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519Y1 -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519Y1
KR200385519Y1 KR20-2005-0002455U KR20050002455U KR200385519Y1 KR 200385519 Y1 KR200385519 Y1 KR 200385519Y1 KR 20050002455 U KR20050002455 U KR 20050002455U KR 200385519 Y1 KR200385519 Y1 KR 200385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electric vehicle
signal
external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석
Original Assignee
최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석 filed Critical 최봉석
Priority to KR20-2005-0002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61D19/026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passengers from being injured by movements of doors or variations in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driving cabins, footplates or engine rooms; Ventil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차의 안전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서로에 대해 근접 및 이격하는 두 장의 도어판넬과, 상기 각 도어판넬이 만나는 각 선단부에 구비된 완충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차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폐쇄시 외부의 물체가 상기 완충고무 사이에 끼워질 경우 그 사실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와; 상기 전동차의 기관실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소정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센서를 통해 닫힌 상태의 도어에 외부의 물체가 끼어져 있는지 여부를 항상 감시하며, 또한 상기 센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신호발생부가 센서가 감지한 내용 정보를 기관사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므로 도어로부터 비롯되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Safety door device of}
본 고안은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는 일단 무엇보다 대량 수송능력을 가지고 또한 다른 교통수단의 운행에 방해를 준다거나 공해를 발생한다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없으며 사용료가 저렴하여 버스와 함께 대표적인 대중 교통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상기 전동차는 적게는 여섯 량 내지 보통 열 량의 객차로 구성되며 각 객차의 좌우에는 다수의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차 도어는 많은 사람들이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승하차 할 수 있도록 신속히 개폐되어야 함은 물론 전동차의 운행 중에는 견고히 닫혀 탑승자를 보호하여야 한다.
한편 공지의 사실과 같이 상기 전동차용 도어는,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서로에 대해 근접하거나 또는 이격되어 출입공간을 닫거나 개방하는 한 쌍의 도어판넬과, 상기 도어판넬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판넬의 슬라이딩 운동을 위해 도어판넬의 상하부에는 가이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동차용 도어는, 근접 중의 도어판넬의 사이에 외부의 물체가 끼어 도어판넬이 물리적으로 그 이상 닫히지 않는 경우, 예컨대 문이 닫히는 순간 급하게 뛰어든 승객이 문에 끼어 도어판넬이 어느 간격 이상으로 벌어져 있는 경우, 별도의 센서로 하여금 신호를 발생하게 하여 전동차가 (문이 닫히지 않은 상태로)출발하지 못하게 한다. 즉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 센서가 신호를 발생하여 전동차가 출발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센서는 도어판넬이 적어도 수 센치미터 이상 열려있는 상태를 감지할 뿐 도어판넬 사이에 얇은(수 mm 이하 두께의) 물체가 끼어져 있는 경우에는 별다른 신호를 발생하지 못한다. 이를테면 백팩(back pack)의 끈이나 옷자락 또는 신문 등이 문틈에 끼더라도 도어는 다시 열리지 않고 전동차는 그대로 출발하게 된다. 이는 급히 하차한 사람의 옷자락이나 백팩의 끈이, 닫히는 문에 끼일 경우 전동차에 끌려가는 등의 사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전동차 도어는 얇은 물체가 끼어진 것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그만큼 안전성이 높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닫힌 상태의 도어에 외부의 물체가 끼어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센서가 감지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나타내 보이는 신호발생부를 구비하여 도어로부터 비롯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에 대해 근접 및 이격하는 두장의 도어판넬과, 상기 각 도어판넬이 만나는 각 선단부에 구비된 완충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차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폐쇄시 외부의 물체가 상기 완충고무 사이에 끼워질 경우 그 사실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와; 상기 전동차의 기관실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소정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전동차 외부의 상기 도어판넬이 만나는 위치의 연직 상부 또는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완충고무는 각 도어판넬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사이에 끼인 상기 외부의 물체를 물리적으로 당겼을 때 물체를 물고 있는 부위가 절개 파열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경고램프와,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의 일부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동차(11) 객차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13)의 상측부에 센서(15)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센서(15)는 전동차의 실외에 위치하며 닫힌 도어(13)의 완충고무(13b) 사이에 외부의 물체가 끼인 것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15)는 전동차의 제일 앞에 위치하는 기관실이나 뒤에 위치하는 차장실에 설치된 신호발생부(도 2의 2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한다.
상기 도어(13)는 서로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한 쌍의 도어판넬(13a)과, 상기 각 도어판넬(13a)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도어판넬(13a)이 상호 근접하여 만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고무(1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상기 완충고무(13b)는 속이 빈 상태로 각 도어판넬(13a) 선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며 도어(13)가 닫힐 때 서로에 대해 부딪히며 눌려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고무(13b)에는 다수의 절개라인(1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라인(13c)은 완충고무(13b)의 내측면에 형성한 칼집으로서 완충고무(13b)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분적으로 뜯어질 수 있게 마련한 것이다. 상기 절개라인(13c)은 완충고무(13b)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그 양단이 도어판넬(13a)에 접한다. 상기 절개라인(13c)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통해 후술된다.
한편 상기 센서(15)는 상기 완충고무(13b)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여 그 하부에서 일어나는 끼임 현상을 감지한다. 즉 상호 근접한 상태에 있는 완충고무(13b)의 사이에 외부의 물체가 끼워져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15)의 종류는 상기 기능을 하는 한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객차의 도어(13) 상부에 센서(15)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차(11)의 전방에 위치한 기관실(17) 및 후방에 위치한 차장실(19)에 신호발생부(2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15)는 신호발생부(21)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센싱한 내용을 신호발생부(21)에 즉각적으로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 각 신호발생부(21)는 센서(15)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어 센서(15)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발생부(21)에는 경고램프(21a)와 스피커(21b)가 구비된다. 상기 경고램프(21a)는 센서(15)로부터 신호를 받을 때 점등된다. 상기 경고램프(21a)의 점등 패턴은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일정시간동안 점멸하게 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21b)는 소정 음향을 발생하여 기관사나 차장이 상기 음향을 듣고 객차 도어(13)에 외부 물질이 끼어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기관사는 상기 경고램프(21a)의 깜빡거림이나 스피커(21b)에서 나오는 음향을 통해 도어(13)의 이상을 바로 바로 알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어가 닫히는 순간 급하게 내리는 승객의 백팩 버클편(도 3의 A)이 상기 완충고무(13b) 사이에 끼어져 빠지지 않는 경우 상기 센서(15) 및 신호발생부(21)를 통해 그 사실을 보고 받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승객이 상기 버클편(A)을 힘으로 당겨 빼면 상기 신호발생부(21)의 동작은 정지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의 완충고무(13b) 부위를 일부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로에 대해 대응하고 있는 완충고무(13b)의 내측면에 다수의 절개라인(13c)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절개라인(13c)은 상호 평행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절개라인(13c)은 완충고무(13b)의 내측면에 형성된 일정 깊이의 칼집으로서 외부로부터 힘을 가할 경우 절개 파열될 수 있다.
예컨대 백팩의 버클편(A)이 상기 완충고무(13b)의 사이에 물려 있을 경우, 강한 힘으로 버클편(A)을 당기면 상기 완충고무(13b)의 버클편(A)을 물고 있던 부위 상하의 절개라인(13c)이 절개되며 뜯어져 버클편(A)을 빼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충고무(13b)에 다수의 절개라인(13c)을 형성한 것은, 상기 센서(15)나 신호발생부(21)가 동작하지 않거나, 또는 기관사나 차장이 신호발생부(21)의 이상 신호를 캐치하지 못하고 전동차를 발차시킬 때를 대비한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센서를 통해 닫힌 상태의 도어에 외부의 물체가 끼어져 있는지 여부를 항상 감시하며, 또한 상기 센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신호발생부가 센서가 감지한 내용 정보를 기관사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므로 도어로부터 비롯되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의 일부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전동차 13:도어
13a:도어판넬 13b:완충고무
13c:절개라인 15:센서
17:기관실 19:차장실
21:신호발생부 21a:경고램프
21b:스피커

