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312A - 지엽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312A
KR20120030312A KR1020110091282A KR20110091282A KR20120030312A KR 20120030312 A KR20120030312 A KR 20120030312A KR 1020110091282 A KR1020110091282 A KR 1020110091282A KR 20110091282 A KR20110091282 A KR 20110091282A KR 20120030312 A KR20120030312 A KR 2012003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ir
paper sheet
conveying
nip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오 아사리
도루 도도리끼
유스께 미쯔야
요시히꼬 나루오까
나루아끼 히라미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2003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08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incorrect front regi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1/02Forming articles into a stream;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e.g. spacing, orientating
    • B07C1/04Forming a stream from a bulk; Controlling the stream, e.g. spac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one or more rollers or balls and stationary pressing, supporting or gui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5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stream of articles separated from each other
    • B65H2301/4452Regulating space between separ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65H2404/1442Trip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1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2Distance
    • B65H2511/224Nip between rollers, between belts or between rollers and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4Identification of mode of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65H2511/514Particular portion of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10Mass, e.g. mass flow rate; Weight;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65H2553/82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60Details of processes or procedures
    • B65H2557/61Details of processes or procedures for calib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1Edges lead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3Edges trail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6Envelopes and articles of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엽류 처리 장치는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 상에 반송되고 있는 상태의 지엽류를 반송함과 함께, 소정의 처리를 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되고, 상기 지엽류를 닙에 받아들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반송로와 상기 처리부 사이에서 전달하는 분리 접촉 롤러쌍과, 상기 분리 접촉 롤러쌍을 이격시키는 분리 접촉 기구와, 상기 반송로 상에 반송된 지엽류에 대한 상기 처리부에서의 처리의 개시 전후에 상기 분리 접촉 롤러쌍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분리 접촉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처리 장치{SHEET HANDLING APPARATUS}
<관련 출원>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 출원 2010-209249(2010년 9월 17일)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들은 연속해서 반송하고 있는 각 지엽류의 중량을 측정하거나, 반송 중의 선행하는 지엽류의 후단부와 후속의 지엽류의 선단과의 사이의 갭을 보정하거나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우편물 처리기는, 연속해서 반송한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장치를 갖는다. 중량 측정 장치는 그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반송계에 의한 영향이 없는 상태에서 각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반송계로부터 독립한 유닛으로서 우편물 처리기에 내장되어 있다. 처리 대상이 되는 우편물은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여러가지로 상이하다.
독립한 유닛에 대하여 우편물을 확실하게 전달 반송하기 위해서, 중량 측정 장치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닛에 가장 가까운 반송 롤러(이하, 이 반송 롤러를 상류측 반송 롤러라고 칭함)와 중량 측정 장치와의 사이의 거리는, 이 우편물 처리기로 처리하는 우편물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짧은 우편물(이하, 이러한 우편물을 최단 우편물이라고 칭함)보다 짧은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 있어서 최단 지엽류로서의 최단 우편물의 길이는 14 cm이다. 최단 우편물의 길이는 나라마다 상이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중량 측정 장치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유닛에 가장 가까운 반송 롤러(이하, 이 반송 롤러를 하류측 반송 롤러라고 칭함)와 중량 측정 장치와의 사이의 거리도 최단 우편물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우편물 처리기로 처리하는 우편물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긴 우편물(이하, 이러한 우편물을 최장 우편물이라고 칭함)의 중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상류측 반송 롤러와 하류측 반송 롤러와의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최장 우편물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보다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즉,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할 때에는, 상기 우편물에 상류측 및 하류측의 반송계에 의한 영향을 없앨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 있어서 최장 지엽류로서의 최장 우편물의 길이는 23.5 cm이다. 최장 우편물의 길이는 나라마다 상이하다.
따라서, 중량 측정 장치에 보내진 최장 우편물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의 닙을 빠져나간 후, 상기 최장 우편물의 반송 상태가 안정되고 나서, 상기 최장 우편물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에 도달하기 전에 중량 측정이 종료하도록, 상류측 반송 롤러와 하류측 반송 롤러와의 사이의 거리는 충분히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류측 반송 롤러와 하류측 반송 롤러와의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하면, 필연적으로 중량 측정 장치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어, 예를 들어 최단 우편물을 연속해서 반송하는 경우 등에 문제를 발생한다. 즉, 고속 처리를 위해, 짧은 갭으로 최단 우편물을 연속해서 반송하면, 중량 측정 장치 내에 복수통의 최단 우편물이 동시에 보내지게 되어, 우편물의 중량 측정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우편물의 반송 갭을 넓게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만큼, 단위 시간 내에 반송하는 우편물의 통수가 적어져서, 우편물 처리기의 처리 능력이 저하해 버린다. 즉, 이 경우, 우편물의 고속 처리를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비해, 우편물의 반송로를 분기하여, 복수대(예를 들어 2대)의 중량 측정 장치를 병설하고, 각 중량 측정 장치에 우편물을 교대로 할당하게 함으로써 처리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장치의 제조 비용이 증대하고,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도 증대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처리가 가능하여, 장치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고,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는 지엽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 상에 반송되고 있는 상태의 지엽류를 반송함과 함께, 소정의 처리를 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되고, 상기 지엽류를 닙에 받아들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반송로와 상기 처리부 사이에서 전달하는 분리 접촉 롤러쌍; 상기 분리 접촉 롤러쌍을 분리 접촉시키는 분리 접촉 기구; 및 상기 반송로 상에 반송된 지엽류에 대한 상기 처리부에 있어서의 처리의 개시 전후에 상기 분리 접촉 롤러쌍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분리 접촉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처리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계의 블록도;
도 5는 도 3의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6은 도 1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7은 도 6과 함께 도 1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를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10은 도 9와 함께 도 8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처리 장치의 제1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13은 도 11의 처리 장치의 제1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14는 도 11의 처리 장치의 제2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15는 도 11의 처리 장치의 제2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16은 도 11의 처리 장치의 제3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17은 도 11의 처리 장치의 제4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18은 도 3의 처리 장치를 간략화한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도 9의 처리 장치를 간략화한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를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도;
도 21은 도 20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22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를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도;
도 23은 도 22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24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를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도;
도 25는 도 24의 처리 장치의 제1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및
도 26은 도 24의 처리 장치의 제2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지엽류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100)(이하, 간단히 처리 장치(100)라고 칭함)의 주요부의 구조를 옆에서 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 1의 처리 장치(10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에는, 도 1의 처리 장치(100)를 위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 1의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계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지엽류로서 우편물(M)을 처리하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처리 대상이 되는 지엽류는 우편물(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는 반송로(2)를 통해 화살표 T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연속해서 반송되는 우편물(M)(지엽류)을 통과시키고, 각 우편물(M)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장치(10)(처리부)를 갖는다. 또한, 처리 장치(100)는, 이 중량 측정 장치(10)로부터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중량 측정 장치(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갖는다. 분리 접촉 롤러쌍(4)은 분리 접촉 기구에 의해 2개의 상태의 사이를 전환할 수 있는 1대의 롤러이며, 제1 상태는 한 쌍의 롤러인 2개의 롤러가 서로 접촉해서 닙을 형성하고, 제2 상태는 한 쌍의 롤러인 2개의 롤러가 분리되고, 그들 사이를 통과하는 우편물 등의 지엽류에 반송력을 부여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처리 장치(100)는 중량 측정 장치(10)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중량 측정 장치(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을 갖는다. 또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더욱 상류측으로 중량 측정 장치(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는, 상류측 반송 롤러쌍(8)(도 3에만 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즉, 처리 장치(100)에 연속해서 보내진 우편물(M)은 반송로(2)를 통해 화살표 T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반송되어서, 상류측 반송 롤러쌍(8),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중량 측정 장치(10) 및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을 순서대로 통과한다. 우편물(M)은 반송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반송된다. 중량 측정 장치(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처리 장치(100)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반송계로부터 기계적으로 독립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중량 측정 장치(10)에 보내진 우편물(M)의 무게를 반송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중량 측정 장치(10)은 반송로(2)를 통해 화살표 T 방향으로 반송되는 우편물(M)을 닙에 받아들여 협지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우편물(M)을 구속하면서 반송하는 2조의 유지 롤러쌍(3, 5)를 갖는다. 이들 2조의 유지 롤러쌍(3, 5) 각각의 회전축(3a, 5a)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의 하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 베이스판(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2조의 유지 롤러쌍(3, 5)는 각각의 회전축(3a, 5a)을 따라 상하로 이격한 2개의 롤러 부분을 각각 갖는다. 이들 2조의 유지 롤러쌍(3, 5)는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에 주목해서 그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반송로(2)에 대하여 장치의 프론트측(도 3에서 반송로의 하측)에 배치된 유지 롤러(3F)는 그의 회전축(3a)을 따라 상하로 이격한 중실한 고무 롤러에 의해 형성된 2개의 롤러 부분(3FL, 3FH)을 갖는다. 프론트측의 유지 롤러(3F)의 회전축(3a)에는 모터(11)가 접속되어 있고, 이 유지 롤러(3F)는 구동 롤러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모터(11)에는 하류측의 유지 롤러쌍(5)의 프론트측의 유지 롤러(5F)의 회전축(5a)도 접속되어 있어, 이 유지 롤러(5F)도 구동 롤러로서 기능한다.
