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374A - 무선 통신 장치, 프로그램,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프로그램,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374A
KR20120019374A KR1020110081226A KR20110081226A KR20120019374A KR 20120019374 A KR20120019374 A KR 20120019374A KR 1020110081226 A KR1020110081226 A KR 1020110081226A KR 20110081226 A KR20110081226 A KR 20110081226A KR 20120019374 A KR20120019374 A KR 2012001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response
request signal
response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나가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1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프로그램,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PROGRA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 프로그램,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시스템(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은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선 네트워크를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30722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IEEE 802.11 표준으로 규정되는 무선 LAN 시스템은 본체로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별체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그룹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는 복수의 스테이션이 접속된다.
또한, Wi-Fi 얼라이언스(Alliance)에서는 Wi-Fi 다이렉트라고 불리는 사양을 추진하고 있다. 이 Wi-Fi 다이렉트에서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서로의 존재를 검출하고(장치 발견(Device Discovery),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 WPS(Wi-Fi Protected Setup)에서 기기 인증을 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통신 장치는 서로 직접적인 접속을 확립한다. 또한, 이 Wi-Fi 다이렉트에서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가 본체(그룹 소유자) 또는 별체(클라이언트) 중 어느 것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지를 결정하여 통신 그룹을 형성한다. 무선 통신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서로 직접 통신하는 기술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307227호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3689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음에 유의하라.
그러나, Wi-Fi 전파의 전송 거리는 길기 때문에,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된 무선 통신 장치를 무선 통신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후보로서 표시하는 선택 화면을 무선 통신 장치에 표시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접속처의 후보로서 표시된 선택 화면으로부터 접속처를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번잡하다.
또한, 사용자 A의 무선 통신 장치가 옆방(또는 이웃집)의 무선 통신 장치를 검출하였을 경우, 그 검출된 무선 통신 장치가 옆방에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 A의 무선 통신 장치는 옆방의 무선 통신 장치를 접속처의 후보로서 표시하고, 사용자 A는 실수로 그 표시된 무선 통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옆방의 무선 통신 장치는 접속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 그러나, 옆방의 무선 통신 장치의 사용자 B가 무선 통신 장치를 구동하여 실수로 접속을 허가하는 조작을 행하면, 양쪽의 무선 통신 장치는 실수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옆방의 무선 통신 장치에 실수로 접속 확인 화면이 표시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옆방의 사용자 B가 접속 요구를 거절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 A가 실수로 옆방의 무선 통신 장치를 접속처로 선택하였음을 알아차리지 못했을 경우, 사용자 A는 접속을 반복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옆방의 무선 통신 장치에 반복적으로 접속 확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A의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검출된 주위의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자 A와 동실 또는 가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주위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전력(RSSI(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전력은 무선 통신 장치간의 거리에 따라 단조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해,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간의 위치 관계를 특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접속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적절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신규하면서도 향상된 무선 통신 장치, 프로그램,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부가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수신부가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각각으로부터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들 중 하나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하고, 또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과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 각각의 수신 전력간의 차분이 설정값을 상회하면,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들 중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또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이 상기 임계값을 하회한 후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한다.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이 증가중이고 상기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와,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이 감소중이고 상기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통신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통신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 접속 확립이 완료되면, 상기 통지부는 접속 확립을 통지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제어부가 접속 확립을 위한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접속 확립의 가부를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평균값 처리가 실시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로그램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로서 컴퓨터가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스텝, 및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응답 요구 신호를 간헐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통신 장치,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처인 무선 통신 장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Wi-Fi 다이렉트에 따른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 절차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접속 선택 화면의 구체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화면 전이(transition)의 구체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전파의 전송 모델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2파 전파 모델에 의한 송수신 안테나 간의 전송 손실의 산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2파 전파 모델에 의한 전송 손실, 옆방으로부터의 전파의 전송 손실로서, 2파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전송 손실에 8dB(벽의 투과 손실의 추정값)를 부가한 전송 손실의 산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9는 2파 전파 모델에 의한 송수신 안테나 간의 전송 손실의 산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 동작예를 도시한 시퀀스도.
