 오른 돔(Dome)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공간에 돔 형태로 충진된 컬러잉크에 의해 화소 영역의 중앙에 형성된 컬러필터의 두께와, 화소 영역의 에지에 형성된 컬러 필터의 두께 차이로 인해 색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한 컬러필터의 균일성 불량은 궁극적으로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경화막 형성시에 적정한 광학밀도를 나타내면서 적정한 소수성을 갖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식에 의해 착색층을 형성하는 데 있어 격벽재로 유용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카도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는 불소기를 함유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더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원료 모노머로서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와 이들과 공중합할 수 있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원료 모노머로서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다관능성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안료; 및 용매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그 함량이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인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안료는 입자크기가 50 내지 150nm인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경화막 형성시 경화막 중량 1g 당 불소 함유량이 5 내지 50중량%인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경화막 형성시, 단위 두께 1.0㎛당 광학밀도(OD)가 2.0 이상이고, 물에 대한 접촉각이 85° 이상이고, 2-에톡시에탄올에 대한 접촉각이 35°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된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기판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된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을 상부 기판으로 포함하는 영상 표시 소자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하부 기판으로 포함하는 영상 표시 소자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막 형성시에 적정한 광학밀도를 나타내면서 적정한 소수성을 나타냄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차광성을 갖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차광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로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식에 의해 컬러잉크를 주입하여 컬러잉크가 차광 패턴을 넘어 혼색되거나 위치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로써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식에 의해 착색층을 형성하기가 용이하며, 궁극적으로 표시불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카도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는 불소기를 함유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컬러필터 제조에 있어서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법은 차광성을 갖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포토리소그라피법에 의해 차광 패턴을 형성한 후, 차광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영역 내에 각각의 컬러잉크(적, 녹, 청)를 젯팅하여 착색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착색층을 형성하는 경우 포토리소그라피법에 의해 적, 녹, 청 착색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컬러잉크 주입량에 따라 색재현율이 증가될 수 있어 색재현성이 우수하고 패턴의 두깨 및 조성을 일정하게 가져갈 수 있다. 또한 미세회로 패턴을 구현하기가 보다 용이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등에 응용하기에도 용이하다. 또한 포토레지스트, 용매 및 에너지 등의 낭비가 적어 환경친화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법은 잉크젯 프린팅의 정확성과 능력이 요구되며 잉크젯 프린팅을 위한 관련 소재를 요구한다.
본 발명은 그 일환으로 안출한 것으로,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법에 의해 착색층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차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카도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는 불소기를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경화막 형성시, 단위 두께 2.0㎛당 광학밀도(OD)가 2.0 이상이고, 경화막 형성시, 물에 대한 접촉각이 85° 이상이고, 2-에톡시에탄올에 대한 접촉각이 35°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며, 바람직하기로는 경화막 형성시, 물에 대한 접촉각이 85 내지 110°인 것일 수 있고, 또한 경화막 형성시, 2-에톡시에탄올에 대한 접촉각이 35 내지 50°인 것일 수 있다.
만일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막에 대하여, 단위 두께 2㎛ 당 광학밀도(OD)가 2.0 미만이면 다소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적정 차광 효과를 발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차광막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차광성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해 투명화소 전극 이외로 투과되어 제어되지 않는 광을 차단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경화막은 물에 대한 접촉각이 85° 이상이고, 2-에톡시에탄올에 대한 접촉각이 35°이상일 수 있다.
경화막 형성시, 물에 대한 접촉각이 85° 보다 작은 경우 잉크젯팅 시, 화소 영역에서의 잉크액 넘침 등의 문제점이나 채워지는 컬러잉크의 양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2-에톡시에탄올에 대한 접촉각이 35° 보다 작은 경우 잉크젯팅 시, 화소 영역에서의 잉크액 넘침 등의 문제점이나 채워지는 컬러잉크의 양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차광 패턴은 통상 유리면 상에 형성되며, 형성되 차광 패턴 내에 컬러잉크가 주입되므로, 컬러잉크 주입 후 혼색 방지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표면장력은 유리면의 표면장력이 컬러잉크의 표면장력보다 크거나 적어도 같아야 하며, 차광 패턴의 경우는 컬러잉크보다 표면장력이 작아야 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막 형성시, 물에 대한 접촉각이 85 내지 110°인 것이며, 경화막 형성시, 2-에톡시에탄올에 대한 접촉각이 35 내지 50°인 것일 수 있다.