또한, 반송로(2)에 대하여 장치의 리어측(도 3에서 반송로의 상측)에 배치된 유지 롤러(3R)도, 그의 회전축(3a)을 따라 상하로 이격한 2개의 롤러 부분(3RL, 3RH)를 갖는다. 이들 2개의 롤러 부분(3RL, 3RH)은 반송로(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 유지 롤러(3F)의 2개의 롤러 부분(3FL, 3FH)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서 배치된다. 이들 2개의 롤러 부분(3RL, 3RH)은 코어 금속의 외측에 스펀지층을 갖고, 최외층에 고무층을 갖는 2층 구조의 롤러 부분이다. 그리고, 이 리어측의 유지 롤러(3R)는 프론트측의 유지 롤러(3F)에 종동하는 종동 롤러로서 기능한다. 또한, 하류측의 유지 롤러쌍(5)의 리어측의 유지 롤러(5R)도 프론트측의 유지 롤러(5F)에 회전 접촉해서 종동 회전하는 종동 롤러로서 기능한다.
즉, 이들 한 쌍의 유지 롤러(3F, 3R)(5F, 5R)은 각각의 회전축(3a)를 베이스판(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축간 거리가 일정해서, 양자 간에 보내지는 우편물(M)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쪽의 유지 롤러의 롤러 부분을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어측의 유지 롤러(3R)를 탄성 변형 가능한 2층 구조 롤러로 하였다. 또한, 하류측의 유지 롤러쌍(5)도 상류측의 유지 롤러(3)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2조의 유지 롤러쌍(3, 5)의 닙으로 협지 구속되어서 반송되고 있는 상태의 우편물(M)은 베이스판(1)에 의해 그 중량이 지지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량 측정 장치(10)의 베이스판(1)을 반송계로부터 독립시켰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유지 롤러(3, 5)에 의해 유지된 상태의 우편물(M)에 대하여 주변의 반송계로부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베이스판(1)마다 상기 우편물(M)의 무게를 정확하게 잴 수 있다.
즉, 중량 측정 장치(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의 하우징(10a)에 대하여 베이스판(1)을 지지하는 위치에 역각 센서(force sensor)(U.S. Patent No. 7,219,561을 참조)(7)를 갖는다. 또한, 역각 센서(7)에는 제어 기판(9)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중량 측정 장치(10)를 통과하는 우편물(M)의 무게가 역각 센서(7)를 통해 제어 기판(9)으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에 배치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은 반송로(2)에 대하여 장치의 프론트측에 배치된 구동 롤러(4F) 및 반송로(2)의 리어측에서 구동 롤러(4F)에 대하여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종동 롤러(4R)를 갖는다.
구동 롤러(4F)는 상술한 중량 측정 장치(10)의 프론트측의 유지 롤러(3F)와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고, 그의 회전축(4a)에는 복수의 풀리(12) 및 타이밍 벨트(13)를 통해 모터(14)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모터(14)의 구동력은 후술하는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프론트측의 구동 롤러(6F) 및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프론트측의 구동 롤러(8F)에도 전달된다.
한편,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리어측의 종동 롤러(4R)는 상술한 중량 측정 장치(10)의 리어측의 유지 롤러(3R)와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고, 후술하는 분리 접촉 기구(20)(도 5)에 의해, 반송로(2)에 대하여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분리 접촉 기구(20)를 동작시켜서 종동 롤러(4R)를 구동 롤러(4F)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우편물(M)에 대하여 반송력을 부여할 수 있고, 종동 롤러(4R)를 구동 롤러(4F)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는 우편물(M)에 반송력을 부여할 수 없다.
또한, 중량 측정 장치(10)의 하류측에 배치된 하류측 반송 롤러쌍(6) 및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더욱 상류측에 배치된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은 상술한 중량 측정 장치(10)의 유지 롤러쌍(3, 5)과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에는 반송로(2)를 따라 이격해서 배치된 복수의 센서(S0 내지 S6)가 접속되어 있다. 각 센서는, 각각, 반송로(2)를 사이에 끼우는 위치 관계로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갖는다. 그리고, 각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연결하는 광축이 반송로(2)와 교차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센서(S0 내지 S6)는 각각 2개의 센서, 즉 우편물(M)의 하단부 가까이를 광축이 통과하는 센서와 우편물(M)의 중앙 가까이 혹은 상단부 가까이를 광축이 통과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부(30)는 각 센서의 광축을 우편물(M)이 차단하는 것에 의해 우편물(M)의 통과를 검지한다. 즉, 각 센서는, 각각의 위치에서,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 및 반송 방향 후단부의 통과를 검지한다.