도 12는 휴대 전화상에 표시된 화면 전이를 도시한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 동작예를 도시한 시퀀스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대안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알파벳을 붙여 구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는 "표시 장치(30A), (30X) 및 (30Y)"와 같이 구별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그 구성요소들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 (30A), (30X) 및 (30Y)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는 단순히 표시 장치(30)라 칭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다음 순서로 기술된다.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및 표시 장치의 구성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3-1. 제1 동작예
3-2. 제2 동작예
4. 정리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A), (30X) 및 (30Y)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30A)는 휴대 전화(20)의 사용자의 방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30X)는 옆방 X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30Y)는 옆방 Y에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이들 무선 통신 장치는 통신 그룹을 형성하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직접 통신한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A)가 통신 그룹을 형성하는 경우, 휴대 전화(20)가 표시 장치(30A)에 콘텐츠 데이터를 직접 송신한다면, 표시 장치(30A)는 휴대 전화(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를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장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는 PC(Personal Computer), 휴대형 음악 재생 장치, 가정용 영상 처리 장치(예를 들어, DVD 레코더 또는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가정용 영상 표시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가정용 게임 기기, 가전 기기, 휴대용 영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휴대용 게임 기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음악, 강연 및 라디오 프로그램),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프로그램, 사진, 회화 및 도표) 및 게임 및 소프트웨어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들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무선 통신 장치가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직접 통신하기 위한 통신 규격 중 하나가 "Wi-Fi 다이렉트"이다. 이 Wi-Fi 다이렉트에서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가 다른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를 검출하고(장치 발견(Device Discovery),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 WPS(Wi-Fi Protected Setup)에서 다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인증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서로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다. 또한, 이 Wi-Fi 다이렉트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들 중 하나가 본체(그룹 소유자(Group Owner))로서 기능하고 무선 통신 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별체(클라이언트(Client))로서 기능할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그룹이 형성된다. 이하, 이러한 Wi-Fi 다이렉트에 의한 통신 그룹의 형성 절차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Wi-Fi 다이렉트에 의한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 절차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렉트 접속을 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시를 휴대 전화의 사용자에 의해 지시받으면(S102), 휴대 전화는 단계 S104 내지 S110에 나타낸 장치 발견(Device Discovery)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는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S106), 이 프로브 리퀘스트에 대한 프로브 리스펀스(응답 신호)를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108).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 전화는 표시 장치의 존재를 파악한다.
그 후, 휴대 전화는 단계 S112 내지 S118에 나타낸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는 장치 발견에서 발견한 표시 장치가 지원하는 서비스를 문의하는 Service Discovery Query를 송신한다(S114). 그 후에, 휴대 전화는 Service Discovery Response를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시(S118), 표시 장치가 지원하는 서비스를 파악한다.
계속해서, 휴대 전화는, 일례로서 도 3에 도시한 접속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접속 선택 화면에서 "xxxx"(즉, 표시 장치의 명칭)가 선택되면(단계 S120), 표시 장치와의 사이에서 S122 내지 S140에 나타낸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와 표시 장치는 어느 하나가 그룹 소유자로서 동작해야 할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우선도 정보를 서로 교환한다(S124 및 S130). 휴대 전화와 표시 장치 중 우선도가 높은 하나가 그룹 소유자로서 동작한다. 도 2에서는, 표시 장치가 그룹 소유자로서 동작하고, 휴대 전화는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한다.
그 후, 휴대 전화와 표시 장치는 사전인증(preAuthentication), WPS 교환(exchange), 인증(Authentication), 포웨이 핸드쉐이크(4 way handshake)와 같은 인증/접속 처리를 행한다(S142 내지 S152).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 전화와 표시 장치는 서로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다(S154).