한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조성하는 바인더 중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수지 바인더로는 산기(acid functional group)를 포함하는 모노머와 이 모노머와 공중합 할 수 있는 모노머와의 공중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중합에 의할 경우, 단독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수지보다 필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형성된 공중합체와 에폭시기를 함유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과의 고분자 반응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바인더로는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와 이 모노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모노머와의 공중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에 더하여, 상기 공중합체 구조에 에폭시기를 함유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이 결합되어 형성된 고분자 화합물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 산, 크로톤 산, 이타콘 산, 말레인 산, 푸마린 산, 모노메틸 말레인산, 이소프렌 술폰산, 스티렌 술폰산, 5-노보넨-2-카복실산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경화막의 내알칼리성에 강한 특성을 고려할 때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에서 알칼리 가용성 수지 제조시에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이외에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의 일예로는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α-n-프로필 아크릴산 글리시딜, α-n-부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아크릴산-3,4-에폭시 부틸, 메타크릴산-3,4-에폭시 부틸, 아크릴산-6,7-에폭시 헵틸, 메타크릴산-6,7-에폭시 헵틸, α-에틸 아크릴산-6,7-에폭시 헵틸, o-비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m-비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p-비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의한 경화막 형성시 소수성을 발현하는 측면에서 좋기로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불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가능한 불소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로는 다른 모노머들과 공중합가능하며 탄소 이중결합 1개를 갖고 있는 것이면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그 일예로는 CH2=CHC(O)OCHCH2(CF2)xCF3(여기서, x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불소기를 함유하는 모노머의 함량은 모노머가 갖는 불소기 함량에 따라 조절가능하며, 상술한 접촉각 및 2-에톡시에탄올에 대한 접촉각을 만족하면서, 현상성, 코팅성 및 분산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측면에서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중 불소 함유량이 5 내지 50중량%로 조절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불소기를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그 함량의 증가에 따라서 소수성은 증가하나 공정성이 저해될 수 있으므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고형분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로는 바인더 수지로 포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착색제 제조 공정 중 소량 첨가하여 소수성을 발현할 수도 있다.
만일 착색제 중 불소기 함유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첨가하는 경우라면 그 함량은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30중량%인 것이 안료 분산이나 소수성 발현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만을 사용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면, 두께 2.2㎛ 이상의 차광막 형성함에 있어 다량의 다관능성 모노머를 사용해야하고, 이로 인해 광경화에 의한 표면 경화가 빠르게 일어나 열경화시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로 카도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의 화합물은 주쇄 중 플루오렌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를 일컫는 것으로 각별히 구조적으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의 일예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상기 X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또한 상기 Y는 말레인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숙신산 무수물(Succinic anhydride), 시스-1,2,3,6-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cis-1,2,3,6-Tetrahydrophthalic Anhydride), 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3,4,5,6-Tetrahydrophthalic Anhydride),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이타콘산 무수물(Itaconic anhydride), 1,2,4-벤젠트리카복실산 무수물(1,2,4-Benzenetricarboxylic Anhydride),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 시트라콘산 무수물(Citraconic Anhydride), 2,3-디메틸말레인산 무수물(2,3-Dimethylmaleic Anhydride), 1-사이클로펜텐-1,2,-디카복실산 무수물(1-Cyclopentene-1,2-Dicarboxylic anhydride), 시스(5-노보넨-엔도-2,3-디카복실산 무수물(cis-5-Norbonene-endo-2,3-Dicarboxylic Anhydride) 및 1,8-나프탄산 무수물(1,8-Naphthalic Anhydride) 중에서 선택된 제1 산무수물의 잔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Z는 1,2,4,5-벤젠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1,2,4,5-Beze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4,4'-바이프탈산 이무수물(4,4'-Biphthalic Dianhydride),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3,3',4,4'-Benzopheno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yromelitic Dianhydride),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1,4,5,8-Naphthale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1,2,4,5-테트라카복실산 무수물(1,2,4,5-Tetracarboxylic Anhydide), 메틸노보넨-2,3-디카복실산 무수물(Methylnorbonene-2,3-Dicarboxylic Anhydride), 4,4'-[2,2,2-트리플로로-1-(트리플로로메틸)에틸리덴]디프탈산 무수물(4,4'-[2,2,2-Trifluoro-1-(Trifluoromethyl)Ethylidene]Diphthalic Anhydride),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4,4`-Oxydiphthalic Anhydride) 및 에틸렌글리콜 비스(안하이드로 트리멜리테이트)(Ethylene Glycol Bis (Anhydro Trimelitate)) 중에서 선택된 제2 산무수물의 잔기일 수 있다.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의 구조 내에 소수성을 발현할 수 있는 관능기를 도입할 수 있는데, 특히 상술한 것과 같이 불소기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의 제조 과정 중 불소기를 도입하는 방법 및 도입에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의 일예로는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일예로는 다음 반응식 1로부터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2개인 알킬기이다.
