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755B1 - 압상 장치 - Google Patents

압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755B1
KR101836755B1 KR1020167018563A KR20167018563A KR101836755B1 KR 101836755 B1 KR101836755 B1 KR 101836755B1 KR 1020167018563 A KR1020167018563 A KR 1020167018563A KR 20167018563 A KR20167018563 A KR 20167018563A KR 101836755 B1 KR101836755 B1 KR 101836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am
slide
cas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346A (ko
Inventor
야스히로 와타나베
나오히로 시마지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6009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05C19/063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5/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both moving axially and turning about their axis to secure the wing
    • E05C5/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both moving axially and turning about their axis to secure the wing performing both movements simultaneously, e.g. screwing into a keep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48Units of springs; Two or more springs working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압상 장치(10)는, 케이스(16)와, 케이스(16) 내에 보지되고 케이스(16) 내로부터 돌출해 전진 위치가 되는 로드(20)와, 케이스(16) 내에서 탄축되어 로드(20)를 케이스(16) 내로부터 압출(壓出)하는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로드 부세 부재(26)와, 로드(20)와 함께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캠(21)과, 로드(20)의 축 회전으로 슬라이드 캠(21)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회전 캠(22)을 구비하고, 케이스(16)와 로드(20)와의 사이에 위치해, 로드 부세 부재(26)의 부세력에 저항해 로드(20)를 압입(壓入) 함으로써, 회전 캠(22)이 슬라이드 캠(21)과 계합해 회전하여, 로드(20)를 케이스(16)의 후퇴 위치에 락(lock) 하는 락 기구와, 회전 캠(22)을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회전 캠 부세 부재(25)를 가진다.

Description

압상 장치{PUSH-UP DEVICE}
본 발명은, 차체 등의 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취부된 연료 커버(Fuel lid) 등의 부재를 개방향으로 압출(壓出)하기 위한 압상(押上)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압상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11-5945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연료 커버에 대향하는 차체 측에 고정되는 통형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지(保持)되어, 케이스 내로부터 돌출하여 연료 커버를 압출하는 로드(ro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세 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해 로드를 압입(壓入) 함으로써, 로드를 케이스의 후퇴 위치에 락(lock) 상태로 하기 위한 락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개 2011-5945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락 상태를 해제할 때에 회전 캠을 로드의 축 회전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로드에 축 방향의 반동이 형성되고 있다. 이 결과, 락 상태에 있는 로드에 반동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해, 락 상태에 있는 로드의 반동을 저감할 수 있는 압상 장치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압상 장치는,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측에 고정되는 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지되어, 상기 케이스 내로부터 돌출해 상기 제1 부재를 압출하는 전진 위치가 되는 로드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드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탄성 변형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로드를 상기 케이스 내로부터 압출하는 돌출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로드 부세 부재와, 상기 로드와 함께 상기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축 회전으로 상기 슬라이드 캠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회전 캠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드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해 상기 로드를 압입(壓入) 함으로써, 상기 회전 캠이 상기 슬라이드 캠과 계합해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로드를 상기 케이스의 후퇴 위치에 락(lock) 하는 락 기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캠을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회전 캠 부세 부재를 가진다.
제1 양태의 압상 장치에서는,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측에 고정되는 통형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지되어 케이스 내로부터 돌출해 제1 부재를 압출하는 전진 위치가 되는 로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로드 부세 부재가, 케이스 내에서 탄성 변형에 의해 압축되어 로드를 케이스 내로부터 압출하는 돌출방향으로 부세한다. 또한, 로드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해 로드를 압입하면, 회전 캠이 슬라이드 캠과 계합해 회전하는 것으로, 케이스와 로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락 기구에 의해 로드가 후퇴 위치에서 락 상태가 된다. 또한, 회전 캠 부세 부재에 의해 회전 캠이 로드의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된다. 이 때문에, 락 상태에서는, 회전 캠 부세 부재에 의해 회전 캠이 슬라이드 캠에 압압(押壓) 되므로, 로드의 축 방향으로의 반동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압상 장치는, 제1 양태의 압상 장치에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로드의 축 방향의 도중에 위치하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측 로드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슬라이드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캠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계탈(係脫)하여, 일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상기 회전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라이드 홈(溝)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홈 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캠의 회전을 저지하는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하는 계합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계합 돌기가 꼭 끼이는 락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캠이 상기 슬라이드 캠으로부터 계탈하여 상기 회전 캠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락부에 꼭 끼어 있던 상기 계합 돌기가 상기 락부로부터 계탈 가능한 락 홈(溝)과, 상기 회전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전 캠에 당접(當接) 가능하게 된 제1 슬리브와, 상기 제1 슬리브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揷通)되어,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캠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제1 슬리브와 상기 제2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彈縮)되어, 상기 제1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1 스프링이며, 상기 로드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케이스 내와 상기 제2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제2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2 스프링이다.