반송로(2)를 따라 가장 상류에 배치된 센서(S0)는 그의 광축이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격한 위치에서 반송로(2)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센서(S0)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인접한 센서(S1)는 그의 광축이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의 가까운 곳에서 반송로(2)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센서(S1)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인접한 센서(S2)는, 그의 광축이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의 가까운 곳에서 반송로(2)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센서(S2)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인접한 센서(S3)는 그의 광축이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의 닙의 가까운 곳에서 반송로(2)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센서(S3)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인접한 센서(S4)는, 그의 광축이 중량 측정 장치(10)의 하류측의 유지 롤러쌍(5)의 닙의 가까운 곳에서 반송로(2)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센서(S4)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인접한 센서(S5)는, 그의 광축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의 가까운 곳에서 반송로(2)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30)에는,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구동 롤러(4F),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구동 롤러(6F) 및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구동 롤러(8F)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4),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의 프론트측의 유지 롤러(3F) 및 하류측의 유지 롤러쌍(5)의 프론트측의 유지 롤러(5F)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1),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종동 롤러(4R)를 구동 롤러(4F)에 대하여 분리 접촉시키기 위한 분리 접촉 기구(20)(상류측 분리 접촉 기구) 및 중량 측정 장치(10)의 역각 센서(7)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9)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로(2)를 따라 배치된 복수조의 롤러쌍(8, 4, 3, 5, 6) 사이에서 우편물(M)을 전달 반송하기 위해서, 상기 처리 장치(100)로 처리하는 우편물(M)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짧은 우편물(이하, 이러한 우편물을 최단 우편물(Mmin)이라고 칭함)의 크기에 맞추어서 인접하는 롤러쌍끼리의 닙 간의 거리를 설정하였다. 여기에서는,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를 127 mm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2)를 따라 일정 거리씩 이격해서 배치된 복수조의 롤러쌍(4, 3, 5, 6)의 닙간 거리를 120 mm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닙간 거리를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보다 짧게 함으로써, 어떠한 길이의 우편물(M)이 반송된 경우이어도, 상기 우편물(M)을 롤러쌍 간에서 전달 반송할 수 있어, 모든 우편물(M)을 확실하게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다. 즉,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으로부터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3배보다 짧게 설정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와 같이, 반송로(2)의 도중에 중량 측정 장치(10)를 갖는 경우, 우편물(M)을 전달 반송하기 위해서 복수의 롤러쌍의 닙간 거리를 최단 우편물(Mmin)에 맞추어 짧게 하면, 중량 측정 중의 우편물(M)에 대하여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 및/혹은 하류측의 반송 기구로부터 외력을 부여하기 쉬워져, 정확한 중량 측정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상기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하는 우편물(M)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긴 우편물(이하, 이러한 우편물을 최장 우편물(Mmax)이라고 칭함)의 무게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중량 측정 장치(10)만에 의해 상기 최장 우편물(Mmax)이 유지되어 있는시간이 지극히 짧아져, 무게 측정에 필요하게 되는 충분한 연산 시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에 근접해서 배치된 롤러쌍을 반송로(2)에 대하여 분리 접촉 가능하게 하였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분리 접촉 기구(20)의 구조 및 그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리 접촉 기구(20)은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리어측의 종동 롤러(4R)의 회전축(4a)를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 아암(22), 이 슬라이드 아암(22)을 도시된 화살표 S 방향(구동 롤러(4F)와 종동 롤러(4R)의 회전축이 배열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 지지한 슬리브(24), 슬라이드 아암(22)의 타단부에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캠 아암(26), 이 캠 아암(26)의 타단부를 회전판(27)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지지 핀(28) 및 이 회전판(27)을 회전시키는 모터(29)를 갖는다.
그리하여, 모터(29)를 도시된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27)이 1 회전해서 캠 아암(26)의 타단부가 회전하고, 캠 아암(26)의 선단에 연결된 슬라이드 아암(22)이 슬리브(24)를 따라 화살표 S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에 의해, 종동 롤러(4R)가 구동 롤러(4F)에 대하여 분리 접촉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종동 롤러(4R)를 구동 롤러(4F)에 대하여 분리 접촉시키기 위한 분리 접촉 기구(20)로서 모터를 사용했지만, 다른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하, 상술한 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에는,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30)는 처리 장치(100)에 우편물(M)이 보내지기 전의 대기 상태일 때,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종동 롤러(4R)가 구동 롤러(4F)에 접촉하도록 분리 접촉 기구(20)의 모터(29)를 회전시켜 둔다. 또한, 제어부(30)는 대기 상태일 때, 모터(11, 14)를 회전시켜서 중량 측정 장치(10)의 2조의 유지 롤러쌍(3, 5), 상류측 반송 롤러쌍(8),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켜 둔다. 또한, 제어부(30)는 복수의 센서(S0 내지 S6)의 출력에 기초하여, 반송로(2)를 통해 처리 장치(100)에 보내진 우편물(M)의 반송 위치를 감시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반송하는 우편물(M)의 무게를 측정하기 전의 준비로서, 역각 센서(7)를 통해 중량 측정 장치(10)의 중량을 측정해 둔다. 즉, 제어부(30)는 우편물(M)을 반송하지 않고 있을 때의 중량 측정 장치(10)의 중량을 미리 측정해 두고, 우편물(M)을 반송하고 있을 때의 중량 측정 장치(10)의 중량으로부터 차감함으로써 상기 우편물(M)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반송로(2)를 통해 복수통의 우편물(M)이 연속해서 반송되어서 처리 장치(100)에 보내지면, 제어부(30)는 우선 센서(S3)의 출력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이 되는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의 닙으로 협지 구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7, 스텝1). 예를 들어, 도 6의 (a)의 상태에서는,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은 이미 유지 롤러쌍(3)의 닙을 통과하고 있다.
스텝1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중량 측정 장치(10)에 의해 유지된 것이 판단되면(스텝1; "예"), 제어부(30)는 센서(S1)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2). 예를 들어, 상기 우편물이 최단 우편물(Mmin)인 경우, 스텝1에서 상기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 선단이 유지 롤러쌍(3)로 유지된 것을 검지한 시점에서, 상기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 후단부는 이미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하고 있다.
스텝2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 것이 판단되면(스텝2; "예"), 제어부(30)는 분리 접촉 기구(20)의 모터(29)를 회전해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종동 롤러(4R)를 구동 롤러(4F)로부터 이격시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방한다(스텝3). 이 상태를 도 6의 (b)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스텝3에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방한 후, 중량 측정 장치(10)의 역각 센서(7)를 통해 상기 우편물(M)의 무게를 측정하기 시작한다(스텝4). 상기 우편물(M)의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동안, 상기 우편물(M)은 도 6의 (b) 내지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된다. 도 6의 (b), 도 6의 (c) 및 도 6의 (d)의 상태에서는, 중량 측정 장치(10)의 2조의 유지 롤러쌍(3, 5) 이외에, 상기 우편물(M)을 협지 구속하고 있는 롤러쌍은 없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에 대하여 원하지 않는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없어, 상기 우편물(M)의 무게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30)는 센서(S5)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으로 협지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6). 그리고, 스텝6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으로 협지 구속된 것(도 6의 (e)의 상태)을 판단한 경우(스텝6; "예"), 혹은 상기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이 종료한 경우(스텝5; "예"), 제어부(30)는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폐쇄하도록 분리 접촉 기구(20)의 모터(29)를 회전시킨다(스텝7).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부(30)가 스텝2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 것을 판단한 시점에서, 스텝3과 같이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을 통과하기 전(도 6의 (b)의 시점으로부터)에 상기 우편물(M)의 무게를 측정하기 시작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폐쇄함으로써, 최단 우편물(Mmin)을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에 확실하게 전달 반송할 수 있는 것 추가로, 예를 들어, 최장 우편물(Mmax)의 무게를 측정하는 경우 등에는,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상술한 타이밍에 개방함으로써 통상(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폐 가능하게 하지 않는 경우)보다 빠른 타이밍에 무게 측정을 개시할 수 있고, 무게 측정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정밀도가 높은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량 측정 장치(10)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인접한 롤러쌍(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폐 가능하게 한 것 뿐인 간단한 구성의 변경으로 끝나기 때문에, 장치의 대폭적인 설계 변경이 불필요해서,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부(30)가 스텝6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기 전에, 상기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이 종료한 경우(스텝6; "아니오", 스텝5; "예")에는, 그 시점에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폐쇄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을 보다 확실하게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이 종료되어 있으면 상기 우편물(M)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텝(7)에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폐쇄한 후,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4)을 통과해버리면, 즉시 다음 우편물(M)을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에 받아들이기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우편물(M)끼리의 갭을 확장할 필요도 없고, 반송로를 2 방향으로 분기해서 중량 측정 장치(10)를 2대 평행하게 설치할 필요도 없어,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가 대형화할 일도 없다.
