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09B1 -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609B1
KR101263609B1 KR1020110054601A KR20110054601A KR101263609B1 KR 101263609 B1 KR101263609 B1 KR 101263609B1 KR 1020110054601 A KR1020110054601 A KR 1020110054601A KR 20110054601 A KR20110054601 A KR 20110054601A KR 101263609 B1 KR101263609 B1 KR 10126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opening
closing devic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455A (ko
Inventor
히로시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33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과제)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을 적절히 배치하고, 1 모듈화(원·모듈화)함으로써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저감 및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는 차체 측에 힌지부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주유구 리드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과, 푸시·푸시기구의 푸시 로드를 통해서 주유구 리드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업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로크수단은 푸시업수단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푸시업수단을 밀어내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모터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FUEL LID OPENING/CLOSING DEVICE}
이 발명은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1 모듈화(원·모듈화)함으로써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저감 및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급유 도어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급유 도어의 액츄에이터가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제631877호 공보의 명세서 4란 1 ~ 26행, 도 1 ~ 도 3, 도 10 및 도 11 참조).
상기한 종래의 액츄에이터는 로크 암을 사용하고, 이 로크 암의 길이의 도중을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일단부에는 급유 도어의 뒤쪽의 후크형상의 캐치에 끼워넣어지는 로크부를 형성하고 있다. 핀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 아우터 기어에 편심되게 형성되고, 아우터 기어가 회전함으로써 핀을 중심으로 로크 암을 기울어져 움직이게 했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제631877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액츄에이터는 로크기구만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급유 도어를 손으로 열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급유 도어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푸시업장치를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151050호).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액츄에이터와,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푸시업장치를 급유 도어의 개폐기구에 포함시킴으로써 로크기구와 푸시업기구를 병설할 수 있는데, 이들 기구는 다른 부품이기 때문에 두 기구를 병설하면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두 기구는 다른 부품이기 때문에, 이들의 설치위치가 확보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은 점에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즉,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1 모듈화(원·모듈화)함으로써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저감 및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또, 부품점수의 저감 및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의 위치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부품점수의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로크수단의 확실한 구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또, 푸시업수단의 푸시·푸시기구에 있어서의 로크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도시한 발명의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괄호 내의 부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한 부호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번호도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한 도면번호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첫번째로,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10)는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로크수단(A)
로크수단(A)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측에 힌지부(30)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주유구 리드(40)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
(2) 푸시업수단(B)
푸시업수단(B)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푸시기구의 푸시 로드(140)를 통해서 주유구 리드(40)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두번째로, 로크수단(A)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업수단(B)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푸시업수단(B)을 밀어내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모터(120)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이다.
또, 로크수단(A)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101)와, 푸시업수단(B)을 유지하는 로드 유지부(102)를 일체로 예를 들어 도 1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형성하고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하우징(100)에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20)를 유지하는 모터 유지부(103)를 형성하고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모터(120)의 웜 기어(131)에 맞물리는 톱니바퀴(132)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수단(A)의 래크부(111)에 맞물려서 슬라이드 구동된다.
삭제
삭제
상기, 푸시업수단(B)의 푸시·푸시기구는 예를 들어 도 24 ~ 도 26 및 도 32 ~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로크수단(A)에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수동조작부(150)를 형성하고 있다.
삭제
삭제
또, 로크수단(A)에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수동조작부(150)를 형성하고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삭제
즉,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1 모듈화(원·모듈화)함으로써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저감 및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부품점수의 저감 및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의 위치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부품점수의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 로크수단의 확실한 구동을 도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푸시업수단의 푸시·푸시기구에 있어서의 로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정면도
도 2는 급유구의 주위를 옆에서 본 개략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급유구의 개구 측으로부터 본 개략 설명도
도 4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우측면도
도 8은 하우징의 한쪽의 일측 케이스의 외측면도
도 9는 도 8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정면도
도 11은 하우징의 다른쪽의 일측 케이스의 내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정면도
도 14는 톱니바퀴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톱니바퀴의 평면도
도 16은 도 1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톱니바퀴의 측면도
도 17은 스토퍼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스토퍼의 저면도
도 19는 도 17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스토퍼의 측면도
도 20은 푸시 로드의 단면도
도 21은 푸시 로드의 분해사시도
도 22는 로드와 회전자를 조립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로드, 회전자 및 슬리브를 조립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로크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5는 도 2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로드를 밀어넣은 상태의 설명도
도 26은 도 2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로크기구의 로크상태의 설명도
도 27은 케이스의 측면도
도 28은 도 2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29는 캡의 측면도
도 30은 캡의 다른 측면에서 본 것으로서,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
도 31은 캡의 저면도
도 32는 도 3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33은 로드의 측면도
도 34는 로드의 저면도
도 35는 회전자의 측면도
도 36은 회전자의 평면도
도 37은 회전자의 단면도
도 38은 슬리브의 측면도
도 39는 슬리브의 단면도
도 1에서, 도면부호 10은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이하 "개폐장치"라고도 한다)를 도시하는 것이다. 개폐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도시하지 않음)의 급유구(20)에 힌지부(30)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주유구 리드(40)(이하 "리드"라고도 한다)에 설치된 것이다.
