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553A - 다층필름 - Google Patents

다층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553A
KR20120023553A KR1020110077928A KR20110077928A KR20120023553A KR 20120023553 A KR20120023553 A KR 20120023553A KR 1020110077928 A KR1020110077928 A KR 1020110077928A KR 20110077928 A KR20110077928 A KR 20110077928A KR 20120023553 A KR20120023553 A KR 20120023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layer film
resin composition
polylactic acid
aliphatic polycarbonate
acid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665B1 (ko
Inventor
전민호
유지은
최문정
정광진
옥명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218,220 priority Critical patent/US8568636B2/en
Priority to TW100130651A priority patent/TW201210820A/zh
Priority to CA2807333A priority patent/CA2807333A1/en
Priority to EP11822104.3A priority patent/EP2611610A4/en
Priority to CN201180042128.9A priority patent/CN103153612B/zh
Priority to PCT/KR2011/006381 priority patent/WO2012030129A2/en
Priority to JP2013527008A priority patent/JP2013540612A/ja
Publication of KR2012002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553A/ko
Priority to US14/046,239 priority patent/US201400379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0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plasticising zone, e.g. by heating cylinders
    • B29C48/83Heating or cooling the cylinders
    • B29C48/832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과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을 적층한 다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별도의 접착제층이 없이도 접착성이 우수한 다층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필름{Multilayer film}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공압출한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산소차단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나, 낮은 Tg로 인해 단독필름으로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다른 수지와 적층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PE, PP등 다른종류의 수지와 적층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수지를 접착시킬 수 있는 적정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Lamination 하거나 공압출 하는 경우는 두 수지를 붙여 줄 수 있는 tie layer용 수지가 필요하다.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생분해성 및 그 고유한 물성으로 인해 필름, 시트, 섬유 등 여러 용도로 사용 중이나 산소투과도가 커서 산폐의 방지가 필요한 포장분야에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공압출에 의해 적층시키는 기술은 개발된 적이 없었다.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공압출함으로써 계면간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별도의 접착제나 타이 레이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다층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이용한 성형체 대비 우수한 산소차단성, 저온열접착성 및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접착제나 타이(tie) 층이 필요 없으므로 원재료 비용이 절감되고 층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성형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체, 즉 필름(film)이나 시트(sheet)를 일정온도에서 한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연신한 수축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적층한 성형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또는 필름형태의 다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공압출하는 경우, 접착제나 타이(tie)층이 없어도 두 층이 잘 붙고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사실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다층구조로 적층하여 사용하면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단독 대비 산소차단성, 저온 열접착성(Heat Seal) 및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때 접착제나 tie수지가 필요 없으므로 원재료 비용이 절감되고 층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렇게 성형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적층구조로 된 성형체, 즉 필름(film)이나 시트(sheet)를 일정온도에서 한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연신하면 일정온도 이상에서 수축이 일어나는 특성을 확인하여 수축필름 용도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과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이 적층되며,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다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10)과 이의 일면에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이 적층된 2층 구조의 필름 또는 시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10)과 이의 양면에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이 적층된 3층 구조의 필름 또는 시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과 이의 양면에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층(10)이 적층된 3층 구조의 필름 또는 시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10)/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10)/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이 적층된 4층 구조의 필름 또는 시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10)/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10)/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10)이 적층된 5층 구조의 필름 또는 시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10)/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10)/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20)이 적층된 5층 구조의 필름 또는 시트이다.