제2 양태의 압상 장치에서는, 하측 로드부에 삽통된 제2 스프링이, 케이스 내와 제2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제2 슬리브를 통해 로드를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한다. 또한, 하측 로드부에 삽통된 제1 스프링이 제1 슬리브와 제2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제1 스프링에 의해 제1 슬리브를 통해 회전 캠이 로드의 돌출방향으로 압압 된다. 또한, 락 상태에서는, 제1 스프링이 제2 스프링에 밀려서 휘어, 제1 슬리브, 회전 캠, 슬라이드 캠이 서로 당접 또는 접근하는 것으로, 제2 스프링의 부세력이 로드에 직접 작용해, 로드의 축 방향으로의 반동이 저감된다. 또한, 락 상태에서는, 제2 스프링의 부세력이 회전 캠을 슬라이드 캠에 압압한 상태에서 락 되고 있다. 그러나, 작동 시에는, 로드가, 반(反) 돌출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제1 슬리브와 제2 슬리브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회전 캠과 슬라이드 캠에 제2 스프링의 부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스프링의 부세력을 회전 캠과 슬라이드 캠의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가벼운 하중으로 억제 함으로써, 회전 캠과 슬라이드 캠의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압상 장치는, 제1 양태의 압상 장치에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로드의 축 방향의 도중에 위치하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측 로드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슬라이드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캠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계탈하여, 일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상기 회전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홈 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캠의 회전을 저지하는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하는 계합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계합 돌기가 꼭 끼이는 상기 락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캠이 상기 슬라이드 캠으로부터 계탈하여 상기 회전 캠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락부에 꼭 끼어 있던 상기 계합 돌기가 상기 락부로부터 계탈 가능한 락 홈과, 상기 회전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전 캠에 당접 가능하게 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그로밋(Grommet)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캠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그로밋과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1 스프링이며, 상기 로드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케이스 내와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2 스프링이다.
제3 양태의 압상 장치에서는, 하측 로드부에 삽통된 제2 스프링이, 케이스 내와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슬리브를 통해 로드를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한다. 또한, 하측 로드부에 삽통된 제1 스프링이 슬리브와 그로밋과의 사이에 탄축되어, 제1 스프링에 의해 슬리브를 통해 회전 캠이 로드의 돌출방향으로 압압 된다. 이 때문에, 락 상태에서는, 제1 스프링에 의해 회전 캠이 슬라이드 캠에 압압 되므로, 로드의 축 방향으로의 반동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압상 장치는, 제1 양태의 압상 장치에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로드의 축 방향의 도중에 형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슬라이드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캠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계탈하여, 일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상기 회전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해,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홈 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로드의 회전을 저지하는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하는 계합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계합 돌기가 꼭 끼이는 락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캠이 상기 슬라이드 캠으로부터 계탈하여 상기 회전 캠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락부에 꼭 끼어 있던 상기 계합 돌기가 상기 락부로부터 계탈 가능한 락 홈과,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캠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회전 캠과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회전 캠을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1 스프링이며, 상기 로드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케이스 내와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2 스프링이다.
제4 양태의 압상 장치에서는, 하측 로드부에 삽통된 제2 스프링이, 케이스 내와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슬리브를 통해 로드를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한다. 또한, 하측 로드부에 삽통된 제1 스프링이 회전 캠과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제1 스프링에 의해 회전 캠이 로드의 돌출방향으로 압압 된다. 또한, 락 상태에서는, 제1 스프링이 제2 스프링에 밀려서 휘어, 슬리브, 회전 캠, 슬라이드 캠이 서로 당접 또는 접근하는 것으로, 제2 스프링의 부세력이 로드에 직접 작용해, 로드의 축 방향으로의 반동이 저감된다. 또한, 락 상태에서는, 제2 스프링의 부세력이 회전 캠을 슬라이드 캠에 압압한 상태에서 락 되고 있다. 그러나, 작동 시에는, 로드가, 반(反) 돌출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회전 캠과 슬리브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회전 캠과 슬라이드 캠에 제2 스프링의 부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스프링의 부세력을 회전 캠과 슬라이드 캠의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가벼운 하중으로 억제 함으로써, 회전 캠과 슬라이드 캠의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압상 장치는, 제1 양태~ 제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의 압상 장치에서, 상기 제2 부재가 차체이며,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차체에 개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 커버이다.