또한, WPS를 진행시키기 위해, 표시 장치에서도 사용자가 접속 확립을 원하는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접속 확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접속 확인 화면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4는 표시 장치에 의한 화면 전이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휴대 전화로부터 Group Formation Request를 수신하면(S126), 휴대 전화와의 접속 확인 화면(80-1)을 표시한다. 이 접속 확인 화면(80-1)에서 사용자에 의해 "허가(OK)"가 선택되면(S138), 표시 장치는 이 선택을 WPS의 푸시 버튼(Push Button)의 가압으로서 간주한다(S140). 따라서, 휴대 전화와 표시 장치와의 접속 처리가 행해진다.
표시 장치는 접속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을 실행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80-2)을 표시한다. 그 후, 휴대 전화와 표시 장치간의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된 후에, 표시 장치는 휴대 전화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의 재생 화면(80-3)을 표시한다.
접속처에 관한 문제
도 1에 도시한 예에서, 휴대 전화(20)의 사용자가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A)의 다이렉트 접속을 원한다고 했을 때, Wi-Fi 전파의 전송 거리가 길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장치 발견(Device Discovery)만이 이용된다면, 표시 장치(30A) 이외에도 옆방 X의 표시 장치(30X)와 옆방 Y의 표시 장치(30Y)도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출된 표시 장치(30)를 접속처의 후보로서 포함하는 접속 선택 화면을 휴대 전화(20)에 표시시키고, 휴대 전화(20)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접속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몇가지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접속처의 후보가 포함되는 접속 선택 화면으로부터 접속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번잡하다.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옆방의 표시 장치(30X 및 30Y)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30X) 또는 (30Y)에 선택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 그러나, 옆방의 사용자도 실수로 접속을 허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전화(20)는 실수로 표시 장치(30X) 또는 (30Y)에 접속된다.
또한, 옆방의 표시 장치(30X) 또는 (30Y)에 접속 확인 화면이 실수로 표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옆방의 사용자가 접속을 거절한 경우에도, 휴대 전화(20)의 사용자가 옆방의 무선 통신 장치를 접속처로 선택하였음을 알아차리지 못했을 경우, 휴대 전화(20)의 사용자는 접속을 반복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옆방의 표시 장치(30X) 또는 (30Y)에 반복적으로 접속 확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 전화(20)에 의해 검출된 주위의 무선 통신 장치가 휴대 전화(20)와 동실 또는 가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주위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전력(즉, RSSI)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전력은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들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단조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20)와 무선 통신 장치들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거리를 특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하, 그 이유를 설명한다.
도 5는 전파의 전송 모델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고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는 송신 안테나로부터 수신 안테나에 직접 송신되는 직접파(direct wave)뿐만 아니라, 바닥면에서 반사된 반사파(reflected wave)를 포함한다. 벽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근거리 통신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접파와 바닥면에 의한 반사파가 지배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통신은 "2파 전파 모델"이라 불리는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6은 2파 전파 모델에 의한 송수신 안테나 간의 전송 손실의 산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산출은 다음 조건하에서 행해짐에 유의하라.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높이 = 1m,
바닥면의 반사율 = 50%.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송 손실은 송수신 안테나 간의 거리에 따라 단조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 방식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이것은, 직접파와 반사파의 전송 거리간의 차분에 의한 위상차에 기초하여, 직접파와 반사파가 서로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것에 기인한다. 