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476A -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방사선감작제로서 피롤리딘-치환된 플라본 - Google Patents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방사선감작제로서 피롤리딘-치환된 플라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476A
KR20120032476A KR1020117029101A KR20117029101A KR20120032476A KR 20120032476 A KR20120032476 A KR 20120032476A KR 1020117029101 A KR1020117029101 A KR 1020117029101A KR 20117029101 A KR20117029101 A KR 20117029101A KR 20120032476 A KR20120032476 A KR 2012003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formula
radiation
compou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기 조이스 라도스
칼파나 산제이 조시
니킬 크리쉬나무르티 헤바
소메쉬 샤르마
Original Assignee
피라말 라이프 사이언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라말 라이프 사이언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피라말 라이프 사이언시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3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2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cromakal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합물은 방사선 및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CDK) 억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상기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암, 특히 두경부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선감작제로서 화학식(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CDK 억제제의 용도에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방사선감작제로서 피롤리딘-치환된 플라본{PYRROLIDINE-SUBSTITUTED FLAVONES AS RADIO-SENSITIZER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본 발명은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암 치료용 조합물(조성물)(combination)에 관한 것이다. 이 조합물은 방사선 및 화학식(I)의 화합물(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solvat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CDK) 억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상기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특히 두경부암(heand and neck cancer)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암, 특히 두경부암의 치료를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선감작제(raiosensitizer)로서 화학식(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CDK 억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 치료에 유용한 대부분의 방사선감작제는 이들 물질의 분자 기준의 상호작용에 대한 적절한 지식 없이도 실험실 또는 임상적 관찰로부터 확인되어 왔다. 방사선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방사선 효과와 내성의 메카니즘을 이용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6개의 일반적인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저산소 감작화, DNA 손상의 개선, DNA 수선 감소, DNA 손상에 기인한 세포사멸성(apoptotic) 세포 치사 증가, 종양 맥관구조에 대한 효과, 및 세포 주기 효과(Nature Clinical Practice Oncology, 2007, 4(5), 282-294). 수십 년 동안, 방사선 내성의 원인으로서 종양 저산소증의 문제에 대하여 연구가 집중되었다(British Journal of Cancer, 2000, 83(3), 354-359). 저산소성 세포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방사선에 대해 내성이다. 초기 실험에 의하면 방사선이 투여되는 시점에서의 DNA 손상에 대하여 보통 양의 산소가 필요하지만; 일단 문턱 수준의 산소가 존재하면(예컨대 정상 조직에서와 같이) 더 많은 산소를 가하는 것은 더 이상 방사선 효과를 향상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산소는 자유 라디칼 매개된 방사선 유도된 DNA 손상에 필요하다. 내성의 저산소성 세포 집단은 치료 실패의 주요 원인일 수 있고 또 이것은 산소전달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분자 산소와 같이 작용하는 약물을 투여하는 것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이 제시되어 있었다. 미토마이신 및 티라파자민과 같은 저산소성 종양 세포를 우선적으로 치사시키는 약물은 강력한 이점을 나타내며 연구중에 있다.
저산소증 현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종양 저산소증을 해결하려는 노력은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실패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이유는 투여를 제한하는 물질의 독성; 정상산소성 세포의 치사가 산소로 하여금 이전의 저산소성 세포에 도달하게 하는 분별된 방사선요법 동안 생기는 저산소증의 자가 보정; 내성 유전자의 저산소증-매개 상향조절; 및 저산소증의 존재가 침습성의 원인이라기 보다는 내성 종양에 대한 마커이라는 사실을 포함한다(Nature Clinical Practice Oncology, 2007, 4(5), 282-294).
저산소증을 극복하는데 있어 제한적인 성공은 방사선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을 개발하도록 이끌었다. 종양 저산소증을 치료하기 위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임상적으로 성공적인 방법은 방사선과 함께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투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합으로 개선된 결과를 초래하는 메카니즘은 다음을 포함한다: 세포 치사에 대한 단순한 독립적 첨가제 효과; 세포 주기(예컨대 G2-M)의 방사선 민감성 부분에서 세포의 체포; 저산소성 세포와 같은 내성 집단 또는 세포 주기의 내성 부분에서의 내성 집단의 표적화; 및 방사선 유도된 DNA 손상 향상 또는 그의 수선의 방지. 또한, 종양은 방사선의 세포독성 효과의 상당부분을 대응할 수 있는 생장속도로 방사선 과정에서 증식할 수 있다. 이러한 증식은 가속 재증식(accelerated repopulation)이라 불리며, 또 살아있는 세포 또는 방사선 내성 세포의 나머지 집단에 대한 영양분 및 혈액 공급을 개선시킨 결과로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증식 반응은 방사선 이외에 세포독성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화학요법은 암의 치료에서 방사선요법의 치료 지수를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방사선요법과 조합되어 왔다. 암에 대한 방사선 요법의 효능을 증가시키는 방사선감작제를 개발하여, 낮은 방사선량, 가능한 표적 특이도와 임상적으로 허용되는 독성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T 특허 공개 번호 WO2004004632호(미국 특허 7,272,193호에 상응) 및 PCT 특허 공개 번호 WO2007148158호는 상이한 유형의 암 치료에 유용성이 있는 CDK 억제제로서 피롤리딘 치환된 플라본을 개시한다. CDK 억제제는 독성이 덜하므로 인간의 암에서 방사선감수성(radiosensitivity)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CDK 억제제의 효과와 가능한 메카니즘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것은 방사선을 통한 암 치료에 아주 이로울 것이다.
화학요법은 암의 치료에서 방사선요법의 치료 지수를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방사선요법과 조합되어 왔다. 암에 대한 방사선 요법의 효능을 증가시키는 방사선감작제를 개발하여, 낮은 방사선량, 가능한 표적 특이도와 임상적으로 허용되는 독성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FaDu 세포주(3500 세포/플레이트)에서 방사성반응에 대한 1 μM의 화합물 A(48시간 처리)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2는 FaDu 세포주(3500 세포/플레이트)에서 방사성반응에 대한 1 μM의 화합물 A(96시간 처리)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3은 FaDu 세포주(1500 세포/플레이트)에서 방사성반응에 대한 1 μM의 화합물 A(72시간 처리)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4는 FaDu 세포주(1500 세포/플레이트)에서 방사성반응에 대한 1 μM의 화합물 A(96시간 처리)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5는 방사선, 화합물 A, 조합물 및 대조군을 투여하는 기간에 대한 평균 그룹 체중을 도시한다.
도 6은 방사선, 화합물 A, 조합물 및 대조군을 투여하는 기간에 대한 두경부암(FaDu) 이종이식(xenograft)의 평균 % 종양 중량을 도시한다.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방사선 및 화학식(I)의 화합물(본 명세서에 기재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CDK) 억제제를 포함하며 암 치료에서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암 치료를 위하여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방사선 및 화학식(I)의 화합물(본 명세서에 기재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CDK)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 및 화학식(I)의 화합물 (본 명세서에 기재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CDK)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치료 유효량의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CDK) 억제제와 조합된 치료 유효량의 방사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CDK 억제제의 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선감작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 및 다른 이용 범위는 이하에 기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선 및 화학식(I)의 화합물(본 명세서에 기재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며, 암, 특히 두경부암 치료에 사용될 때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CDK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I)로 표시되는 CDK 억제제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는, PCT 특허 공개 번호 WO2004004632호(미국 특허 제7,272,193호에 상응함) 및 PCT 특허 공개 번호 WO2007148158호에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많은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CDK 억제제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학식(I)의 화합물은 다양한 고형종양 및 악성 혈액종양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화학식(I)의 CDK 억제제와 방사선의 조합이 세포사멸(apoptosis) 또는 프로그래밍된 세포 치사 증가를 초래함을 관찰하였다.
상기 및 이하에서 사용된 일반적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내용에서 다음 의미를 갖는다:
단수 형태 "하나", "하나의" 및 "그"는 내용이 분명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상승(작용)"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조합물에 의해 얻어진 효과가 방사선 및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동일 투여 조건하에서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얻은 효과의 합보다 더 큰 것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상승작용은 동일 투여량에서 더 큰 효능을 제공하고 및/또는 다약제 내성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킨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치료 유효량"은 비증식성 세포에 대하여 최소한의 독성으로 증식성 세포의 최대 세포사멸을 제공하는 방사선 또는 화학식(I)의 CDK 억제제의 양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치료적 상승작용"은 방사선 또는 CDK 억제제 단독을 사용하는 단일 요법의 임의의 허용되는 투여량(tolerated dose)에서 달성된 최적 효과를 초과하는 방사선 및 화학식(I)의 CDK 억제제의 조합 처리의 허용되는 처방으로 달성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용어 "세포사멸"은 세포에서 일련의 분자적 단계가 치사를 초래하는 세포 치사 유형을 지칭한다. 이것은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세포를 제거하는 몸의 정상적 방법이다. 세포사멸 과정은 암 세포에서 차단될 수 있다. 세포사멸은 또한 프로그래밍된 세포 치사로도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세포사멸 증가"는 프로그래밍된 세포 치사율의 증가로 정의되며, 즉 방사선 단독 또는 CDK 억제제 단독에 노출(접촉)되는 것에 비하여 더 많은 세포가 치사 과정에 유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검체"는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객체인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지칭한다.