그러나 이러한 양태들은 본 발명의 구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층 이상의 구조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각 다층필름의 외층에는 슬립성 부여 및 블록킹의 방지를 위해 슬립제, 블록킹방지제 등 적정한 첨가제를 추가로 도입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적층은 공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간의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공압출에 의해 적층함으로써 접착제층 또는 타이 레이어가 없이도 접착성이 우수한 다층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다층필름을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여 수축필름으로 사용 가능한 다층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은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후, 70 ~ 100 ℃ 온수조에서 30초간 침적시켰을 때의 연신방향으로의 수축율이 5 ~ 70%로서 수축필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이산화탄소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반응시킨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머(copolymer) 또는 터폴리머(terpolymer)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에폭사이드화합물은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킬렌 옥사이드;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알콕시,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는 구체적으로 알킬옥시, 아릴옥시, 아르알킬(aralkyl)옥시 등이 있고, 상기 아릴옥시는 페녹시, 바이페닐옥시, 나프틸옥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알킬 및 아릴은 할로겐 원소 또는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텐 옥사이드, 펜텐 옥사이드, 헥센 옥사이드, 옥텐 옥사이드, 데센 옥사이드, 도데센 옥사이드, 테트라데센 옥사이드, 헥사데센 옥사이드, 옥타데센 옥사이드, 부타디엔 모녹사이드, 1,2-에폭사이드-7-옥텐, 에피플루오로하이드린,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아이소프로필 글리시딜 에테르,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t-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펜텐 옥사이드, 사이클로헥센 옥사이드, 사이클로옥텐 옥사이드, 사이클로도데센 옥사이드, 알파-파이넨 옥사이드, 2,3-에폭사이드노보넨, 리모넨 옥사이드, 디엘드린(Dieldrine), 2,3-에폭사이드프로필벤젠, 스타이렌 옥사이드, 페닐프로필렌 옥사이드, 스틸벤 옥사이드, 클로로스틸벤 옥사이드, 디클로로스틸벤 옥사이드, 1,2-에폭시-3-페녹시프로판, 벤질옥시메틸 옥시란, 글리시딜-메틸페닐 에테르, 클로로페닐-2,3-에폭사이드프로필 에테르, 에폭시프로필 메톡시페닐 에테르 바이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나프틸 에테르 등이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머 또는 터폴리머를 중합하는 방법으로는 용액중합 또는 벌크중합이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용매를 반응 매질로 사용하여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과 촉매 존재하에 이산화탄소를 투입하여 중합한다. 상기 용매로는 펜탄, 옥탄, 데칸 및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클로로메탄,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1,1-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에탄, 에틸클로라이드, 트리클로로에탄, 1-클로로프로판, 2-클로로프로판, 1-클로로부탄, 2-클로로부탄, 1-클로로-2-메틸프로판, 클로로벤젠 및 브로모벤젠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중 단독 또는 2 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압력은 상압에서 100 기압까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5기압 내지 30기압이 적당하다. 상기 공중합 반응 시 중합 온도는 20 ~ 120℃까지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50 ~ 90℃가 적당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자체를 용매로 사용하는 벌크중합을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머(copolymer)는 유리전이온도(Tg)가 0 ~ 40℃이고, 터폴리머는 유리전이온도(Tg)가 0 ~ 110 ℃인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5만 ~ 50만 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유속 MI(ASTM D-1238, 150℃, 5kg)는 0.1~200g/10분, 바람직하기로는 1~50g/10분이며, 분자량분포(Mw/Mn)는 1.3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MI가 너무 높을 경우 압출안정성 및 층형성이 불안정해지며 연신균일성이 떨어지며 MI가 너무 낮을 경우 압출부하의 과다로 압출속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자량분포는 넓을수록 다이에서 토출되는 폴리머의 용융물(Melt Curtain)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며 압출부하가 낮아져서 압출속도를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산소차단성이 우수하고 수축특성을 조정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L-락트산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락트산계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락트산 함량이 80 중량% 미만일 경우는 내열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는 NatureWorks사의 PLA Polymer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각각 수지조성물로 제조하여 공압출한다. 이때 상기 수지조성물은 마스터배치 펠렛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수지조성물은 안료, 염료, 충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차단제, 대전방지제, 블록킹 방지제, 슬립제(slip agent) 등의 필름 또는 시트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층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층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a)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제 1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 2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1 수지조성물 및 제 2 수지조성물을 용융한 후 티다이, 블로운 또는 튜블러 타입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c) 단계 후, d)상기 공압출된 시트를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압출 시 바람직한 용융온도범위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120℃ ~ 21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압출하고,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180℃ ~ 250℃로 티다이, 블로운 또는 튜블러 타입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한다. 