개폐장치(10)는 도 1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면, 리드(40)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A)과 이 리드(40)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업수단(B)을 구비한다.
리드(40)의 후면에는 로크수단(A), 즉 로크부재(110)가 출입 가능한 후크형상의 걸림부(41)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장치(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면 다음과 같은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 (6)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하우징(100)
(2) 로크부재(110)
(3) 모터(120)
(4) 구동력전달기구(130)
(5) 푸시 로드(140)
(6) 수동조작부(150)
또한 개폐장치(10)의 부품은 상기한 (1) ~ (6)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크수단(A))
로크수단(A)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40)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것이며, 하우징(100) 내에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로크수단(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 외에, 후술하는 로크부재(110), 모터(120), 구동력전달기구(130), 수동조작부(150)로 구성되어 있다.
(푸시업수단(B))
푸시업수단(B)은 도 1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40)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이며, 하우징(100) 내에 포함되어 있다. 푸시업수단(B)과 로크수단(A)은 하우징(10) 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로크수단(A)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업수단(B)을 밀어내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후술하는 모터(120)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된다.
(하우징(100))
하우징(10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수단(A) 및 푸시업수단(B)을 포함하는 것이며, 급유구(20)에 인접한 차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도 4 및 도 8 ~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케이스(100a,100b)로 분할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도 4,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를 구비한다.
(1) 슬라이드 지지부(101)
슬라이드 지지부(101)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수단(A), 즉 후술하는 로크부재(11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지지부(101)는 각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2) 로드 유지부(102)
로드 유지부(102)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업수단(B)을 유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로드 유지부(10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로드 유지부(102)와 슬라이드 지지부(101)는 양쪽의 개구가 대략 직교한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위치하고, 하우징(100)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로드 유지부(102)는 2개의 케이스(100a,100b) 중 한쪽의 케이스(100a) 측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지지부(101)는 주로 다른 쪽의 케이스(100b) 측에 형성되어 있다.
(3) 모터 유지부(103)
모터 유지부(103)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20)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4) 베어링부(104)
베어링부(104)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력전달기구(130)의 후술하는 톱니바퀴(132)의 톱니바퀴축(132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로크부재(110))
로크부재(1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슬라이드 지지부(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선단부가 슬라이드 지지부(101)의 개구로부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로크부재(110)의 기단부에 래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래크부(111)는 후술하는 구동력전달기구(130)의 일부를 구성하고, 모터(120)의 구동력을 로크부재(11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로크부재(110)는 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해 하우징(100)의 외측을 향해서 슬라이드하면서 돌출되고, 그 최대돌출위치에 있어서, 닫은 리드(40)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형상의 걸림부(41)에 돌입하고, 이 리드(40)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한다.
(모터(120))
모터(1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10)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하우징(100)의 모터 유지부(103)에 유지된다.
(구동력전달기구(130))
구동력전달기구(1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로크부재(110)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동력전달기구(1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10)의 래크부(111) 외에 다음과 같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웜 기어(131)
웜 기어(13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20)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톱니바퀴(132)와 맞물려 있다.
(2) 톱니바퀴(132)
톱니바퀴(132)는 도 4,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톱니바퀴축(132a)이 하우징(100)의 베어링부(10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축의 크고 작은 2개의 톱니바퀴부(132b, 132c)로 구성되어 있다. 크고 작은 2개의 톱니바퀴부(132b,132c) 중 큰 톱니바퀴부(132b)는 웜 기어(131)와 맞물려 있다. 크고 작은 2개의 톱니바퀴부(132b,132c) 중 작은 톱니바퀴부(132c)는 로크부재(110)의 래크부(111)와 맞물려 있다.