두경부암은 입술, 구강, 비강, 부비강, 인두, 및 후두를 비롯한 상부 호흡소화관으로부터 기인하는 생물학적으로 유사한 암의 그룹을 지칭한다. 머리 및 목의 편평상피 세포암(HNSCC)이 두경부암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또 상기 해부 영역을 통하여 점성 표면으로부터 생긴다. 이들은 비강, 부비강, 구강, 비인두, 구강인두, 하인두, 및 후두의 종양을 포함한다.
머리 및 목의 암은 이들이 시작되는 영역에 의해 확인된다:
1. 구강: 편평상피 세포암은 입술내부, 혀, 구강저, 치은, 및 경구개를 비롯한 구강에서 흔하다.
2. 비인두: 비인두암은 비강 및 유스타키오관이 목의 상부 부분과 접속되는 영역인 비인두에서 생긴다.
3. 구강인두: 구강인두암은 연구개, 혀 기저부, 및 편도선을 비롯한 목의 중간 부분인 구강인두에서 시작된다. 편도선의 편평상피 세포암은 머리 및 목의 다른 영역의 암에 비하여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감염과 더 강하게 관련된다.
4. 하인두: 하인두는 이상와(pyriform sinuses), 인두후벽, 및 윤상연골후부(postcricoid area)를 포함한다. 하인두의 종양은 흔히 진단시 진전된 상태를 가지며, 또 인두 종양의 가장 나쁜 예후를 갖는다. 이들은 후두 주변의 광대한 림프 네트워크로 인하여 조기에 전이되는 경향이 있다.
5. 후두: 후두암은 후두에서 시작된다. 암은 성대 자체에서 생길 수 있거나("성문"암) 또는 진성대 위아래의 조직(각각 "성문상부" 및 "성문하부" 암)에서 생길 수 있다.
6. 기관: 기관의 암은 두경부암과 많은 면에서 생물학적으로 유사할 수 있는 희귀한 종양이며, 또 때때로 그와 같이 분류된다.
HNSCC에 걸린 환자의 치료 방법은 질병의 부위 및 단계 그리고 환자의 전체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외과적 절제 및 방사선 요법은 대부분의 두경부암에 대한 주축이 되는 치료이며 또 대부분의 경우에서 표준 치료이다. 방사선요법만으로 치료받은 절제할 수 없고 및/또는 수술할 수 없는 국소적으로 진전된 두경부암에 걸린 환자에서 얻어진 불충분한 결과로 인하여, 화학요법-방사선요법의 동시적용이 조사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CDK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1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일 구체예로서, 상기 CDK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I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학식(I)의 화합물의 (+)-트랜스 이성질체이다:
Figure pct00002
<화학식 (IA)>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또는 요오도와 같은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상기 화학식(I)의 화합물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는 PCT 특허 공개 번호 WO2004004632호 및 PCT 특허 공개 번호 WO2007148158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하기 반응 도식 I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학식(VIA)의 중간체를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화학식(II)의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학식(V)의 화합물까지의 제조 단계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는 US4900727호에 기재되어 있다. 1-메틸-4-피페리돈(화학식(III)의 화합물)은 빙초산 중의 1,3,5-트리메톡시벤젠(화학식(II)의 화합물)의 용액과 반응하여 1-메틸-4-(2,4,6-트리메톡시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화학식(IV)의 화합물)을 얻는다. 화학식(IV)의 화합물은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디에틸 에테레이트, 수소붕소화 나트륨 및 테트라히드로푸란과 반응하여 화학식(V)의 화합물을 얻는다. 상기 도식에서 화학식(V)의 화합물을 화학식(VIA)의 화합물로 전환함에 있어서, 피페리딘 고리 상의 히드록시 작용기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과 같은 산소 친핵체 존재하에 p-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 트리플릭산 무수물 또는 오염화인과 같은 적절한 시약으로 처리한 다음,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성 용매 중의 아세트산 나트륨 또는 아세트산 칼륨과 같은 산소 친핵체의 존재하에 고리 축합에 의해 토실, 메실, 트리플레이트와 같은 이탈기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포함된 고리 축합반응은 상기 도식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본 형성 이전에 실시될 수 있거나 또는 소망하는 치환을 갖는 플라본을 형성한 후에 실시될 수 있다.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VIA)의 중간체 화합물의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트랜스 에난티오머(enantiomer)는 화학식(I)의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다. 높은 에난티오머적 순도를 갖는 중간체를 상기 방법에서 출발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방법에 의해 생성된 화학식(I)로 표시되는 피롤리딘 치환된 플라본의 (+)-트랜스 에난티오머는 상응하게 높은 에난티오머적 순도를 갖는다.
화학식(VIA)의 중간체 화합물의 분리된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트랜스 에난티오머로부터 화학식(I)의 화합물의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트랜스 에난티오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하기 화학식(VIA)의 중간체 화합물의 분리된(resolved)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트랜스 에난티오머를 루이스산 촉매 존재하에서 무수 아세트산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VIIA)의 분리된 아세틸화된 화합물을 얻고;
(b) 화학식(VIIA)의 분리된 아세틸화된 화합물을 염기 및 용매 존재하에서 화학식 ArCOOH의 산 또는 화학식 ArCOCl의 산 클로라이드 또는 화학식(ArCO)2O의 산 무수물 또는 화학식 ArC00CH3의 에스테르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VIIIA)의 분리된 화합물을 얻으며;
(c) 화학식(VIIIA)의 분리된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중의 염기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IXA)의 상응하는 분해된 β-디케톤 화합물을 얻고;
(d) 화학식(IXA)의 상응하는 분해된 β-디케톤 화합물을 염산과 같은 산으로 처리하여 하기 화학식(XA)의 상응하는 고리화된 화합물을 얻으며;
(e) 화학식(XA)의 상응하는 고리화된 화합물을 120-180℃ 범위의 온도에서 탈알킬화제와 함께 가열하는 것에 의해 탈알킬화 처리하여 화학식(I)의 화합물의 (+)-트랜스 에난티오머를 얻고, 또 경우에 따라, 그 화합물을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전환한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Ar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상기 단계(a)에서 사용된 루이스산 촉매는 BF3, Et2O, 염화아연, 염화 알루미늄 및 염화티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방법 단계(b)에서 사용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및 DCC-DMAP 조합물(N,N'-디시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VIIIA)의 화합물을 화학식(IXA)의 상응하는 β-디케톤 화합물로 재배열(rearrangement)하는 것이 베이커-벤카타라만 재배열로서 알려져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J. Chem. Soc, 1381(1933) 및 Curr. Sci., 4, 214 (1933)).
상기 방법 단계(c)에서 사용된 염기는 리튬 헥사메틸 디실라지드,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지드,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지드, 수소화 나트륨 및 수소화칼륨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염기는 리튬 헥사메틸 디실라지드이다.
화학식(IXA)의 화합물을 탈알킬화하기 위한 방법 단계(e)에서 사용된 탈알킬화제는 피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삼브롬화붕소, 삼플루오르화붕소 에테르염 및 삼염화 알루미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탈알킬화제는 피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이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CDK 억제제는, 페닐 기가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C1-C4-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화학식(I)의 화합물이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CDK 억제제는 페닐 기가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화학식(I)의 화합물이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CDK 억제제는 페닐기가 염소에 의해 치환된 화학식(I)의 화합물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 형태일 수 있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제조,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구 및/또는 비경구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는 PCT 특허 공개 번호 WO2004004632호 및 PCT 특허 공개 번호 WO2007148158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PCT 특허 공보는 화학식(I)로 표시되는 CDK 억제제가 많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I)의 CDK 억제제는 이들의 염 또는 용매화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염은 염산염, 메탄술폰산염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을 포함한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적어도 2개의 키럴(chiral) 중심을 함유하므로 2개의 상이한 광학 이성질체 형태(즉 (+) 또는 (-) 에난티오머)로 존재한다. 이러한 모든 에난티오머 및 라세미 혼합물을 비롯한 그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화학식(I)의 화합물의 에난티오머는 PCT 특허 공개 번호 WO2004004632호, WO2008007169호 및 WO2007148158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얻을 수 있거나, 또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에난티오머는 키럴 HPLC 및 효소 분해와 같은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다르게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에난티오머는 광학 활성의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I)의 CDK 억제제의 정의는 모든 가능한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I) 정의는 라세미 형태 및 특정의 활성을 갖는 분리된 광학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합물에 사용된 방사선은 γ-조사이다. 일 구체예로서, γ-조사에 사용된 공급원은 코발트-60, 이리듐-192, 또는 세슘-137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γ-조사에 사용된 공급원은 코발트 60이다.
