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123A -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123A
KR20120028123A KR1020100090146A KR20100090146A KR20120028123A KR 20120028123 A KR20120028123 A KR 20120028123A KR 1020100090146 A KR1020100090146 A KR 1020100090146A KR 20100090146 A KR20100090146 A KR 20100090146A KR 20120028123 A KR20120028123 A KR 2012002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tical sensor
train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410B1 (ko
Inventor
원종운
김길동
홍재성
이장무
정의진
이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9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4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61D19/026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passengers from being injured by movements of doors or variations in air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출입문의 내,외측에서 장애물이 끼이더라도 감지할 수 있고, 광센서가 오작동을 하더라도 압력센서가 이를 보완해 주어 안정적으로 끼임을 감지할 수 있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있어서, 양측 출입문이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장애물의 끼임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railway vehicle door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출입문의 내,외측에서 장애물이 끼이더라도 감지할 수 있고, 광센서가 오작동을 하더라도 압력센서가 이를 보완해 주어 안정적으로 끼임을 감지할 수 있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 등에 적용되는 출입문의 개폐시스템은 전동차 출입문의 상부에 기계적 메카니즘으로 설치되어 지는바, 이러한 기계적 메카니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20)내의 피스톤(30)을 전후진 시킴에 따라 양측 출입문(40,40a)을 개폐하며,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연동수단을 통해 일측만 구동해도 양측 출입문(이하 "도어"라 칭함)이 같이 개폐 되는 도어엔진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엔진은 전동차 도어의 어느 일측(좌측 또는 우측) 또는 양측 도어 상부에 설치된 도어스위치(60)에 전기적인 접점을 구성하는 푸쉬버튼(70)이 상기 기계적인 행정에 의하여 인터록(Interlock)되어 양측 도어의 개폐를 동시에 행하고 있다.
그런데, 전동차가 승강장에 정차하여 승객들이 승하차할 때, 승객이 늦게 승하차할 경우 승객의 가방이나 옷 등이 전동차의 출입문에 끼이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는데, 승객이 출입문에 끼인 것을 알지 못하고 전동차가 출발하게 되면 출입문에 끼인 승객이 부상을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차의 출입문에는 끼임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다수 개발되었는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감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게 되면 푸쉬버튼(70)에 의해 도어스위치(60)가 작동하게 되어 출입문 제어 장치(DCU, Door Control Unit)에서 출입문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는 출입문이 모두 닫힌것을 확인한 후, 전동차를 출발시키게 된다.
그러나, 일정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물체가 출입문에 끼이게 될 경우, 통상의 출입문에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고무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푸쉬버튼(70)에 의해 도어스위치(60)가 정상 작동을 하게 되어 끼임을 감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특허 제10-2010-10082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철도차량의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문 개폐 구동부를 구비한 출입문 개폐 장치로서, 상기 출입문(10)의 바깥 면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광센서(16)와 상기 광센서(16)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제공될 경우 상기 출입분 개폐 구동부에 재개폐 명령을 제공하여, 상기 출입문 개폐 구동부가 상기 출입문(10)을 재개폐하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10-2010-10082호에 기재된 기술은 광센서(16)가 출입문(10)의 바깥쪽에만 설치되어, 출입문의 바깥쪽에서 끼이는 것은 감지할 수 있으나 출입문(10)의 내측에서 끼이는 것은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동차의 내측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승객의 신체 일부가 출입문(10)에 끼인 상태에는 광센서(16)가 감지할 수 없어 다음 역까지 출입문에 끼인 상태로 이동해야하므로 승객이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양측 출입문이 접하는 부분에 광센서를 설치하여 두께가 얇은 물체가 출입문에 끼이더라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문의 내외,측에서 물체가 끼이더라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센서의 양측에 완충부를 구비하여 출입문이 닫힐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광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부의 내측에 압력센서를 설치함으로써 광센서가 고장난 경우, 압력센서에서 물체가 출입문에 끼임을 감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끼임을 감지할 수 있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있어서, 양측 출입문이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장애물의 끼임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는 일측 출입문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타측 출입문에 설치되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광센서의 양측에는 광센서보다 길게 형성된 완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출입문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기 완충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는 출입문의 세로방향으로 여러 개가 설치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값 중 오차범위 이상의 차이가 있는 측정값이 있으면 물체가 끼인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양측 출입문이 접하는 부분에 광센서를 설치하여 두께가 얇은 물체가 출입문에 끼이더라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문의 내,외측에서 물체가 끼이더라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광센서의 양측에 완충부를 구비하여 출입문이 닫힐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광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의 내측에 압력센서를 설치함으로써 광센서가 고장난 경우, 압력센서에서 물체가 출입문에 끼임을 감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끼임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차 도어의 개폐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의 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의 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블럭도이고, 도 8은 도 6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철도차량의 출입문(100)을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DCU, Door Control Unit, 300)와, 양측 출입문(100)이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 광센서(110)와, 출입문(100)이 닫힐 때 출입문(100)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검지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110)는 일측 출입문(100a)에 설치되는 송신부(112)와 타측 출입문(100b)에 설치되는 수신부(11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송신부(112)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게 되고, 상기 수신부(114)에서는 상기 송신부(112)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송신부(112)와 수신부(114) 사이에 물체가 존재하면 송신부(112)에서 송신한 신호가 물체에 가려져 수신부(114)에서 신호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검지부(200)에서는 광센서(110)의 신호 검지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있어, 수신부(114)에서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면 출입문(100) 사이에 물체가 끼인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출입문 제어 장치(300)에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상기 출입문 제어 장치(300)는 해당 출입문(100)을 다시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광센서(110)는 송신부(112)와 수신부(114) 사이에 물체가 있으면 그 두께에 상관없이 모두 감지가 가능하므로, 승객의 옷과 같이 얇은 물체가 출입문(100) 사이에 끼이더라도 감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110)의 양측에는 탄성이 강한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부(1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완충부(120)는 상기 광센서(110)보다 길게 형성게 된다.
그래서, 출입문(100)이 닫힐 때, 광센서(110)의 송신부(112)와 수신부(114)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하고, 출입문(100)이 닫힐 때의 충격을 줄여주게 되어 광센서(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광센서(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00)에 세로방향으로 조밀하게 여러 개가 설치되어 있어, 출입문(100)이 접촉하는 전체면의 어느 위치에 물체가 끼이더라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00)이 접하는 면에는 완충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부(120)가 설치되는 양측 또는 일측 출입문(100)의 내측에는 상기 완충부(120)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여러 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출입문(100) 사이에 물체가 끼이게 될 경우 물체가 끼인 위치에 설치된 압력센서(130)에서 측정되는 압력은 다른 위치에 설치된 압력센서(130)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값보다 크게 측정되게 된다.
그래서, 검지부(200)에서는 다수의 압력센서(130)에서 측정된 값 중에서 차이가 나는 측정값이 검지되면 물체가 출입문(100) 사이에 끼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상기 검지부(200)는 출입문 제어 장치(300)에 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상기 출입문 제어 장치(300)는 출입문(100)을 다시 개방하게 된다.
한편, 다수의 압력센서(130)에서 측정된 값은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검지부(200)에서는 오차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끼임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광센서(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압력센서(130)가 더 설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광센서(110)나 압력센서(130) 중 어느 일측이 오작동을 하거나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쪽의 센서가 이를 보완해 주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출입문(100)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감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출입문의 내,외측에서 장애물이 끼이더라도 감지할 수 있고, 광센서가 오작동을 하더라도 압력센서가 이를 보완해 주어 안정적으로 끼임을 감지할 수 있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출입문 110 : 광센서
112 : 송신부 114 : 수신부
120 : 완충부 130 : 압력센서
200 : 검지부
300 : 출입문 제어 장치(DCU, Door Control Unit)