또한 큰 톱니바퀴부(132b)에는 도 14~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은 톱니바퀴부(132c)가 돌출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에 회전각도규제부(132d)를 형성하고 있다.
회전각도규제부(132d)는 후술하는 스토퍼(133)에 맞닿고, 톱니바퀴(132)의 회전각도범위를 규제함으로써 로크부재(110)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3) 스토퍼(133)
스토퍼(133)는 도 4 및 도 17 ~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니바퀴(132)의 회전각도규제부(132d)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00) 내에 고정되고, 이 회전각도규제부(132d)와 공동으로 작동하여 최종적으로는 로크부재(110)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푸시로드(140))
푸시로드(14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로드 유지부(102)에 유지되고, 그 선단부가 로드 유지부(102)의 개구로부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푸시로드(140)에는 푸시·푸시기구가 내장되고, 이것이 리드(40)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낸다. 푸시·푸시기구는 푸시 로드(140)를 단축상태에서 로크하고, 푸시로드(140)의 선단부가 밀어넣어지면 로크상태를 해제하여 푸시로드(14)를 신장시키며, 반대로 신장상태에 있어서 푸시로드(140)의 선단부가 밀어넣어지면 푸시로드(14)를 단축상태에서 로크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회전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푸시·푸시기구의 구조를 비롯한 푸시로드(140)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본 출원인의 선특허출원(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151050호)에 기재했으나, 그들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0 이후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수동조작부(150))
수동조작부(15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동조작부(150)의 일단부는 로크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동조작부(150)를 당기면 로크부재(110)가 하우징(100)의 슬라이드 지지부(101) 내에서 후퇴하고, 그 선단부의 돌출길이가 단축된다. 그렇기 때문에, 로크부재(110)의 선단부가, 닫은 리드(40)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형상의 걸림부(41)에 돌입했을 경우에는 이 걸림부(41)로부터 당겨져서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동작의 설명)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개폐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으나, 닫은 리드(40)가 로크수단(A)에 의해 닫힘위치에서 로크된 상태에서 모터(120)가 구동되면, 구동력전달기구(130)를 통해서 로크부재(110)가 하우징(100)의 슬라이드 지지부(101) 내에서 후퇴한다.
그렇기 때문에, 닫은 리드(40)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형상의 걸림부(41)에 돌입하고 있던 로크부재(110)의 선단부가 이 걸림부(41)로부터 당겨져서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 리드(40)를 밀어넣으면 그 후면에 의해 푸시로드(140)의 선단부가 밀려서 푸시·푸시기구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그렇기 때문에, 단축상태에서 로크되어 있던 푸시로드(140)가 신장되어, 그 선단부에 의해 닫힌 리드(40)의 후면을 밀어올린다.
이때 리드(40)가 약간 밀려서 열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려서 열린 리드(40)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열린 리드(40)를 닫으면, 그 후면에 의해 푸시로드(140)의 선단부가 눌러진다.
그렇기 때문에 신장상태의 푸시로드(140)가 단축되고, 이때 푸시·푸시기구가 작동되어 푸시로드(140)를 단축상태에서 로크한다.
그 후 모터(120)가 구동되면, 구동력전달기구(130)를 통해서 로크부재(110)가 하우징(100)의 슬라이드 지지부(101) 내에서 전진한다.
그렇기 때문에, 로크부재(110)의 선단부가 리드(40)의 후면의 걸림부(41)에 돌입하고, 리드(40)는 닫은 상태에서 로크된다.
(푸시로드(140)의 구조)
푸시로드(140)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 (7)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로드 케이스(200)
(2) 캡(210)
(3) 로드 본체(220)
(4) 회전자(230)
(5) 슬리브(240)
(6) 스프링(250)
(7) 부츠(260)
또한 푸시로드(140)의 부품은 상기한 (1) ~ (7)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드 케이스(200))
로드 케이스(20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로드 유지부(102)에 유지되고,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 케이스(200)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이 막혀져 있다.
로드 케이스(200)에는 그 개구 상부에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된 플랜지부(201)를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부(201)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부츠(260)를 설치하는 환형의 설치 오목부(20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201)의 하측에는 로드 케이스(200)의 외주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탄성돌조부(203)를 형성하고 있다.