일 구체예로서, γ-조사의 허용가능한 방사선량 범위(dose-range)는 하루에 1 내지 25 그레이(Gy)이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조합물은 방사선 및 CDK 억제제를 포함하며, 상기 CDK 억제제는 화학식(I)로 표시되거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조합물은 방사선 및 CDK 억제제를 포함하며, 상기 CDK 억제제는 화학식(IA)로 표시되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트랜스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조합물은 방사선 및 CDK 억제제를 포함하며, 상기 CDK 억제제는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일 구체예로서, 방사선 및 화학식(I)의 CDK 억제제를 포함하는 상기 조합물은 조합물의 최대 효능을 얻기 위하여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둘 수 있는 별개의 투여를 허용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화학식(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CDK 억제제는 예컨대 방사선 이전에, 이후에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방사선은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투여하기 전에, 이하에 기재한 방사선량 범위로 투여된다. 그러나, 소정 조건하에서 방사선 및 CDK 억제제를 투여하기 위한 최적 방법 및 순서는 통상적 수법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정보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화학식(I)의 CDK 억제제는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되어 최적 혈액 수준을 생성하여 유지한다.
경구 용도의 경우, 화학식(I)의 CDK 억제제는 예컨대 정제 또는 캅셀, 분말, 분산성 과립, 또는 사쉐(sachet) 형태로 또는 수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사용을 위한 정제의 경우, 흔히 사용되는 담체는 락토오스, 옥수수 녹말, 탄산 마그네슘, 탈크, 및 당을 포함하며, 또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가 흔히 부가된다. 캅셀 형태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 유용한 담체는 락토오스, 옥수수 녹말, 탄산 마그네슘, 탈크 및 당을 포함한다.
근육내, 복강내, 피하 및 정맥 사용을 위해, CDK 억제제의 멸균 용액이 흔히 이용되며, 또 상기 용액의 pH는 적절하게 조정되고 완충되어야 한다.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소세포 및 비소세포 폐암 및 폐선암 포함), 난소암, 췌장암(외분비 췌장암 포함), 위암, 대장암, 간세포암, 다발성 골수종, 맨틀 세포 림프종 및 악성 흑색종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의 치료에 사용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두경부암의 치료에 사용된다.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치료적 상승작용을 나타낸다.
다른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치료 유효량의 상기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암은 상승효과를 초래하는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치료 유효량의 CDK 억제제와 조합된, 암치료에 효과적인 치료량의 방사선을 검체에 투여하는 것에 의해 검체에서 치료된다.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상승효과를 초래하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트랜스 이성질체(화학식(IA)로 표시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치료 유효량의 CDK 억제제와 조합된, 암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량의 방사선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치료 유효량의 CDK 억제제와 조합된, 암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량의 방사선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치료 유효량의 CDK 억제제와 조합된, 암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량의 방사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대장암,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다발성 골수종, 맨틀 세포 림프종 및 악성 흑색종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치료 유효량의 CDK 억제제와 조합된, 암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량의 방사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앞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및 CDK 억제제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암 치료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치료량의 CDK 억제제와 동시에 치료 유효량의 방사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암 치료 방법은 치료량의 방사선 및 치료량의 CDK 억제제를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암 치료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치료량의 CDK 억제제를 투여하기 전에 치료량의 방사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대장암, 간세포암, 다발성 골수종, 맨틀 세포 림프종 및 악성 흑색종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선감작제로서 화학식(I)의 화합물로 표시되는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대장암, 간세포암, 다발성 골수종, 맨틀 세포 림프종 및 악성 흑색종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선감작제로서 화학식(I)의 화합물의 (+)-트랜스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CDK 억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대장암, 간세포암, 다발성 골수종, 맨틀 세포 림프종 및 악성 흑색종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선감작제로서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CDK 억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두경부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선감작제로서 화학식(I)의 CDK 억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대장암, 간세포암, 다발성 골수종, 맨틀 세포 림프종 및 악성 흑색종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질(또는 약물)을 제조하기 위한 화학식(I)의 CDK 억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두경부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질(또는 약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I)의 CDK 억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방사선요법과 함께 사용되는 상기 CDK 억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대장암, 간세포암, 다발성 골수종, 맨틀 세포 림프종 및 악성 흑색종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방사선요법과 함께 사용되는 화학식(I)의 CDK 억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이다.
상기 조합물에 함유된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환자의 필요성 및 치료할 상태의 심각성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특정 상황에 대한 적합한 투여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영역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화합물의 최적 투여량보다 적은 소량으로 치료를 개시한다. 이후, 각 성분의 투여량은 환경하에서 최적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소량씩 증가된다. 그러나, 조합물 중의 각 성분의 양은 단독으로 투여되는 경우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양보다는 전형적으로 적을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γ-조사 및 화학식(I)의 화합물로 표시되는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은, γ-조사는 1 내지 25 Gy/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Gy/일 범위의 상승작용적으로 효과적인 투여량으로 투여되고, 또 CDK 억제제는 5 mg 내지 750 mg 범위, 바람직하게는 100 mg 내지 500 mg 범위의 상승작용적으로 효과적인 투여량으로 투여되도록,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γ-조사 또는 화학식(I)의 CDK 억제제의 선택된 투여량 수준은 이용된 CDK 억제제의 활성 및 그의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이용된 CDK 억제제의 분비속도, 치료 지속시간, 이용된 CDK 억제제와 조합되어 사용된 다른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치료되는 암의 유형 및 단계, 치료되는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일반적 건강 및 이전의 의료이력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 및 의료 분야에 공지된 유사 인자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조합물은 특정 에세이 시스템 및 시험관내의 몇 개의 상이한 투여 스케쥴로 평가하였다. 실험의 상세한 내용은 이하에 나타낸다. 여기서 제공된 데이터는, 화학식(I)의 CDK 억제제와 조합될 때, 방사선이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 화합물(A)로 표시된 화학식(I)의 화합물의 대표인 CDK 억제제는 두경부암 세포에 대한 시험관내 분석에서 방사선의 세포독성을 상승작용적으로 향상시킴은 하기 표 1-4에 제공된 데이터로부터 분명히 관찰될 수 있다.
약리 에세이에 사용된 대표 화합물인 화합물(A)는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지칭하며 또 이것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는, 공개된 PCT 특허 출원 WO2004004632호 및 WO2007148158호에 개시된 화합물 중의 하나이다. γ-조사 및 CDK 억제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합물의 상승작용적 효과는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다. 이들은 예시적으로만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 1 내지 10은 화합물(A)(실시예 10의 화합물)의 합성을 제공하는 한편, 실시예 11 및 12는 시험관내에서 화합물(A)과 방사선요법의 조합 연구를 제공한다. 실시예 13은 생체내 수순을 제공하는 한편, 실시예 14는 임상적 수순을 제공한다.
하기 약어 또는 용어가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ATCC: 어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BF3: 삼플루오르화 붕소
CHCl3: 클로로포름
CO2: 이산화탄소
DBTA: 디벤조일 타르타르산
DMSO: 디메틸술폭사이드
EtOAc: 아세트산 에틸
Gy: 그레이(Gray)
HCl: 염산
IPA: 이소프로필 알코올
KBr: 브롬화 칼륨
MeOH: 메탄올
MTT: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Na2CO3: 탄산나트륨
Na2SO4: 황산나트륨
NaBH4: 수소화붕소나트륨
NaOH: 수산화 나트륨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실시예
실시예 1:
1- 메틸 -4-(2,4,6- 트리메톡시페닐 )-1,2,3,6- 테트라히드로 피리딘의 제조
1-메틸-4-피페리돈(340 g, 3.0몰)을, 빙초산(600 mL) 중의 1,3,5-트리메톡시벤젠(500 g, 2.97 몰) 용액에 서서히 부가하고, 그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40℃ 아래로 유지시켰다. 진한 HCl(450 mL)을 20분간에 걸쳐 부가하였다. 온도를 85-90℃로 증가시키고 또 이 반응 혼합물을 3.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0℃로 냉각시키고, 파쇄얼음(4 kg) 상에 붓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미반응 1,3,5-트리메톡시벤젠의 석출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여액을 10℃ 아래에서 50% NaOH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11-12로 염기성화시켰다. 수득한 백색을 띄는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또 건조시켜 화합물, 1-메틸-4-(2,4,6-트리메톡시-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을 수득하였다.