Claims (4)

  1. 서로에 대해 근접 및 이격하는 두 장의 도어판넬과, 상기 각 도어판넬이 만나는 각 선단부에 구비된 완충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차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폐쇄시 외부의 물체가 상기 완충고무 사이에 끼워질 경우 그 사실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와;
    상기 전동차의 기관실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소정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동차 외부의 상기 도어판넬이 만나는 위치의 연직 상부 또는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고무는 각 도어판넬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사이에 끼인 상기 외부의 물체를 물리적으로 당겼을 때 물체를 물고 있는 부위가 절개 파열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경고램프와,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KR20-2005-0002455U 2005-01-26 2005-01-26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KR200385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455U KR200385519Y1 (ko) 2005-01-26 2005-01-26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455U KR200385519Y1 (ko) 2005-01-26 2005-01-26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519Y1 true KR200385519Y1 (ko) 2005-05-31

Family

ID=4368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455U KR200385519Y1 (ko) 2005-01-26 2005-01-26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5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10B1 (ko) 2010-09-14 2012-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10B1 (ko) 2010-09-14 2012-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467B1 (ko)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KR20010000416U (ko) 자동차의 도어구조
KR200385519Y1 (ko) 전동차의 안전도어장치
WO2009107551A1 (ja) ウィンドウガラス破損検出具及び破損検出装置
CN205890813U (zh) 一种客车安全主动引导逃生系统
CN106274780A (zh) 用于车辆的安全系统及车辆
WO2008065964A1 (fr) Ensemble airbag rideaux
JP4234465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KR100858193B1 (ko) 차량의 승객 안전 경보장치
JP4586505B2 (ja) 車両衝突状態判断装置
JP2008538196A (ja) 安全システム
JPH04356245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3764253B2 (ja) 自動車の緊急脱出装置
JP3767001B2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構造
KR20040016736A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안전장치
JP2012046043A (ja) 業務用車輌における防犯装置
KR20020031941A (ko) 대형버스의 탈출장치
KR200330499Y1 (ko) 비상탈출용 망치의 위치 안내장치
KR100424745B1 (ko) 사이드도어의 충격흡수구조
KR100535795B1 (ko) 차량의 충돌사고시 차량 탑승자 보호 안전장치
KR100980912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방출 장치
KR970006825Y1 (ko) 비상시 유리 제거용 핀을 구비한 자동차의 도어
KR0133498Y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의 비산 방지 차단막
KR0135214Y1 (ko) 에어 백 작동시 창문 개방 장치
KR100411142B1 (ko) 버스의 후문 개방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