상기 반응식 1은 카도계 바인더 수지의 일예에 불소기를 도입하는 예를 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불소기 함유 카도계 바인더 수지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카도계 바인더 수지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고형분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중량% 정도이다. 만일, 카도계 바인더 수지로 불소기 함유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소수성 구현, 현상성, 코팅성 및 분산 안정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기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고형분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카도계 바인더 수지만을 이용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면, 두께 2.2㎛ 이상의 경화막을 형성함에 있어 광경화에 의해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다관능성 모노머와 함께 반응하여 표면 경화만 빠르게 일어나 열경화시 내부 수축에 의해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에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다관능성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광에 의해 포토레지스트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의 일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녹시 에틸알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 쓰리톨 트리메타 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 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 함량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99중량부인 것이 UV에 의한 광개시제의 라디칼 반응으로 인한 가교결합으로 패턴형성 및 안료 및 입자 성분과의 결합력이 높아져서 광학밀도가 증가하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서는 모노머 중 소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모노머를 더욱 첨가할 수 있는데, 모노머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코팅성, 밀착력 및 레벨링성을 저해하지 않으며 소수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모노머를 선정할 것이 요구된다.
그 일예로는, CH2(O)CHCH2(CF2)xCF3(여기서, x는 1 내지 12의 정수)로 대별되는 불소계 에폭시 화합물과, 불소기를 함유하는 실록산계 화합물, 일예로 CF3(CF2)ySi(OMe)3(여기서, y는 1 내지 12의 정수)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노머를 첨가제로 첨가하는 경우 그 함량은 코팅성, 밀착력 및 레벨링성, 그리고 소수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으며, 좋기로는 전체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2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광중합개시제의 일예로는 옥심에스테르계의 화합물인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바졸-3-일]-1-(O-아세틸옥심)(1-[9-ethyl-6-(2-methybenzoyl)-9H-carbazol-3-yl]-1-(O-acetyloxime)), 1,2-옥탄디온-1[(4-페닐티오)페닐]-2-벤조일-옥심( 1,2-octanedione-1[(4-phenylthio)phenyl]-2-benzoyl-oxime)과 티옥산톤, 2,4-디에틸 티옥산톤, 티옥산톤-4-술폰산, 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디메톡시아세톡시벤조페논, 2,2'-디메톡시-2-페틸아세토페논, p-메톡시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1-프로파논, 2-벤질-2-디에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케톤류; 안트라퀴논, 1,4-나프토퀴논 등의 퀴논류; 1,3,5-트리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1,3-비스(트리클로로메틸)-5-(2-클로로페닐)-s-트리아진, 1,3-비스(트리클로로페닐)-s-트리아진, 페나실 클로라이드, 트리브로모메틸 페닐술폰, 트리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등의 할로겐 화합물; 디-t-부틸 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2,4,6-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아실 포스핀 옥사이드류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중합개시제는 전체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 1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통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에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용매의 일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디에틸글리콜메틸아세테이트, 에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메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뷰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사논,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톨루엔, 메틸셀로솔브 및 에틸셀로솔브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전체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 통상 20 내지 60중량% 정도일 수 있다.