도 8에는, 도 2에 대응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110)(이하, 간단히 처리 장치(110)라고 칭함)를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10)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의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위치에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을 배치하고,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의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위치에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새롭게 배치하고, 또한 이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의 더 하류측에 하류측 반송 롤러쌍(6)(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한 이외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와 동일하게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이 처리 장치(110)의 반송로(2)를 통해 도시된 화살표 T 방향으로 반송되는 우편물(M)은 상류측 반송 롤러쌍(8),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 유지 롤러쌍(3), 중량 측정 장치(10)의 하류측의 유지 롤러쌍(5),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 및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을 순서대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상술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과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분리 접촉 기구(20)(하류측 분리 접촉 기구)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반송로(2)를 따라 배열된 각 롤러쌍(8, 3, 5, 40, 6)의 닙간 거리는 120 mm로 설정하였다. 즉,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으로부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지엽류(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3배보다 짧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에는, 처리 장치(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에는, 처리 장치(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30)는 처리 장치(110)에 우편물(M)이 보내지기 전의 대기 상태일 때, 모터(11, 14)를 회전시켜서 중량 측정 장치(10)의 2조의 유지 롤러쌍(3, 5), 상류측 반송 롤러쌍(8),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 및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켜 둔다. 이때,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개방되어 있거나 폐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30)는 복수의 센서(S0 내지 S6)의 출력에 기초하여, 반송로(2)를 통해 처리 장치(110)에 보내진 우편물(M)의 반송 위치를 감시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반송하는 우편물(M)의 무게를 측정하기 전의 준비로서, 역각 센서(7)를 통해 중량 측정 장치(10)의 중량을 측정해 둔다. 즉, 제어부(30)는 우편물(M)을 반송하지 않고 있을 때의 중량 측정 장치(10)의 중량을 미리 측정해 두고, 우편물(M)을 반송하고 있을 때의 중량 측정 장치(10)의 중량으로부터 차감함으로써 상기 우편물(M)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반송로(2)를 통해 복수통의 우편물(M)이 연속해서 반송되어서 처리 장치(110)에 보내지면, 제어부(30)는 우선, 센서(S3)의 출력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이 되는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의 닙으로 협지 구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10, 스텝1). 예를 들어, 도 9의 (a)의 상태에서는,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은 이미 유지 롤러쌍(3)의 닙을 통과하고 있다.
스텝1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에 의해 유지된 것이 판단되면(스텝1; "예"), 제어부(30)는 센서(S2)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3). 예를 들어, 상기 우편물이 최단 우편물(Mmin)일 경우, 스텝1에서 상기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 선단이 유지 롤러쌍(3)에 의해 유지된 것을 검지한 직후에, 상기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2)의 광축을 통과하게 된다.
스텝3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도(9e)의 상태) 것이 판단되면(스텝3; "예"), 제어부(30)는 분리 접촉 기구(20)의 모터(29)를 회전해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의 종동 롤러(4R)를 구동 롤러(4F)로부터 이격시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한다(스텝4).
혹은, 스텝3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2)의 광축을 통과한 것을 검지하기 전에, 예를 들어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의 광축을 차단하면(스텝3; "아니오", 스텝2; "예"), 제어부(30)는, 이 시점에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한다(스텝4).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통의 우편물(M)을 비교적 짧은 갭으로 연속해서 반송하는 것을 상정하고, 스텝3에서 센서(S2)를 통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 통과를 검지하기 전의 상태, 혹은 스텝2에서 센서(S5)를 통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 통과를 검지하기 전의 상태에서, 도 9의 (a) 내지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해두었지만, 선행해서 반송되는 우편물(M)과의 사이의 갭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더 빠른 타이밍에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해 두어도 된다.
스텝4에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한 후, 혹은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미리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3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 후, 제어부(30)는 중량 측정 장치(10)의 역각 센서(7)를 통해 상기 우편물(M)의 무게를 측정하기 시작한다(스텝5).
당해 우편물(M)의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동안, 상기 우편물(M)은 예를 들어 도 9의 (e) 내지 도 9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 측정 장치(10)의 유지 롤러쌍(3, 5) 이외의 롤러쌍을 통해 외력이 부여되지 않는 상태에서 반송된다. 이와 같이, 도 9의 (e) 내지 도 9의 (f)의 상태에서는, 중량 측정 장치(10)의 2조의 유지 롤러쌍(3, 5) 이외에, 상기 우편물(M)을 협지 구속하고 있는 롤러쌍은 없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무게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30)는 센서(S6)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으로 협지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7). 그리고, 스텝(7)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으로 협지 구속된 것(도 9의 (g)의 상태)을 판단한 경우(스텝7; "예"), 혹은 스텝(7)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6)의 광축을 통과한 것을 검지하기 전에, 상기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이 종료한 경우(스텝7; "아니오", 스텝6; "예"), 제어부(30)는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하도록 분리 접촉 기구(20)의 모터(29)를 회전시킨다(스텝8).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부(30)가 스텝3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 것을 판단한 시점에서, 혹은 스텝3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 것을 판단하기 전에, 스텝4와 같이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스텝5에서 상기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을 개시할 때에는,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상기 우편물(M)에 반송력을 부여하는 경우가 없어, 정확한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최장 우편물(Mmax)를 처리하는 경우 등, 스텝3에서 상기 최장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 것을 검지하기 전에, 제어부(30)가 스텝2에서 상기 최장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의 닙을 통과한 것을 검지한 시점(도 9의 (d)의 상태)에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최장 우편물(Mmax)에 대한 무게 측정을 개시하기 조금 전의 타이밍에(도 9의 (d)의 시점에서) 미리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최장 우편물(Mmax)에 대한 무게 측정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최장 우편물(Mmax)의 반송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함으로써, 최단 우편물(Mmin)을 중량 측정 장치(10)의 하류측의 유지 롤러쌍(5)로부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에 추가로, 예를 들어, 최장 우편물(Mmax)의 무게를 측정하는 경우 등에는,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상술한 타이밍에 개방함으로써 통상(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폐 가능하게 하지 않는 경우)보다 오랜 시간 무게 측정을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무게 측정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정밀도가 높은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량 측정 장치(10)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인접한 롤러쌍(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폐 가능한 롤러쌍으로 한 것 뿐인 간단한 구성의 변경으로 끝나기 때문에,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부(30)가 스텝(7)에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기 전에, 상기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이 종료한 경우에는,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을 보다 확실하게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이 종료한 후, 즉시 다음 우편물(M)을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에 받아들이기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우편물(M)끼리의 갭을 확장할 필요도 없고, 반송로를 2 방향으로 분기해서 중량 측정 장치(10)를 2대 평행하게 설치할 필요도 없어,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가 대형화할 일도 없다.