이로 인해, 수신 전력만을 이용하여,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간의 거리를 고정밀도로 검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유사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전력만을 이용하여 송신원으로서 기능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동일한 방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도 7은 2파 전파 모델을 이용한 전송 손실 및 옆방으로부터의 전파의 전송 손실로서, 2파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전송 손실에 8dB(벽으로 인한 투과 손실의 추정값)를 부가한 전송 손실의 산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거리 A 만큼 떨어진 동일 방 내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전파는, 옆방 내의 약 거리 3m 또는 4m 정도 떨어진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전파보다 전송 손실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신 전력의 대소 관계를 간단히 비교하는 것만으로는 어느 무선 통신 장치가 자기 방 내에 존재하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상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는 접속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적절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및 표시 장치의 구성
휴대 전화의 구성
도 8은 휴대 전화(20)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20)는 통신부(210), 통신 제어부(220), 기억부(230), 표시부(240), 음성 출력부(250), 조작부(260), 및 RSSI 판단부(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수신 처리를 행하는 수신부, 송신 처리를 행하는 송신부 및 수신 신호의 RSSI를 측정하는 측정부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통신 제어부(2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각종 데이타 프레임 및 데이터 패킷을 작성하고, 이 데이터 프레임 및 데이터 패킷에, 각종 데이터 헤더와, FCS(Frame Check Sequence)와 같은 오류 검출 부호를 부가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당해 처리 후의 데이터로부터 반송파의 주파수대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변조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통신부(210)는 그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신호를 다운 컨버젼하여, 무선 신호를 비트 열로 변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부(210)는 각종 데이타 프레임을 복호한다. 이후, 통신부(210)는 데이타 프레임에 부가되어 있는 헤더를 해석하고, 오류 검출 부호에 기초하여 데이타 프레임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이 수신 처리시에 무선 신호의 RSSI를 측정한다.
통신 제어부(220)는 통신부(210)에 의한 수신 처리 및 송신 처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20)는 이용 주파수의 결정, 제어 메시지의 작성이나 송신 명령 및 제어 메시지의 해석, 접속 처리 제어를 행한다. 제어 메시지는 비컨(beacon), 수신된 비컨에 대한 응답, 프로브 리퀘스트, 통지 정보(예를 들면, 프로브 리스펀스), Service Discovery Query 및 Service Discovery Response를 포함하는 것에 유의하라.
기억부(230)는 통신 제어부(220)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의 역할 또는 각종 콘텐츠 데이터 아이템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불휘발성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MO(Magnetooptical) 디스크가 기억부(230)로서 사용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로서는, 예를 들어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들 수 있다. 또한, 자기 디스크로서는, 하드 디스크 및 원반형 자성 매체를 들 수 있다. 광 디스크로서는, CD(Compact Disc), DVD-R(Digital Versatile Disc Recordable) 및 BD(Blu-Ray Disc(등록 상표))를 들 수 있다.
표시부(240)는 다이렉트 접속에 관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240)가 표시하는 화면에 대해서는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음성 출력부(250)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되었을 경우에,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부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음성 출력부(250)는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되었을 경우에 비프음이나 전용 음악을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지부의 일례로서 음성 출력부(250)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통지부는 음성 출력부(25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용의 LED의 발광 또는 표시부(240)의 플러싱(flashing)에 의해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조작부(260)는 사용자 조작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버튼, 마이크로폰, 스위치 또는 레버는 조작부(260)로서 사용될 수 있다.
RSSI 판단부(270)는 통신부(210)에 의해 측정된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임계값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가 휴대 전화(20)와 동실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이 임계값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20)와 옆방의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표시 장치(30X) 또는 (30Y)) 사이에 벽이 존재한다. 통상의 사용 조건하에서, 휴대 전화(20)와 옆방의 무선 통신 장치간의 거리가 예를 들어, 0.5m 이상이다. 따라서, 옆방으로부터의 전파의 최대값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0.5m의 거리에서 나타난다(약 -29dB).