이외, 필요에 따라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차광성을 발현하는 착색제 중에, 혼합되어 실질적으로 흑색을 발현할 수 있는 적어도 2종의 안료 혼합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통상 차광성을 발현하기 위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는 블랙안료를 포함하는바, 그 일예로는 카본 블랙 또는 티탄 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블랙 안료의 일예로는 카본블랙 또는 티탄 블랙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안료 혼합성분은 착색제 총 중량 중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레드 안료는 10 내지 50중량%, 블루 안료는 10 내지 50중량%, 옐로우 안료는 1 내지 20중량% 및 그린 안료는 1 내지 2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바이올렛 안료를 착색제 총 중량 중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랙 안료는 착색제 총 중량 중 고형분 함량 기준으로 10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랙 안료의 경우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전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경화막의 전기적 특성을 저해할 수 있어, 블랙 안료를 포함할 경우에는 고저항을 가지는 안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착색제 총 중량 중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15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안료의 분산 정도에 따라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차광막의 광학밀도, 전기적 저항이 달라질 수 있는바, 이러한 점에서 착색제는 안료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안료분산제의 일예로는 변성 폴리우레탄,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아미드 등의 고분자 분산제, 인산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알킬 아민 등의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아크릴레이트계 분산제, 구체적인 일예로는 BYK chemie 사의 Disperbyk-2000, Disperbyk-2001, LP-N-21116, LP-N-21208, Ciba 사의 EFKA-4300, EFKA-4330, EFKA-4340, EFKA-4400, EFKA-4401, EFKA-4402, EFKA-4046 또는 EFKA-4060 등의 안료분산제가 분산안정성, 광학밀도 및 전기적 특성의 안정적인 구현 측면에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그런데 안료분산제가 과다하게 포함되는 경우 이는 분산 안정성이 나빠지거나, 특정 작용기의 퇴화에 의해 패턴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바, 이러한 점에서 안료분산제의 함량은 착색제 총 중량 중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3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제의 전체 양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6중량% 정도이다. 혼합 안료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형성된 차광막의 광학밀도가 낮아 충분한 차광성을 갖지 못하고, 8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감광성 수지 성분의 양이 감소하고 경화 불량을 일으켜 현상성에 문제가 있고 잔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안료 혼합물, (b)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c) 카도계 바인더 수지, (d)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다관능성 모노머, (e) 광중합 개시제 및 필요에 따라 유기 첨가제 및 (f) 용매를 교반기로 혼합하고, 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청정한 표면을 갖는 유리기판 또는 투명전극층을 포함하는 유리기판(일예로, ITO 또는 IZO 증착된 유리기판) 상에 스핀 코터(회전식 도포장치) 혹은 슬릿 코터(비회전식 도포장치)등의 비접촉형 도포장치를 사용하여 도포한다.
상기 조제 및 도포에 있어서, 기판과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란 커플링제를 배합하거나 상기 기판에 도포해 줄 수 있다.
상기 도포 후, 핫플레이트로 8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온도로 60초 내지 150초간 건조시키거나 또는 실온에서 수 시간~수일 방치하거나, 또는 온풍 히터, 적외선 히터 속에 수 십분~수 시간 넣어 용제를 제거하여(일명, 프리베이크(pre-bake)) 도포막 두께를 1.0 내지 5㎛의 범위로 조정하고, 이어서 마스크를 통하여 자외선 등의 활성선 에너지선을 조사에너지선량 30 내지 1000mJ/cm2 의 범위로 노광한다. 상기 조사에너지선량은 사용하는 차광막 감광성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노광하여 얻은 막을 현상액을 사용하여, 침지법, 스프레이법 등으로 현상하여 경화막 패턴을 형성한다. 현상에 사용하는 현상액으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계,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암모니아, 4급암모늄염 등의 수용액을 들 수 있다.
현상 후 포스트베이크(post-bake)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50 내지 250℃에서 20분 내지 40분 동안 포스트베이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해 얻어지는 차광성막은 바람직하기로는 경화막 중량 1g당 불소 함유량이 5 내지 50중량% 정도이면 적정의 차광성을 가지면서 적정한 소수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경화막은 적정의 차광성을 가지며 적정한 소수성을 만족하여, 특히 잉크젯 프린트에 의한 젯팅 방법에 의해 착색층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차광 패턴 형성용으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착색층을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는 표시장치로, 상기에서는 주요하게 액정표시장치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색층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 일예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EL 표시장치, CRT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여러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TN(Twisted Nematic), IPS(In-PlaneSwitching), FLC(Ferroelectric Liquid Crystal), OCB(Optically Compensatory Bend), STN(Supper Twisted Nematic), VA(Vertically Aligned), HAN(Hybrid Aligned Nematic), GH(Guest Host)와 같은 각종의 표시 모드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착색층이 형성된 표시장치를 노트북용 디스플레이나 텔레비젼 모니터 등의 대형 화면의 표시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내지 5> 카도계 바인더 수지 합성의 예
1L 사구 플라스크에, 용매인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비스페놀 플루오렌형 에폭시화합물, 아크릴산, perfluoroheptanoic acid, 트리에틸아민과 하이드로퀴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성분을 넣은 후 90℃~100℃로 가열 용해하였다. 용액이 백탁한 상태에서 서서히 승온하다가 100℃에서 완전 용해시켰다. 완전히 용해 되면 90℃로 유지하며, 여기에 25㎖/분의 속도로 질소를 주입하면서 산가가 목표에 이를 때까지 12시간을 요하였다.