수율: 580 g(74 %); 융점: 112-114℃; IR(KBr): 3045, 2900, 2837, 1600, 1585 cm-1; 1H NMR(CDCl3, 300MHz): δ 6.15(s, 2H), 5.55(s, 1H), 3.85(s, 3H), 3.75(s, 6H), 3.10(d, 2H), 2.55(t, 2H), 2.40(s, 3H), 2.35(m, 2H); MS(EI): m/z 263(M+).
실시예 2:
(±)-트랜스-1- 메틸 -4-(2,4,6- 트리메톡시페닐 )-피페리딘-3-올의 제조
삼플루오르화붕소 디에틸 에테르염(300 mL, 2.36 몰)을 질소 분위기하, 0℃에서, 무수 THF(2.25 L)중의 실시예(1)의 화합물(300 g, 1.14몰)과 NaBH4 (75 g, 1.97몰)의 용액에 서서히 부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서서히 55℃로 증가시키고 또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30℃로 냉각시켰다. 빙냉수(100 mL)를 서서히 부가한 다음 진한 HCl(375 mL)에 의해 산성화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을 50-5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30℃로 냉각시키고 또 50% NaOH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11-12로 염기성화시켰다. 과산화수소(30 %, 225 mL)를 0.5시간에 걸쳐 부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55-60℃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30℃로 냉각하고 또 충분량의 물을 부가하여 석출된 염을 용해시켰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또 수성 층은 아세트산 에틸(2 x 1L)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건조(무수 Na2SO4)시키고 또 농축시켰다. 얻어진 조 점성 갈색 오일을 4N HCl(1.2 L)로 처리하고 또 아세트산 에틸(2 x 500 m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수성 부분을 냉각시키고, 50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염기성화시키고 또 아세트산 에틸(2 x 1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건조(무수 Na2SO4) 및 농축하여 화합물, (±)-트랜스-1-메틸-4-(2,4,6-트리메톡시-페닐)-피페리딘-3-올을 수득하였다.
수율: 210 g(65.6 %); 융점: 96-97℃; IR(KBr): 3582, 3374, 3017 cm-1;
1H NMR(CDCl3, 300MHz): δ 6.15(s, 2H), 4.40(m, 1H), 3.79(s, 3H), 3.74(s, 6H), 3.20(dd, 1H), 3.00(m, 1H), 2.80(m, 1H), 2.40(m, 1H), 2.37(s, 3H), 2.00(m, 1H), 1.90(t, 1H), 1.52(m, 1H); MS(CI): m/z 282 (M+1).
실시예 3:
(±)-트랜스-아세트산-1- 메틸 -3-(2,4,6- 트리메톡시페닐 )- 피롤리딘 -2-일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30.27 mL, 44.8 g, 0.4 몰)를 무수 THF(1.0 L)중의 실시예(2)의 화합물(100 g, 0.35 몰)과 트리에틸아민(71.88 g, 0.7 몰)의 냉각 교반되는 용액에 적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0℃에서 45분 동안 더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 HCl의 석출물을 여과하고 또 무수 THF(2 x 100 mL)로 세척하였다. 그 여액을 2-프로판올(1.0 L)에 아세트산 나트륨(115 g, 1.40 몰)이 현탁된 환류되는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15분간 더 환류시키고, EtOAc(1.0 L)를 사용하여 희석시킨 다음 염을 여과하였다. 염의 혼합물을 EtOAc(2 x 100 mL)를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모아진 여액을 농축하여 검(gum)을 얻었다. 상기 검에 물(50 mL)을 교반하면서 부가하여 고체를 얻으며, 이를 여과 및 건조하여 화합물, (±)-트랜스-아세트산 1-메틸-3-(2,4,6-트리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90 g(81 %); 융점: 74-77℃; 1H NMR(CDCl3, 300MHz): δ 6.13(s, 2H), 4.00(m, 2H), 3.81(m, 1H), 3.79(s, 3H), 3.76(s, 6H), 3.20(m, 1H), 2.75(m, 1H), 2.69(m, 1H), 2.47(s, 3H), 2.00(m, 2H), 1.99(s, 3H).
실시예 4:
(±)-트랜스-[1- 메틸 -3-(2,4,6- 트리메톡시페닐 )- 피롤리딘 -2-일]-메탄올의 제조
10% NaOH 수용액(596 mL)을 메탄올(596 mL) 중의 실시예(3)의 화합물(241 g, 0.75 몰) 용액에 부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45분간 교반하였다. 이것을 검으로 농축한 다음 빙냉수(2 L)에 부었다. 생성한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트랜스-[1-메틸-3-(2,4,6-트리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메탄올을 수득하였다.
수율: 198 g(94 %); 융점: 82-85℃; IR(KBr): 3421, 3009, 1607 cm-1;
1H NMR(CDCl3, 300MHz): δ 6.15(s, 2H), 3.92(m, 1H), 3.80(s, 9H), 3.60(dd, 1H), 3.45(d, 1H), 3.20(m, 1H), 2.78(m, 1H), 2.50(m, 1H), 2.42(s, 3H), 2.00(m, 1H), 1.92(m, 1H); MS (ES+): m/z 282 (M+1).
실시예 5:
(-)-트랜스-[1- 메틸 -3-(2,4,6- 트리메톡시페닐 )- 피롤리딘 -2-일]-메탄올의 제조
(-)-DBTA(321.7 g, 897.7 밀리몰(mmol))를 실시예(4)의 화합물(250 g, 889.6 밀리몰)에 부가한 다음 메탄올(1715 mL)을 부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0분간 환류시킨 다음, 실온에서 서서히 3시간 동안 교반하고, 결정화된 염을 여과하여 건조하였다.
수율: 185 g(30 %); 융점: 102-105℃; [α]D 25 = -82.66°(c = 0.7, 메탄올).
상기 염을 10% Na2CO3 수용액(765 mL) 및 EtOAc(200 x 3 mL)와 함께 교반하여 EtOAc 층 중에 유리 염기를 얻었다. 상기 EtOAc 층을 농축하여 화합물, (-)-트랜스-[1-메틸-3-(2,4,6-트리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메탄올을 수득하였다.
수율: 80 g(98.3 %); [α]D 25 = -20.0° (c = 0.7, 메탄올);
1H NMR (CDCl3, 300 MHz): δ 6.13(s, 2H), 3.90(m, 1H), 3.79(s, 9H), 3.57 (dd, 1H), 3.38(d, 1H), 3.13(m, 1H), 2.69(m, 1H), 2.47(m, 1H), 2.34(s, 3H), 2.00(m, 1H), 1.93(m, 1H).
상기 화합물을 키럴 HPLC 처리시켰다. 키럴 HPLC는 컬럼 Chiralcel OD-H(250 x 4.6 mm) 및 용매계 헥산:에탄올(92:08)와 함께 TFA(0.4%)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용매 유량 1mL/분으로 하여 264 nm에서 결과를 기록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럴 HPLC는 100%의 화합물, (-)-트랜스-[1-메틸-3-(2,4,6-트리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메탄올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트랜스-아세트산-3-(3-아세틸-2-히드록시-4,6- 디메톡시 페닐 )-1-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BF3-에테르염(25.2 g, 178 밀리몰)을, N2 분위기하 0℃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아세트산(19.48 mL, 176 밀리몰) 중의 실시예(5)의 화합물(10 g, 35.58 밀리몰)용액에 적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것을 파쇄 얼음(1 kg)에 붓고, 포화 Na2CO3 수용액을 사용하여 염기성화시키며 또 EtOAc(3 x 20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무수 Na2SO4) 및 농축시켜 화합물, (-)-트랜스-아세트산 3-(3-아세틸-2-히드록시-4,6-디메톡시-페닐)-1-메틸-피롤리딘-2-일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수율: 10 g(83 %); 1H NMR (CDCl3, 300MHz): δ 14.20(s, 1H), 5.96(s, 1H), 4.10(d, 2H), 3.90(s, 3H), 3.89(s, 3H), 3.85(m, 1H), 3.26(m, 1H), 2.82(m, 1H), 2.74(m, 1H), 2.66(s, 3H), 2.52(s, 3H), 2.21(m, 2H), 2.10(s, 3H).
실시예 7:
(-)-트랜스-1-[2-히드록시-3-(2- 히드록시메틸 -1- 메틸 피롤리딘 -3-일)-4,6- 메톡시페닐)- 에타논의 제조
메탄올(25 mL) 중의 실시예(6)의 화합물(10 g, 28.4 밀리몰) 용액에, 10% NaOH 수용액(25 mL)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부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45분 동안 50℃로 상승시켰다.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한 HCl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또 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것을 포화 Na2CO3 수용액을 사용하여 염기성화시켰다. 화합물, (-)-트랜스-1-[2-히드록시-3-(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4,6-디메톡시-페닐)-에타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또 건조시켰다.
