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917A - 압상장치 - Google Patents

압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917A
KR20120022917A KR1020117026840A KR20117026840A KR20120022917A KR 20120022917 A KR20120022917 A KR 20120022917A KR 1020117026840 A KR1020117026840 A KR 1020117026840A KR 20117026840 A KR20117026840 A KR 20117026840A KR 20120022917 A KR20120022917 A KR 20120022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ase
cam
roto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540B1 (ko
Inventor
카츠히코 타니구치
카츠히토 쿠라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02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22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opening
    • E05Y2400/301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4Fuel lids

Abstract

차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퓨얼 리드를 개방방향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드가 단축된 로크 위치에서, 그 로드가 케이스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캠이 자유롭게 되는 지점을 배제하여, 압상장치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압상장치를 제공한다. 로크수단에는, 고정측 캠을 갖는 캠부, 가동측 캠을 갖는 회전자, 슬라이드 홈, 슬라이드 돌기, 결합돌기, 가동측 캠이 고정측 캠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자가 회전됨으로써, 로크부에 끼워 넣어진 결합돌기가 그 로크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로크 홈을 구비한다. 부세수단에는, 스프링, 하측 로드부에 삽입 통과되고, 회전자와 스프링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로크수단(예를 들면, 로크 홈과 결합돌기 등)의 로크 위치에서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슬리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압상장치{PUSH-UP DEVICE}
본 발명은 차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퓨얼 리드(fuel lid)를 개방방향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드(rod)가 단축된 로크(loack) 위치에서, 그 로드가 케이스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드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로드에 캠을 형성하고, 케이스에 대하여 로드가 1/4 회전할 때마다, 로크?언로크(unlock)의 자세를 취하도록 한 압상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단락번호 [0019], 도 2 참조).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개 2007-290573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압상장치에서는, 로크?언로크의 동작중에, 캠이 자유롭게 되는 지점(point)이 있어, 마찰이나 스프링의 비틀림 등의 요인으로 오동작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캠이 자유롭게 되는 지점을 배제하여, 압상장치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 번째로, 차체(예를 들면, 내측패널(inner panel))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퓨얼 리드를 개방방향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상장치이다.
두 번째로, 압상장치에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1) 케이스
케이스는 차체(예를 들면, 내측패널) 측에 고정되는 것이고, 통형(筒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2) 로드
로드는 케이스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그 케이스 내로부터 돌출하여 퓨얼 리드를 압출하는 것이다.
(3) 부세(付勢)수단(예를 들면, 스프링)
부세수단(예를 들면, 스프링)은 케이스와 로드 사이에 위치하고, 로드를 케이스 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밀어붙이기 위한 것이다.
(4) 로크수단(예를 들면, 로크 홈과 결합돌기 등)
로크수단(예를 들면, 로크 홈과 결합돌기 등)은 케이스와 로드 사이에 위치하고, 부세수단(예를 들면, 스프링)의 부세력(付勢力)에 저항하여 로드를 케이스의 후퇴 위치에 록킹(locking)하기 위한 것이다.
세 번째로, 로크수단에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5) 캠부
캠부는 로드의 축방향의 도중(途中)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향(外向)으로 돌출함과 함께, 로드의 돌출방향의 후방의 면에 형성된 고정측 캠을 갖는 것이다.
(6) 회전자
회전자는 캠부를 경계로 하여 돌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캠부의 고정측 캠에 맞물림과 함께,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이탈되어, 일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가동측 캠을 갖는 것이다.
(7) 슬라이드 홈
슬라이드 홈은 캠부의 외주면과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뻗는 것이다.
(8) 슬라이드 돌기
슬라이드 돌기는 캠부의 외주면과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다른 쪽에 위치하고,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슬라이드 홈 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케이스에 대한 로드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이다.
(9) 결합돌기
결합돌기는 회전자의 외주면과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다.
(10) 로크 홈
로크 홈은 회전자의 외주면과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다른 쪽에 위치하고, 결합돌기가 끼워 넣어지는 로크부를 갖고, 가동측 캠이 고정측 캠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자가 회전됨으로써, 로크부에 끼워 넣어진 결합돌기가 그 로크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것이다.