제5 양태의 압상 장치에서는, 제1 양태~ 제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의 압상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에 개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取付)된 연료 커버에서 전술한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압상 장치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락 상태에 있는 로드의 반동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압상 장치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락 상태에 있는 로드의 반동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 캠과 슬라이드 캠의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압상 장치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락 상태에 있는 로드의 반동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압상 장치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락 상태에 있는 로드의 반동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 캠과 슬라이드 캠의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압상 장치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락 상태에 있는 로드 및 연료 커버의 반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락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압상 장치의 락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로드를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에 대응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락 기구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에 대응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캡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차체에의 취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락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락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압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압상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압상 장치(10)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에서, 제1 부재로서의 연료 커버(12)에 대향하는 제2 부재로서의 차체의 이너 패널(Inner panel)(14)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연료 커버(12)는, 도시하지 않은 힌지(hinge)에 의해 이너 패널(14)에 개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압상 장치(10)에 의해 개(開) 방향이 되는 돌출방향(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 압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상 장치(10)는, 케이스(16), 로드(20), 락 기구로서의 로드(20)의 돌출부(64), 캡(18), 슬라이드 캠(21), 회전 캠(22), 제1 슬리브(23), 제2 슬리브(24), 회전 캠 부세 부재로서의 제1 스프링(25), 로드 부세 부재로서의 제2 스프링(26), 부츠(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압상 장치(10)의 파츠는, 상기한 파츠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스프링(25)과 제2 스프링(26)은 일례로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스프링(26)의 부세력(하중)에 비해 제1 스프링(25)의 부세력(하중)이 작게(가볍게)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6)는 통형(筒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패널(14)에는, 표리면(表裏面)으로 관통하는 취부 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취부 구멍(32)에 케이스(16)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6)는, 상면이 개구(開口)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底面)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6)의 외경은, 이너 패널(14)의 취부 구멍(32)의 내경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16)의 개구측 단부에는, 반경(半徑) 방향의 외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34)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34)의 상측에는, 환상(環狀)의 취부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4)의 하측에는, 케이스(16)의 외주로부터 방사상(放射狀)으로 복수개의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하는 탄성조(彈性爪)(38)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탄성조(38)는, 이너 패널(14)의 판 두께의 간격을 유지하여 플랜지부(34)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6)를 취부 구멍(32)에 맞춰 끼워 넣으면, 탄성조(38)가 일단 물러나고, 그 후, 이너 패널(14)의 이면(裏面)측에서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플랜지부(34)의 하면과의 사이에서 이너 패널(14)을 협지(挾持)한다. 이와 같이 하여, 취부 구멍(32)에 케이스(16)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캡)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8)은, 케이스(16)의 개구 상면에 취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8)은, 케이스(16)의 개구 상면보다 한층 큰 개부(蓋葺)(40)와, 개부(40)의 하면으로부터 일단 좁아져 원통형으로 늘어나는 원통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8)의 개부(40)의 내주부에는, 상하로 관통한 원형의 관통 구멍(44)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44)에는, 로드(20)가 삽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44)의 내주부에는 철부(凸部)(4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18)의 원통부(42)는, 외주가 케이스(16)의 내경 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케이스(16) 내에 삽입되고 있다. 또한, 캡(18)의 원통부(42)의 외주에서의 개부(40)에 인접하는 부위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하는 계지조(係止爪)(4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6)의 취부부(36)에는, 내외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계지 구멍(48)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6)의 계지 구멍(48)에 캡(18)의 계지조(46)가 꼭 끼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캡(18)의 원통부(42)를 케이스(16)의 개구 상면에 맞춰 끼워 넣으면, 계지조(46)가 일단 물러나고, 그 후, 계지 구멍(48)에 탄성적으로 꼭 끼이는 것으로, 케이스(16)에 캡(18)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8)의 원통부(42)의 내주면에는, 요설(凹設)된 슬라이드 홈(50)이 형성되고 있다. 슬라이드 홈(50)은, 슬라이드 캠(2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홈(50)은,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막혀 있고,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슬라이드 홈(50)의 하측에는, 원통부(42)의 내주면에 요설된 락 홈(52)이 형성되어 있고, 락 홈(52)이 회전 캠(22)을 회전 불가능하게 락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락 홈(52)은, 인접한 슬라이드 홈(50)의 간격 내에 형성되어, 원통부(42)의 내주면의 주방향을 따라 톱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 홈(52)은, 1개의 슬라이드 홈(50)을 기준으로서, 슬라이드 홈(50)으로부터 회전 캠(22)의 회전 방향(도 4~도 6 중, 화살표 B방향)의 전방을 향하고, 상방(로드의 돌출방향)을 향해 오름 경사진 제1 사면부(52A)와, 제1 사면부(52A)의 경사 상단부, 즉, 회전 캠(22)의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회전 캠(22)의 계합 돌기(56)가 꼭 끼이는 락부(52B)와, 락부(52B)로부터 하방을 향해 깎아지른 수직부(52C)와, 수직부(52C)의 하단부에서 상방을 향해 오름 경사지고, 경사 상단부가 회전 캠(22)의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1개의 슬라이드 홈(50)에 따르는 제2 사면부(52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사면부(54)의 경사 하단부, 즉, 회전 캠(22)의 회전 방향의 후방은, 1개의 슬라이드 홈(50)에 따르고 있다. 또한, 제1 사면부(52A)와 제2 사면부(52D)와의 경사 각도는, 일치하고 있다.