수율: 7.14 g(82 %); IR(KBr): 3400, 3121, 3001, 1629, 1590 cm-1;
1H NMR(CDCl3, 300MHz): δ 5.96(s, 1H), 3.93(m, 1H), 3.90(s 3H), 3.88(s, 3H), 3.59(dd, 1H), 3.37(d, 1H), 3.13(m, 1H), 2.75(m, 1H), 2.61(s, 3H), 2.59(m, 1H), 2.37(s, 3H), 2.00(m, 2H); MS (ES+): m/z 310 (M+1).
실시예 8:
(+)-트랜스-2-(2- 클로로페닐 )-8-(2- 히드록시메틸 -1- 메틸피롤리딘 -3-일)-5,7-디메톡시- 크로멘 -4-온의 제조
수소화나트륨(50 %, 0.54 g, 11.25 밀리몰)을 무수 DMF(15 mL) 중의 실시예(7)의 화합물(0.7 g., 2.2 밀리몰)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 0℃에서 교반하면서 조금씩 부가하였다. 10분 후, 메틸 2-클로로벤조에이트(1.15 g, 6.75 밀리몰)를 부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0℃ 아래에서 메탄올을 조심스럽게 부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파쇄 얼음(300 g)에 붓고, 1:1 HCl(pH 2)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또 EtOAc(2 x 10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그 수성 층을 포화 Na2CO3(pH 10)를 사용하여 염기성화시키고 또 CHCl3(3 x 200 m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그 유기 층을 건조(무수 Na2SO4) 및 농축시켰다. 그 잔류물에, 진한 HCl(25 mL)을 부가하고 또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파쇄 얼음(300 g)에 붓고 또 포화 Na2CO3 수용액을 사용하여 염기성으로 만들었다. 이 혼합물은 CHCl3(3 x 200 m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무수 Na2SO4) 및 농축시켜 화합물, (+)-트랜스-2-(2-클로로-페닐)-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5,7-디메톡시-크로멘-4-온을 수득하였다.
수율: 0.67 g(64 %); 융점: 91-93℃; [α]D 25 = + 5.8° (c = 0.7, 메탄올);
IR(KBr): 3431, 1648, 1598, 1571 cm-1; 1H NMR(CDCl3, 300MHz): δ 7.70(dd, 1H), 7.52(m, 1H), 7.45(m, 2H), 6.50(s, 1H), 6.44(s, 1H), 4.17(m, 1H), 4.00 (s, 3H), 3.97(s, 3H), 3.64(dd, 1H), 3.40(d, 1H), 3.15(m, 1H), 2.74(d, 1H), 2.52(m, 1H), 2.32(s, 3H), 2.00(m, 2H); MS (ES+): m/z 430 (M+ 1).
실시예 9:
(+)-트랜스-2-(2- 클로로페닐 )-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 메틸 -1- 메틸 - 롤리딘-3-일)- 크로멘 -4-온의 제조
용융된 피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4.1 g, 35.6 밀리몰)를 실시예(8)의 화합물(0.4 g, 0.9 밀리몰)에 부가하고 또 180℃에서 1.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25℃로 냉각하고, MeOH(10 mL)를 사용하여 희석시키며 또 Na2CO3를 사용하여 pH 10으로 염기성화시켰다. 이 혼합물을 여과하고 또 그 유기 층을 농축하였다. 그 잔류물을 물(5 mL)에 현탁시키고, 30분간 교반하며, 여과 및 건조시켜 화합물,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을 수득하였다.
수율: 0.25 g(70 %); IR(KBr): 3422, 3135, 1664, 1623, 1559 cm-1;
1H NMR(CDCl3, 300MHz): δ 7.56(d, 1H), 7.36(m, 3H), 6.36(s, 1H), 6.20(s, 1H), 4.02(m, 1H), 3.70(m, 2H), 3.15(m, 2H), 2.88(m, 1H), 2.58(s, 3H), 2.35(m, 1H), 1.88(m, 1H); MS (ES+): m/z 402 (M+1); 분석: C21H20ClNO5 C, 62.24 (62.71); H, 5.07(4.97); N, 3.60(3.48); Cl, 9.01(8.83).
실시예 10:
(+)-트랜스-2-(2- 클로로페닐 )-5,7-디히드록시-8-(2- 히드록시메틸 -1- 메틸 - 롤리딘-3-일)- 크로멘 -4-온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화합물 A)
실시예(9)의 화합물(0.2 g, 0.48 밀리몰)을 IPA(5 mL)에 현탁시키고 또 3.5% HCl(25 mL)를 부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가열하여 투명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냉각시키고 또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화합물 A를 수득하였다.
수율: 0.21 g(97 %); 융점: 188 - 192℃; [α]D 25 = +21.3°(c = 0.2, 메탄올);
1H NMR(CD3OD, 300MHz): δ 7.80(d, 1H), 7.60(m, 3H), 6.53(s, 1H), 6.37 (s, 1H), 4.23(m, 1H), 3.89(m, 2H), 3.63(m, 1H), 3.59(dd, 1H), 3.38(m, 1H), 2.90(s, 3H), 2.45(m, 1H), 2.35(m, 1H); MS (ES+): m/z 402 (M +1)(유리 염기).
상기 화합물을 키럴 HPLC에 처리하였다. 키럴 HPLC는 컬럼 Chiralce1 OD-H(250 x 4.6 mm) 및 용매계 헥산:에탄올(92:08)과 TFA(0.4%)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는 용매 유량 1 mL/분으로 하여 264 nm에서 기록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럴 HPLC는 100%의 화합물,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시험관내 MTS 에세이
이 에세이는 그 내용이 에세이에 대한 참고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Molecu1ar Cancer Therapeutics, 2007, 6(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MTS(Promega, Cat # G1111)는 증식, 세포독성 또는 화학감수성 에세이에서 생존가능한 세포 수를 측정하기 위한 비색 분석에 사용하기 위한 테트라졸륨 화합물((3-(4,5-디메틸티아졸-2-일)-5-(3-카복시메톡시페닐)-2-(4-술포페닐)-2H-테트라졸륨, 내부염; MTS)이다. 이것은 전자 결합제 PMS(페나진 메토술페이트)와 함께 사용된다. MTS는 조직 배양 배지에서 가용성인 포르마잔으로 세포에 의해 생체환원된다. 490 nm에서 포르마잔의 흡수는 부가적인 가공없이 96웰 에세이 플레이트로부터 직접 측정될 수 있다. 대사 활성 세포에서 발견된 탈수소효소는 MTS를 수용성 포르마잔으로 전환하는 것을 달성한다. 490 nm 흡수에서 측정된 포르마잔 생성물의 양은 배양액 중의 생존 세포의 수와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FaDu(인간 두경부암, ATCC, USA) 세포의 방사성감수성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시험하기 전에, 화합물 A 단독의 투여량 의존적 세포독성을 MTS 에세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종양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 A 존재하에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MTS 에세이 처리하였다. FaDu 세포에서 화합물 A의 IC30, IC50 및 IC70 는 각각 0.7, 1.0 및 2μM으로 밝혀졌다. 방사선 단독은 세포 생존에서 투여량 의존적 감소를 초래하였다.
순서
조직 배양 등급 96-웰 플레이트 중의 180 μL의 MEM(최소 필수 배지)에 1500 세포/웰 밀도로 Fa-Du(인간 두경부암, ATCC, USA) 세포를 씨딩(seed)하고 가습된 5% CO2 배양기 중, 37±1℃에서 24시간 동안 생장시켰다.
3개의 동일한 세포 그룹을 만들었다. 씨딩한지 24시간의 간격을 둔 후, 제1 및 제2 그룹의 세포의 상이한 웰에 2, 4, 6, 8 및 10 Gy의 방사선량으로 실온에서 각각 조사하였다. 제2 그룹은 조사한 지 24시간 후(즉, 실험의 제3일에) IC30 농도의 화합물 A로 처리하였다. 제3 그룹은 실험의 제3일에 IC30 농도의 화합물 A 단독으로 처리하였다.