네 번째로, 부세수단에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11) 스프링
스프링은 하측 로드부에 삽입 통과되고, 케이스 내에서 탄성 수축(彈縮)되어, 회전자를 캠부로 향하여 밀어붙이기 위한 것이다.
(12) 슬리브
슬리브는 하측 로드부에 삽입 통과되고, 회전자와 스프링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로크수단(예를 들면, 로크 홈과 결합돌기 등)의 로크 위치에서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구비하여도 좋다.
첫 번째로, 슬리브에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1) 슬리브 본체
슬리브 본체는 하측 로드부에 삽입 통과되는 것이며,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2) 장출부(張出部)
장출부는 회전자와 맞닿는 슬리브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한 것이다.
(3) 축경부(縮徑部)
축경부는 상단부와 반대측의 슬리브 본체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내향(內向)으로 돌출한 것이다.
두 번째로, 하측 로드부에는, 축경부가 끼워 넣어지는 좁아진 협소부를 설치하고 있다.
세 번째로, 협소부에는, 회전자의 가동측 캠이 캠부의 고정측 캠에 맞물린 제1 높이 위치와 고정측 캠으로부터 이탈되는 제2 높이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회전자의 승강량에 따라, 축경부가 슬라이드 가능한 틈새(clearance)를 협소부의 축방향에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캠 작동에 필요한 틈새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구비하여도 좋다.
즉, 케이스에는, 캠부를 경계로 하여 로드의 돌출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측 로드부를 덮는 신축 가능한 부츠(boots)를 고정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로드가 단축된 로크 상태에서, 부츠의 반력에 의해, 로드가 케이스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구비하여도 좋다.
첫 번째로, 케이스에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1) 캡
캡은 로드의 돌출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개구 단부(端部)에 장착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캡에는, 슬라이드 홈 및 로크 홈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케이스의 캡에 슬라이드 홈 및 로크 홈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스의 구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캠이 자유롭게 되는 지점을 배제하여, 압상장치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로드의 캠부의 고정측 캠과 맞물리는 가동측 캠부를 갖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를 로드의 캠부로 향하여 밀어붙이는 스프링과의 사이에, 로드에 삽입 통과한 슬리브를 위치시킴으로써, 로크 위치에서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로드가 로크 위치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측 캠과 가동측 캠부가 이격되어 자유롭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압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압상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압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로드와 회전자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로드, 회전자 및 슬리브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b)는 로크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a), (b)에 대응하고, (a) 및 (b)는 로드를 밀어넣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6(a), (b)에 대응하고, (a) 및 (b)는 수단의 로킹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캡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캡의 다른 측면에서 보아,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캡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로드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로드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회전자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회전자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회전자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압상장치(10))
도 1?3중, 10은 압상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차체(車體)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퓨얼 리드(20)를, 개방방향으로 압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퓨얼 리드(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패널(30)에 힌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내측패널(30)에는, 표면과 이면(裏面)에 관통하는 사각형의 장착구멍(31)이 형성되고, 그 장착구멍(31)에 압상장치(10)가 고정된다.
압상장치(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1)?(7)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 케이스(40)
(2) 캡(50)
(3) 로드(60)
(4) 회전자(70)
(5) 슬리브(80)
(6) 스프링(90)
(7) 부츠(100)
또한, 압상장치(10)의 부품은 상기한 (1)?(7)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40)]
케이스(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측에 고정되는 것이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40)는 도 9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저면(底面)이 막혀 있다. 케이스(40)의 외형은 내측패널(30)의 장착구멍(31)의 내경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40)에는, 그 개구 상부에 반경방향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flange portion)(41)를 설치하고 있다.
플랜지부(41)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부츠(100)를 장착하는 환(環)형상의 장착 오목부(4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41)의 하측에는, 케이스(40)의 외주(外周)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3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탄성돌기부(43)를 설치하고 있다. 탄성돌기부(43)는 내측패널(30)의 판두께의 간격을 유지하여, 플랜지부(41)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된다.