상기 온도범위보다 용융온도가 낮을시는 층간접착력이 떨어지며 상기온도범위보다 높을 시는 과도한 열분해가 일어나서 시트에 열분해 산물로 인한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출 시 다이의 형태를 조절하여 두 층 이상으로 적층할 수 있으며, 그 층수에는 제한이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의 2층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제 2 수지조성물/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의 3층, 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제 1 수지조성물의 3층, 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의 4층, 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제 1 수지조성물의 5층, 제 2 수지조성물/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의 5층 으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신은 60 ~ 90℃에서 2 ~ 6배 연신함으로써 수축성을 갖는 수축필름으로 적용가능한 다층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신은 롤연신 또는 텐터연신이 가능하며, 동시이축연신 또는 축차이축연신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연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은 접착제나 타이 레이어 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각 수지의 우수한 접착성으로 인해 물성이 더욱 향상된 다층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을 일축 또는 이축으로 연신함으로써 수축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은 포장재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층필름의 단면을 측정한 SEM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다층필름의 단면을 측정한 SEM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층 구조의 다층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층 구조의 다층필름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층 구조의 다층필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4층 구조의 다층필름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의 다층필름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의 다층필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물성을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중량평균분자량
용매 THF(TetraHydorFuran)를 사용하는 Ger Permeability 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다.(상온 GPC, Agilent 1200 HPLC)
2. 필름 두께
다층 필름의 여러 포인트의 두께를 측정(TOYOSEIKI Thickness Meter Model: B-1)하고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3. 박리여부
다층필름을 필름 폭 5 cm, 길이 20 cm 크기로 자른 후 필름의 양쪽 면에 필름 폭이 모두 포함되며 길이방향으로 5cm가 되도록 접착테이프를 붙인 후 필름 면에 수직방향으로 접착테이프를 양쪽으로 당기며 박리여부를 관찰하여 3회까지 박리되지 않는 경우 박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4. 인장강도,신율
Universal Testing Machine(INSTRON 4301)을 이용하여 ASTM D-638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5. 헤이즈
다층필름을 필름 폭 7 cm, 길이 7 cm 크기로 잘라 탁도를 2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치를 사용하였다.(Haze Meter 300A, NIPPON DENSHOKU)
6. 산소투과도
MOCON OX-TRAN 장비를 이용하여 산소투과도(Oxygen Permeablilty)를 측정하였다.(Model 2161)
7. 수분투과도
MOCON PERMATRAN-W 장비를 이용하여 수분투과도(Water Vaper Permeablilty)를
측정하였다.(Model 3133)
8. 필름수축율
연신한 다층필름을 필름 폭 6 cm, 길이 6 cm 크기로 잘라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수조에 일정시간(30초) 정치한 후 길이변화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이 18만인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PPC, SK Energy사 제조, 프로필렌옥사이드와 사이클로헥센옥사이드 및 이산화탄소를 반응시킨 터폴리머)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 Natureworks사의 PLA 4032D를 각각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시킨 후, 티다이를 통하여 공압출하여, PLA/PPC/PLA의 3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공압출 시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는 압출기 온도를 140℃(Cylinder 1)- 170℃(Cylinder 2) - 180℃(Cylinder 3) - 180℃(Die)로 용융압출하였으며,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압출기 온도를 180℃(Cylinder 1)- 180℃(Cylinder 2) - 200℃(Cylinder 3) - 200℃(Die) 로 용융압출 하였다.
제조된 다층필름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68.1㎛이었다.(도 1 참조)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공압출 시 각 층의 두께를 50㎛/80㎛/60㎛으로 조절하였으며, 제조된 시트를 이축연신기에서 85℃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3ⅹ3배 연신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연신비율을 3x4배 연신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미연신 필름에 비하여 이축 연신된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헤이즈가 낮아져 투명성이 증가되며,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는 연신된 필름의 두께에 반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두께의 시트를 제조한 후,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신비율, 연신온도를 조절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을 70 ~ 100 ℃ 온수조에서 30초간 침적시켜 각 필름의 수축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축 연신한 경우 일축 연신한 경우에 비하여 수축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일한 연신비율에서 연신온도가 낮을 수록 수축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장비 및 수지를 사용하여 PPC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Sheet를 제조하였으며 각층의 두께는 PLA/PPC/PLA = 14㎛/142㎛/21㎛, 총 두께는 176 ㎛ 였다. (도 2 참조) 이렇게 제조된 필름을 각각 연신온도 60, 70℃에서 일축 연신하였으며 연신된 Film을 각각 70,80,90℃의 온수조에서 30초간 침적시켜 각 필름의 수축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PPC층의 두께를 늘렸을 때 전체적으로 수축률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하게 연신온도는 낮을수록 수축률이 커지며 수축온도는 높을 때 수축률이 커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장비 및 수지를 사용하여 PLA/PPC/PLA/PPC/PLA의 5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공압출 시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는 압출기 온도를 140℃(Cylinder 1)- 170℃(Cylinder 2) - 180℃(Cylinder 3) - 180℃(Die)로 용융압출하였으며,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압출기 온도를 180℃(Cylinder 1)- 180℃(Cylinder 2) - 200℃(Cylinder 3) - 200℃(Die) 로 용융압출 하였다.
