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168A - 단추형 전지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단추형 전지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168A
KR20120027168A KR1020117025327A KR20117025327A KR20120027168A KR 20120027168 A KR20120027168 A KR 20120027168A KR 1020117025327 A KR1020117025327 A KR 1020117025327A KR 20117025327 A KR20117025327 A KR 20117025327A KR 20120027168 A KR20120027168 A KR 20120027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button cell
housing
cell accord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724B1 (ko
Inventor
리차드 슈밀레
크리스토프 글로크 와그너
호르스트 바그너
Original Assignee
바르타 미크로바테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타 미크로바테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르타 미크로바테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2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전극들과 분리기를 보유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을 갖는 단추형 전지가 기재되며, 여기서,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전극, 특히 애노드 사이에 상호체결 연결이 존재한다. 덧붙여, 상기 단추형 전지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도 기재되는데, 여기서 전극 물질이 하우징 절반부(1)로 도입되며, 상기 하우징 절반부(1)의 내부 면은,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를 가짐으로써, 최종 전극과 하우징 절반부(1) 간에 상호체결 연결이 생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추형 전지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BUTTON CEL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전극과 분리기(separator)를 보유하기 위한, 복수 부분으로 이뤄진 하우징을 갖는 단추형 전지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단추형 전지의 제작에 알맞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가령, 리튬, 인듐, 또는 해당 합금)으로 만들어진 전극을 갖는 단추형 전지가 다양한 실시예에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러한 단추형 전지에서, 리튬-알루미늄 합금 또는 리튬-인듐 합금이 음(negative)의 활성 전극 물질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인터칼레이팅 물질(가령, LiMOx(여기서 M = 예를 들어 Al, Ti, Mg, Zn 또는 Cr로 도핑될 수 있는 Co, Ni 또는 Mn), 흑연, 인산철리튬(lithium iron phosphate))이 양의 활성 전극 물질로서 적합하다.
이러한 단추형 전지를 제작하기 위해, 음의 전극 물질이 대응하는 음의 하우징 절반부로 도입되고, 양의 전극 물질이 연계된 양의 하우징 절반부로 도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합한 전해질이 계량되고, 또한 적정한 경우, 분리기가 장착된 후, 밀봉재의 삽입으로, 2개의 하우징 절반부가 조립될 수 있다. 그 후, 전지는, 가령, 크림핑(crimping)에 의해, 폐쇄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추형 전지의 경우의 빈번한 문제점은 전극의 연결인데, 특히, 하우징으로의 금속성 음의 전극의 연결이다. 금속성 전극은, 언급된 음의 하우징 절반부로 직접 스탬핑되는 것, 즉, 압력을 줘서 압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하우징으로의 우수한 전기적 연결이 여전히 보장되지 않는다. 대신, 추가적인 수단으로서, 전극이 하우징 절반부 내로 스탬핑되기 전에 출력 전도체 망(mesh)이 종종 음의 하우징 절반부 내로 용접된다. 또는, 음의 전극 물질이 먼저, (가령, 전자증착을 통해) 이러한 망에 도포될 수 있으며, 그 후, 망과 함께 하우징 절반부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교대상인 기존의 단추형 전지의 경우보다, 음의 전극이 하우징에 더 효과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기술적 보조, 가령, 앞서 언급된 추가적인 출력 전도체 망 등의 기술적 보조 수단을 생략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앞서 기재된 유형의 단추형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진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단추형 전지와 청구항 13의 특징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2 내지 12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 14 및 15에 정의되어 있다. 모든 청구항의 기재들은 참조로서 상세한 설명의 포함되는 것이다.