도 11에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120)(이하, 간단히 처리 장치(120)라고 칭함)을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처리 장치(120)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와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10)를 조합한 구조를 갖는다. 즉, 반송로(2)를 통해 도면 중 화살표 T 방향으로 반송된 우편물(M)은 상류측 반송 롤러쌍(8),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 중량 측정 장치(10)의 하류측의 유지 롤러쌍(5),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 및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을 순서대로 통과한다. 또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으로부터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지엽류(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4배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은 분리 접촉 기구(20)(여기에서는 상류측 분리 접촉 기구(20U)라고 칭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분리 접촉 기구(20)(여기에서는 하류측 분리 접촉 기구(20D)라고 칭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30)는 센서(S0)의 출력에 기초하여, 반송된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를 검출하고, 센서(S1 내지 S6)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류측 분리 접촉 기구(20U) 및 하류측 분리 접촉 기구(20D)를 제어하고,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폐 제어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 또는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10)과 동일하게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20)의 몇가지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동작예로서,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짧은 우편물(M)을 반송해서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2)를 통해 화살표 T 방향으로 반송된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3)를 통과하고, 상기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에 보내진 후,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2)를 통과(도 12의 (b)의 상태)하면, 중량 측정 장치(10)에 의한 상기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센서(S0)를 통해 미리 측정한 상기 우편물(M)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것으로부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은 폐쇄된 그래로로 된다. 즉, 이 경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은 다른 반송 롤러쌍과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이 후, 상기 우편물(M)이 더 반송되어서 중량 측정 장치(10)를 통과되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로 검출되기(도 12의 (d)의 상태)까지의 동안에, 상기 우편물(M)의 무게가 측정된다. 이때,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은 종료한다.
이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에 도달했을 때,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폐쇄된 그대로로 된다(도 12의 (d)의 상태). 바꾸어 말하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에 도달하기 전에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개방할 일은 없다. 즉, 여기에서도,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다른 반송 롤러쌍과 동일하게 기능하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통의 비교적 짧은 우편물(M)이 연속해서 반송된 경우,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2)를 통과한 후, 상기 선행하는 우편물(M)의 길이 측정이 개시된다. 선행하는 우편물(M)에 대한 길이 측정은,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에 도달하기(도 13의 (d)의 상태)까지, 혹은 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3)에 도달하기(도 13의 (c)의 상태)까지 계속되어진다.
또한, 후속의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은,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4)를 통과한(도 13의 (e)의 상태) 후, 상기 우편물(M)(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에 도달할 때까지(도 13의 (f)의 상태)의 동안에 실시된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연속해서 반송되는 2통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것이 센서(S0)를 통해 미리 검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개방될 일은 없다.
즉, 이 제1 동작예와 같이, 비교적 짧은 우편물(M)을 반송해서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개방될 일은 없고, 다른 반송 롤러쌍과 동일하게 기능하게 된다.
이어서, 제2 동작예로서,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긴 우편물(M)을 반송해서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2)를 통해 화살표 T 방향으로 반송된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3)를 통과하고, 상기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에 보내진 후,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1)를 통과하면, 중량 측정 장치(10)에 의한 상기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센서(S0)를 통해 미리 측정한 상기 우편물(M)의 길이가 비교적 긴 것으로부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은 상기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이 개시되기 전에 미리 개방되어 있다.
이 후, 상기 우편물(M)이 또한 반송되어서 중량 측정 장치(10)를 통과되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6)로 검출되기(도 14의 (d)의 상태)까지의 사이에, 상기 우편물(M)의 무게가 측정된다. 이때,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긴 것이 센서(S0)를 통해 미리 검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를 통과하기 전에,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미리 개방된다.
즉, 상기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 중에 상기 우편물(M)에 대하여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또는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으로부터 원하지 않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없도록,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적절한 타이밍에 개방된다. 또한, 후속의 우편물(M)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통과한 후,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이 폐쇄된다(도 14의 (d)의 상태). 또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통과한 후,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폐쇄된다(도 14의 (f)의 상태).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통의 비교적 긴 우편물(M)이 연속해서 반송된 경우,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1)를 통과한 후, 상기 선행하는 우편물(M)의 길이 측정이 개시된다. 선행하는 우편물(M)에 대한 길이 측정은,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6)에 도달하기(도 15의 (d)의 상태)까지, 혹은 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3)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어진다.
또한, 후속의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은,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4)를 통과한 후에, 또한 상기 우편물(M)(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1)를 통과한 후(도 15의 (e)의 상태)에 개시된다. 그리고, 이 후, 후속의 우편물(M)에 대한 길이 측정은,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6)에 도달할 때까지(도 15의 (g)의 상태)의 동안에 종료된다.
이 경우, 연속해서 반송되는 2통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긴 것이 미리 제어부(30)로 검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폐쇄될 일은 없다.
이어서, 제3 동작예로서,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긴 우편물(M)에 연속해서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짧은 우편물(M)을 반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비교적 긴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에 보내져서 그 후단부가 센서(S1)를 통과하면, 상기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긴 것이 센서(S0)를 통해 미리 검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을 개시하는 시점(도 16의 (a)의 상태)에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과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개방되어 있다.
당해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은, 상기 우편물(M)(선행하는 비교적 긴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6)에 도달할 때까지(도 16의 (d)의 상태), 혹은 후속의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의 닙에 보내질 때까지의 동안에 실시된다.
또한, 이 제3 동작예에서는, 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것이 센서(S0)를 통해 미리 검출되어 있기 때문에,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후단부가 센서(S2)를 통과한 후, 후속의 우편물(M)을 중량 측정 장치(10)에 확실하게 전달 반송하기 위해서,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이 폐쇄된다.
그리고, 후속의 비교적 짧은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은, 상기 우편물(M)(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중량 측정 장치(10)에 보내지고, 또한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4)를 통과한 후(도 16의 (g)의 상태), 개시된다. 또한, 후속의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은, 상기 우편물(M)(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에 도달할 때(도 16의 (h)의 상태)에 종료된다.
당연하지만, 후속의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을 개시한 시점에서는, 선행하는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은 종료하고 있기 때문에,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폐쇄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후속의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에 의해 유지된 시점(도 16의 (f)의 상태)에, 선행하는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폐쇄된다.
즉, 후속의 우편물(M)이 비교적 짧은 우편물인 것이 센서(S0)를 통해 미리 검출되어 있기 때문에,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5)를 통과한 후(도 16의 (h)의 상태), 혹은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4)를 통과한 후(도 16의 (g)의 상태), 혹은 후속의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에 보내진 후(도 16의 (f)의 상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이 폐쇄된다.
이어서, 제4 동작예로서,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짧은 우편물(M)에 연속해서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긴 우편물(M)을 반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비교적 짧은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에 보내져서 그 후단부가 센서(S2)를 통과하면, 상기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것이 센서(S0)를 통해 미리 검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을 개시하는 시점(도 17의 (a)의 상태)에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과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폐쇄되어 있다.
당해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은, 상기 우편물(M)(선행하는 비교적 짧은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에 도달할 때까지(도 17의 (d)의 상태), 혹은 후속의 우편물(M)이 중량 측정 장치(10)의 상류측의 유지 롤러쌍(3)의 닙에 보내질 때까지(도 17의 (c)의 상태)의 동안에 실시된다.
또한, 이 제4 동작예에서는, 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긴 것이 센서(S0)를 통해 미리 검출되어 있기 때문에,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후단부가 센서(S2)를 통과한 후,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이 개방된다.
그리고, 후속의 비교적 긴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은, 상기 우편물(M)(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중량 측정 장치(10)에 보내지고, 또한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4)를 통과하고, 또한 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1)를 통과한 후(도 17의 (d)의 상태), 개시된다. 또한, 후속의 우편물(M)에 대한 무게 측정은, 상기 우편물(M)(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6)에 도달할 때(도 17의 (g)의 상태)에 종료된다.