(로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0)는, 케이스(16)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지되어, 케이스(16) 내로부터 돌출해 전진 위치가 되고, 도 2에 도시한 연료 커버(12)를 압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0)는, 원주봉상(圓柱棒狀)으로 형성되어 축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원형판상(圓形板狀)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4)와, 돌출부(64)의 상측에 위치하고, 케이스(16) 내로부터 돌출하여 연료 커버(12)를 압출하는 상측 로드부(66)와, 돌출부(64)의 하측에 위치해, 제2 스프링(26)이 삽통되는 하측 로드부(6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로드(20)의 돌출부(64)는, 캡(18)의 개부(40)에서의 관통 구멍(44)의 하방 주변부에 당접하고, 로드(20)의 압상(押上)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64)의 로드(20)의 돌출방향의 후방에 위치 되는 하방 측에는,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된 슬라이드 캠(21)이 배치되고 있다. 슬라이드 캠(21)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회전 캠(22)의 가동측 캠부(82)와 맞물리는 고정측 캠(7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캠(72)은, 슬라이드 캠(21)의 하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둔각파치상(鈍角波齒狀)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캠(21)의 외주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돌출하는 슬라이드 돌기(74)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캠(21)의 슬라이드 돌기(74)는, 캡(18)의 슬라이드 홈(50)에 꼭 끼여, 슬라이드 홈(50)을 따라 승강(昇降) 함으로써, 슬라이드 캠(21)이 캡(18)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보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0)의 상측 로드부(66)의 선단부가 되는 상단에는, 계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드(20)의 상측 로드부(66)의 긴 방향 중간부에는, 나선상(螺旋狀)의 가이드 홈(7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75)이 캡(18)의 철부(45)와 접동(摺動) 함으로써, 로드(20)의 진퇴 시에 로드(20)가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0)의 계합부(67)는, 로드(20)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봉상(棒狀)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20)의 진퇴 시에 로드(20)가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계합부(67)가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료 커버(12)의 이면에 취부된 리테이너(69)의 계합 구멍(69A)에, 계합 또는 계합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계합 구멍(69A)은 리테이너 본체(69B) 상벽부에 형성된 긴 구멍(長孔)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69)의 리테이너 본체(69B)는 캡 형상으로 되어 있고, 부츠(28)의 상부를 가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 본체(69B) 상벽부로부터는, 상방으로 계합부(69C)가 연설(延設)되어 있고, 계합부(69C)를 연료 커버(12)의 취부 구멍(13)에 계합시킴으로써, 리테이너(69)를 연료 커버(12)에 취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20)가 락 상태에 있을 때는, 도 2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로드(20)의 계합부(67)가 리테이너(69)의 계합 구멍(69A)에 계합하고, 연료 커버(12)를 폐(閉) 상태로 보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0)의 상측 로드부(66)의 상단 근방에는, 부츠(28)를 취부하는 환상(環狀)의 환상 홈(溝)(7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의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 슬리브(24)의 축경부(78)가 꼭 끼이도록 폭이 좁아진, 협착부(80)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로드(20)의 협착부(80)의 높이는, 제2 슬리브(24)의 축경부(78)의 상하 방향의 두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협착부(80)에, 축경부(78)가 꼭 끼인 상태에서, 협착부(80)의 높이 방향으로 클리어런스(clearance)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제2 슬리브(24)의 축경부(78)는, 로드(20)의 협착부(80)의 클리어런스분 만큼 상하로 승강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로드(20)는 제2 슬리브(24)에 대해 상기 클리어런스분 만큼 상하로 승강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클리어런스의 양은, 후술하는 회전 캠(22)의 가동측 캠부(82)가 슬라이드 캠(21)의 고정측 캠(72)에 맞물린 제1 높이 위치와, 고정측 캠(72)에서 계탈하는 제2 높이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하는 회전 캠(22)의 승강량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슬리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리브(23)는, 슬리브 본체(23A), 날밑부(鍔部)(23B)를 구비하고 있고, 제2 슬리브(24)는, 슬리브 본체(88), 날밑부(84), 축경부(78) 및 슬릿(9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리브(23)는,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되어, 회전 캠(22)과 제1 스프링(25)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슬리브(24)는,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되어, 제1 슬리브(23)와 제2 스프링(26)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리브(23)의 슬리브 본체(23A)와, 제2 슬리브(24)의 슬리브 본체(88)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되고 있다. 또한, 제1 슬리브(23)의 날밑부(23B)는, 회전 캠(22)과 당접하는 슬리브 본체(23A)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과 내향의 쌍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한편, 제2 슬리브(24)의 날밑부(84)는, 슬리브 본체(88)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슬리브(24)의 축경부(78)는, 상단부와 반대측의 슬리브 본체(88)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반경 방향으로 내향으로 환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92)은 슬리브 본체(88)의 상단부를 복수로 잘라 나누고, 슬릿(92)은, 슬리브 본체(88)의 직경 방향으로 한 쌍 형성되어, 슬리브 본체(88)의 상측의 단면(端面)에서 하방을 향해 도중까지 형성되고 있다.
(회전 캠 부세 부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25)은 제1 슬리브(23)와 제2 슬리브(24)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슬리브(23)의 날밑부(23B)의 내측과 제2 슬리브(24)의 상단과의 사이에 압축되도록 되어 있고, 제1 슬리브(23)와 제2 슬리브(24)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로드 부세 부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프링(26)은, 케이스(16)와 제2 슬리브(24)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슬리브(24)의 날밑부(84)와 케이스(16)의 바닥과의 사이에 압축되도록 되어 있고, 제2 슬리브(24)를 통해 로드(20)를 케이스(16) 내로부터 압출하는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고 있다.
(락 기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 기구는 슬라이드 캠(21)과 회전 캠(22)을 구비한 회전 캠 식으로 되어 있고, 케이스(16)와 로드(20)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저항해 로드(20)를 케이스(16)의 후퇴 위치에 락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캠(22)은,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 캠(22)은, 슬라이드 캠(21)의 고정측 캠(72)에 맞물림과 동시에, 로드(20)의 슬라이드에 의해 계탈하여, 일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가동측 캠부(82)를 가지고 있다.
회전 캠(22)은 도너츠 형(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서 상하로 관통하고,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되는 중심 구멍(86)과, 상면에 형성되어 슬라이드 캠(21)의 고정측 캠(72)에 맞물림과 동시에, 로드(20)의 슬라이드에 의해 계탈하여, 일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가동측 캠부(82)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측 캠부(82)는, 슬라이드 캠(21)의 고정측 캠(72)과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고 있고, 회전 캠(22)의 상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이고 또한 둔각파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캠(22)의 외주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계합 돌기(56)가 형성되고 있다.