제조된 다층필름의 두께는 105㎛(20.5㎛/18.2㎛/20.2㎛/19.1㎛/21.2㎛) 이었으며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4
상기 실시예1과 실시예6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PPC의 다층 적층에 의해 PPC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산소차단성과 수분차단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인장강도도 증가하였다.

Claims (16)

  1.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과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이 적층되며,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다층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적층되는 것인 다층필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 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120℃~210℃에서 용융압출하고,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180℃~250℃에서 용융한 후, 티다이, 블로운 또는 튜블러 타입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는 것인 다층필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은 60 ~ 90℃에서 2 ~ 6배로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한 것인 다층필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은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후, 70 ~ 100 ℃ 온수조에서 30초간 침적시켰을 때의 수축율이 5 ~ 60%인 다층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층이 적층된 것인 다층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킬렌 옥사이드;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알콕시,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반응시킨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머(copolymer) 또는 터폴리머(terpolymer)인 다층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머(copolymer)는 유리전이온도(Tg)가 0 ~ 40℃이고, 터폴리머는 유리전이온도(Tg)가 0 ~ 110 ℃인 다층필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인 다층필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L-락트산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다층필름.
  11. a)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제 1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 2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1 수지조성물 및 제 2 수지조성물을 용융한 후 티다이, 블로운 또는 튜블러 타입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 시 제 1 수지조성물과 제 2 수지조성물이 2층 이상 적층되도록 하는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d)상기 공압출된 시트를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 시 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의 2층 또는 제 2 수지조성물/제 1 수지조성물/제 2 수지조성물의 3층으로 적층하는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 시 제 1 수지조성물은 120℃~210℃에서 용융압출하고, 제 2 수지조성물은 180℃~250℃에서 용융압출 하는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60 ~ 90℃에서 2 ~ 6배로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는 것인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10077928A 2010-09-03 2011-08-04 다층필름 KR101383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18,220 US8568636B2 (en) 2010-09-03 2011-08-25 Multilayer film
TW100130651A TW201210820A (en) 2010-09-03 2011-08-26 Multilayer film
CA2807333A CA2807333A1 (en) 2010-09-03 2011-08-30 Multilayer film
EP11822104.3A EP2611610A4 (en) 2010-09-03 2011-08-30 MULTILAYER FILM
CN201180042128.9A CN103153612B (zh) 2010-09-03 2011-08-30 多层膜
PCT/KR2011/006381 WO2012030129A2 (en) 2010-09-03 2011-08-30 Multilayer film
JP2013527008A JP2013540612A (ja) 2010-09-03 2011-08-30 多層フィルム
US14/046,239 US20140037965A1 (en) 2010-09-03 2013-10-04 "Multilayer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6276 2010-09-03
KR1020100086276 2010-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553A true KR20120023553A (ko) 2012-03-13
KR101383665B1 KR101383665B1 (ko) 2014-04-09

Family

ID=4613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928A KR101383665B1 (ko) 2010-09-03 2011-08-04 다층필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568636B2 (ko)
EP (1) EP2611610A4 (ko)
JP (1) JP2013540612A (ko)
KR (1) KR101383665B1 (ko)
CN (1) CN103153612B (ko)
CA (1) CA2807333A1 (ko)
TW (1) TW201210820A (ko)
WO (1) WO201203012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308A1 (ko) * 2016-03-08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104948A (ko) *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215B1 (ko) * 2010-11-19 2017-10-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환경친화형 열수축 필름
KR101406989B1 (ko) * 2011-01-18 2014-06-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다층필름
EP2484602B2 (de) * 2011-02-04 2022-02-23 Mosca GmbH Umreifungsbänder aus nachwachsenden Rohstoffen
EP2771183B1 (en) * 2011-10-26 2021-08-11 Performance Materials NA, Inc. Multilayer film structure comprising renewably sourced materials