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긴 것이 센서(S0)를 통해 미리 검출되어 있는 점에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선행하는 비교적 짧은 우편물(M)을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에 전달한 후, 후속의 우편물(M)의 무게 측정을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해서 개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반송로(2)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롤러쌍 간의 거리와 상술한 최단 우편물(Mmin) 혹은 최장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와의 관계에 대해서 고찰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중량 측정 장치(10)의 유지 롤러쌍을 1조(유지 롤러쌍(3))만으로 한 간략화한 장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8에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를 간략화한 장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9에는,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10)를 간략화한 장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처리 장치(100, 110)에 있어서, 상류측 반송 롤러쌍(8) 대신에 반송 롤러(8R)에 2개의 벨트를 겹쳐서 권회하게 한 구조를 채용하고, 하류측 반송 롤러쌍(6) 대신에 반송 롤러(6R)에 2개의 벨트를 겹쳐서 권회하게 한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 경우, 반송 롤러(8R)(6R)에 2개의 벨트를 겹쳐서 권회한 부위가 우편물(M)에 반송력을 부여할 수 있는 반송 닙으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로(2)에 따라 인접한 롤러쌍, 즉 상류측 반송 롤러쌍(8),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중량 측정 장치(10)의 유지 롤러쌍(3),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 및 하류측 반송 롤러쌍(6)끼리의 닙간 거리(L)는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길이가 상이한 모든 우편물(M)을 롤러쌍 간에서 확실하게 전달 반송할 수 있다.
즉, 도 18의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는, 상류측의 반송 롤러(8R)의 닙과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과 유지 롤러쌍(3)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 유지 롤러쌍(3)의 닙과 하류측의 반송 롤러(6R)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가,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보다 짧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으로부터 하류측의 반송 롤러(6R)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2배보다 짧다.
또한, 도 19의 처리 장치(110)에 있어서도, 상류측의 반송 롤러(8R)의 닙과 유지 롤러쌍(3)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 유지 롤러쌍(3)의 닙과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의 닙과 하류측의 반송 롤러(6R)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가,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보다 짧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류측의 반송 롤러(8R)의 닙으로부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40)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2배보다 짧다.
한편, 최장 우편물(Mmax)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류측의 반송 롤러(8R)의 닙과 하류측의 반송 롤러(6R)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를 최장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보다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즉, 도 18에 도시한 처리 장치(100)에서는, 반송로(2)를 통해 반송되는 최장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 선단이 유지 롤러쌍(3)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의 반송 롤러(8R)의 닙을 통과한 후, 상기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의 반송 롤러(6R)의 닙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최장 우편물(Mmax)의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되지만, 상류측의 반송 롤러(8R)의 닙과 하류측의 반송 롤러(6R)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가 최장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적어도 길지 않으면 상기 최장 우편물(Mmax)에 대한 무게 측정을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도 19에 도시한 처리 장치(110)에서는, 반송로(2)를 통해 반송되는 최장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 선단이 유지 롤러쌍(3)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의 반송 롤러(8R)의 닙을 통과한 후, 상기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의 반송 롤러(6R)의 닙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최장 우편물(Mmax)의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되지만, 상류측의 반송 롤러(8R)의 닙과 하류측의 반송 롤러(6R)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가 최장 우편물(Mmax)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보다 적어도 길지 않으면, 상기 최장 우편물(Mmax)에 대한 무게 측정을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없다.
이어서, 도 20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130)(이하, 간단히 처리 장치(130)라고 칭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는 중량 측정 장치(10) 대신에 갭 보정 장치(50)(처리부)를 갖는 이외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와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에서는, 반송로(2)를 통해 반송된 우편물(M)이,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쌍(51) 및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을 순서대로 통과한다. 갭 보정 장치(50)은 처리 장치(130)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반송계로부터 기계적으로 독립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갭 보정 장치(50)를 통과하는 우편물(M)의 전후의 갭을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다.
갭 보정 장치(50)은 반송로(2)를 통해 반송된 우편물(M)을 닙에 받아들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우편물(M)을 구속하면서 반송하는 유지 롤러쌍(51)을 갖는다. 유지 롤러쌍(51)은 반송로(2)를 사이에 두고 장치의 프론트측에 배치된 유지 롤러(51F) 및 반송로(2)를 사이에 두고 장치의 리어측에 배치된 유지 롤러(51R)를 갖는다.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쌍(51)은 중량 측정 장치(10)의 유지 롤러쌍(3)과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유지 롤러쌍(51)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프론트측의 유지 롤러(51F)의 회전축(51a)에는, 커플링(52)을 통해 모터(54)가 접속되어 있고, 이 프론트측의 유지 롤러(51F)는 구동 롤러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모터(54)에는, 제어 기판(56)이 접속되어 있고, 모터(54)의 회전 속도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에 있어서도, 반송로(2)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롤러쌍의 닙간 거리는 일정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과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쌍(51)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 및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쌍(51)의 닙과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과의 사이의 거리는,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보다 짧은 거리(본 실시 형태에서는 120 mm)로 설정되어 있다. 즉,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으로부터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지엽류(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2배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조의 처리 장치(130)의 동작에 대해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0)는 처리 장치(130)에 우편물(M)이 보내지기 전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폐쇄하여 둔다(도 21의 (a)의 상태). 그리고, 제어부(30)는 반송로(2)를 통해 우편물(M)이 반송될 때마다, 예를 들어 상류측 반송 롤러쌍(8)으로부터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배치된 센서(S0)를 통하여, 각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및 각 우편물(M)끼리의 간격(갭)을 검출한다.
우편물(M)의 길이를 검출할 경우,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0)를 통과해서 센서(S0)의 출력이 명으로부터 암으로 된 후,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0)를 통과해서 센서(S0)의 출력이 암으로부터 명이 될 때까지의 시간과, 상기 우편물(M)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를 연산한다. 또한, 우편물(M)의 갭을 검출할 경우, 제어부(30)는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0)의 광축을 통과한 후, 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0)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및 상기 우편물(M)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이들 우편물(M)의 사이의 갭을 산출한다.
그리고, 반송된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쌍(51)의 닙에 도달해서 센서(S3)의 광축을 차단하면(도 21의 (a)의 상태),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의 갭 보정에 대비하여,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방한다(도 21의 (b)의 상태). 또한, 이때, 제어부(30)는 센서(S1)의 출력을 감시하고,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도 21의 (b)의 상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우편물(M)의 반송 속도를 변화시키도록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51F)의 모터(54)의 회전 제어를 시작한다.
우편물(M)끼리의 갭은, 각 우편물(M)의 반송 속도를 감속 혹은 가속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S0)를 통과하고, 반송되는 모든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및 갭의 길이를 미리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나 갭 길이에 기초하여, 모터(54)을 가감속 시킴으로써 우편물(M)끼리의 갭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30)는 센서(S4)의 출력을 감시하고,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에 도달한(도 21의 (d)의 상태) 것을 트리거로 하여, 혹은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제어가 종료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폐쇄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에 의하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갭 보정 장치(50)에 보내진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 시점에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을 통과하기 전에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을 개시할 수 있어, 보다 빠른 타이밍에 갭 보정을 개시할 수 있어, 보다 제도가 높은 갭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갭 보정 장치(50)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인접한 롤러쌍(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폐 가능하게 한 것 뿐인 간단한 구성의 변경으로 끝나기 때문에, 장치의 대폭적인 설계 변경이 불필요해서,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기 전에, 상기 우편물(M)의 갭 보정이 종료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폐쇄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을 보다 확실하게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폐쇄한 후,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4)을 통과해버리면, 즉시 다음 우편물(M)을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에 받아들이기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우편물(M)끼리의 갭을 확장할 필요도 없고, 반송로를 2 방향으로 분기해서 갭 보정 장치(50)를 2대 평행하게 설치할 필요도 없고,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가 대형화할 일도 없다.