케이스(40)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구멍(31)에 맞추어 끼워 넣으면, 탄성돌기부(43)가 일단 인입(引入)되어, 내측패널(30)의 이면측에서 탄성적으로 복귀하고, 플랜지부(41)의 하면과의 사이에 내측패널(30)을 끼어 둠으로써, 장착구멍(31)에 케이스(40)가 고정된다.
[캡(50)]
캡(5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0)의 개구 상면에 장착되어, 그 개구 상면을 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캡(50)에는, 도 11?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케이스(40)의 개구 상면보다 한층 큰 덮개부(51)와, 그 덮개부(51)의 하면으로부터 일단 좁아져 원통형으로 뻗는 원통부(52)를 구비한다.
덮개부(51)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한 원형의 관통구멍(53)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구멍(53)에는, 후술하는 로드(60)가 삽입 통과된다.
원통부(5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를 케이스(40)의 내경 이하로 설정하며, 케이스(40) 내에 삽입되어 있다.
원통부(52)의 외주에는, 도 11?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3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부(54)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케이스(40)의 장착 오목부(42)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돌기부(54)가 끼워 넣어지는 안팎으로 관통하는 걸림구멍(44)을 형성하고 있다.
원통부(52)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0)의 개구 상면에 맞추어 끼워 넣으면, 걸림돌기부(54)가 일단 인입되고, 그 후, 걸림구멍(44)에 탄성적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케이스(40)에 캡(50)이 고정된다.
한편, 원통부(52)의 내주면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52)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홈(55)을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드 홈(55)은 로드(60)를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홈(55)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3개 형성되고, 상단부가 막혀있고,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홈(55)의 하측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52)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로크 홈(56)을 형성하고 있다. 로크 홈(56)은 후술하는 회전자(70)를 회전 불가능하게 록킹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홈(56)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한 슬라이드 홈(55)의 간격 내에 형성되고, 원통부(52)의 내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 홈(56)은 도 6(a)?8(b)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슬라이드 홈(55)을 기준으로 하여, 그 슬라이드 홈(55)으로부터 후술하는 회전자(70)의 회전방향(도 6(a)?8(b) 중, 화살표 X)의 전방으로 향하고, 위쪽으로 향하여 오름 경사진 제1 경사면부(56a)와, 그 제 1 경사면부(56a)의 경사 상단부, 즉 회전자(70)의 회전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회전자(70)의 결합돌기(73)가 끼워 넣어지는 로크부(56b)와, 그 로크부(56b)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잘라 세워진 수직부(56c)와, 그 수직부(56c)의 하단부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오름 경사지고, 경사 상단부가 회전자(70)의 회전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1개의 슬라이드 홈(55)에 면하는 제2 경사면부(56d)를 구비한다.
제1 경사면부(56a)의 경사 하단부, 즉 회전자(70)의 회전방향의 후방은 1개의 슬라이드 홈(55)에 면하고 있다. 또한, 제1 경사면부(56a)와 제2 경사면부(56d)와의 경사 각도는 일치시켜 있다.
[로드(60)]
로드(60)는 도 1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그 케이스(40) 내로부터 돌출하여 퓨얼 리드(20)를 압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로드(60)는 도 15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크게 나누면, 축방향의 도중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하는 캠부(61)와, 캠부(61)의 위쪽에 위치하고, 케이스(40) 내로부터 돌출하여 퓨얼 리드(20)를 압출하는 상측 로드부(62)와, 캠부(61)의 하측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스프링(90)이 삽입 통과되는 하측 로드부(63)를 구비한다.
캠부(61)의 하면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회전자(70)의 가동측 캠면(72)과 맞물리는 고정측 캠(6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캠(64)은 캠부(61)의 하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둔각(鈍角) 물결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부(61)의 외주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3개 돌출하는 슬라이드 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돌기(6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50)의 슬라이드 홈(55)에 끼워 맞춰, 그 슬라이드 홈(550을 따라 승강됨으로써, 로드(60)는 캡(5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상측 로드부(62)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부츠(100)를 장착하는 환형상의 환형상 홈(66)을 형성하고 있다.