본원의 도입부에서 언급된 단추형 전지처럼,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는 전극과 분리기를 유지하도록 기능하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단추형 전지에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라는 단추형 전지는,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전극 간에 상호체결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하우징 간의 연결이,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하우징 간 상호체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장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하우징 간에 기계적 연결이 존재하며, 2개의 연결 짝(connection partner) 중 하나의 파괴나, 적어도 변형이 없이는, 상기 기계적 연결은 해제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애노드이다. 따라서 하우징과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애노드 간에 상호체결 연결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노드는, 구체적으로 금속성 애노드이며, 특히, 앞서 언급된 바 있는 금속성 애노드이다. 금속성 리튬 또는 금속성 인듐을 함유하는 전극, 또는 이들 물질로 구성된 전극이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원칙적으로, 아연 애노드도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는 예를 들어 아연-공기 전지, 또는 리튬 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이 2개의 하우징 절반부, 구체적으로, 전지 컵과 전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 특히 애노드가, 전지 커버에 상호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지 커버는 음의 하우징 절반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된 음의 하우징 절반부를 위한 망(mesh)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경우에서 불필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는 추가적인 출력 전도체 망 없이 음의 하우징 절반부에서 음극을 가진다. 음극은 앞서 언급된 상호체결 연결을 통해 하우징으로 직접 연결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는, 내부에, 언더컷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 절반부, 구체적으로 전지 커버를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차별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경우,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전극,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애노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 뒤에서 맞물리는 방식으로, 이 오목부는 전극 물질, 특히 애노드 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하우징 간의 상호체결 연결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하우징 절반부 또는 전지 커버의 내부에 존재하는 3차원 각인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경우,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형성 공정, 특히, 각인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갖는 각인)가 하우징 절반부의 바닥의 영역,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전지 커버의 바닥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에 적합한 전지 커버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지며, 동작 중에는, 부하(load)에 의해 전류가 인출될 수 있는 단추형 전지의 극(pole)을 형성하는 이러한 커버 바닥을 항상 가진다. 일반적으로 원주 케이스 영역 및/또는 원주 에지 영역이,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이 바닥 영역과 접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케이스 영역은 원기둥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에지 영역은 컷 에지(cut edge)를 포함하며, 상기 컷 에지는, 경우에 따라,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제 2 하우징 절반부, 즉 전지 컵(cell cup)이 또한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전지 컵과 전지 커버는 밀봉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는 사출 성형된 부분 또는 필름 밀봉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업계 종사자라면 적합한 밀봉재를 잘 알 것이다.
원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어떠한 바람직한 기하학적 형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점형 오목부(punctiform recess)뿐 아니라 기다란 오목부가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에 대해 기다란 오목부가 선호되며,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구체적으로 그루브(groove)나 노치(notch)식의,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오목부이다.
원칙적으로, 하우징 절반부의 내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의 배열은 임의적이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동심으로 배열된 원형 그루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의 단면은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언더컷과 별도로) 실질적으로 장방형, 또는 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세부사항은 추후 제공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의 상부 에지를 따라 뻗어 있는 돌출부나 비드(bead)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의 이러한 돌출부 또는 비디의 영역에서의 단면은, 상기 오목부의 더 깊은 곳의 영역에 비교할 때, 협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딥-드로잉(deep-drawing)가공된 니켈-도금된 금속 시트 또는 트리메탈(trimetal)이, 하우징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해당업계 종사자라면 적합한 물질을 잘 알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의 깊이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하우징의 두께의 5% 내지 50%에 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전지 컵의 바닥 영역에서의 하우징의 최대 두께가 기준 변수가 된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의 깊이는 이 영역에서의 하우징의 두께의 5% 내지 25%에 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하우징 절반부, 특히, 하우징 커버가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있다. 이러한 하우징 절반부는 앞서 이미 기재된 바 있으며, 해당 설명을 참조하라.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최종 전극과 하우징 커버 간에 상호체결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을 생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극 물질, 구체적으로 애노드 물질이 이러한 하우징 절반부로 도입된다는 사실에 의해 차별화된다.