산가를 측정하여 3.0mgKOH/g 미만이 될 때까지 가열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리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무색 투명의 비스페놀플루오렌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를 얻었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 단위는 g이다.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비스페놀플루오렌형 에폭시화합물 232 232 232 232 232
아크릴산 72 64.8 57.6 50.4 43.2
perfluoroheptanoic
acid
- 7.2 14.4 21.6 28.8
트리에틸아민 4.56 4.56 4.56 4.56 4.56
하이드로퀴논 0.1 0.1 0.1 0.1 0.1
PGMEA(용매) 456 456 456 456 456
이렇게 하여 얻어진 비스페놀플루오렌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 300g에 1,2,3,6-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32.57g, 혼합하고 서서히 승온하여 120℃로 20시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도계 바인더 수지(제조예 1 내지 5)을 얻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4

< 제조예 6>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합성의 예
1000ml 4구 플라스크 속에 하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조성 성분을 넣고 여기에 질소를 불어넣으면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온도를 서서히 올려 65℃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80℃로 승온시켜 2시간 더 반응시켜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합성하였다. 다음 표 2에 기재된 함량 단위는 g이다.
제조예 6
MAA 38.13
MMA 108.82
Sty 32.45
KBM503 11.45
개시제 19.09
PGMEA 490.00
(주)MAA: 메타아크릴산, MMA: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ty: 스티렌
KBM503: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Shin-Etsu Chemical제품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나이트릴
PGMEA: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실시예>
하기 표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조예 1 내지 5로부터 얻어지는 카도계 바인더 수지와 상기 제조예 6으로부터 얻어지는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에, 카본블랙(KLBK-103, Mikuni사 제품, 입자크기 80 내지 120nm인 것) 넣고, 다관능성 모노머(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광중합 개시제를 넣고 용매(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와 기타 첨가제(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커플링제)를 넣어 3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서 중량부는 전체 바인더 수지 (카도계 바인더 수지와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한 함량으로 표기한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카도계
바인더 수지
(제조예1내지5)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제조예6
카본블랙
(KLBK-
103)
광개시제 용매
(PGMEA)
다관능성 모노머
(DPHA)
첨가제
(GPTMS)
제조예 중량부
비교예1 제조예1 100 0 226 21 240 20 2.5
비교예2 제조예1 90 10
비교예3 제조예1 80 20
실시예 1 제조예2 100 0
실시예 2 제조예3 100 0
실시예 3 제조예4 100 0
실시예 4 제조예5 100 0
실시예 5 제조예2 90 10
실시예 6 제조예3 90 10
실시예 7 제조예4 90 10
실시예 8 제조예5 90 10
실시예 9 제조예2 80 20
실시예 10 제조예3 80 20
실시예 11 제조예4 80 20
실시예 12 제조예5 80 20
(주)
수지성분: 전체 조성 중 18중량%
DPHA: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카본블랙: 입자크기 90nm내지 110nm인 것으로
PGMEA: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GPTMS: 글라시독시 프로필트리 메톡시 실란(신에츠사)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현상시작시간, 패턴선폭(해상도), 현상패턴 안정성, 패턴 프로파일, 광학밀도 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1) 경화막 형성법
이와 같이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경화막 패턴을 형성하였다; 청정한 표면을 갖는 유리기판 상에 스핀 코터를 사용하여 500rpm으로 코팅하여 수지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도포 후, 핫플레이트로 100℃의 온도로 100초간 건조시켜 도포막 두께를 1.5㎛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마스크(갭 100㎛)를 통하여 자외선 등의 활성선 에너지선을 조사에너지선량 30mJ/㎠ 의 범위로 노광하였다. 노광하여 얻은 막을 현상액(0.032% KOH수용액, 25℃)을 사용하여 현상(현상시간 60초)하여 경화막 패턴을 형성하였다. 현상 후 230℃ 컨벡션 오븐에 넣은 후 30분 동안 포스트베이크를 수행하였다.