(캡(210))
캡(210)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의 개구 상면에 설치되어, 이 개구 상면을 막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캡(210)에는 도 29 ~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면 로드 케이스(200)의 개구 상면보다 한층 더 큰 덮개부(211)와, 이 덮개부(211)의 하면으로부터 한층 더 가늘어져서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원통부(212)를 구비한다.
덮개부(211)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원형의 관통구멍(213)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구멍(213)에는 후술하는 로드 본체(220)가 끼워져서 통하게 된다.
원통부(212)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를 로드 케이스(200)의 내경 이하로 설정하고, 로드 케이스(200)내에 삽입되어 있다.
원통부(212)의 외주에는 도 29 ~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조부(214)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로드 케이스(200)의 설치 오목부(202)에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돌조부(214)가 끼워넣어지는 내외로 관통하는 걸림구멍(204)을 형성하고 있다.
원통부(212)를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의 개구 상면에 맞추어서 끼워넣으면, 걸림돌조부(214)가 일단 당겨지고, 그 후에 걸림구멍(204)에 탄성적으로 끼워넣어짐으로써 로드 케이스(200)에 캡(210)이 고정된다.
한편, 원통부(212)의 내주면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212)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홈(215)을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드 홈(215)은 로드 본체(220)를 슬라이드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홈(215)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형성되고, 상단부가 막혀져 있고,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홈(215)의 하측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212)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설치된 로크 홈(216)을 형성하고 있다. 로크 홈(216)은 후술하는 회전자(230)를 회전 불가능하게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로크 홈(216)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한 슬라이드 홈(215)의 간격 내에 형성되고, 원통부(212)의 내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 홈(216)은 도 24 ~ 도 26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슬라이드 홈(215)을 기준으로 하여 이 슬라이드 홈(215)으로부터 후술하는 회전자(230)의 회전방향(도 24~26에서 화살표 X)의 전방으로 향하고, 상방을 향해서 경사진 제 1 경사면부(216a)와, 이 제 1 경사면부(216a)의 경사 상단부, 즉 회전자(230)의 회전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끼워넣어지는 로크부(216b)와, 이 로크부(216b)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솟아 있는 수직부(216c)와, 이 수직부(216c)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경사지고, 경사 상단부가 회전자(230)의 회전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1개의 슬라이드 홈(215)에 면하는 제 2 경사면부(216d)를 구비한다.
제 1 경사면부(216a)의 경사 하단부, 즉 회전자(230)의 회전방향의 후방은 1개의 슬라이드 홈(215)에 면하고 있다. 또한 제 1 경사면부(216a)와 제 2 경사면부(216d)의 경사각도는 일치시키고 있다.
(로드 본체(220))
로드 본체(220)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이 로드 케이스(200) 내로부터 돌출되어 리드(40)를 밀어올리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로드 본체(220)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크게 구별하면 축방향의 도중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캠부(221)와, 캠부(221)의 상측에 위치하고, 로드 케이스(200) 내로부터 돌출되어 리드(40)를 밀어내는 상측 로드부(222)와, 캠부(221)의 하측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스프링(250)이 끼워져서 통하게 되는 하측 로드부(223)를 구비한다.
캠부(221)의 하면에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회전자(230)의 가동측 캠면(232)과 맞물리는 고정측 캠(22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캠(224)은 캠부(221)의 하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둔각의 파도형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부(221)의 외주에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225)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돌기(225)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210)의 슬라이드 홈(215)에 끼워맞춰지고, 이 슬라이드 홈(215)을 따라서 승강함으로써 로드 본체(220)는 캡(21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상측 로드부(222)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부츠(260)를 설치하는 환형 홈(226)을 형성하고 있다.
하측 로드부(223)의 하단부에는 도 23 및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슬리브(240)의 직경감소부(243)가 끼워넣어지는 잘록한 부분(227)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잘록한 부분(227)의 높이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감소부(243)의 상하방향의 두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잘록한 부분(227)에 직경감소부(243)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잘록한 부분(227)의 높이방향으로 클리어런스(C)가 발생한다. 직경감소부(243)는 잘록한 부분(227)의 클리어런스(C)만큼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된다.
클리어런스(C)의 양은 후술하는 회전자(230)의 가동측 캠(232)이 캠부(221)의 고정측 캠(242)과 맞물린 제 1 높이위치와, 고정측 캠(224)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높이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회전자(230)의 승강량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0.4㎜"로 설정되어 있으나, 이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자(230))
회전자(230)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로드부(223)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회전자(230)는 도 35 ~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너츠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며, 하측 로드부(223)에 끼워져서 통하게 되는 중심구멍(231)과, 상면에 형성되고, 캠부(221)의 고정측 캠(224)에 맞물림과 동시에 로드 본체(220)의 슬라이드에 의해 분리되고, 한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가동측 캠(232)을 구비한다.
