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762A - 피포장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피포장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762A
KR20120023762A KR1020117029269A KR20117029269A KR20120023762A KR 20120023762 A KR20120023762 A KR 20120023762A KR 1020117029269 A KR1020117029269 A KR 1020117029269A KR 20117029269 A KR20117029269 A KR 20117029269A KR 20120023762 A KR20120023762 A KR 20120023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article
adhesive
region
prote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193B1 (ko
Inventor
노부유키 가토
마사히로 가시와기
다츠야 다무라
나호미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12Packaged tow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보호 시트(60)는,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측면(20a)에 배치된 상태로, 보호 시트(60)의 일부가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측면(20a)에 접촉하는 보호 시트(60)의 일부와 서로 중합하는 위치까지 되접힌다. 보호 시트(60)의 단부(60a)는, 되접힌 상태로, 점착재(70)에 의해 보호 시트(60)에 점착된다. 보호 시트(60)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60b, 60c)는, 절첩된 상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보호 시트(60)의, 이면 시트(20)의 비피부측면(20a)과 대향하는 소정 위치에는, 점착재(70)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71)이 형성된다. 제2 점착 영역(71)은, 비점착 영역(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Description

피포장 흡수성 물품{PACKAGED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본체의 일부에 본체를 의류에 부착하는 점착재가 배치되고, 보호 시트에 의해 개별로 포장된 피포장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은, 개별로 포장되어 판매하는 형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중에는, 착용자의 의류에 부착하는 점착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도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할 때는, 점착재가 포장재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점착재를 보호하는 보호 시트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흡수성 물품에서는, 보호 시트가 흡수성 물품의 포장을 겸하고 있다.
보호 시트의 표면에는, 점착재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박리 가능하게 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보호 시트는 점착재가 도포된 부분, 또는 보호 시트의 단부에 설치된 점착 테이프를 가지며, 흡수성 물품이 절첩된 상태로 상기 점착재(또는 점착 테이프)가 보호 시트의 일부에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보호 시트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점착 테이프의 점착재가 보호 시트를 투과하여 흡수성 물품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재에 침투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점착재끼리가 상용(相溶)하여, 상정 이상의 점착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개봉이 어려워지거나, 개봉시에 보호 시트가 파손되어, 보호 시트를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벗기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324635호 공보(제4 페이지, 도 5, 도 8 등)
피포장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배설부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불투과성을 갖고 있고 의류와 부착하는 비피부측면에 제1 점착재가 배치되는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제1 점착재가 박리 가능한 상태로 이면 시트측에서 흡수성 물품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갖는 보호 시트를 구비한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비피부측면과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대향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보호 시트에 의해 포장된다.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비피부측면에는, 상기 제1 점착재가 배치되는 제1 점착 영역과, 상기 제1 점착재가 배치되지 않는 비점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 시트는, 제2 점착재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 및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구부려져 있고, 상기 제2 점착 영역은, 상기 비점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제2점착 영역에 의해,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비점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고정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표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이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물품을 절첩하여 보호 시트에 의해 덮는 모습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피포장 흡수성 물품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로서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로서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로서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d)는, 이면 시트에 형성되는 제1 점착 영역 및 비점착 영역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피포장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이 보호 시트에 의해 포장된 것이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처음에, 실시형태에 따른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에 내포되는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표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흡수성 물품(1)의 이면측의 평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예컨대 생리대이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 시트(10)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흡수체(30)를 갖는다.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체(30)는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 직교하는 흡수체(30)의 폭방향(W) 외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시트(41, 42)를 구비한다.
표면 시트(10)는, 착용자의 질구에 대응하는 영역(S)을 갖는다. 표면 시트(10)는, 이면 시트(2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표면 시트(10)의 길이 방향의 단부 형상은, 이면 시트(20)의 길이 방향의 단부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표면 시트(10)는, 적어도 흡수체(30)의 표면을 덮는다.
표면 시트(10)는, 부직포, 직포,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 시트, 메시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 형상의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섬유, 화학섬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연섬유의 예로서는, 분쇄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코어 시스 구조 등의 복합섬유를 들 수 있다.