(2) 현상 시작 시간
현상 시작 시간은 수지 블랙 매트릭스를 유리기판에 코팅-프리베이크-노광공정을 수행한 후 현상공정에서 수지 블랙 매트릭스가 현상되어 패턴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3) 패턴 선폭 (해상도)
패턴 선폭은 수지 블랙 매트릭스를 유리기판에 코팅-프리베이크-노광-현상-포스트베이크 한 후 기판의 마스크에 설계된 패턴의 선폭이 30um인 곳의 임의의 10군데를 선정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패턴의 선폭을 측정하였다.
(4) 광학밀도
상기와 같이 수득한 경화막을 (주)오츠카 전자의 PMT 장비를 사용하여 광학밀도가 2.4인 reference를 사용하여 광학밀도를 측정하여 표 4에 기재하였다.
(5) 경화막의 접촉각 측정 방법
상기와 같이 수득한 경화막 상에 Syringe를 이용하여 물(탈이온수) 5㎕ 떨어뜨려 물(탈이온수)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물 대신에 2-에톡시에탄올(99%, Aldrich제품)을 사용하여 2-에톡시에탄올에 대한 접촉각도 측정하였다. 접촉각 측정기는 Kruss사 제품(모델명 E-EM03-T13-01)을 사용하였다.
(6) 패턴 프로파일 측정
얻어진 경화막 패턴에 대하여 SEM을 이용하여 Taper angle을 측정하였다.
(7) 잔사
SEM을 이용하여 현상 후 잔사 유무를 확인하였다.
(8) 현상패턴 안정성
현상패턴 안정성은 수지 블랙 매트릭스를 유리기판에 코팅-프리베이크-노광공정을 수행한 후 현상공정에서 수지 블랙 매트릭스가 현상되어 패턴이 형성되기 시작한 후(현상시작 시간) 일정 시간별로 현상을 진행하여 광학 현미경을 통해 패턴의 선폭 및 패턴의 직진성 등을 확인하였다. 현상시간을 5s 단위로 하여 패턴의 선폭이 감소되는 정도가 1㎛ 이하인 구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접촉각(°) Taper Angle(°) 잔사 발생 유무 현상시작시간 패턴선폭 패턴현상
안정성
광학밀도
( /㎛)
DIW(물) 2-에톡시
에탄올
비교예1 72 21 38 없음 35 40 15s 4.0
비교예2 73 20 45 없음 40 36 15s 4.0
비교예3 71 23 50 없음 45 34 15s 4.0
실시예1 79 34 37 없음 35 40 15s 4.0
실시예2 92 44 38 없음 35 40 15s 4.0
실시예3 100 48 38 없음 35 40 15s 4.0
실시예4 118 59 38 발생 35 40 5s 4.0
실시예5 76 31 45 없음 40 36 15s 4.0
실시예6 89 42 45 없음 40 36 15s 4.0
실시예7 95 46 45 없음 40 36 10s 4.0
실시예8 114 56 45 발생 40 36 5s 4.0
실시예9 74 30 50 없음 45 35 15s 4.0
실시예10 85 40 50 없음 45 35 15s 4.0
실시예11 88 43 50 없음 45 35 5s 4.0
실시예12 111 53 50 발생 45 35 5s 4.0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5,9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막의 물과 2-에톡시 에탄올에 대한 접촉각 측정결과를 볼 때 카도계 바인더 내에 불소계 함량이 증가할 수록 접촉각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차광막을 형성한 후 잉크젯 프린트를 이용한 젯팅 방법에 의해 컬러잉크를 주입하는 경우 실시예 2,3,4,6,7,8,10,11,12의 경화막이 컬러잉크가 격벽을 넘어가 혼색되거나 격벽으로 정의된 영역 내에서 컬러잉크가 위치를 이탈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제조예 5의 카도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4,8,12의 패턴 현상 안정성이 5s 이내로 다른 실시예보다 좋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일정 수준 이상의 불소계 함량이 첨가되었을 경우 블랙매트릭스의 패턴 안정성에 불리하게 작용됨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 조성 내에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패턴프로파일은 증가하나(비교예 1,2,3 및 실시예 1,5,9를 비교해 볼때), 패턴안정성(실시예 3,7,11 비교)은 비교적 불리해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를 볼 때 물에 대한 접촉각이 85° 이상이며, 2-에톡시 에탄올의 접촉각이 40° 이상이여서 경화막 격벽 사이에 컬러잉크가 격벽을 넘어가 혼색되거나 격벽으로 정의된 영역 내에서 컬러잉크가 위치를 이탈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다른 평가치들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데 있어서 가장 최적한 실시예는 2,3,6,10 등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카도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는 불소기를 함유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더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원료 모노머로서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와 이들과 공중합할 수 있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원료 모노머로서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다관능성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안료; 및 용매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그 함량이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인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입자크기가 50 내지 150nm인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경화막 형성시 경화막 중량 1g 당 불소 함유량이 5 내지 50중량%인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경화막 형성시, 단위 두께 1.0㎛당 광학밀도(OD)가 2.0 이상이고, 경화막 형성시, 물에 대한 접촉각이 85° 이상이고, 2-에톡시에탄올에 대한 접촉각이 35°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된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기판.
  11. 제1항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된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12. 제10항에 따른 컬러필터 기판을 상부 기판으로 포함하는 영상 표시 소자.