도 22에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140)(이하, 간단히 처리 장치(140)라고 칭함)를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처리 장치(140)는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의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위치에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을 배치하고, 제4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의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위치에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새롭게 배치한 이외에,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와 동일하게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이 처리 장치(140)의 반송로(2)를 통해 도시된 화살표 T 방향으로 반송되는 우편물(M)은 상류측 반송 롤러쌍(8),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쌍(51)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순서대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상술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과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분리 접촉 기구(20)(하류측 분리 접촉 기구)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반송로(2)를 따라 배열된 각 롤러쌍(8, 51, 40)의 닙간 거리는 120 mm로 설정하였다. 즉,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으로부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2배보다 짧게 설정하였다.
이하, 상기 구조의 처리 장치(140)의 동작에 대해서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0)는 처리 장치(140)에 우편물(M)이 보내지기 전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하여 둔다(도 23의 (a)의 상태). 그리고, 제어부(30)는 반송로(2)를 통해 우편물(M)이 반송될 때마다, 예를 들어 상류측 반송 롤러쌍(8)으로부터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배치된 센서(S0)를 통과하고, 각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및 각 우편물(M)끼리의 간격(갭)을 검출한다.
우편물(M)의 길이를 검출할 경우,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0)를 통과해서 센서(S0)의 출력이 명으로부터 암으로 된 후,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0)를 통과해서 센서(S0)의 출력이 암으로부터 명이 될 때까지의 시간과, 상기 우편물(M)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를 연산한다. 또한, 우편물(M)의 갭을 검출할 경우, 제어부(30)는 선행하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0)의 광축을 통과한 후, 후속의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0)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및 상기 우편물(M)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이들 우편물(M)의 사이의 갭을 산출한다.
그리고, 반송된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쌍(51)의 닙을 통과해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의 닙에 도달해서 센서(S3)의 광축을 차단하면,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의 갭 보정에 대비하여,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한다(도 23의 (b)의 상태). 또한, 이때, 제어부(30)는 센서(S1)의 출력을 감시하고,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도 23의 (b)의 상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우편물(M)의 반송 속도를 변화시키도록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51F)의 모터(54)의 회전 제어를 시작한다.
우편물(M)끼리의 갭은, 각 우편물(M)의 반송 속도를 감속 혹은 가속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S0)를 통과하고, 반송되는 모든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 및 갭의 길이를 미리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나 갭 길이에 기초하여, 모터(54)을 가감속 시킴으로써, 우편물(M)끼리의 갭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30)는 센서(S4)의 출력을 감시하고,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에 도달한(도 23의 (d)의 상태) 것을 트리거로 하여, 혹은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제어가 종료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한다(도 23의 (d)의 상태).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40)에 의하면,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10)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갭 보정 장치(50)에 보내진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의 닙에 도달한 시점에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을 개시할 때에는, 상기 우편물(M)의 반송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어, 보다 제도가 높은 갭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갭 보정 장치(50)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인접한 롤러쌍(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폐 가능하게 한 것 뿐인 간단한 구성의 변경으로 끝나기 때문에, 장치의 대폭적인 설계 변경이 불필요해서,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기 전에, 상기 우편물(M)의 갭 보정이 종료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우편물(M)을 보다 확실하게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한 후,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쌍(51)을 통과해버리면, 즉시 다음 우편물(M)을 유지 롤러쌍(51)에 받아들이기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우편물(M)끼리의 갭을 확장할 필요도 없고, 반송로를 2 방향으로 분기해서 갭 보정 장치(50)를 2대 평행하게 설치할 필요도 없고,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가 대형화할 일도 없다.
도 24에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우편물 처리 장치(150)(이하, 간단히 처리 장치(150)라고 칭함)을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처리 장치(150)는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와 제5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40)를 조합한 구조를 갖는다. 즉, 반송로(2)를 통해 반송된 우편물(M)은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갭 보정 장치(50)의 유지 롤러쌍(51)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순서대로 통과한다.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은 분리 접촉 기구(20)(여기에서는 상류측 분리 접촉 기구(20U)라고 칭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분리 접촉 기구(20)(여기에서는 하류측 분리 접촉 기구(20D)라고 칭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의 닙으로부터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우편물(Mmin)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3배보다 짧게 설정하였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30) 또는 제5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40)와 동일하게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50)의 몇개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동작예로서,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짧은 우편물(M)을 반송해서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반송로(2)를 통해 반송된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를 센서(S0)를 통해 검출하고, 상기 우편물(M)이 비교적 짧은 우편물인 것을 판단한 경우, 제어부(30)는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각각 폐쇄하여 둔다(도 25의 (a)의 상태). 이 상태에서,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2)를 통해 화살표 T 방향으로 반송된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3)를 통과하고, 상기 우편물(M)이 갭 보정 장치(50)에 보내지면,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동작에 대비하여,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개방한다.
또한, 이 후,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1)를 통과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도 25의 (b)의 상태),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동작은,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로 검출되기(도 25의 (f)의 상태)까지, 혹은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3)를 통과하기(도 25의 (f)의 상태)까지 계속되어진다.
이때,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4)에 도달했을 때,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동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혹은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2)를 통과한 후,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을 폐쇄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동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혹은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센서(S3)를 통과한 후,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한다.
이어서, 제2 동작예로서,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비교적 긴 우편물(M)을 반송해서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센서(S0)를 통과하고, 반송된 우편물(M)이 비교적 긴 우편물인 것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은 폐쇄되어 있어도 되고, 개방되어 있어도 된다. 반송로(2)를 통해 반송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3)를 통과해서 갭 보정 장치(50)에 보내지면,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동작에 대비하여,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개방한다.
이 후, 제어부(30)는 센서(S1)의 출력을 감시하고,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센서(S1)의 출력이 암으로부터 명으로 변해서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류측 반송 롤러쌍(8)의 닙을 통과한 것을 판단하면(도 26의 (b)의 상태), 제어부(30)는 상기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동작을 개시한다.
당해 우편물(M)에 대한 갭 보정 동작은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를 통과해서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센서(S5)에서 검출되어서 하류측 반송 롤러쌍(6)의 닙에 보내진 시점(도 26의 (d)의 상태)에서, 제어부(30)는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 및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40)을 폐쇄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기술되었으나, 그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만 나타내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신규 장치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들의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환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에 수속되는 그러한 형태 또는 변경을 포함하고자 한다.