부직포를 작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건식(카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에어레이드법 등) 및 습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건식법과 습식법 중, 복수의 방법을 조합시켜도 좋다. 또한 서멀본딩, 니들펀치, 케미컬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부직포를 작성하는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류교락법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스펀레이스를 표면 시트(10)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직포의 상층측에 요철을 붙인 부직포, 또는 웨브 형성시에 에어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부직포에 기본중량 불균일을 마련한 요철 부직포를 표면 시트(10)에 이용할 수도 있다.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체액이 표면 시트(10)를 투과하기 전에 표면 시트(10)의 표면에 퍼져 확산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필름,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착용시의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는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펄프를 포함한다. 친수성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상 폴리머, 섬유상 폴리머,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저비용과 흡수체의 성형 용이성을 고려하면, 분쇄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에 고분자 흡수체를 혼합한 것을 흡수체(30)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분자 흡수체는 흡수성, 흡습성이 있는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의 입상 폴리머이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에어레이드 시트여도 좋다.
사이드 시트(41, 42)는, 표면 시트(10)와 같은 재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단, 사이드 시트(41, 42)를 넘어 흡수성 물품(1) 바깥쪽으로 경혈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SMS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사이드 시트(41, 42)는, 피부와의 접촉면을 구성한다. 이 때문에 피부에의 마찰 자극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41, 42)는, 표면 시트(10)의 양측에 배치된다.
흡수성 물품(1)에서는, 표면 시트(10), 사이드 시트(41, 42), 및 이면 시트(20)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흡수체(30)가 내부에 밀봉된다.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히트엠보싱 가공, 초음파,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면 시트(20)의, 의류와 부착하는 비피부측의 표면[비피부측면(20a)이라고도 함]에는, 의류와 점착하는 점착재(50)가 배치되는 제1 점착 영역(51)과, 점착재(50)가 배치되지 않는 비점착 영역(52)이 형성된다. 제1 점착 영역(51)은,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의 양측부에,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비점착 영역(52)은, 표면 시트(10)의 영역(S)에 대응하는 이면 시트(20)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에,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조공정에서, 흡수성 물품(1)을 길이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경우에는, 제1 점착 영역(51)과 비점착 영역(52)을 이러한 형태로 하면, 흡수성 물품(1)의 제조상, 유효성이 높다.
점착재(50)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인 스티렌계 블록 폴리머, 가소성 수지인 파라핀계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블록 폴리머에 점착을 부여하기 위한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컨대 합성수지, 천연수지를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블록 폴리머로서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블록 폴리머는, 스티렌 부분의 분자량이 5000?2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부분을 포함한 전체의 분자량 중 스티렌 부분의 분자량이 10%?35%인 스티렌계 블록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 이용하는 합성수지에는, 지방족계 석유수지, 방향족계 석유수지, 공중합 석유수지, 수소 첨가 석유수지, DCPD계 석유수지, 퓨어 모노머계 석유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수지로서는, α피넨, β피넨 또는 디펜텐과의 공중합체인 테르펜계 수지, 검 로진, 톨유 로진 또는 우드 로진 등의 로진계 수지, 또는 이들의 수소 첨가물이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소성 재료로서는, 점도를 내리기 위한 파라핀 오일계, 점착성을 높이는 나프텐 오일, 응집력을 내리거나 색이나 냄새를 부여하기 위한 아로마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재(50)의 도포량은 10 g/m2?100 g/m2이며, 바람직하게는 20 g/m2?50 g/m2이다. 도포량이 10 g/m2 이하이면, 흡수성 물품(1)을 의류에 부착할 때의 점착력이 약하여, 탈락, 어긋남 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100 g/m2 이상이면, 점착력이 너무 높아, 의류로부터 흡수성 물품(1)을 벗기는 처리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의 절첩 구조)
도 3은, 흡수성 물품(1)을 절첩하여 보호 시트(60)에 의해 덮는 모습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 영역(C1) 근방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여기서 선 A-A는, 후술하는 보호 시트(60)의 단부(60a)의, 점착재(70)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71)을 통과하는 가상선이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은, 흡수성 물품(1)과 보호 시트(60)를 구비하고, 흡수성 물품(1)이 보호 시트(60)에 의해 개별로 포장된 것이다. 보호 시트(60)는, 흡수성 물품(1)의 이면 시트측에서 흡수성 물품(1)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갖는다. 보호 시트(60)에서, 대향면[처리면(60d)이라고도 함]의 전면에는, 점착재를 박리 가능하게 하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 표면에도 마찬가지로, 점착재를 박리 가능하게 하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및 이들로부터를 복합하여 형성되는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보호 시트(60)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보호 시트(60)는, 두께 5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재를 박리 가능하게 하는 가공 방법으로서는, 처리면(60d)의 전면에 박리 처리제를 도포하여, 가열?건조하는 방법, 또는 스프레이에 의해 처리면(60d)의 전면에 박리 처리제를 분무하는 것에 의해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박리 처리제로서,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처리면(60d)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가공을 실시하여도 좋다. 처리면(60d)과 점착재와의 접촉 면적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박리가 용이해진다.