가동측 캠(232)은 고정측 캠(224)과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고, 회전자(230)의 상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둔각의 파도형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캠(232)의 외주에는 도 35 ~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기(233)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233)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210)의 로크 홈(216)의 로크부(216b)에 끼워넣어지는 것이며, 상면에 사면을 갖는 평면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사다리꼴의 사면은 로크 홈(216)의 제1, 제 2 경사면부(216a, 216d)의 경사각도와 일치시키고 있다.
또한 걸어맞춤 돌기(233)의 좌우방향의 가로폭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210)의 슬라이드 홈(215)의 좌우 홈 폭 이하로 설정하고, 슬라이드 홈(215)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걸어맞춤 돌기(233)는 캡(210)의 로크 홈(216)과 함께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로크 기구는 도 24 ~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와 로드 본체(220) 사이에 위치하고, 스프링(260)(편향수단)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로드 본체(220)를 로드 케이스(200)의 후퇴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로크기구를 걸어맞춤 돌기(233)와 로크 홈(216)으로 구성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본체(220)의 캠부(221) 및 슬라이드 돌기(225), 캡(210)의 슬라이드 홈(215) 등도 로크기구의 한 구성요소로서 기능하고 있다.
(슬리브(240))
슬리브(240)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로드부(223)에 끼워져서 통하게 되고, 회전자(230)와 후술하는 스프링(250)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로드 본체(220)가 단축된 로크위치에서 이 로드 본체(220)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며, 즉 고정측 캠(224)과 가동측 캠(232)이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측 캠(224)과 가동측 캠(232)이 이격되는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로드 본체(2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슬리브(240)는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를 구비한다.
(1) 슬리브 본체(241)
슬리브 본체(241)는 도 23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로드부(223)에 끼워져서 통하게 되는 것이며,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2) 돌출부(242)
돌출부(242)는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자(230)과 맞닿는 슬리브 본체(241)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해서 환형으로 돌출된 것이다.
(3) 직경감소부(243)
직경감소부(243)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와 반대측의 슬리브 본체(241)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환형으로 돌출된 것이다.
(4) 슬릿(244)
슬릿(244)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본체(241)의 하단부를 복수, 예를 들어 두개로 나누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슬릿(244)은 슬리브 본체(241)의 직경방향으로 한쌍 형성되고, 슬리브 본체(241)의 하측의 단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도중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244)을 예를 들어 한쌍으로 형성했으나, 3개 이상 형성해도 된다.
(스프링(250))
스프링(250)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와 로드 본체(220) 사이에 위치하고, 로드 본체(220)를 로드 케이스(200) 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해서 편향시키기 위한 것이며, 편향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250)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본체(220)의 하측 로드부(223)에 회전자(230) 및 슬리브(240)를 끼워서 통하게 한 상태에서 이 슬리브(240)에 끼워져서 통하게 된다. 스프링(250)은 슬리브(240)의 돌출부(242)와 로드 케이스(200)의 바닥 사이에서 압축된다.
(부츠(260))
부츠(26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로부터 돌출되는 상측 로드부(222)를 덮는 신축 가능한 것이며, 로드 케이스(200)의 플랜지부(20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부츠(26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이 개구된 중공의 주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주머니형상으로 닫혀져 있다.
부츠(260)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환형으로 돌출된 환형 돌기(261)를 형성하고 있다. 환형 돌기(261)는 로드 본체(220)의 환형 홈(226)에 끼워넣어진다.
부츠(260)의 개구 하면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환형으로 돌출된 환형 볼록부(262)를 형성하고 있다. 환형 볼록부(262)는 로드 케이스(200)의 플랜지부(201)의 환형 오목부(202)에 끼워넣어지고, 부츠(260)가 로드 케이스(200)에 대해서 고정된다.
(푸시 로드(140)의 동작)
다음에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푸시 로드(14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푸시 로드(140)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그 로드 케이스(200)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로드 유지부(102)에 맞추어서 끼워넣음으로써 하우징(100)에 대해서 고정된다.