임의 웰에서 화합물 A의 IC30 농도(0.7 μM)를 얻기 위하여, 농도 10 x IC30(7 μM)의 보존용액 20 μL을 웰에 부가하고(DMSO 및 이어 세포 배지에 먼저 용해시키고, 최종 DMSO 농도는 0.5%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또 MEM을 사용하여 200μL로 희석시켰다. 상기 웰을 가습 5% CO2 배양기중, 37±1℃에서 48시간 및 96시간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48시간 및 96시간 완료 후, 모든 웰로부터 배지를 제거하고 또 신선한 MEM을 부가하고 또 플레이트를 4-6일간 더 배양하거나 또는 실험개시로부터 총 8-10일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의 말기에, 배지를 모든 웰로부터 제거하고 또 세포 배지와 함께 웰당 20 μL의 MTS(포스페이트 완충액 염수 중의 2 mg/ml, pH 6-6.5 및 여과기 멸균됨) 및 1 μL의 PMS(PBS 중의 3 mM, pH 7.3 및 여과기 멸균됨)를 부가하여 전체 부피를 200 μL/웰로 조정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가습 5% CO2 배양기중, 37±1℃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는 분광광도계(SpectraMax, Mo1ecu1ar Devices, USA)위, 490 nM에서 판독하고 또 % 세포 독성은 SpectraMax에 대한 소프트웨어인 SoftMax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실험은 화합물 A의 IC50 및 IC70 농도를 이용하여 반복하였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 Pharmaco1ogica1 Reviews, 2006, 58, 621-681에 기재된 초우(Chou) 및 탈라레이(Talalay)에 의한 CompuSyn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평가된 바와 같은 FaDu 세포주에서 방사선 효과에서의 향상. 조합이 부가적인지, 상승작용적인지 또는 길항적인지 평가하기 위하여 조합지수(CI)를 이용한다. CI < 1은 상승작용적이고, CI = 1은 부가적이며 또 CI > 1은 길항적이다. 예컨대, 화합물 A의 IC70 농도에 의한 48시간 처리 시, 상기 조합은 모든 방사선량에서 상승작용적이었다(CI = 0.7). 화합물 A의 IC30 및 IC50와 96 시간 처리하는 것과 같은 양쪽 경우에서 조합 지수는 모든 방사선량에서 부가적이었다(CI = 1). 화합물 A의 IC70 농도에 의한 96시간 처리시, 상기 조합은 2, 4 및 6 Gy에서 상승작용적이었다(CI < 1).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 2 및 3에 수록한다.
치료 스케쥴 %세포독성
방사선(씨딩 24시간 후) 화합물 A(방사선 처리 24시간 후) 화합물 A 처리 48시간 후 화합물 A 처리 96시간 후
0 0.7 μM 화합물 A 8 4
2 Gy 0 17 2
4 Gy 0 26 10
6 Gy 0 35 20
8 Gy 0 55 46
10 Gy 0 59 71
2 Gy 0.7 μM 화합물 A 23 15
4 Gy 0.7 μM 화합물 A 35 31
6 Gy 0.7 μM 화합물 A 64 60
8 Gy 0.7 μM 화합물 A 79 69
10 Gy 0.7 μM 화합물 A 80 85
MTS 에세이의 FaDu 세포주에서 세포 생존에 대한 화합물 A IC30(48시간 및 96시간) 단독, 방사선 단독 및 그 조합물의 효과
치료 스케쥴 %세포독성
방사선(씨딩 24시간 후) 화합물 A(방사선 처리 24시간 후) 화합물 A 처리 48시간 후 화합물 A 처리 96시간 후
0 1 μM 화합물 A 20 25
2 Gy 0 17 2
4 Gy 0 26 10
6 Gy 0 35 20
8 Gy 0 55 46
10 Gy 0 59 71
2 Gy 1 μM 화합물 A 35 25
4 Gy 1 μM 화합물 A 50 37
6 Gy 1 μM 화합물 A 73 77
8 Gy 1 μM 화합물 A 85 84
10 Gy 1 μM 화합물 A 86 90
MTS 에세이의 FaDu 세포주에서 세포 생존에 대한 화합물 A IC50(48시간 및 96시간) 단독, 방사선 단독 및 그 조합물의 효과
치료 스케쥴 %세포독성
방사선(씨딩 24시간 후) 화합물 A(방사선 처리 24시간 후) 화합물 A 처리 48시간 후 화합물 A 처리 96시간 후
0 2 μM 화합물 A 66 83
2 Gy 0 17 2
4 Gy 0 26 10
6 Gy 0 35 20
8 Gy 0 55 46
10 Gy 0 59 71
2 Gy 2 μM 화합물 A 79 98
4 Gy 2 μM 화합물 A 86 96
6 Gy 2 μM 화합물 A 89 96
8 Gy 2 μM 화합물 A 91 95
10 Gy 2 μM 화합물 A 91 94
MTS 에세이의 FaDu 세포주에서 세포 생존에 대한 화합물 A IC70(48시간 및 96시간) 단독, 방사선 단독 및 그 조합물의 효과
결론
상기 MTS 에세이는 방사선 조사에 이어 48시간 동안 화합물 A의 IC30 및 IC50 노출시 6, 8 및 10 Gy에서 상승작용적인 FaDu 세포주에서 방사선 효과에서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임상적으로 관련된 방사선량 2, 4 및 6 Gy 단독에서도, 방사선반응의 상당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유사하게, 화합물 A의 IC70 농도에서, 상기 조합은 모든 방사선량에서 상승작용적이었다.
방사선반응의 향상은 화합물 A의 96시간 처리에서도 관찰되었다. 화합물 A의 IC30 및 IC50 양방 모두에서 조합 지수는 모든 방사선량에서 부가적이었지만, 6 Gy에서 아주 현저한 방사선반응의 향상이 있었음을 분명히 볼 수 있다. 유사하게, 화합물 A의 IC70에서, 상기 조합은 2, 4 및 6 Gy에서 상승작용적이었다.
실시예 12:
시험관내 세포집락형성 분석법( Clonogenic assay )
상기 분석법은 그 내용이 분석법에 대한 참고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Radiotherapy and Oncology, 2004, 71, 213-22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방사선향상 가능성을 지닌 새로운 약제의 임상적 개발에서 화학방사선에 대한 관심 증대의 결과로서, 방사선과 화학요법제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임상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세포집락형성 분석법은 일반적으로 시험관내 방사선 연구에 대한 최적 시험 시스템으로 간주된다. 화학감수성 시험의 경우, 테트라졸륨(MTT/MTS) 및 술포로다민 B(SRB) 분석법과 같은 비색 분석법이 세포집락형성 분석법을 교체하고 있다. 그러나, 방사선감수성 시험의 경우, 세포집락형성 분석법은 여전히 최고 기준이다. 비색 분석법은 분석의 지속 시간이 짧아서 방사선감수성을 측정하는데 부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방사선 처리 후, 치사될 운명의 세포 는 여전히 1회 이상의 세포 분열을 거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조사된 세포가 그들의 방사선 유도된 손상을 나타내기 전에 상당한 기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순서
지수 상 배양물로부터 트립신처리에 의해 Fa-Du 세포를 수집하고, 계수하며 또 6개 웰 플레이트 중에 1500 세포/웰의 세포 밀도로 플레이팅하며 또 4개의 동일한 그룹을 만들었다. 제1 그룹은 미처리 대조군으로 하였다. 제2 및 제3 그룹의 상이한 웰에는, 씨딩한지 24시간 후 실온에서 방사선량 2, 4, 6, 8 및 10 Gy로 각각 조사하였다. 제3 그룹은 조사한지 24시간 후(즉, 실험의 제3일에) 화합물 A의 IC50 농도로 더 처리하였다. 제4 그룹은 실험의 제3일에 IC50 농도의 화합물 A 단독에 처리하였다.
각각 72시간 및 96시간 완료 후, 모든 웰에 대하여 배지를 변경하고 또 실험의 제1일(즉, 세포 씨딩한 날)로부터 12-14일의 총 기간 동안 플레이트를 배양하여 세포들이 적어도 50개 세포의 집락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였다. 배지를 호기시키고 또 집락은 메탄올과 아세트산 2:1 비율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고정시켰다. 물을 사용하여 헹군 후 상기 고정 과정을 반복하였다. 플레이트를 건조시키고 또 집락들을 0.1% 크리스탈 바이올렛을 사용하여 5분간 염색시켰다. 상기 웰을 물로 최종적으로 헹구고 또 건조시켰다. 상기 집락들을 계수하고 또 그 결과를 표 4에 수록한다.
실험은 처음에는 3500 세포/웰을 사용하여 실시되었고 또 1 μM의 투여량의 화합물 A에 의한 처리는 48시간 및 96시간 동안 실시되었으나, 대조군에서 집락의 개수가 너무 많아서 집락들을 셀 수 없었다. 그러나, 방사선반응에서 가시적 향상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관찰되었다. 도 3 및 도 4는 FaDu 세포주(씨딩 밀도: 1500 세포/플레이트)에서 1 μM 투여량의 화합물 A에 의해 방사선반응에서 가시적 향상을 나타낸다.