따라서, 옆방으로부터의 전파의 최대값보다 큰 값(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실에서의 약 0.3m의 거리에서의 RSSI)은 임계값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무선 신호가 송신된 무선 통신 장치가 휴대 전화(20)와 동일한 방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RSSI 판단부(270)는 간헐적으로 송신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RSSI 판단부(270)가 간헐적으로 송신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통신 제어부(220)는 프로브 리퀘스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통신부(210)가 프로브 리스펀스를 송신하게 한다. 즉,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한다고 RSSI 판단부(270)가 판단한 경우에, 통신 제어부(220)는 프로브 리퀘스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와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휴대 전화(20)를 예를 들어 동실 내의 표시 장치(30A)에 근접시키는 간단한 육체적인 조작을 통해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A)를 다이렉트 접속시킬 수 있다.
보충 및 변형예
또한, RSSI의 임계값은 통신부(210)의 RSSI의 포화값(최대값)의 10dB 이내의 값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라. RSSI가 포화되면, 검출 정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정밀도가 감소되지 않는 상술한 범위에서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프로브 리퀘스트가 송신되는 경우, RSSI 판단부(270)는 임계값을 상회하고, 또한 다른 무선 통신 장치의 RSSI와의 차분이 설정값을 상회하는 RSSI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제어부(220)는 RSSI 판단부(270)에 의해 선택된 무선 통신 장치에 통신부(210)가 프로브 리스펀스를 송신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무선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접속이 한층 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제어부(220)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증가하여 임계값을 상회하고,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감소하여 임계값을 하회하는 경우에, 통신부(210)가 프로브 리스펀스를 송신하게 한다. 이와 같이, 간단히 휴대 전화(20)와 프로브 리퀘스트를 송신한 장치와의 거리가 작다는 것 이외에, 휴대 전화(20)와 프로브 리퀘스트를 송신한 장치가 근접하게 이동하면서 멀어져 가는 RSSI의 변화를 검출하여, 프로브 리스펀스의 송신을 제어하는 것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RSSI 판단부(270)는, 통신부(210)에 의해 측정된 RSSI를 간단히 이용하는 대신에, 이동 평균, 최대값 검출 또는 포락선 검파를 이용한 평균 동작을 통해 구해진 RSSI를 이용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의 구성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20)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30)는 통신부(310), 통신 제어부(320), 표시부(340), 음성 출력부(350), 조작부(360), RSSI 판단부(370) 및 재생부(38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30)의 대부분의 구성은 휴대 전화(20)의 구성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30)의 통신부(310)와 휴대 전화(20)의 통신부(210)의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장치(30)의 통신 제어부(320)와 휴대 전화(20)의 통신 제어부(220)의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장치(30)의 RSSI 판단부(370)와 휴대 전화(20)의 RSSI 판단부(270)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간략하게 말하면, 표시 장치(30)는 휴대 전화(20)로부터 프로브 리퀘스트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를 계속적으로 측정한다. 만일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하면, 표시 장치(30)는 프로브 리스펀스를 휴대 전화(20)에 송신한다.
또한, 재생부(380)는 표시 장치(30)와 휴대 전화(20)간의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된 후에 휴대 전화(2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 표시부(340)는 재생부(380)로부터 얻어지는 재생된 콘텐츠 데이터의 화면을 표시한다.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3-1. 제1 동작예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 동작예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도 12에 도시한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40-1)에서, 사용자가 "다이렉트 접속"을 선택하면(S302), 휴대 전화(20)는 단계 S304 내지 S320에 나타내는 디바이스 발견(Device Discovery)을 개시한다.
또한, 휴대 전화(20)의 표시부(240)는, 이 디바이스 발견(Device Discovery)이 개시될 때, 도 12에 도시한 사용자에 의한 근접 조작을 유도하는 화면(40-2)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화면(40-2)에 표시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휴대 전화(20)를 표시 장치(30)에 근접시키기 시작한다(S306).
이 후에, 휴대 전화(20)는 디바이스 발견(Device Discovery)에서, 프로브 리스펀스(응답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프로브 리퀘스트(응답 요구 신호)를 계속해서 송신한다(S308, S312). 이에 비해, 표시 장치(30)는 휴대 전화(20)로부터 수신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를 계속적으로 측정한다(S310, S314). 이후, 표시 장치(30)는 휴대 전화(20)가 표시 장치(30)에 근접하고, 휴대 전화(20)로부터 수신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휴대 전화(20)에 프로브 리스펀스를 송신한다(S318).