CN103640290B (zh) * 2013-12-13 2015-05-13 山东汇盈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阻隔性完全生物降解复合膜
US10853741B2 (en) * 2013-12-16 2020-12-01 MetaGovernance, Inc. Information governance platform
GB2571206B (en) 2016-08-11 2021-07-28 Kimberly Clark Co A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olefin elastomer film
KR102459767B1 (ko) 2016-12-28 2022-10-26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폴리페닐렌 및 아릴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114216B (zh) 2016-12-28 2021-09-14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包含聚亚苯基化物和聚丙烯的多层片材及其制造方法
CN113698646B (zh) * 2021-08-27 2022-09-16 江南大学 一种透明性保湿抗菌可降解包装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240339B (zh) * 2022-09-23 2022-12-09 江苏睿道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自助智能支付设备的消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021A (en) * 1977-06-01 1979-02-2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Oxygen barrier laminate films including a polyalkylene carbonate adhesive
US4482586A (en) * 1982-09-07 1984-11-1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ulti-layer polyisophthalate and polyterephthalate articles and process therefor
US4643925A (en) * 1982-09-07 1987-02-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ulti-layer polyisophthalate and polyterephthalate articles and process therefor
US4851507A (en) * 1988-03-21 1989-07-25 Arco Chemical Technology, Inc. Melt processable aliphatic polycarbonate terpolymers
US5089318A (en) * 1989-10-31 1992-02-18 The Mearl Corporation Iridescent film with thermoplastic elastomeric components
GB8925785D0 (en) * 1989-11-15 1990-01-04 Ici Plc Multilayer film
US6203750B1 (en) * 1992-06-05 2001-03-20 Cryovac, Inc Method for making a heat-shrinkable film containing a layer of crystalline polyamides
US5681514A (en) * 1995-06-07 1997-10-28 Sulzer Intermedics Inc. Method for making an implantable conductive lead for use with a cardiac stimulator
US5849401A (en) * 1995-09-28 1998-12-15 Cargill, Incorporated Compostable multilayer structures, methods for manufacture,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US6268026B1 (en) * 1997-10-20 2001-07-31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ultilayer laminate formed from a substantially stretched non-molten wholly aromat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and non-liquid crystalline polyest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6426128B1 (en) * 1998-01-06 2002-07-30 Hna Holdings, Inc. Co-processable multi-layer laminates for forming high strength, haze-free, transparent article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FI112624B (fi) * 1998-07-07 2003-12-31 Enso Oyj Kompostoituva pinnoitettu paperi tai kartonki,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sekä siitä saatuja tuotteita
US6503549B1 (en) * 1998-09-30 2003-01-07 Cryovac, Inc. Polyester tray package with lidding film having glycol-modified copolyester sealant layer
DE19923839A1 (de) * 1999-05-26 2000-11-3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Sammelpacksystem enthaltend eine siegelfähige Polyesterfolie
JP2001011214A (ja) * 1999-07-01 2001-01-16 Okura Ind Co Ltd 生分解性熱収縮フィルム
JP3236842B2 (ja) * 1999-10-27 2001-12-10 三菱樹脂株式会社 生分解性袋
JP4118038B2 (ja) * 2001-09-07 2008-07-16 ユニチカ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乳酸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熱収縮性ポリ乳酸系フィルム
KR20050023226A (ko) * 2001-11-30 2005-03-0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레조르시놀 아릴레이트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다층 제품및 그의 제조방법
US6896843B2 (en) * 2002-08-30 2005-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 web which is extensi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US6881375B2 (en) * 2002-08-30 2005-04-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rming a 3-dimensional fiber into a web
US7261935B2 (en) * 2002-12-19 2007-08-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extrudable multi-layer polymer
JP4167107B2 (ja) * 2003-04-02 2008-10-15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乳酸系二軸延伸積層フィルム
US7288312B2 (en) * 2003-04-22 2007-10-3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Coextruded, hot-sealable and peelable polyester film having low peeling resistanc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US7144632B2 (en) * 2003-06-11 2006-12-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liphatic-aromatic polyetherester compositions, articles, films, coating and laminat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US7060217B2 (en) * 2003-06-12 2006-06-13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e articles comprising resorcinol arylate polyester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WO2005007403A1 (ja) * 2003-07-18 2005-01-27 Mitsubishi Plastics, Inc. 脂肪族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包装材