흡수성 물품(1)은, 소정의 접는 위치(L1, L2)에서, 표면 시트(10)를 내측으로 하여 절첩한다. 보호 시트(60)의 단부(60a)의,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측면(20a)과 대향하는 소정의 위치에는, 점착재(70)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71)이 형성된다. 보호 시트(60)는, 점착재(70)에 의해, 보호 시트(60)의 일부와 부착된다.
점착재(70)는, 제2 점착 영역(71)의 표면에 균일한 도포량으로 도포된다. 점착재(70)는, 고무계의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의 엘라스토머,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주체로 한 핫멜트형 접착재이다. 점착재(70)는, 점착재(50)와 동일하여도 좋다.
보호 시트(60) 및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를 내측으로 하여 구부려져 있고, 제2 점착 영역(71)은, 비점착 영역(52)에 대응하는 영역과 중첩된다. 보호 시트(60)의 일부분은,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측면(20a)에 접촉하는 보호 시트(60)의 다른 일부분과 서로 중합하는 위치까지 되접힌다(도 4 참조). 보호 시트(60)의 단부(60a)는, 되접힌 상태로, 점착재(70)에 의해 보호 시트(60)에 점착된다. 보호 시트(60)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60b, 60c)는, 절첩된 상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이 형성된다.
도 5에,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시트(60)의, 이면 시트(20)의 비피부측면(20a)과 대향하는 소정의 위치에는, 점착재(70)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71)이 형성된다. 보호 시트(60)는, 제2 점착 영역(71)에 의해, 보호 시트(60)의 비점착 영역(52)에 대응하는 영역에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에서는, 보호 시트(6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점착 영역(71)은, 이면 시트(20)의 비피부측면(20a)에 형성되는 비점착 영역(52)과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제2 점착 영역(71)에 배치되는 점착재(70)가 보호 시트(60)를 투과했다고 해도, 이면 시트(20)의 비피부측면(20a)에 배치되는 점착재(50)와의 상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점착재(50)가 보호 시트(60)를 투과했다고 해도, 제2 점착 영역(71)에 배치되는 점착재(70)와의 상용을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 시트(60)를 고정하는 점착재(70)와 보호 시트(60) 사이에 상정 이상의 점착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이 개봉될 때에 보호 시트(60)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 기간 또는 보관 환경의 온도 변화 등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항상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비점착 영역(52)은, 표면 시트(10)의 영역(S)에 대응하는 이면 시트(20)의 중앙 영역에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1)에서는, 중앙 영역이 의류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 흡수성 물품(1)의 중앙 부분이 의류로부터 뜨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표면 시트(10)의 영역(S)이 피부측에 근접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피부(질구)에 대한 피트성이 높아진다.
(보호 시트의 부착 방법의 변형예)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101)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101)의 중앙 영역(C2) 근방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과 같은 구성은,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선 B-B는 후술하는 보호 시트(60)의 단부(60a) 아래에 위치하는 보호 시트(60)에 점착 테이프(80)가 부착되는 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선이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101)은, 점착 테이프(80)를 구비한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101)에서는, 보호 시트(60)의 단부(60a)는, 점착 테이프(80)에 의해 보호 시트(60)의 일부와 부착된다. 점착 테이프(80)는, 기재로서의 필름(81)과, 점착재(82)로 형성된다. 필름(81)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단층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복수 종류의 수지 필름이 라미네이트 가공된 다층 필름이어도 좋다. 필름(81)의 두께는, 10 ㎛?100 ㎛이며, 바람직하게는, 40 ㎛?60 ㎛이다.
점착재(82)는, 필름(81) 표면에 균일한 도포량으로 도포된다. 점착재(82)는, 고무계의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의 엘라스토머,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주체로 한 핫멜트형의 접착재이다. 점착재(82)는, 점착재(50, 70)와 동일하여도 좋다.