하측 로드부(63)의 하단부에는, 도 5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슬리브(80)의 축경부(83)가 끼워 넣어지는 좁아진 협소부(67)를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협소부(67)의 높이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경부(83)의 상하방향의 두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협소부(67)에, 축경부(83)가 끼워 넣어지는 상태에서, 협소부(67)의 높이방향으로 틈새(C)가 발생한다. 축경부(83)는 협소부(67)의 틈새(C) 정도만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틈새(C)의 양은 후술하는 회전자(70)의 가동측 캠(72)가 캠부(61)의 고정측 캠(64)에 맞물린 제1 높이 위치와, 고정측 캠(64)로부터 이탈되는 제2 높이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하는 회전자(70)의 승강량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0.4 mm」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 수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자(70)]
회전자(7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로드부(63)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분향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자(70)는 도 17?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너츠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상하로 관통하여, 하측 로드부(63)에 삽입 통과되는 중심구멍(71)과, 상면에 형성되어 캠부(61)의 고정측 캠(64)에 맞물림과 함께, 로드(60)의 슬라이드에 의해 이탈되어, 일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가동측 캠(72)을 구비한다.
가동측 캠(72)은 고정측 캠(64)과 상보적(相補的)인 형상을 이루고, 회전자(70)의 상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둔각 물결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캠(72)의 외주에는, 도 17?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3개 돌출하는 결합돌기(73)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73)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50)의 로크 홈(56)의 로크부(56b)에 끼워 넣어지는 것이며, 상면에 경사면을 갖는 평면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다리꼴형의 경사면은 로크 홈(56)의 제1, 제2 경사면부(56a, 56d)의 경사 각도에 일치시켜 있다.
또한, 결합돌기(73)의 좌우방향의 횡폭은 도 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50)의 슬라이드 홈(55)의 좌우의 홈폭 이하로 설정하여, 슬라이드 홈(55)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결합돌기(73)는 캡(50)의 로크 홈(56)과 함께, 로크수단을 구성한다. 로크수단은 도 6(a)?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0)와 로드(60) 사이에 위치하고, 스프링(90)(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로드(60)를 케이스(40)의 후퇴 위치에 록킹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로크수단을, 결합돌기(73)와 로크 홈(56)으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드(60)의 캠부(61) 및 슬라이드 돌기(65), 캡(50)의 슬라이드 홈(55) 등도 로크수단의 일 구성요소로서 기능하고 있다.
[슬리브(80)]
슬리브(8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로드부(63)에 삽입 통과되고, 회전자(70)와 후술하는 스프링(90)과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로드(60)가 단축된 로크 위치에서 그 로드(60)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 즉 고정측 캠(64)과 가동측 캠(72)이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측 캠(64)과 가동측 캠(72)이 이격되는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로드(60)가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리브(8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部)를 구비한다.
(1) 슬리브 본체(81)
슬리브 본체(81)는 도 5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로드부(63)에 삽입 통과되는 것이며,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2) 장출부(82)
장출부(82)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자(70)와 맞닿는 슬리브 본체(81)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향으로 환형상으로 돌출한 것이다.
(3) 축경부(83)
축경부(83)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와 반대측의 슬리브 본체(81)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내향으로 환형상으로 돌출한 것이다.
(4) 슬릿(84)
슬릿(84)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본체(81)의 하단부를 복수, 예를 들면, 2개 분할로 잘라 나눈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릿(84)은 슬리브 본체(81)의 직경방향으로 한 쌍 형성되고, 슬리브 본체(81)의 하측의 단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도중(途中)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84)을, 예를 들면, 한 쌍 형성하였지만, 3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스프링(90)]
스프링(9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0)와 로드(60) 사이에 위치하고, 로드(60)를 케이스(40) 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밀어붙이기 위한 것이고, 부세수단으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9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60)의 하측 로드부(63)에 회전자(70) 및 슬리브(80)를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그 슬리브(80)에 삽입 통과된다. 스프링(90)은 슬리브(80)의 장출부(82)와 케이스(40)의 바닥 사이에 압축된다.