CN100450752C (zh) * 2003-10-01 2009-01-14 株式会社吴羽 多层拉伸成型物的制造方法
US20050112352A1 (en) * 2003-11-26 2005-05-26 Laney Thomas M. Polylactic-acid-based sheet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JP2005330332A (ja) * 2004-05-18 2005-12-02 Tohcello Co Ltd 脂肪族ポリエステル組成物、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及び積層フィルム。
JP2005329557A (ja) * 2004-05-18 2005-12-02 Mitsui Chemicals Inc 多層フィルム
US8388331B2 (en) * 2004-05-31 2013-03-05 Toray Industries, Inc. Liquid flow converg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film
US7981957B2 (en) * 2004-06-10 2011-07-19 Unitika Ltd. Biodegradable gas barrier contain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8075966B2 (en) * 2004-07-22 2011-12-13 Graham Packaging Company, Ltd. Delamination-resistant multilayer container, preform, article and method with oxygen barrier formulations
US20070014977A1 (en) * 2005-07-12 2007-01-18 Daniel Graney Multilayer Film
JP2009534509A (ja) * 2006-04-27 2009-09-24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透明ポリプロピレンカーボネート配合物
KR100786005B1 (ko) 2006-08-18 2007-12-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JP2008195003A (ja) * 2007-02-15 2008-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難燃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130674B1 (en) * 2007-03-29 2014-08-06 Mitsubishi Plastics, Inc. Core sheet for card
US20100179286A1 (en) * 2007-06-05 2010-07-15 Teijin Limit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8513144B2 (en) * 2007-06-15 2013-08-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perty films from renewable polymers
US7951438B2 (en) * 2007-12-10 2011-05-31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with high barrier
US7678444B2 (en) * 2007-12-17 2010-03-16 International Paper Company Thermoformed article made from renewable polymer and heat-resistant polymer
US8246878B2 (en) * 2008-04-30 2012-08-21 Fina Technology, Inc. Composites comprising a polymer and a layered compound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US20110311794A1 (en) * 2009-06-19 2011-12-22 Qinghai Zhou Biodegradable complex oxygen barrier film and application thereof
US20120305083A1 (en) * 2011-06-04 2012-12-06 Wlp Holding Corporation Co-extruded oxidation-resistant polyethylene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308A1 (ko) * 2016-03-08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104948A (ko) *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214044B2 (en) 2016-03-08 2022-01-04 Lg Chem, Ltd. Multilayer film comprising polyalkylene carbo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07333A1 (en) 2012-03-08
WO2012030129A3 (en) 2012-06-28
KR101383665B1 (ko) 2014-04-09
EP2611610A2 (en) 2013-07-10
JP2013540612A (ja) 2013-11-07
CN103153612B (zh) 2015-03-04
WO2012030129A2 (en) 2012-03-08
CN103153612A (zh) 2013-06-12
US20120058346A1 (en) 2012-03-08
US20140037965A1 (en) 2014-02-06
TW201210820A (en) 2012-03-16
US8568636B2 (en) 2013-10-29
EP2611610A4 (en)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665B1 (ko) 다층필름
KR101406989B1 (ko) 다층필름
KR100598888B1 (ko) 자외선 차단성을 갖는 필름
US8142893B2 (en) Polymeric films
KR101805103B1 (ko) 환경친화형 다층 필름
US6682805B1 (en) Insert mold decorating film for thermoplastic resin
KR20120056023A (ko)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
US20120288709A1 (en) Multilayered Film Having Excellent Barrier and Thermal Adhesion Properties
KR20120052056A (ko) 친환경 내열성 열수축 필름
JP2013056497A (ja) 多層フィルム、加飾成形用フィルムおよび成形体
JPH02212117A (ja) 熱可塑性複合体の製造法
KR101159158B1 (ko) 친환경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6863854B2 (en) Insert mold decorating film for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s for making
US20010014400A1 (en) Longitudinally stretched, vacuum vapour coated packaging films
JPH0261391B2 (ko)
KR20120052081A (ko) 친환경 다층 열수축 필름
KR101805093B1 (ko) 환경친화형 다층 필름
JP2021115857A (ja) 二軸延伸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KR20230065587A (ko) 다층 배리어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KR20200084635A (ko) 배리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