도 4~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캠(22)의 계합 돌기(56)는, 상면에 사면(斜面)을 가지는 평면사다리꼴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캡(18)의 락 홈(52)의 락부(52B)에 꼭 맞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캠(22)의 계합 돌기(56)의 사다리꼴 형의 사면은, 락 홈(52)의 제1 사면부(52A)와 제2 사면부(52D)의 경사 각도에 일치하고 있다.
회전 캠(22)의 계합 돌기(56)의 좌우 방향의 가로 폭은, 캡(18)의 슬라이드 홈(50)의 좌우의 구(溝) 폭 이하로 설정되어 있어 슬라이드 홈(50)을 슬라이드 가능으로 하고 있다.
(부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츠(28)는, 케이스(16)로부터 돌출하는 상측 로드부(66)를 덮는 신축 가능한 것이며, 케이스(16)에 장착되고 있다. 부츠(28)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한 중공(中空)의 사복상(蛇腹狀)으로 형성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츠(28)의 개구 하면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으로 환상으로 돌출한 환상 요부(96)가 형성되어 있고, 환상 요부(96)는, 케이스(16)의 플랜지부(34)에 끼워 넣어져 있다. 한편, 부츠(28)의 개구 상면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으로 환상으로 돌출한 환상 요철(97)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로드(20)의 진퇴시에 로드(20)가 부츠(28)에 대해 축 회전 방향으로 원활히 회전하도록, 부츠(28)의 환상 요철(97)은, 부츠(28)에 설치된 통상(筒狀)의 칼라(100)와, 로드 측에 설치된 통상의 실(seal)(102)을 사이에 두고, 로드(20)의 환상 홈(76)에 끼워 넣어져 있다.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압상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상 장치(10)는, 조립한 상태에서, 케이스(16)를, 이너 패널(14)의 취부 구멍(32)에 맞추어 끼워 넣는 것으로, 이너 패널(14)에 고정된다. 또한, 연료 커버(12)가 닫힌 상태에서는, 압상 장치(10)는 로드(20)가 단축된 락 상태로 락 되어 있다.
또한, 닫은 상태의 연료 커버(12)를 압입하면, 압상 장치(10)의 로드(20)가 케이스(16) 내로 압입되어, 락 상태가 해제된다. 이 결과, 제2 스프링(26)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로드(20)가 케이스(16) 내로부터 돌출해, 연료 커버(12)를 압개(押開) 함과 동시에, 로드(20)의 계합부(67)와 리테이너(69)의 계합 구멍(69A)과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압개된 연료 커버(12)를 손으로 용이하게 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드(20)가 단축된 락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캠(22)의 계합 돌기(56)와 캡(18)의 락 홈(52)이 계합하여, 락부(52B)에 꼭 끼여 있다. 이 상태에서, 로드(20)가 케이스(16) 내에 압입되면, 로드(20)의 돌출부(64)에 밀려, 슬라이드 캠(21)과 함께 회전 캠(22)이 하강한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 캠(22)의 계합 돌기(56)가, 캡(18)의 락부(52B)로부터 계탈한다. 이 때, 슬라이드 캠(21)의 고정측 캠(72)과, 회전 캠(22)의 가동측 캠부(82)와의 맞물림이 계탈하여,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 캠(22)이 회전한다. 다음으로, 로드(20)를 압입하는 힘이 해방되면, 회전 캠(22)이, 제2 스프링(26)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압상된다. 이 때, 회전 캠(22)의 계합 돌기(56)가, 캡(18)의 제2 사면부(52D)에 당접한다. 이 때문에, 계합 돌기(56)는, 제2 사면부(52D)에 접접(摺接)하면서 상승하고,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사면부(52D)의 사면 상단부로부터 슬라이드 홈(50)으로 꼭 끼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 돌기(56)가, 슬라이드 홈(50)에 꼭 끼이면, 계합 돌기(56)는 슬라이드 홈(50)을 따라 상승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제2 스프링(26)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제2 슬리브(24)를 통해 로드(20)가 돌출부(64)를 압상되어, 로드(20)가 케이스(16)로부터 돌출해 신장한다.
한편, 연(開) 연료 커버(12)를 손으로 닫으면, 신장한 압상 장치(10)의 로드(20)가, 제2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저항해, 케이스(16)를 향해 압입되어, 회전 캠(22)의 계합 돌기(56)가, 슬라이드 홈(50)을 따라 하강한다.
다음으로, 로드(20)가, 제2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저항해, 케이스(16)를 향해 더 압입되어, 회전 캠(22)의 계합 돌기(56)가, 슬라이드 홈(50)을 따라 하강하고, 계합 돌기(56)가 슬라이드 홈(50)의 개구 하단으로부터 빠져 나오면, 회전 캠(22)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고정측 캠(72)과 가동측 캠부(82)와의 맞물림의 계탈에 의해, 도 5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 캠(22)이 회전하고, 슬라이드 홈(50)의 하측으로부터 락 홈(52)의 제1 사면부(52A)를 향해 이동한다.