Claims (5)

  1.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에 있어서,
    양측 출입문이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장애물의 끼임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일측 출입문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타측 출입문에 설치되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의 양측에는 광센서보다 길게 형성된 완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출입문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기 완충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출입문의 세로방향으로 여러 개가 설치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값 중 오차범위 이상의 차이가 있는 측정값이 있으면 물체가 끼인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KR1020100090146A 2010-09-14 2010-09-14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KR101199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46A KR101199410B1 (ko) 2010-09-14 2010-09-14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46A KR101199410B1 (ko) 2010-09-14 2010-09-14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123A true KR20120028123A (ko) 2012-03-22
KR101199410B1 KR101199410B1 (ko) 2012-11-09

Family

ID=4613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146A KR101199410B1 (ko) 2010-09-14 2010-09-14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09B1 (ko) * 2012-05-31 2014-01-23 조승원 정전용량 장애물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1181903A1 (ja) * 2020-03-12 2021-09-16 富士電機株式会社 戸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0078A (ja) 1983-11-04 1985-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扉障害物検知装置
KR200247837Y1 (ko) 2001-06-25 2001-10-26 썬테크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KR200385519Y1 (ko) 2005-01-26 2005-05-31 최봉석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09B1 (ko) * 2012-05-31 2014-01-23 조승원 정전용량 장애물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1181903A1 (ja) * 2020-03-12 2021-09-16 富士電機株式会社 戸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410B1 (ko) 201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5923B (zh) 具有门驱动器的车门装置
CN101236259B (zh) 城市轨道交通站台屏蔽门防夹人装置及障碍物探测方法
PL207460B1 (pl) Sposób kontroli szczeliny w drzwiach
CN201162452Y (zh) 城市轨道交通站台屏蔽门防夹人装置
WO2008047406A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JP5297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KR101199410B1 (ko)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GB2594012A (en) A door system, a vehicle and a method of providing a barrier
CN103850578A (zh) 用于车辆的滑动门装置
KR101014256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안전 장치
JP4802713B2 (ja) エレベータの故障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JP4911069B2 (ja) ウィンドウガラス破損検出具及び破損検出装置
JP2009096580A (ja) エレベーターの点検装置
JP4728888B2 (ja) 鉄道車両の乗降扉用戸先ゴム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CN101628682B (zh) 电梯门装置
JP2006199389A (ja) 輸送機用扉装置
KR101901411B1 (ko) 도어 어셈블리
JP3182411B2 (ja) 戸挟み検知装置
WO2012008035A1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KR101944068B1 (ko) 승강장안전문 이중화 동작감시시스템
KR20080099524A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개폐 시스템
KR101856866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광학 안전 센서 진단 시스템
JP5473292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1621372B1 (ko) 문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