[부츠(100)]
부츠(10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0)로부터 돌출하는 상측 로드부(62)를 덮는 신축 가능한 것이며, 케이스(40)의 플랜지부(4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부츠(10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이 개구된 중공(中空)의 자바라(蛇腹)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자루 형상으로 폐쇄되어 있다.
부츠(100)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내향으로 환형상으로 돌출한 환형상 돌기(101)를 설치하고 있다. 환형상 돌기(101)는 로드(60)의 환형상 홈(66)에 끼워 넣어진다.
부츠(100)의 개구 하면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내향으로 환형상으로 돌출한 환형상 볼록부(102)를 설치하고 있다. 환형상 볼록부(102)는 케이스(40)의 플랜지부(41)의 환형상 오목부(42)에 끼워 넣어져, 부츠(100)가 케이스(40)에 대하여 고정된다.
[압상장치(10)의 동작]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압상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상장치(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그 케이스(40)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구멍(31)에 맞춰 끼워 넣음으로써 내측패널(30)에 고정된다.
퓨얼 리드(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상장치(10)는 로드(60)가 단축된 로크 상태로 록킹되어 있다(도 8(a), (b) 참조).
퓨얼 리드(20)를 밀어넣으면, 로드(60)가 케이스(40) 내에 밀어넣어져, 상기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스프링(90)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로드(60)가 케이스(40) 내로부터 돌출하여, 퓨얼 리드(20)를 밀어 연다.
이 때문에, 밀어 열린 퓨얼 리드(20)를 손으로 용이하게 열 수 있다.
한편, 열린 퓨얼 리드(20)를 손으로 닫으면, 로드(60)가 케이스(40)를 향하여 밀어넣어져, 단축된 로크 상태로 록킹된다.
[로크수단의 동작]
로크수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드(60)가 단축된 로크 상태에서는, 도 8(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자(70)의 결합돌기(73)가, 캡(50)의 로크 홈(56)이 결합되어, 로크부(56b)에 끼워 넣어진다.
로드(60)가 케이스(40) 내에 밀어 넣어지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로드(60)의 캠부(61)에 밀려 회전자(70)가 하강한다.
이 때문에, 회전자(70)의 결합돌기(73)가, 도시하지 않았지만, 캡(50)의 로크부(56b)로부터 이탈된다.
이 때, 로드(60)의 캠부(61)의 고정측 캠(64)과 회전자(70)의 가동측 캠(72)과의 맞물림이 이탈되어, 도 8(b)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 회전자(70)가 회전한다.
이어서, 로드(60)를 밀어넣는 힘이 해방되면, 회전자(70)가, 스프링(90)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
이 때, 회전자(70)의 결합돌기(73)가, 도시하지 않았지만, 캡(50)의 제2 경사면부(56d)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결합돌기(73)는 제2 경사면부(56d)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상승하여, 제2 경사면부(56d)의 경사면 상단부로부터 슬라이드 홈(55)에 끼워 넣어진다(도 6(a), (b) 참조).
슬라이드 홈(55)에 끼워 넣어지면 , 도 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73)는 슬라이드 홈(55)을 따라 상승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프링(90)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회전자(70)를 통하여 로드(60)의 캠부(61)가 밀어 올려져, 로드(60)가 케이스(40)로부터 돌출하여 신장(伸張)된다.
한편, 신장된 로드(60)가 케이스(40) 내에 밀어 넣어지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자(70)의 결합돌기(73)가 슬라이드 홈(55)을 따라 하강한다.