다음으로, 로드(20)를 압입하는 힘이 해방되면, 회전 캠(22)이, 제1 스프링(25)과 제2 스프링(26)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압상된다. 이 때, 계합 돌기(56)가 제1 사면부(52A)에 당접한다. 이 때문에, 계합 돌기(56)는, 제1 사면부(52A)에 접접하면서 상승하고,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락부(52B)에 꼭 끼여, 다시 락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압상 장치(10)에서는, 제2 스프링(26)이, 케이스(16) 내와 제2 슬리브(24)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제2 슬리브(24)를 통해 로드(20)를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한다. 또한, 제1 스프링(25)이 제1 슬리브(23)와 제2 슬리브(24)와의 사이에서 탄축되어, 제1 슬리브(23)와 제2 슬리브(24)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락 상태에서는, 제2 스프링(26)에 의해 부세된 제2 슬리브(24)가 제1 슬리브(23)에 당접하고, 제1 슬리브(23)가 회전 캠(22)을 슬라이드 캠(21)에 압압한 상태에서 락 되고 있으므로, 로드(20)의 축 방향으로의 반동이 저감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드(20)에 설치된 가이드 홈(75)과, 캡(18)에 설치된 철부(45)에 의해, 로드(20)의 진퇴시에 로드(20)가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락 상태에서는, 로드(20)의 선단부에 설치된 계합부(67)가, 연료 커버(12)의 이면에 취부된 리테이너(69)의 계합 구멍(69A)에, 도 2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계합한다. 이 때문에, 락 상태에서의 로드(20) 및 연료 커버(12)의 반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로드(20)의 락 개방 상태에서는, 제1 슬리브(23)와 제2 슬리브(24)와의 사이에 틈새가 있지만, 도 2에 도시한 로드(20)의 락 상태에서는, 제1 슬리브(23)와 제2 슬리브(24)와의 사이에 틈새가 없어진다. 또한, 락 상태에서는, 제2 스프링(26)이 회전 캠(22)을 슬라이드 캠(21)에 압압한 상태에서 락 되고 있지만, 작동 시에는, 로드(20)가, 반 돌출방향(도 2의 화살표 A와 반대 방향)에 밀리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리브(23)와 제2 슬리브(24)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회전 캠(22)과 슬라이드 캠(21)에 제2 스프링(26)의 부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스프링(25)의 부세력을 회전 캠(22)과 슬라이드 캠(21)의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가벼운 하중으로 억제 함으로써, 회전 캠(22)과 슬라이드 캠(21)의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압상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9~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교부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1 슬리브(23)를 대신해 슬리브(120),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2 슬리브(24)를 대신해 그로밋(122)이 설치되고 있다.
슬리브(120)는, 슬리브 본체(120A), 날밑부(120B)를 구비하고 있고, 그로밋(122)은, 그로밋 본체(122A), 축경부(122B), 슬릿(122C)을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120)는,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되어, 회전 캠(22)과 제2 스프링(26)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로밋(122)은,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되어, 슬리브(1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120)의 슬리브 본체(120A)와, 그로밋(122)의 그로밋 본체(122A)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되고 있다. 또한, 슬리브(120)의 날밑부(120B)는, 회전 캠(22)과 당접하는 슬리브 본체(120A)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어, 반경 방향으로 외향과 내향의 쌍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로밋(122)의 축경부(122B)는, 상단부와 반대측의 그로밋 본체(122A)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반경 방향으로 내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축경부(122B)는,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의 하단부에 형성된 협착부(80)에 꼭 끼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드(20)의 협착부(80)의 높이는, 그로밋(122)의 축경부(122B)의 상하 방향의 두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협착부(80)에, 축경부(122B)가 꼭 끼인 상태에서, 협착부(80)의 높이 방향으로 클리어런스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그로밋(122)의 축경부(122B)는, 로드(20)의 협착부(80)의 클리어런스분 만큼 상하로 승강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로드(20)는 그로밋(122)에 대해 상기 클리어런스분 만큼 상하로 승강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슬릿(122C)은 그로밋 본체(122A)의 하단부를 복수로 잘라 나누고 있고, 슬릿(122C)은 그로밋 본체(122A)의 직경 방향으로 2쌍 형성되어, 그로밋 본체(122A)의 하측의 단면에서 상측을 향해 도중까지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프링(26)은, 케이스(16)와 그로밋(122)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로밋(122)의 날밑부(120B)의 외주부와 케이스(16)의 바닥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되어 있고, 회전 캠(22), 슬라이드 캠(21)을 통해 로드(20)를 케이스(16) 내로부터 압출하는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고 있다. 또한, 제1 스프링(25)은, 그로밋(122)과 슬리브(120)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로밋(122)의 그로밋 본체(122A)와 슬리브(120)의 날밑부(120B)의 내주부와의 사이에 압축되도록 되어 있어, 슬리브(120)와 그로밋(122)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압상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에 대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스프링(26)이, 케이스(16) 내와 슬리브(120)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슬리브(120)를 통해 로드(20)를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한다. 또한, 제1 스프링(25)이 슬리브(120)와 그로밋(122)과의 사이에 탄축되어, 슬리브(120)와 그로밋(122)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락 상태에서는, 제1 스프링(25)이 회전 캠(22)을 슬라이드 캠(21)에 압압한 상태에서 락 되고 있으므로, 로드(20)의 축 방향으로의 반동이 저감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압상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12~도 14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교부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로드(20)의 돌출부(64)와 슬라이드 캠(21)이 일체가 되어, 로드(20)의 슬라이드 캠으로서의 캠부(130)가 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 캠(22)이 회전 캠(140)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홈(50)에 의해, 로드(20)는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보지되고 있다. 또한, 부츠(28)는 상단부가 대상(袋狀)으로 닫혀 있고, 부츠(28)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으로 환상으로 돌출한 환상 돌기(9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환상 돌기(94)가 로드(20)의 상단에 형성된 환상 홈(76)에 꼭 끼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1 슬리브(23)와 제2 슬리브(24)를 대신해, 슬리브(1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리브(132)는, 슬리브 본체(132A), 날밑부(132B), 축경부(132C), 슬릿(132D)을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132)는,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되어, 회전 캠(14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슬리브(132)의 슬리브 본체(132A)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되고 있다. 또한, 슬리브(132)의 날밑부(132B)는, 회전 캠(140)과 당접하는 슬리브 본체(132A)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하고, 외주부에는 상측을 향해 통상의 벽부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32)의 축경부(132C)는, 상단부와 반대측의 슬리브 본체(132A)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반경 방향으로 내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축경부(132C)는,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의 하단부에 형성된 협착부(80)에 꼭 끼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드(20)의 협착부(80)의 높이는, 슬리브(132)의 축경부(132C)의 상하 방향의 두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협착부(80)에, 축경부(132C)가 꼭 끼인 상태에서, 협착부(80)의 높이 방향으로 클리어런스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슬리브(132)의 축경부(132C)는, 로드(20)의 협착부(80)의 클리어런스분 만큼 상하로 승강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로드(20)는 슬리브(132)에 대해 상기 클리어런스분 만큼 상하로 승강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슬릿(132D)은, 슬리브 본체(132A)의 상하 방향 중간부를 복수로 잘라 나누고 있다.