치료 스케쥴 집락 개수
방사선(씨딩 24시간 후) 화합물 A(방사선 처리 24시간 후) 화합물 A 처리 72시간 후 화합물 A 처리 96시간 후
0(대조군) 0(대조군) 138 185
0 1 μM 화합물 A 38 36
2 Gy 0 105 132
4 Gy 0 70 48
6 Gy 0 42 35
8 Gy 0 11 12
10 Gy 0 0 4
2 Gy 1 μM 화합물 A 45 40
4 Gy 1 μM 화합물 A 18 17
6 Gy 1 μM 화합물 A 7 6
8 Gy 1 μM 화합물 A 0 2
10 Gy 1 μM 화합물 A 0 0
세포집락형 분석법(씨딩 밀도: 1500 세포/플레이트)에서 세포 생존에 대한 화합물 A IC50(72시간 및 96시간) 단독, 방사선 단독 및 그 조합물의 효과
결론
1 μM의 투여량의 화합물 A에 의해 72 시간 및 96시간 동안의 처리는 4 및 6 Gy에서 이들 세포의 방사선반응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13:
생체내 연구
이 에세이는 그 내용이 에세이에 대한 참고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Clinica1 Cancer Research, 2003, 9, 6052-606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이 생체내 연구는 이하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심각한 조합된 면역결합(SCID) 마우스 균주-CBySmn.CB17-Prkdc scid/J에서 이종이식 모델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연구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의 마우스/그룹 (n=6)을 선택한다. 6 내지 8주령의 SCID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5% CO2 배양기, 37℃에서 10% 우태아혈청을 함유하는 MEM 배지에서 두경부암 세포를 생장시켰다. 1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들을 펠릿화하였다. 세포들을 염수에 재현탁시켜 mL당 30 x 106 세포 개수를 얻었다; 이 세포 현탁액 0.2 mL를 SCID 마우스의 우측 옆구리에 피하경로에 의해 주사하였다. 명백한 종양 덩어리가 있는지 매일 마우스들을 관찰하였다. 종양이 5-10 mm 직경 크기에 도달하면, 동물을 임의로 약물/방사선 처리군 및 비히클(염수)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화합물 A(복강내 투여) 및 방사선을 매일 종양 측정을 실시하는 스케쥴에 따라 투여하였다. 모든 그룹에 대한 체중을 전체 기간에 대해 기록하였다. 종양 크기 및 기타 독성 표시(외부)는 매일 기록하였다. 종양 중량(mg)은 장축 타원체에 대한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길이 (mm) x [폭 (mm)2] x 0.5}. 화합물 처리된 동물에서 종양 생장은 T/C (처리군/대조군) x 100%로서 산출하였고 또 생장 억제율(GI %)은 [100-T/C %]이었다.
연구 그룹의 할당
종양 크기가 5-10 mm 직경에 이르면 대조군 및 처리군으로 임의로 나누었다.
연구 계획
분할된 방사선량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총 방사선량은 15 Gy이다.
분할된 방사선량은 주당 2 회 3 Gy, 이어 18일 동안 매일 화합물 A 35 mpk (milligram/kg)이다.
투여 스케쥴
모든 마우스에는 CDK 억제제를 복강 경로에 의해 투여하였다. 대조군(미처리) 동물에는 염수를 주입하였다. 연구 계획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처리는 18일간 계속하였다.
관찰 및 측정
이하의 변수가 관찰되었다.
1. 전체적 동물 건강 - 매일
2. 체중 - 매일
3. 종양 측정 이틀에 한번
종양 중량(mg)은 장축 타원체에 대한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종양 중량 (mg) = 길이 (mm) x [폭 (mm)2] x 0.5
소정 일에서 대조군에 대한 처리군 비율(T/C %)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9
4. 생장 억제(GI)는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X일에서 GI = 100 - X일에서 T/C %
CDK 억제제 매우 활성 GI % ≥ 75%
CDK 억제제 중간정도의 활성 GI % ≥ 50%
CDK 억제제 약하게 활성 GI % = 30-50%
CDK 억제제 불활성 GI % ≤ 30%
종료 과정
실험의 말기에, 동물을 고투여량의 펜토바르비탈 나트륨(100 mg/kg 복강내/정맥내 투여)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에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마취시켰다.
결과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도 5는 약물 투여 기간에 대하여 평균 그룹 체중을 도시한다. 도 6은 18일에 걸쳐 두경부암(FaDu)의 평균 % 종양 중량을 도시한다.
그룹 방사선 단독 화합물 A 단독 방사선 + 화합물 A
% 생장 억제
43 42 75
대조군에 대하여 다양한 그룹에서 평균 % 생장 억제(% GI)
결론
방사선에 이어 화합물 A의 조합은 방사선 단독 또는 화합물 A 단독에 비하여 인간 FaDu 이종이식 모델에서 현저한 생체내 효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임상 순서:
임상 연구는 이하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일차 목적:
머리 및 목의 재발성 및/또는 국소적으로 진전된 편평상피 세포암(SCCHN)에 걸린 검체에서 방사선과 조합된 화합물 A의 최대 허용 투여량(MTD) 및 투여량 제한 독성(DLT/s)을 결정하기 위함.
이차 목적:
1. 연구 집단에서 화합물 A 및 방사선의 조합 처방의 안정성 및 허용성을 평가하기;
2. 연구 집단에서 화합물 A의 약물동태학(PK) 분석하기; 및
3. 연구 집단에서 화합물 A와 방사선의 조합 처방의 효능 평가하기.
연구 계획:
이것은 머리 및 목의 재발성 및/또는 국소적으로 진전된 편평상피 세포암에 걸린 검체에서 방사선과 조합된 화합물 A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I/II상 개방연구(open label study)이다. 약 22 내지 28명의 검체를 본 연구에 등록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I상 연구(Phase I component)에서, 코호트(집단)당 3명의 검체를 21일 주기로 화합물 A 및 방사선으로 처리한 다음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제1 주기에서 상기 처방이 용인된다면, 다음 코호트의 3명의 검체에서는 화합물 A 투여량 증가를 실시하였다.
화합물 A 투여량 증가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3명의 검체가 레벨 1 투여량(100 mg/m2/day, 30 분 정맥 주입)에 진입한다.
2) 3명의 검체중 아무도 주기 1 동안 DLT(dose limiting toxicity)를 경험하지 않으면, 처방 순서에 따라 투여량 증가를 계속한다.
3) 3명의 검체 중 1명이 제1 주기 DLT를 경험하면, 3명까지의 추가 검체를 상기 코호트에 부가하고(최대 6명) 또 이들 3명의 추가의 검체 중 아무도 DLT를 경험하지 않으면, 투여량 증가가 허용된다.
4) 최초 또는 확대된 코호트 중의 2명의 검체(6명 중 2명)가 제1 주기 DLT를 경험하면, 상기 투여량을 최대 투여량(MAD)이라 표식하고 또 추천된 II상 투여량(RPTD)과 동일한 MTD는 ≤ 1/6 검체가 DLT를 경험한 이전의 투여량이다. II상 연구에서, 10명의 추가 검체를 RPTD에 등록시켜 상기 처방의 임상 효능을 평가하고 또 안전성 프로파일을 더 정의한다.
I상 연구에 대한 화합물 A 투여량 레벨은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레벨 1 N/A 100 mg/m2/일 x 5q 3주
레벨 2 40% (40 mg) 140 mg/m2/일 x 5q 3주
레벨 3 32% (44.8 mg) 185 mg/m2/일 x 5q 3주
I상 연구에 대한 화합물 A의 투여량 레벨
검체내 투여량 증가는 없다.
본 연구에서 화합물의 최초 투여량(100 mg/m2/일)은 화합물 A의 단일제 RPTD의 거의 절반이다. 상기 투여량 처방은 RPTD를 측정하기 위하여 I상 연구에서와 같이 사용된다.
연구 치료:
각 21일 주기로 1일에서 5일 까지 30분에 걸쳐 5% 덱스트로스 중의 정맥 주입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량으로 화합물 A를 투여하였다. 모든 검체는 표준 통상분할(conventional fractionation)을 이용하여, 즉 총 방사선량 60 그레이(Gy)로, 하루에 2 그레이(Gy)로 일주일에 5일간, 관련 부위에 외부 빔 방사선요법을 받았다. 척수에 대한 총 방사선량은 46 Gy 미만이다. 화합물 A 및 방사선요법 치료는 6주 동안 투여, 즉 2주기의 화합물 A 및 60회 분할의 방사선. 상기 조합 처방의 21-일 주기 1회는 1일부터 5일까지 화합물 A 투여 및 1일 내지 5일, 8일 내지 12일 그리고 15일 내지 19일에 방사선요법(2 Gy/일)을 포함한다. 질병의 진행(임상적 또는 객관적) 또는 허용될 수 없는 독성의 경우에 검체는 치료를 중지하였다.

Claims (30)

  1. 방사선 및 하기 화학식(I)로 표시되는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합물:
    Figure pct00010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2. 제1항에 있어서,
    CDK 억제제가 하기 화학식(IA)로 표시되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트랜스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인 조합물:

    Figure pct00011

    <화학식 (IA)>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I)의 화합물로 표시되는 CDK 억제제가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조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방사선이 γ-조사인 조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소세포 및 비소세포 폐암 및 폐선암 포함), 난소암, 췌장암(외분비 췌장암 포함), 위암, 대장암, 간세포암, 다발성 골수종, 맨틀 세포 림프종 및 악성 흑색종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두경부암인 조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량의 방사선 및 치료량의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조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치료량의 방사선 및 치료량의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조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치료량의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투여되기 전에, 치료량의 방사선이 투여되는 조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적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조합물.