본 변형예에서는, 점착 테이프(80)는, 이면 시트(20)에 형성된 비점착 영역(52)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기 때문에, 점착재(82)가 보호 시트(60)를 투과했다고 해도, 이면 시트(20)의 비피부측면(20a)에 배치되는 점착재(50)와의 상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점착재(50)가 보호 시트(60)를 투과했다고 해도, 점착 테이프(80)에 배치되는 점착재(82)와의 상용을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 시트(60)를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80)의 점착재(82)와 보호 시트(60) 사이에 상정 이상의 점착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포장 흡수성 물품(101)이 개봉될 때에 보호 시트(60)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 기간 또는 보관 환경의 온도 변화 등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항상 피포장 흡수성 물품(101)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102)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102)의 중앙 영역(C3) 근방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 101)과 같은 구성은,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 선 C-C는 후술의 보호 시트(60)의 단부(60a)의, 점착재(70)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71)을 통과하는 가상선이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102)은, 박리 시트(90)를 구비한다. 박리 시트(90)는 보호 시트(6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된다. 박리 시트(90)는, 한쪽 표면에, 점착재를 박리 가능하게 하는 가공이 실시된 시트이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102)에서는, 보호 시트(60)의 단부(60a)의,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측면(20a)과 대향하는 소정의 위치에는, 점착재(70)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71)이 형성된다. 보호 시트(60)는, 점착재(70)에 의해, 보호 시트(60)의 일부와 부착된다. 보호 시트(60)와 박리 시트(90)는 핫멜트형 접착재 등의 점착재(91)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다. 박리 시트(90)의 비피부측면에는, 점착재(91)가 배치되는 박리 시트측 점착 영역(92)과, 점착재(91)가 배치되지 않는 박리 시트측 비점착 영역(93)이 형성된다. 보호 시트(60)는, 제2 점착 영역(71)에 의해, 박리 시트측 비점착 영역(93)에 대응하는 영역에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피포장 흡수성 물품(102)에서는, 보호 시트(60)의 단부(60a)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점착 영역(71)은, 박리 시트(90)의 비피부측면에 형성되는 박리 시트측 비점착 영역(93)과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제2 점착 영역(71)에 배치되는 점착재(70)가 보호 시트(60)를 투과했다고 해도, 박리 시트(90)에 배치되는 점착재(91)와의 상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점착재(91)가 보호 시트(60)를 투과했다고 해도, 제2 점착 영역(71)에 배치되는 점착재(70)와의 상용을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 시트(60)를 고정하는 점착재(70)와 보호 시트(60) 사이에 상정 이상의 점착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포장 흡수성 물품(102)이 개봉될 때에 보호 시트(60)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 기간 또는 보관 환경의 온도 변화 등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항상 피포장 흡수성 물품(102)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103)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103)의 중앙 영역(C4) 근방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피포장 흡수성 물품(100, 101, 102)과 같은 구성은,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 선 D-D는 후술하는 보호 시트(60)의 단부(60a) 아래에 위치하는 보호 시트(60)에 점착 테이프(80)가 부착되는 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선이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103)은, 박리 시트(90)를 구비한다. 피포장 흡수성 물품(103)에서는, 보호 시트(60)의 단부(60a)는 점착 테이프(80)에 의해 보호 시트(60)의 일부와 부착된다. 보호 시트(60)와 박리 시트(90)는 핫멜트형 접착재 등의 점착재(91)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다.
박리 시트(90)의 비피부측면에는, 점착재(91)가 배치되는 박리 시트측 점착 영역(92)과, 점착재(91)가 배치되지 않는 박리 시트측 비점착 영역(93)이 형성된다. 보호 시트(60)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103)이 박리 시트(9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보호 시트(60)의 표면에, 점착재를 박리 가능하게 하는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좋다.
본 변형예에서는, 점착 테이프(80)는, 박리 시트측 비점착 영역(93)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기 때문에, 점착재(82)가 보호 시트(60)를 투과하여도, 점착재(82)와 점착재(91)의 상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점착재(91)가 보호 시트(60)를 투과했다고 해도, 점착 테이프(80)에 배치되는 점착재(82)와의 상용을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 시트(60)를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80)의 점착재(82)와 박리 시트(90) 사이에 상정 이상의 점착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90)와 보호 시트(60) 사이에 상정 이상의 점착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포장 흡수성 물품(103)이 개봉될 때에 보호 시트(60)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 기간 또는 보관 환경의 온도 변화등 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항상 피포장 흡수성 물품(103)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이면 시트에 형성되는 비점착 영역의 변형예)
도 12(a) 내지 (d)는, 이면 시트(20)에 형성되는 제1 점착 영역 및 비점착 영역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흡수성 물품의 이면측 평면도이다.