리드(40)가 닫힌 상태에서는 푸시 로드(140)는 로드 본체(220)가 단축된 로크상태에서 로크되어 있다(도 26 참조).
리드(40)를 밀어넣으면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 내로 밀어넣어져서 로크상태가 해제되고, 스프링(250)의 압축복원력에 의해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 내로부터 돌출되어 리드(40)를 밀어서 연다.
그렇기 때문에 밀어서 열린 리드(40)를 손으로 쉽게 열 수 있다.
한편, 연 리드(40)를 손으로 닫으면,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를 향해서 밀어넣어져서 단축된 로크상태에서 로크된다.
(로크기구의 동작)
로크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드 본체(220)가 단축된 로크상태에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캡(210)의 로크 홈(216)과 걸어맞춰지고, 로크부(216b)에 끼워넣어져 있다.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 내로 밀어넣어지면, 도시하지 않으나, 로드 본체(220)의 캠부(221)에 밀려서 회전자(230)가 하강한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으나,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캡(210)의 로크부(216b)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로드 본체(220)의 캠부(221)의 고정측 캠(224)과 회전자(230)의 가동측 캠(232)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도 26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 회전자(230)가 회전한다.
이어서, 로드 본체(220)를 밀어넣는 힘이 해방되면, 회전자(230)가 스프링(250)의 압축복원력에 의해 밀어올려진다.
이때,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도시하지 않으나 캡(210)의 제 2 경사면부(216d)에 맞닿는다. 그렇기 때문에, 걸어맞춤 돌기(233)는 제 2 경사면부(216d)에 미끄러지듯이 접하면서 상승하고, 제 2 경사면부(216d)의 사면 상단부로부터 슬라이드 홈(215)에 끼워넣어진다(도 24 참조).
슬라이드 홈(215)에 끼워넣어지면,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돌기(233)는 슬라이드 홈(215)을 따라서 상승 가능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스프링(250)의 압축복원력에 의해 회전자(230)를 통해서 로드 본체(220)의 캠부(221)가 밀어 올려지고,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로부터 돌출되어 신장된다.
한편, 신장된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 내로 밀어넣어지면, 도시하지 않으나,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슬라이드 홈(215)을 따라서 하강한다.
다음에, 걸어맞춤 돌기(233)가 슬라이드 홈(215)의 개구 하단으로부터 빠져나오면, 회전자(23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고정측 캠(224)과 가동측 캠(232)의 맞물림의 해제에 의해, 도 24 및 도 25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 회전자(230)가 회전하고, 슬라이드 홈(215)의 하측으로부터 로크 홈(216)의 제 1 경사면부(216a)를 향해서 이동한다.
다음에, 로드 본체(220)를 밀어넣는 힘이 해방되면, 회전자(230)가 스프링(250)의 압축복원력에 의해 밀어올려지고, 이때 걸어맞춤 돌기(233)가 제 1 경사면부(216a)에 맞닿는다. 그렇기 때문에, 걸어맞춤 돌기(233)는 제 1 경사면부(216a)에 미끄러지듯이 접하면서 상승하고, 로크부(216b)에 끼워넣어지고 다시 로크상태로 복귀한다.