이어서, 결합돌기(73)가 슬라이드 홈(55)의 개구 하단으로부터 빠져나오면, 회전자(7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측 캠(64)과 가동측 캠(72)과의 맞물림의 이탈에 의해, 도 6(a), (b) 및 도 7(a), (b)의 화살표 X 방향으로, 회전자(70)가 회전하여, 슬라이드 홈(55)의 하측으로부터 로크 홈(56)의 제1 경사면부(56a)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어서, 로드(60)를 밀어넣는 힘이 해방되면, 회전자(70)가 스프링(90)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이 때, 결합돌기(73)가 제1 경사면부(56a)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결합돌기(73)는 제1 경사면부(56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상승하여, 로크부(56b)에 끼워 넣어져, 다시 로크 상태로 복귀된다.
2009년 6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151050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開示)로서 포함한다.

Claims (4)

  1. 차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퓨얼 리드(fuel lid)를, 개방방향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상장치로서,
    상기 압상장치에는,
    상기 차체 측에 고정되는 통형(筒形)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케이스 내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퓨얼 리드를 압출하는 로드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를 상기 케이스 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을 향하여 밀어붙이기 위한 부세(付勢)수단과,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케이스의 후퇴 위치에 록킹하기 위한 상기 로크(lock)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수단에는,
    상기 로드의 축방향의 도중(途中)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향(外向)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기 로드의 돌출방향의 후방의 면에 형성된 고정측 캠을 갖는 캠부와,
    상기 캠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캠부의 고정측 캠에 맞물림과 함께,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이탈되어, 일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가동측 캠을 갖는 회전자와,
    상기 캠부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뻗는 슬라이드 홈과,
    상기 캠부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다른 쪽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홈 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로드의 회전을 저지하는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 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다른 쪽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 넣어지는 로크부를 갖고, 상기 가동측 캠이 상기 고정측 캠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회전자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로크부에 끼워 넣어진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로크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로크 홈을 구비하고,
    상기 부세수단에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탄성 수축되어, 상기 회전자를 상기 캠부로 향하여 밀어붙이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회전자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로크수단의 로크 위치에서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입 통과되는 통형의 슬리브 본체와,
    상기 회전자와 맞닿는 상기 슬리브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한 장출부(張出部)와,
    상기 상단부와 반대측의 상기 슬리브 본체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내향(內向)으로 돌출한 축경부(縮徑部)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로드부에는,
    상기 축경부가 끼워 넣어지는 좁아진 협소부를 설치하고,
    상기 협소부에는,
    상기 회전자의 가동측 캠이 상기 캠부의 고정측 캠에 맞물린 제1 높이 위치와, 상기 고정측 캠으로부터 이탈되는 제2 높이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상기 회전자의 승강량에 따라, 상기 축경부가 슬라이드 가능한 틈새를 상기 협소부의 축방향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캠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로드의 돌출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측 로드부를 덮는 신축 가능한 부츠(boots)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로드의 돌출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개구 단부에 장착되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 및 상기 로크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KR1020117026840A 2009-06-25 2010-06-24 압상장치 KR101322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1050A JP5118102B2 (ja) 2009-06-25 2009-06-25 押上装置
JPJP-P-2009-151050 2009-06-25
PCT/JP2010/060783 WO2010150858A1 (ja) 2009-06-25 2010-06-24 押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917A true KR20120022917A (ko) 2012-03-12
KR101322540B1 KR101322540B1 (ko) 2013-10-28

Family

ID=4338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840A KR101322540B1 (ko) 2009-06-25 2010-06-24 압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85585B2 (ko)