도 12(a)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이면 시트(20)의 대략 전역에 제1 점착 영역(51a)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 시트(60)의 단부(60a)에 형성되는 제2 점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비점착 영역(52a)이 형성된다.
도 12(b)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제1 점착 영역(51b)은,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 형성된다. 비점착 영역(52b)은 보호 시트(60)의 단부(60a)에 형성되는 제2 점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즉, 복수 중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 점착 영역(51b)이 다른 제1 점착 영역(51b)보다 짧다.
도 12(c)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이면 시트(20)의 양단부를 제외하는 중앙 영역 근방에 제1 점착 영역(51c)이 형성된다. 제1 점착 영역(51c)은,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을 따라 도포된다. 양단부에 점착재(50)를 도공하지 않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비점착 영역(52c)이 형성된다. 제조공정에서, 흡수성 물품(1)을 폭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경우에는, 제1 점착 영역(51c)과 비점착 영역(52c)을 이러한 형태로 하면, 흡수성 물품(1)의 제조상, 유효성이 높다.
도 12(d)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제1 점착 영역(51d)은,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을 따라 도공된다. 도 12(d)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 의류와 충분히 부착할 수 없기 때문, 비점착 영역(52d)의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의 양측 부분에도 제1 점착 영역(51d)을 도포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실시형태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실시형태는, 소위 라이너, 실금용품(실금 패드라고 함)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중앙 영역의 폭방향 외측에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측으로의 체액의 누설을 방지하는 샘 방지부(소위 개더)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날개부는, 예컨대 표면 시트 위로 절첩된다. 흡수성 물품은 날개부가 절첩된 상태로 소정의 접는 위치에서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절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을 2지점의 접는 위치(L1, L2)에서 절첩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을 절첩하는 횟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둘로 접어도 좋고, 셋 이상으로 접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이 길이 방향으로 권취되는 상태(즉, 접는 선이 없음)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시트(60)에 배치되는 점착재(70)와 박리 시트(90)에 배치되는 점착재(91)는, 보호 시트(60)를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점착재(70), 점착재(91)가 배치되는 영역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점착재(70), 이면 시트(20)에 배치되는 점착재(50) 및 박리 시트에 배치되는 점착재(91)가 보호 시트(60) 및 박리 시트(90)를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흡수성 물품을 개봉할 때에 보다 점착재끼리의 상용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박리 시트(90)는 제1 점착 영역(51)에 배치되는 점착재(50)를 덮을 수 있는 사이즈이면 좋고,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사이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는,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는 여러 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실시형태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기술적 특징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봉이 용이하고 개봉시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착용자의 배설부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불투과성을 갖고 있고 의류와 부착하는 비피부측면에 제1 점착재가 배치되는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제1 점착재가 박리 가능한 상태로 이면 시트측에서 흡수성 물품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갖는 보호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비피부측면과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대향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보호 시트에 의해 포장된 피포장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비피부측면에는,
    상기 제1 점착재가 배치되는 제1 점착 영역과,
    상기 제1 점착재가 배치되지 않는 비점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 시트는, 제2 점착재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 및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구부려져 있고, 상기 제2 점착 영역은, 상기 비점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제2 점착 영역에 의해,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비점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고정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착 영역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의 중앙 영역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점착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표면에 상기 제2 점착재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상기 비점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
  4. 착용자의 배설부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불투과성을 갖고 있고 의류와 부착하는 비피부측면에 제1 점착재가 배치되는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제1 점착재가 박리 가능한 상태로 이면 시트측에서 흡수성 물품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갖는 박리 시트와,
    상기 박리 시트의 비피부측면에 배치되는 보호 시트
    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비피부측면과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대향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보호 시트에 의해 포장된 피포장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비피부측면에는,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보호 시트를 접착하는 박리 시트 점착재가 배치되는 박리 시트측 제1 점착 영역과,
    상기 박리 시트 점착재가 배치되지 않는 박리 시트측 비점착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 시트는, 제2 점착재가 배치되는 제2 점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 및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구부려져 있고, 상기 제2 점착 영역은, 상기 박리 시트측 비점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박리 시트측 비점착 영역에서 상기 제2 점착 영역에 의해 상기 보호 시트에 고정되는 피포장 흡수성 물품.