10 -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A - 로크수단
B - 푸시업수단 20 - 급유구
30 - 힌지부 40 - 주유구 리드
41 - 걸림부 100 - 하우징
101 - 슬라이드 지지부 102 - 로드 유지부
103 - 모터 유지부 104 - 베어링부
100a,100b - 케이스 110 - 로크부재
111 - 래크부 120 - 모터
130 - 구동력전달기구 131 - 웜 기어
132 - 톱니바퀴 132a - 톱니바퀴축
132b - 큰 톱니바퀴부 132c - 작은 톱니바퀴부
132d - 회전각도규제부 133 - 스토퍼
140 - 푸시 로드 150 - 수동조작부
200 - 로드 케이스 201 - 플랜지부
202 - 환형 오목부 203 - 탄성 돌조부
204 - 걸림구멍 210 - 캡
211 - 덮개부 212 - 원통부
213 - 관통구멍 214 - 걸림 돌조부
215 - 슬라이드 홈 216 - 로크 홈
216a - 제 1 경사면부 216b - 로크부
216c - 수직부 216d - 제 2 경사면부
220 - 로드 본체 221 - 캠부
222 - 상측 로드부 223 - 하측 로드부
224 - 고정측 캠 225 - 슬라이드 돌기
226 - 환형 홈 227 - 잘록한 부분
C - 클리어런스 230 - 회전자
231 - 중심구멍 232 - 가동측 캠
233 - 걸어맞춤 돌기 240 - 슬리브
241 - 슬리브 본체 242 - 돌출부
243 - 직경감소부 244 - 슬릿
250 - 스프링 260 - 부츠
261 - 환형 돌기 262 - 환형 볼록부

Claims (7)

  1. 차체 측에 힌지부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주유구 리드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과,
    푸시·푸시기구의 푸시 로드를 통해서 주유구 리드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상기 푸시업수단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푸시업수단을 밀어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모터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되게 하며,
    상기 로크수단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와,
    상기 푸시업수단을 유지하는 로드 유지부를 일체로 하우징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모터를 유지하는 모터 유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웜 기어와 맞물리는 톱니바퀴가 상기 로크수단의 래크부에 맞물려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업수단의 푸시·푸시기구는 회전캠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에는 이 로크수단의 로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수동조작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KR1020110054601A 2010-06-04 2011-06-07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KR101263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9429A JP2011256528A (ja) 2010-06-04 2010-06-04 フューエルリッド開閉装置
JPJP-P-2010-129429 2010-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455A KR20110133455A (ko) 2011-12-12
KR101263609B1 true KR101263609B1 (ko) 2013-05-10

Family

ID=4547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601A KR101263609B1 (ko) 2010-06-04 2011-06-07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256528A (ko)
KR (1) KR101263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230B2 (en) 2014-10-17 2018-06-26 Hyundai Motor Company Actuator integrated push ope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5055A (ja) 2011-03-30 2012-11-08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US9038499B2 (en) * 2013-03-11 2015-05-26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1620736B1 (ko) * 2013-12-02 2016-05-1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리드장치
JP6346444B2 (ja) * 2014-01-10 2018-06-20 株式会社ニフコ 押上装置
JP6309276B2 (ja) * 2014-01-10 2018-04-11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JP6180992B2 (ja) * 2014-04-25 2017-08-16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
JP6565633B2 (ja) * 2015-11-25 2019-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開閉装置
WO2019078082A1 (ja) * 2017-10-17 2019-04-25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
JP6961543B2 (ja) 2018-02-27 2021-11-05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のリッド開閉装置
WO2019167869A1 (ja) * 2018-02-27 2019-09-0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のリッド開閉装置
CN108895122B (zh) * 2018-07-24 2024-02-09 平湖天林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童车减速机
JP2020082930A (ja) * 2018-11-21 2020-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荷室構造
CN109898940B (zh) * 2019-01-16 2021-01-08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锁止执行器、能源加注装置和车辆
KR102272563B1 (ko) * 2019-04-08 2021-07-05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의 충전용 도어의 비상해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6117A (ja) * 2008-06-24 2010-01-14 Honda Motor Co Ltd 車両の燃料供給口蓋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6117A (ja) * 2008-06-24 2010-01-14 Honda Motor Co Ltd 車両の燃料供給口蓋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230B2 (en) 2014-10-17 2018-06-26 Hyundai Motor Company Actuator integrated push op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56528A (ja) 2011-12-22
KR20110133455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609B1 (ko)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EP3093421B1 (en) Latch device
EP3093177B1 (en) Push-up device
US8590351B2 (en) Side-lock device
US7621419B2 (en) Door operating mechanism and unit
JP6686258B2 (ja) 回転式伸縮装置
CN102802995B (zh) 推起装置
US9856681B1 (en) Push lifter
KR20140003586A (ko) 압상장치
US20220136292A1 (en) Actuation assembly and refueling port or charging port flip cover assembly
KR20170019230A (ko)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개폐장치
CN109972937B (zh) 加油或充电口门锁总成
EP1018588A1 (en) A door securing assembly
US20190024415A1 (en) Vehicle lid lock device
CN1317149C (zh) 转向机构的锁定装置
KR20120049080A (ko) 자동차의 연료 도어 개폐장치
JP2021085191A (ja) 進退移動装置
KR200468707Y1 (ko) 안티패닉구조의 기어박스의 클러치 연결 구조체
CN103485605A (zh) 舌锁
CN103485606B (zh) 一种内门防盗锁
KR200496291Y1 (ko) 도어락 잠금장치
KR200365372Y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CN1800573A (zh) 自调节凸轮装置
JP2019112789A (ja) シリンダ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