제2 스프링(26)은, 케이스(16)와 슬리브(132)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슬리브(132)의 날밑부(132B)의 외주부와 케이스(16)의 바닥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되어 있고, 슬리브(132)를 통해 로드(20)를 케이스(16) 내로부터 압출하는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고 있다. 또한, 제1 스프링(25)은, 슬리브(132)와 회전 캠(140)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슬리브(132)의 날밑부(132B)와 회전 캠(140)과의 사이에 압축되도록 되어 있어, 회전 캠(140)과 슬리브(132)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압상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에 대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0)의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된 제2 스프링(26)이, 케이스(16) 내와 슬리브(132)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슬리브(132)를 통해 로드(20)를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한다. 또한, 하측 로드부(68)에 삽통된 제1 스프링(25)이 슬리브(132)와 회전 캠(140)과의 사이에서 탄축되어, 회전 캠(140)과 슬리브(132)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 때문에, 도 13에 도시한 락 상태에서는, 제2 스프링(26)에 의해 부세된 슬리브(132)가 회전 캠(140)에 당접하여, 회전 캠(140)이 캠부(130)에 압압한 상태에서 락 되고 있으므로, 로드(20)의 축 방향으로의 반동이 저감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로드(20)의 락 개방 상태에서는, 회전 캠(140)과 슬리브(132)와의 사이에 틈새가 있지만, 도 13에 도시한 로드(20)의 락 상태에서는, 회전 캠(140)과 슬리브(132)와의 사이에 틈새가 없어진다. 또한, 락 상태에서는, 제2 스프링(26)이 회전 캠(140)을 캠부(130)에 압압한 상태에서 락 되고 있다. 그러나, 작동 시에는, 로드(20)가, 반 돌출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캠(140)과 슬리브(132)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회전 캠(140)과 캠부(130)에 제2 스프링(26)의 부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스프링(25)의 부세력을 회전 캠(140)과 캠부(130)의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가벼운 하중으로 억제 함으로써, 회전 캠(140)과 캠부(130)의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다. 예를 들면, 로드 부세 부재, 락 기구 및 회전 캠 부세 부재는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압상 장치(10)를, 제1 부재로서의 연료 커버(12)에 대향하는 제2 부재로서의 차체의 이너 패널(14)에 취부했지만, 본 발명의 압상 장치는, 연료 커버 이외의 다른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차체의 이너 패널 이외의 다른 제2 부재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또한, 2014년 1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4-003482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별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포함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5)

  1.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측에 고정되는 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지되어, 상기 케이스 내로부터 돌출해 상기 제1 부재를 압출(壓出)하는 전진 위치가 되는 로드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드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탄성 변형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로드를 상기 케이스 내로부터 압출하는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로드 부세 부재와,
    상기 로드와 함께 상기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축 회전으로 상기 슬라이드 캠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회전 캠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드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해 상기 로드를 압입(壓入) 함으로써, 상기 회전 캠이 상기 슬라이드 캠과 계합해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로드를 상기 케이스의 후퇴 위치에 락(lock) 하는 락 기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로드 부세 부재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 캠을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회전 캠 부세 부재
    를 가지는 압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로드의 축 방향의 도중에 위치하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外向)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측 로드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슬라이드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캠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계탈(係脫)하여, 일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상기 회전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라이드 홈(溝)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홈 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캠의 회전을 저지하는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하는 계합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계합 돌기가 꼭 끼이는 락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캠이 상기 슬라이드 캠으로부터 계탈하여 상기 회전 캠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락부에 꼭 끼어 있던 상기 계합 돌기가 상기 락부로부터 계탈 가능한 락 홈(溝)과,
    상기 회전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전 캠에 당접 가능하게 된 제1 슬리브와,
    상기 제1 슬리브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슬리브
    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캠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제1 슬리브와 상기 제2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제1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1 스프링이며,
    상기 로드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케이스 내와 상기 제2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제2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2 스프링인 압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로드의 축 방향의 도중에 위치하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측 로드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슬라이드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캠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계탈하여, 일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상기 회전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홈 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캠의 회전을 저지하는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하는 계합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계합 돌기가 꼭 끼이는 락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캠이 상기 슬라이드 캠으로부터 계탈하여 상기 회전 캠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락부에 꼭 끼어 있던 상기 계합 돌기가 상기 락부로부터 계탈 가능한 락 홈과,
    상기 회전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전 캠에 당접 가능하게 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그로밋
    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캠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그로밋과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1 스프링이며,
    상기 로드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케이스 내와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2 스프링인 압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로드의 축 방향의 도중에 형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슬라이드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기 돌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측 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캠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계탈하여, 일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상기 회전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홈 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로드의 회전을 저지하는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하는 계합 돌기와,
    상기 회전 캠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중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계합 돌기가 꼭 끼이는 락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캠이 상기 슬라이드 캠으로부터 계탈하여 상기 회전 캠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락부에 꼭 끼어 있던 상기 계합 돌기가 상기 락부로부터 계탈 가능한 락 홈과,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슬리브
    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캠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회전 캠과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회전 캠을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1 스프링이며,
    상기 로드 부세 부재는, 상기 하측 로드부에 삽통되어, 상기 케이스 내와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탄축되어, 상기 슬리브를 상기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제2 스프링인 압상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차체이며,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차체에 개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연료 커버(Fuel lid)인 압상 장치.