EP (1) EP2447102B1 (ko)
JP (1) JP5118102B2 (ko)
KR (1) KR101322540B1 (ko)
CN (1) CN102802995B (ko)
WO (1) WO2010150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7933B4 (de) * 2008-11-19 2012-10-25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chwenkbar gelagerte Klappe in einem Automobil mit einer Push-Push-Kinematik
JP5690175B2 (ja) 2011-03-02 2015-03-25 株式会社ニフコ 押上装置
JP6371220B2 (ja) 2011-11-30 2018-08-08 ジニアテック リミテッド 屋根葺き、被覆、またはサイディング製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太陽光エネルギー回収システムの部品としてのその用途
JP6541351B2 (ja) 2011-11-30 2019-07-10 ジニアテック リミテッド 光起電力システム
US9038499B2 (en) * 2013-03-11 2015-05-26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DE102013004791A1 (de) * 2013-03-20 2014-09-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Stellelement für eine Kraftfahrzeug-Klappe
AU2014269204A1 (en) 2013-05-23 2015-12-10 Zinniatek Limited Photovoltaic systems
JP6309276B2 (ja) * 2014-01-10 2018-04-11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JP6346444B2 (ja) 2014-01-10 2018-06-20 株式会社ニフコ 押上装置
JP6820199B2 (ja) 2014-03-07 2021-01-27 ジニアテック リミテッド 太陽熱制御システム
US9702176B2 (en) * 2014-07-07 2017-07-1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Spring loaded actuator assembly
JP6183321B2 (ja) * 2014-08-25 2017-08-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フィラーリッド部構造
CN105476649B (zh) * 2014-09-19 2019-04-23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升降装置
EP3227506B1 (en) 2014-12-01 2023-06-14 Zinniatek Limited A roofing, cladding or siding product
US10866012B2 (en) 2014-12-01 2020-12-15 Zinniatek Limited Roofing, cladding or siding apparatus
US9856681B1 (en) 2016-06-17 2018-01-02 Nifco America Corp. Push lifter
WO2018047582A1 (ja) * 2016-09-08 2018-03-15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照明装置
EP3526419A4 (en) 2016-10-17 2020-04-15 Zinniatek Limited ROOFING, COATING OR CLADDING MODULE OR APPARATUS
JP2020510148A (ja) 2017-02-21 2020-04-02 ジニアテック リミテッド 装飾面を有する基材及び製造方法
US11702840B2 (en) 2018-12-19 2023-07-18 Zinniatek Limited Roofing, cladding or siding module, its manufacture and use
US11473355B2 (en) * 2020-03-30 2022-10-18 The Boeing Company Press-to-deploy rotatable latch assembly
CN113503103B (zh) * 2021-07-13 2022-06-21 富阳通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强度隐形开合器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0071A (en) * 1981-04-27 1982-11-05 Matsushita Electronics Corp Method of producing tubular bulb
JPS57180071U (ko) * 1981-05-12 1982-11-15
JPS6068162U (ja) * 1983-10-12 1985-05-15 株式会社長谷川工務店 戸当り
JP2918747B2 (ja) * 1992-07-15 1999-07-12 日本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を用いた遠隔操作機構の組立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操作側の構造
DE19650594C2 (de) * 1996-12-06 1998-09-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ordnung einer Tankklappe an einem Kraftfahrzeug
US5836638A (en) * 1996-12-09 1998-11-17 Illinois Tool Works Inc. Fuel door assembly
JP5004268B2 (ja) * 2006-04-25 2012-08-22 株式会社ニフコ 押上装置
ITRM20060162U1 (it) 2006-09-12 2008-03-13 Salice Arturo Spa Dispositivo di chiusura e apertura del tipo a scatto di una parte movibile di un mobile
JP2009151050A (ja) 2007-12-20 2009-07-09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7102B1 (en) 2014-04-23
KR101322540B1 (ko) 2013-10-28
WO2010150858A1 (ja) 2010-12-29
US8485585B2 (en) 2013-07-16
JP5118102B2 (ja) 2013-01-16
EP2447102A4 (en) 2013-01-23
JP2011005945A (ja) 2011-01-13
CN102802995B (zh) 2015-07-29
CN102802995A (zh) 2012-11-28
US20120167472A1 (en) 2012-07-05
EP2447102A1 (en)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540B1 (ko) 압상장치
KR101836755B1 (ko) 압상 장치
JP6309276B2 (ja) ラッチ装置
JP5690175B2 (ja) 押上装置
KR101263609B1 (ko)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US10919382B2 (en) Rotary type extension/retraction device
JP5004268B2 (ja) 押上装置
US9856681B1 (en) Push lifter
EP1018588A1 (en) A door securing assembly
JP2019112789A (ja) シリンダ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