KR1020117029269A 2009-05-14 2010-05-13 피포장 흡수성 물품 KR101730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8102A JP5443051B2 (ja) 2009-05-14 2009-05-14 被包装吸収性物品
JPJP-P-2009-118102 2009-05-14
PCT/JP2010/058114 WO2010131711A1 (ja) 2009-05-14 2010-05-13 被包装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762A true KR20120023762A (ko) 2012-03-13
KR101730193B1 KR101730193B1 (ko) 2017-05-11

Family

ID=4308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269A KR101730193B1 (ko) 2009-05-14 2010-05-13 피포장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20123378A1 (ko)
EP (1) EP2431012A4 (ko)
JP (1) JP5443051B2 (ko)
KR (1) KR101730193B1 (ko)
CN (1) CN102421401B (ko)
AR (1) AR076574A1 (ko)
AU (1) AU2010248435B2 (ko)
BR (1) BRPI1007754A2 (ko)
EA (1) EA201101617A1 (ko)
TW (1) TWI500414B (ko)
WO (1) WO2010131711A1 (ko)
ZA (1) ZA2011084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4375B2 (en) * 2012-12-27 2019-06-18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film, and method for forming resist pattern
JP6310252B2 (ja) * 2013-12-26 2018-04-11 大王製紙株式会社 個装吸収性物品
JP6396057B2 (ja) * 2014-03-31 2018-09-26 小林製薬株式会社 体液吸収シート
EA033233B1 (ru) * 2014-10-03 2019-09-30 Одзи Холдингз Корпорейшн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CN108883001A (zh) * 2016-03-18 2018-11-23 山田菊夫 吸收性物品
JP7125870B2 (ja) * 2018-07-02 2022-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包装体
JP7209422B2 (ja) * 2018-12-14 2023-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包装体
JP7090543B2 (ja) * 2018-12-28 2022-06-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828Y2 (ko) * 1988-08-05 1992-08-19
JP3149158B2 (ja) 1995-03-28 2001-03-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JPH1147187A (ja) * 1997-08-01 1999-02-23 Daio Paper Corp 個装吸収性物品
JP2000079963A (ja) * 1998-09-03 2000-03-21 Shiseido Co Ltd 吸収性物品の個別包装
JP2001198160A (ja) * 2000-01-21 2001-07-24 Uni Charm Corp 水解性の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6670B2 (ja) * 2001-09-25 2011-01-05 大王製紙株式会社 個装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個装方法
US8211074B2 (en) * 2002-02-22 2012-07-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undergarment fastener adhesive having improved adhesive pattern
JP4762085B2 (ja) * 2006-08-30 2011-08-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48435B2 (en) 2015-10-29
AR076574A1 (es) 2011-06-22
WO2010131711A1 (ja) 2010-11-18
US20120123378A1 (en) 2012-05-17
EA201101617A1 (ru) 2012-06-29
KR101730193B1 (ko) 2017-05-11
AU2010248435A1 (en) 2012-01-19
BRPI1007754A2 (pt) 2019-04-02
ZA201108480B (en) 2012-07-25
TWI500414B (zh) 2015-09-21
CN102421401B (zh) 2015-05-20
JP2010264078A (ja) 2010-11-25
TW201043204A (en) 2010-12-16
JP5443051B2 (ja) 2014-03-19
CN102421401A (zh) 2012-04-18
EP2431012A4 (en) 2013-01-09
EP2431012A1 (en)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5878B (zh) 吸收性物品
KR20120023762A (ko) 피포장 흡수성 물품
KR101013923B1 (ko) 생리용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N101999964B (zh) 独立包装的吸收性制品
US20100312206A1 (en) Absorber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A2446021A1 (en) Interlabial product having form for finger securement, and individual package
JP5755920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
KR102283401B1 (ko)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JP6169413B2 (ja) 吸収性物品
JP5475353B2 (ja) 被包装吸収性物品
CN101999965B (zh) 独立包装的吸收性制品
JP6591833B2 (ja) 吸収性物品
JP5486786B2 (ja) 個装吸収性物品
WO2010143620A1 (ja) 吸収性物品
KR101166593B1 (ko) 음순간 패드
JP5486787B2 (ja) 個装吸収性物品
JP2018015463A (ja) 吸収性物品
JP5475333B2 (ja) 吸収性製品
EP4129254A1 (en)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JP2023030348A (ja) 個装吸収性物品
JP2018015217A (ja) 吸収性物品
JP2021045321A (ja) 個装吸収性物品
JP2011229663A (ja) 吸収性物品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