KR1020167018563A 2014-01-10 2015-01-09 압상 장치 KR101836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03482A JP6346444B2 (ja) 2014-01-10 2014-01-10 押上装置
JPJP-P-2014-003482 2014-01-10
PCT/JP2015/050554 WO2015105192A1 (ja) 2014-01-10 2015-01-09 押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346A KR20160098346A (ko) 2016-08-18
KR101836755B1 true KR101836755B1 (ko) 2018-03-08

Family

ID=5352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563A KR101836755B1 (ko) 2014-01-10 2015-01-09 압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82467B2 (ko)
EP (1) EP3093177B1 (ko)
JP (1) JP6346444B2 (ko)
KR (1) KR101836755B1 (ko)
CN (1) CN106061783B (ko)
WO (1) WO2015105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9276B2 (ja) * 2014-01-10 2018-04-11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ITUB20159487A1 (it) * 2015-12-29 2017-06-29 Cebi Italy Spa Gruppo imboccatura serbatoio carburante di veicolo con dispositivo di chiusura a tenuta.
US9856681B1 (en) * 2016-06-17 2018-01-02 Nifco America Corp. Push lifter
CN106985660B (zh) * 2017-04-10 2019-08-20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导向件、能源充填口总成及包括其的车辆
KR102249770B1 (ko) * 2017-05-18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US11098506B2 (en) * 2017-09-27 2021-08-24 Illinois Tool Works Inc. Actuating apparatus
CN109930926B (zh) * 2017-12-15 2022-02-25 株式会社有信 盖开闭装置
CN109624699B (zh) * 2019-02-07 2020-09-18 襄阳光瑞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油箱加油口盖
US11332003B2 (en) * 2019-05-03 2022-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or charging port door assembly with override configuration and assist tool
US11473355B2 (en) * 2020-03-30 2022-10-18 The Boeing Company Press-to-deploy rotatable latch assembly
DE102020127323A1 (de) * 2020-10-16 2022-04-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ulde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EP4237645A1 (en) * 2020-11-01 2023-09-06 Zafeirakis, Nikolaos Locking mechanism
CN112894308A (zh) * 2021-03-25 2021-06-04 迈微思(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切换套筒机构
CN114352141B (zh) * 2021-11-30 2023-04-21 东风汽车有限公司东风日产乘用车公司 汽车口盖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528A (ja) * 2010-06-04 2011-12-22 Nifco Inc フューエルリッド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84817A1 (de) * 1968-09-21 1972-01-20 William Bol OEffner fuer Schubkaesten und Tueren von Schraenken od.dgl.
JP2004035016A (ja) 2002-07-01 2004-02-05 Nifco Inc 燃料タンク用キャップ装置
GB2455769B (en) * 2007-12-20 2012-10-17 Mighton Products Ltd Sash window restrictor
JP5118102B2 (ja) 2009-06-25 2013-01-16 株式会社ニフコ 押上装置
JP2011005951A (ja) * 2009-06-25 2011-01-13 Nifco Inc 押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528A (ja) * 2010-06-04 2011-12-22 Nifco Inc フューエルリッド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31542A (ja) 2015-07-23
EP3093177A1 (en) 2016-11-16
US20160326780A1 (en) 2016-11-10
JP6346444B2 (ja) 2018-06-20
EP3093177A4 (en) 2017-08-16
CN106061783B (zh) 2018-12-21
EP3093177B1 (en) 2020-02-26
KR20160098346A (ko) 2016-08-18
US9982467B2 (en) 2018-05-29
CN106061783A (zh) 2016-10-26
WO2015105192A1 (ja)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755B1 (ko) 압상 장치
KR101851088B1 (ko) 래치 장치
KR101322540B1 (ko) 압상장치
US9010836B2 (en) Push-out device
US10919382B2 (en) Rotary type extension/retraction device
KR101263609B1 (ko)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US9856681B1 (en) Push lifter
KR101103965B1 (ko) 압상장치
JP7115967B2 (ja) クッション装置
KR10175889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 지지구조
JP2017115405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2019112789A (ja) シリンダ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