M: 우편물
2: 반송로
3, 5: 유지 롤러쌍
3a, 5a: 회전축
10: 중량 측정 장치

Claims (20)

  1. 지엽류 처리 장치로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 상에 반송되고 있는 상태의 지엽류를 반송함과 함께, 소정의 처리를 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되고, 상기 지엽류를 닙에 받아들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반송로와 상기 처리부 사이에서 전달하는 분리 접촉 롤러쌍;
    상기 분리 접촉 롤러쌍을 이격시키는 분리 접촉 기구; 및
    상기 반송로 상에 반송된 지엽류에 대한 상기 처리부에서의 처리의 개시 전후에 상기 분리 접촉 롤러쌍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분리 접촉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접촉 롤러쌍은 상기 처리부로부터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이격하고 있는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을 포함하고,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은 반송로 상에 반송된 상기 지엽류를 닙에 받아들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처리부에 보내고,
    상기 제어부는 반송로 상에 반송된 지엽류에 대한 상기 처리부에서의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분리 접촉 기구를 제어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으로부터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상류측 반송 롤러쌍,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하류측 반송 롤러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처리부에 보내진 지엽류의 선단이 처리부에 도달하고, 또한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기 상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벗어난 후, 상기 지엽류에 대한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 선단이 상기 하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엽류에 대한 처리를 종료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반송로를 통해 보내지는 지엽류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장치인, 지엽류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반송로를 통해 연속해서 반송되는 복수매의 지엽류 사이의 갭을 보정하는 갭 보정 장치인, 지엽류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상기 하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지엽류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3배보다 짧고, 상기 최단 지엽류는 상기 지엽류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지엽류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인, 지엽류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상기 하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최단 지엽류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2배보다 짧고, 상기 최단 지엽류는 상기 지엽류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지엽류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인, 지엽류 처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상기 하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지엽류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지엽류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긴 최장 지엽류의 길이 보다 긴, 지엽류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접촉 롤러쌍은 상기 처리부로부터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이격하고 있는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을 포함하고,
    상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은 상기 처리부로부터 송출된 지엽류를 닙에 받아들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반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서의 상기 지엽류에 대한 처리가 종료한 후, 상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을 서로 접촉시키도록 상기 분리 접촉 기구를 제어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로부터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상류측 반송 롤러쌍, 및 상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하류측 반송 롤러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처리부에 보내진 지엽류의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기 상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벗어난 후, 상기 지엽류에 대한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 선단이 상기 하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엽류에 대한 처리를 종료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반송로를 통해 보내지는 지엽류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장치인, 지엽류 처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반송로를 통해 연속해서 반송되는 복수매의 지엽류 사이의 갭을 보정하는 갭 보정 장치인, 지엽류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상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최단 지엽류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3배보다 짧고, 상기 최단 지엽류는 상기 지엽류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지엽류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인, 지엽류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상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최단 지엽류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2배보다 짧고, 상기 최단 지엽류는 상기 지엽류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지엽류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인, 지엽류 처리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상기 하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지엽류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지엽류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긴 최장 지엽류의 길이 보다 긴, 지엽류 처리 장치.
  16. 지엽류 처리 장치로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어 있는 상태의 지엽류를 반송함과 함께, 소정의 처리를 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 -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은 상기 반송로를 통해 반송된 지엽류를 닙에 받아들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처리부에 보냄 -;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을 이격시키는 상류측 분리 접촉 기구;
    상기 처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 - 상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은 상기 처리부로부터 송출된 지엽류를 닙에 받아들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반송함 -;
    상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을 이격시키는 하류측 분리 접촉 기구; 및
    상기 반송로를 통해 반송된 지엽류에 대한 상기 처리부에서의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을 서로 이격시켜, 상기 처리부에서의 상기 지엽류에 대한 처리가 종료한 후, 상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을 서로 접촉시키도록,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기구 및 하류측 분리 접촉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으로부터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상류측 반송 롤러쌍, 및 상기 하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하류측 반송 롤러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처리부에 보내진 지엽류의 선단이 처리부에 도달하고, 또한 반송 방향 후단부가 상기 상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벗어난 후, 상기 지엽류에 대한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 선단이 상기 하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엽류에 대한 처리를 종료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반송로를 통해 보내지는 지엽류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장치인, 지엽류 처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반송로를 통해 연속해서 반송되는 복수매의 지엽류 사이의 갭을 보정하는 갭 보정 장치인, 지엽류 처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분리 접촉 롤러쌍의 닙으로부터 상기 하류측 반송 롤러쌍의 닙까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최단 지엽류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의 4배보다 짧고, 상기 최단 지엽류는 상기 지엽류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지엽류 중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인, 지엽류 처리 장치.
KR1020110091282A 2010-09-17 2011-09-08 지엽류 처리 장치 KR201200303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9249A JP2012062179A (ja) 2010-09-17 2010-09-17 紙葉類処理装置
JPJP-P-2010-209249 2010-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312A true KR20120030312A (ko) 2012-03-28

Family

ID=4458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282A KR20120030312A (ko) 2010-09-17 2011-09-08 지엽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590883B2 (ko)
EP (1) EP2431312A3 (ko)
JP (1) JP2012062179A (ko)
KR (1) KR20120030312A (ko)
CN (1) CN1024425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1720A (ja) * 2014-02-19 2015-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86767B2 (en) * 2015-03-12 2017-03-07 Kabushiki Kaisha Toshiba Conveying gap adjusting apparatus
US10035673B2 (en) * 2015-06-19 2018-07-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image on conveyed sheet
JP6314948B2 (ja) * 2015-10-05 2018-04-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9052076B (zh) * 2018-08-01 2024-04-16 长城信息股份有限公司 多向传送通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3583A (ja) 2001-03-06 2002-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郵便物区分システム用の郵便物チェッカー装置
JP4387691B2 (ja) 2003-04-28 2009-12-16 株式会社ワコー 力検出装置
JP2006088622A (ja) 2004-09-27 2006-04-06 Alps Electric Co Ltd プリンタ
JP2007156146A (ja) * 2005-12-06 2007-06-21 Fujifilm Corp 画像形成装置
DE102007041006A1 (de) * 2007-08-30 2009-03-05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eines flachen Gegenstands
US8129635B2 (en) * 2007-09-13 2012-03-06 Raf Technology, Inc. Weighing a moving object using captured torque data
JP5149074B2 (ja) 2008-05-22 2013-02-20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用紙搬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0883B2 (en) 2013-11-26
US20120068398A1 (en) 2012-03-22
EP2431312A2 (en) 2012-03-21
EP2431312A3 (en) 2013-02-13
CN102442573A (zh) 2012-05-09
JP2012062179A (ja) 2012-03-29
US20140035221A1 (en)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0312A (ko) 지엽류 처리 장치
JP6220261B2 (ja) 紙葉類搬送装置
US8136807B2 (en) Sheet aligning apparatus
US8276899B2 (en) Media-sheet conveying unit
EP2284504A1 (en) Sheet mass measuring unit
JP4922079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4342249B2 (ja) 紙葉類分離搬送装置
US8157256B2 (en)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sheet handling method
US20110290568A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sheet-like article, sheet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is weight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sheet-like article
JPH03182444A (ja) 用紙の搬送装置
JP5507385B2 (ja) はかり用の搬送装置
JP2007230730A (ja) 搬送装置
US7201370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US7635130B2 (en) Device for placing sheets for a printer
JP2002312828A (ja) 紙葉類処理装置
JP5605371B2 (ja) 紙葉類計量装置、紙葉類計量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1266215A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の搬送方向変換装置
JP2003095486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830870B2 (ja) 紙葉類の曲げ復元性計測機構
JP2004099262A (ja) シート排出機構,シート処理装置
JP2002308472A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その動作状態の点検方法
JP2006232514A (ja) 紙葉類分離搬送装置
JP2003054810A (ja) 紙葉類搬送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H10236719A (ja) シート処理装置
JP2000095385A (ja) 紙葉類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