이는, 전극 물질을 하우징 절반부(특히 커버) 내로 가압하여 도입시킴(구체적으로 압착시킴)으로써,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물질이 언더컷 뒤에서 맞물리도록, 그리고 따라서 바람직한 상호체결 연결이 구축되도록, 압력은, 전극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언더컷 뒷부분까지 채우기에 충분히 높아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압력은 각각의 전극 물질의 속성, 구체적으로 경도(hardness)와 변형성(deformability)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비교적 연성의 리튬-인듐 합금의 경우, 매우 낮은 압력에서라도 상호체결 연결이 얻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해질로부터의 증착에 의해, 전극 물질이 하우징 절반부로 도입될 수 있다.
전극이 도입된 후, 하우징 절반부가 이에 대응하는 제 2 절반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조립되어, 단추형 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 앞부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단추형 전지는, 예를 들어, 2개의 하우징 부분을 크림핑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추형 전지가 폐쇄되기 전에, 단추형 전지의 추가적인 구성요소, 가령, 분리기 또는 적합한 전해질이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한 하우징 절반부는, 예를 들어, 각인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이러한 각인 공정은 단추형 전지를 제작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하위 단계일 수 있지만, 이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대상이기도 하다. 적합한 하우징 절반부를 제작하기 위해, 제 1 각인 펀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목부가 미가공된(unmachined) 하우징 절반부로 각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목부는, 예를 들어 사용되는 각인 펀치에 따라서, 장방형 또는 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추가 단계에서, 제 2 각인 펀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이 생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각인 펀치가 사용되어, 정확히, 각인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목부의 단면이, 특히, 오목부의 상단 에지 영역에서 단면이 협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우징 절반부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오목부를 각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오목부는, 상기 제 1 오목부의 에지(들)가 내측으로 압착되기에 충분히, 상기 제 1 오목부 가까이에 각인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오목부는, 예를 들어, 사용되는 각인 펀치에 따라, 쐐기-형 단면을 가질 수 있지만, 원칙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오목부의 단면의 기하학적 형태는 중요하지 않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오목부는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목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이러한 과정뿐 아니라, 앞서 언급된 본 발명의 이점들 및 또 다른 이점들이, 종속 청구항들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개별적 특징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설명 및 더 나은 이해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전지 커버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전지 커버를 제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및 제 2 각인 펀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전지 커버(1)의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먼저 전체적으로 도시하며(A), 그 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B 및 C). 섹션(C)은 섹션(B)에서 동그라미 친 부분에 대응하며, 섹션(B)은 전체 도시(A)에서 동그라미 친 부분에 대응한다.
전체 도시(A)는 전지 커버(1)의 전체 단면도를 나타내며, 상기 전지 커버(1)는, 외부로 뒤집힌 절단 에지(6)를 갖는 원주 에지(5)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평탄한 바닥 영역을 포함한다. 전지 커버(1)의 내부는 규칙적인 시퀀스의 오목부(2 및 4)를 가진다. 제 1 실시예에서, 오목부(2)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단면을 가지며, 오목부(4)는 실질적으로 쐐기(wedge)-형의 단면을 가진다. 쐐기-형의 오목부(4)는 각각, 2개의 이웃하는 오목부(2) 사이에 배열된다.
B와 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undercut)(3)을 갖는 오목부(2)가 확대되어 도시된다. 확대된 도시에서, 오목부(2)의 바닥이 완전히 평평한 형태를 가지지 않으며, 대신 오목부(2)의 중심 쪽으로 약간 경사져 있음이 명확해진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오목부(2)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오각형으로도 묘사될 수 있다. 언더컷(3)이 또한 잘 보일 수 있으며, 쐐기-형 오목부(4)로 인해 약간 내측으로 압착된 오목부(2)의 에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의 에지가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는 오목부(2)의 상부 에지에서 오목부의 단면을 협착시킨다. 예를 들어, 금속성 전극이, 전지 커버 바닥의 내부에 대해 가압되어 압착되는 경우, 전극 물질이 오목부(2) 내부로 침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언더컷(3) 뒤에서 맞물리는 전극이 도출되고, 전극 물질은 상호체결 방식으로 전지 뚜껑(1)에 직접 연결된다.