  13. 제11항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하부 기판으로 포함하는 영상 표시 소자.
KR1020100095632A 2010-09-30 2010-09-30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680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632A KR101680198B1 (ko) 2010-09-30 2010-09-30 감광성 수지 조성물
TW100135059A TW201213474A (en) 2010-09-30 2011-09-28 Photopolymerizable resin composition
PCT/KR2011/007208 WO2012044099A2 (en) 2010-09-30 2011-09-30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632A KR101680198B1 (ko) 2010-09-30 2010-09-30 감광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892A true KR20120033892A (ko) 2012-04-09
KR101680198B1 KR101680198B1 (ko) 2016-11-29

Family

ID=4589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632A KR101680198B1 (ko) 2010-09-30 2010-09-30 감광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80198B1 (ko)
TW (1) TW201213474A (ko)
WO (1) WO201204409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098A (ko) * 2013-09-05 2015-03-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US9164385B2 (en) 2013-10-23 2015-10-20 Cheil Industries Inc.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light blocking laye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23B1 (ko) * 2006-10-16 2007-06-07 제일모직주식회사 카도계 수지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 및 그에 의한 패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0838452B1 (ko) * 2007-03-22 2008-06-16 제일모직주식회사 아미드 결합을 갖는 카도계 수지,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블랙매트릭스
KR20100065615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이를 위한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098A (ko) * 2013-09-05 2015-03-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US9164385B2 (en) 2013-10-23 2015-10-20 Cheil Industries Inc.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light blocking lay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13474A (en) 2012-04-01
KR101680198B1 (ko) 2016-11-29
WO2012044099A3 (en) 2012-07-19
WO2012044099A2 (en)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539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033893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US8574794B2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KR101983201B1 (ko) 어레이 기판, 액정 표시 소자,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 및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CN107203063B (zh) 显示元件用基板、显示元件用基板的制造方法及显示元件
KR101688464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337023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148548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002372A (ko) 수지 블랙 매트릭스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0740550B1 (ko) 수지 블랙 매트릭스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078495A (ko) 수지 블랙 매트릭스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WO2013051805A2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KR20110054887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033892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30003357A (ko) 블랙매트릭스와 칼럼스페이서의 형성방법
KR101282516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70070592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블랙 매트릭스 및 터치 패널
KR101305886B1 (ko) 수지 블랙 매트릭스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328332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429289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078513A (ko) 블랙 매트릭스용 수지 조성물
KR20090071039A (ko) 안료 분산액 및 수지 블랙매트릭스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979012B1 (ko) 블랙매트릭스 패턴 형성용 감광성 조성물, 블랙 매트릭스의 패턴 형성 방법
JP2019183053A (ja) 着色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60143625A (ko) 컬럼 스페이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