  11. 방사선 및 하기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소세포 및 비소세포 폐암 및 폐선암 포함), 난소암, 췌장암(외분비 췌장암 포함), 위암, 대장암, 간세포암, 다발성 골수종, 맨틀 세포 림프종 및 악성 흑색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의 치료방법:
    Figure pct00012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12. 제11항에 있어서,
    방사선 및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치료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DK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IA)로 표시되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트랜스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인 치료 방법:
    Figure pct00013

    <화학식 (IA)>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I)의 CDK 억제제가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치료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량의 방사선 및 치료량의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치료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치료량의 방사선 및 치료량의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치료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치료량의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투여하기 전에, 치료량의 방사선을 투여하는 치료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이 치료적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치료 방법.
  19.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소세포 및 비소세포 폐암 및 폐선암 포함), 난소암, 췌장암(외분비 췌장암 포함), 위암, 대장암 및 간세포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선감작제로서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로 표시되는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
    Figure pct00014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20. 제19항에 있어서,
    두경부암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CDK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IA)로 표시되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트랜스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인 용도:

    Figure pct00015

    <화학식 (IA)>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I)의 CDK 억제제가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용도.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량의 방사선 및 치료량의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용도.
  24. 제23항에 있어서,
    치료량의 방사선 및 치료량의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용도.
  25. 제24항에 있어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치료량의 화학식(I)의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투여되기 전에, 치료량의 방사선이 투여되는 용도.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이 치료적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용도.
  27. 제19항, 제21항 또는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소세포 및 비소세포 폐암 및 폐선암 포함), 난소암, 췌장암(외분비 췌장암 포함), 위암, 대장암 및 간세포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물질(또는 약물)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로 표시되는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
  28. 화학식(I)의 화합물로 표시되는 CDK 억제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소세포 및 비소세포 폐암 및 폐선암 포함), 난소암, 췌장암(외분비 췌장암 포함), 위암, 대장암 및 간세포암을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선요법과 함께 사용되는 약물.

    Figure pct00016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CDK 억제제가 하기 화학식(IA)로 표시되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트랜스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고; 방사선요법과 함께 사용되는 약물:

    Figure pct00017

    <화학식 (IA)>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4-알콕시, 카복시, C1-C4-알콕시카보닐, CONH2, 및 NR1R2 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부터 선택됨.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I)의 CDK 억제제가 (+)-트랜스-2-(2-클로로-페닐)-5,7-디히드록시-8-(2-히드록시메틸-1-메틸-피롤리딘-3-일)-크로멘-4-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고; 방사선요법과 함께 사용되는 약물.




KR1020117029101A 2009-05-05 2010-05-03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방사선감작제로서 피롤리딘-치환된 플라본 KR201200324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174/MUM/2009 2009-05-05
IN1174MU2009 2009-05-05
US22452409P 2009-07-10 2009-07-10
US61/224,524 2009-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476A true KR20120032476A (ko) 2012-04-05

Family

ID=4235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101A KR20120032476A (ko) 2009-05-05 2010-05-03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방사선감작제로서 피롤리딘-치환된 플라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895605B2 (ko)
EP (1) EP2427188B1 (ko)
JP (1) JP5730288B2 (ko)
KR (1) KR20120032476A (ko)
CN (1) CN102458398B (ko)
AR (1) AR079092A1 (ko)
AU (1) AU2010244101A1 (ko)
CA (1) CA2761182A1 (ko)
IL (1) IL216163A0 (ko)
MX (1) MX2011011687A (ko)
NZ (1) NZ596861A (ko)
RU (1) RU2011148954A (ko)
TW (1) TWI461194B (ko)
WO (1) WO2010128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242597A (en) * 2011-03-14 2012-11-01 Piramal Life Sciences Ltd A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bination for the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TW201300105A (zh) * 2011-05-31 2013-01-01 Piramal Life Sciences Ltd 治療頭頸鱗狀細胞癌之相乘藥物組合物
JP2014517063A (ja) 2011-06-24 2014-07-17 ピラマル エンタープライジーズ リミテッド ヒトパピローマウイルスと関連するがんを処置するための化合物
IN2014MN01546A (ko) * 2012-01-13 2015-05-08 Piramal Entpr Ltd
US8673972B2 (en) 2012-08-03 2014-03-18 Foundation Medicine, Inc. Human papilloma virus as predictor of cancer prognosis
CA2917742C (en) * 2013-07-12 2020-04-14 Piramal Enterprises Limited A pharmaceutical combination for the treatment of melanoma
CN114478524A (zh) * 2022-03-15 2022-05-13 江苏省肿瘤医院 1,8-萘啶类化合物及其应用
CN114560799A (zh) * 2022-03-15 2022-05-31 江苏省肿瘤医院 腈基取代苯基类化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64232B (ko) 1986-04-11 1989-02-04 Hoechst India
US6281223B1 (en) * 1999-04-13 2001-08-28 Supergen, Inc. Radioenhanced camptothecin derivative cancer treatments
TWI331034B (en) 2002-07-08 2010-10-01 Piramal Life Sciences Ltd Inhibitors of cyclin-dependent kinases and their use
US7272193B2 (en) 2003-06-30 2007-09-18 Intel Corporation Re-mapping trellis encoded data associated with a 2-bit constellation tone to data associated with a pair of 1-bit constellation tones
ES2491140T3 (es) * 2006-06-21 2014-09-05 Piramal Enterprises Limited Derivados de flavona enantioméricamente puros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proliferativos y procesos para su preparación
US7951961B2 (en) 2006-07-07 2011-05-31 Piramal Life Sciences Limited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pyrrolidines substituted with flavones, and intermediates thereof
EP2154971B1 (en) * 2007-05-15 2011-12-28 Piramal Life Sciences Limited A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binatio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48954A (ru) 2013-06-10
TWI461194B (zh) 2014-11-21
EP2427188A1 (en) 2012-03-14
JP5730288B2 (ja) 2015-06-10
NZ596861A (en) 2014-01-31
AR079092A1 (es) 2011-12-28
IL216163A0 (en) 2012-01-31
TW201039817A (en) 2010-11-16
AU2010244101A1 (en) 2012-01-12
WO2010128443A1 (en) 2010-11-11
JP2012526098A (ja) 2012-10-25
US20120046334A1 (en) 2012-02-23
CN102458398B (zh) 2014-07-16
US8895605B2 (en) 2014-11-25
EP2427188B1 (en) 2016-08-10
MX2011011687A (es) 2012-02-29
CA2761182A1 (en) 2010-11-11
CN102458398A (zh) 2012-05-16
AU2010244101A2 (en)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2476A (ko)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방사선감작제로서 피롤리딘-치환된 플라본
US20210186961A1 (en) Carboxamide derivatives useful as rsk inhibitors
US7846936B2 (en) Combination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involving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or apoptosis of myeloma cells or angiogenesis
CN101808988A (zh) 用于肿瘤治疗的哌啶和哌嗪衍生物
KR20080091948A (ko) 락탐형 피리딘 화합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2365271A (zh) 作为自分泌运动因子抑制剂的杂环化合物
US10980776B2 (en)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bination for the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head and neck
JP5922584B2 (ja) 結腸および胃の腺癌の処置に使用のための3−(インドリル)−または3−(アザインドリル)−4−アリールマレイミド誘導体
CN101808987A (zh) 作为皮层儿茶酚胺能神经传递调节剂的二取代的苯基吡咯烷
US9642851B2 (en) Indolinone derivative as tyrosine kinase inhibitor
EP3386988B1 (en) Novel dihydropyranopyrimidino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US7968708B2 (en) Azepa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JP2005525999A (ja) 原発性脳腫瘍または転移性脳腫瘍を治療または予防するためのベンゾピラノン誘導体の使用
RU2808533C1 (ru) Применение цитотокс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на основе замещенных 1-амино-1,6-диоксо-2-циано-1-этокси-6-R1-4-[((3-этоксикарбонил)-4,5,6,7-тетрагидробензо[b]тиофен-2-ил)амино]гекса-2,4-диен-3-олатов калия в терапии меланомы легких
CN118021819A (zh) Xpo1抑制剂和mettl3抑制剂联合在制备治疗胃癌的药物中的应用
JP2019517551A (ja) 新規な4−(アリール)−N−(3−アルコキシフロ[2,3−b]ピラジン−2−イル)−ピペラジン−1−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及びその抗増殖効果
CN108424414A (zh) 一类含杂环的吲哚胺2,3-双加氧酶调节化合物及其在药学中的用途
CN108299390A (zh) 抗肿瘤化合物dcz0415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00047495A (ko) 신규 갈바닉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