앞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오목부(2)가 전지 커버의 내부에 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한다, 즉, 오목부(2)가 서로 동심인 원들의 형태로 배열되며, 이때, 원형 오목부(4)는, 언더컷을 갖는 2개의 오목부(2) 사이에 배열되는 쐐기-형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오목부(2)와 오목부(4)는 그루브(groove) 형태로 된 기다란 오목부이다.
도 2는 제 1 및 제 2 각인 펀치(impressing punch)의 단면이며, 이를 이용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추형 전지 커버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펀치 각각은 주 몸체(main body)를 가지며, 각인 펀치(8)의 경우, 오목부(4)의 단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쐐기-형 돌출부(9)를 가지며, 각인 펀치(7)는 실질적으로 오각형인 돌출부(10)를 가진다. 돌출부(9 및 10) 각각은 확대되어 도시된다.
제 1 단계에서, 각인 펀치(7)가 실질적으로 오각형 또는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오목부를 전지 커버에 각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각인 펀치(8)가 쐐기-형 단면을 갖는 오목부(4)를 전지 커버에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쐐기-형 단면을 갖는 오목부 각각이, 오각형 또는 장방형 단면을 갖는 2개의 오목부 사이에 각인되는 방식으로 각인 펀치(8) 상의 쐐기-형 돌출부(9)의 크기와 반경이, 제 1 단계에서 각인된 오목부의 크기와 반경(또는 각인 펀치(7) 상의 돌출부(10)의 크기와 반경)에 맞춰진다. 각인 펀치(8)를 이용한 각인 공정 동안, 제 1 단계에서 각이된 오각형 단면을 갖는 오목부의 에지가 약간 내측으로 압착되며, 여기서, 언더컷(3)이 생성되고, 따라서, 오목부(2)의 단면이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Claims (15)

  1. 전극들과 분리기(separator)를 보유하기 위한 복수 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을 갖는 단추형 전지에 있어서,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적극, 특히, 애노드 간에 상호체결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애노드는 금속성 애노드이며, 특히 금속성 리튬 또는 금속성 아연을 함유하는 애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은 전지 컵과 전지 커버(1)를 포함하며, 애노드가, 상호체결 방식으로 전지 커버(1)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전지 커버(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undercut)(3)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는 전지 커버(1)의 내부 상의 3차원 각인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지 커버(1)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 특히, 각인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는 커버 바닥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는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오목부, 특히,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groove) 또는 노치(no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는 규칙적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는 동심으로 배열된 원형 그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는 장방형 또는 오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금속, 구체적으로, 딥-드로잉(deep-drawing)가공된 니켈 도금된 금속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12. 제 3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의 깊이는 하우징의 두께, 특히, 컵 바닥의 영역에서의 하우징의 두께의 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
  13. 단추형 전지, 특히,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단추형 전지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 절반부(1)가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 절반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3)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가 있으며, 최종 전극과 상기 하우징 절반부(1) 간에 상호체결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이 생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극 물질이 상기 하우징 절반부(1)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물질은 커버 내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15. 방법, 특히, 청구항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 절반부(1)를 제공하기 위해, 제 1 각인 펀치(7)를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목부가 미가공된 하우징 절반부로 각인되며, 추가 단계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목부에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undercut)(3)이 제공되며, 제 2 각인 펀치가 사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목부의 단면, 특히 상부 에지 영역에서의 단면이 협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목부(4)를 하우징 절반부로 각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전지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KR1020117025327A 2009-05-09 2010-03-16 단추형 전지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KR101685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0803.8 2009-05-09
DE102009020803A DE102009020803A1 (de) 2009-05-09 2009-05-09 Knopfzel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CT/EP2010/053351 WO2010130480A1 (de) 2009-05-09 2010-03-16 Knopfzel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168A true KR20120027168A (ko) 2012-03-21
KR101685724B1 KR101685724B1 (ko) 2016-12-12

Family

ID=4213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327A KR101685724B1 (ko) 2009-05-09 2010-03-16 단추형 전지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064393A1 (ko)
EP (1) EP2427927B1 (ko)
JP (1) JP5588501B2 (ko)
KR (1) KR101685724B1 (ko)
CN (1) CN102428591A (ko)
DE (1) DE102009020803A1 (ko)
WO (1) WO2010130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9123B1 (en) * 2018-01-09 2020-11-18 Renata AG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ell
CN113013524B (zh) * 2021-02-23 2023-06-20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电池外壳及电池
KR20210147636A (ko) * 2020-05-29 2021-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5194U (ko) * 1978-09-20 1980-03-24
JPS57143268A (en) * 1981-02-27 1982-09-04 Toshiba Battery Co Ltd Manufacture of organic solvent battery
JPS57202654A (en) * 1981-06-08 1982-1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lkaline battery
JPH10154515A (ja) * 1996-11-26 1998-06-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アルカリ二次電池用電極基体及び該電極基体に活物質を充填してなる電極を用いたアルカリ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2653A (en) * 1981-06-09 1982-12-11 Toshiba Battery Co Ltd Battery with organic solvent
GB2110464A (en) * 1981-11-19 1983-06-15 Metal Box Co Ltd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nent
US4617242A (en) * 1983-10-19 1986-10-14 Rayovac Corporation Organic siliconate additive for alkaline zinc electrochemical cells
US5721065A (en) * 1995-05-05 1998-02-24 Rayovac Corporation Low mercury, high discharge rate electrochemical cell
DE102005058132A1 (de) * 2005-11-30 2007-06-06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s Element mit neuartigem Gehäuse
JP2008258145A (ja) * 2007-03-15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5194U (ko) * 1978-09-20 1980-03-24
JPS57143268A (en) * 1981-02-27 1982-09-04 Toshiba Battery Co Ltd Manufacture of organic solvent battery
JPS57202654A (en) * 1981-06-08 1982-1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lkaline battery
JPH10154515A (ja) * 1996-11-26 1998-06-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アルカリ二次電池用電極基体及び該電極基体に活物質を充填してなる電極を用いたアルカリ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28591A (zh) 2012-04-25
DE102009020803A1 (de) 2010-11-11
WO2010130480A1 (de) 2010-11-18
JP2012526365A (ja) 2012-10-25
KR101685724B1 (ko) 2016-12-12
EP2427927B1 (de) 2013-06-05
US20120064393A1 (en) 2012-03-15
JP5588501B2 (ja) 2014-09-10
EP2427927A1 (de)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1062B1 (de) Elektrochemische zelle
CN100382357C (zh) 带有改良减压孔的电池组电池
US5755831A (en) Method of forming a button-type battery and a button-type battery with improved separator construction
CN1233048C (zh) 一个电化学电池外壳的制备方法
CN103582965B (zh) 连接体、连接体的制造方法、蓄电元件以及蓄电元件的制造方法
JP2009517818A (ja) 新規なハウジングを備えるガルバニ素子
JP2006147267A (ja) 密閉角形電池
CN101595579A (zh) 具有十字形孔和盖体的电池容器
WO2021033601A1 (ja) 全固体電池
KR101685724B1 (ko) 단추형 전지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KR101416520B1 (ko) 벤트 구조를 갖는 2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6001138A (en) Methods of forming battery electrodes
US11588158B2 (en) Electrochemical cell with electrode filled protrusion
CN112753121B (zh) 全固体电池
US20180301672A1 (en) Sealing body for cylindrical batteries, and cylindrical battery using same
EP4177981A1 (en) A holder for an electrode of a button battery and a battery provided therewith
JPH0155544B2 (ko)
EP4016707A1 (en) A holder for an electrode of a button battery and a battery provided therewith
EP0017436B1 (en) Hermetically sealed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5347154A (ja) コイン形リチウム一次電池
JPH11102672A (ja) 電池ケースの製造方法及び電池
RU2224336C2 (ru) Оксидно-никелевый электрод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21082562A (ja) 全固体電池
JP2002093383A (ja) 電池と電池の製造方法
JPH10321240A (ja) 筒形リチウム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