휴대 전화(20)가 표시 장치(30)로부터 송신된 프로브 리스펀스를 수신하여 표시 장치(30)의 존재를 발견하면, 휴대 전화(20)는 S322 내지 S328에 나타내는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20)는 디바이스 발견(Device Discovery)을 이용하여 발견한 표시 장치(30)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에 대해 문의하는 Service Discovery Query를 송신한다(S324). 이어서, 휴대 전화(20)는 Service Discovery Response를 표시 장치(30)로부터 수신하고(S326), 표시 장치(30)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휴대 전화(20)의 표시부(240)는,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이 개시될 때,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40-3)을 표시한다(도 12 참조).
계속해서, 휴대 전화(20)는 S330 내지 S340에 나타내는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20)는 표시 장치(30)와 그룹 소유자(Group Owner)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교환한다(S332, S334). 이후,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 중 우선도가 높은 하나가 그룹 소유자(Group Owner)로서 동작하는 것을 결정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표시 장치(30)는 그룹 소유자(Group Owner)로서 동작하고, 휴대 전화(20)는 Client로서 동작한다.
그 후,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는 사전인증(preAuthentication)(S342), WPS 교환(exchange)(S344), 인증(Authentication)(S354), 포웨이 핸드쉐이크(4 way handshake)(S356)을 포함하는 인증/접속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들간의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다(S358). 이 다이렉트 접속은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와의 거리가 증가되는 경우에도 계속된다.
휴대 전화(20)의 표시부(240)와 표시 장치(30)의 표시부(340)는 WPS가 종료된 후에,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되었음을 나타내는 완료 정보 화면(40-4)을 표시한다는 것에 유의하라(S348, S352).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가 근접해 있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20)의 사용자는 완료 정보 화면(40-4)을 보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휴대 전화(20)의 음성 출력부(250)는 다이렉트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프음이나 전용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동작예에 따르면,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와의 근접을 WPS의 푸시 버튼의 가압으로서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전화(20)를, 예를 들어 동실 내의 표시 장치(30A)에 근접시키는 간단한 육체적인 조작을 통해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A)를 다이렉트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A)와의 근접을 적절한 RSSI의 최적의 임계값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휴대 전화(20)와 옆방의 표시 장치(30X)간의 부적적한 다이렉트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3-2. 제2 동작예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 동작예를 설명한다. 제2 동작예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가 쌍방향으로 프로브 리퀘스트를 송신하는 점에서 제1 동작예와 상이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 동작예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20)의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40-1)에서, 사용자가 다이렉트 접속을 선택하면(S402A), 휴대 전화(20)는 단계 S404A 내지 S420A에 나타낸 디바이스 발견(Device Discovery)을 개시한다. 유사하게, 표시 장치(30)의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40-1)에서, 사용자가 다이렉트 접속을 선택하면(S402B), 표시 장치(30)는 단계 S404B 내지 S420B에 나타낸 디바이스 발견(Device Discovery)을 개시한다.
또한, 휴대 전화(20)의 표시부(240)는 이 디바이스 발견(Device Discovery)이 개시될 때, 도 12에 도시한, 사용자에 의한 근접 조작을 유도하는 화면(40-2)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화면(40-2)에 표시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휴대 전화(20)를 표시 장치(30)에 근접시키기 시작한다(S406).
이후,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는 디바이스 발견(Device Discovery)에서, 프로브 리스펀스(응답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프로브 리퀘스트(응답 요구 신호)를 계속해서 송신한다(S408A, S412A, S408B, S412B). 휴대 전화(20)가 표시 장치(30)로부터의 프로브 리퀘스트의 수신에 의해 표시 장치(30)의 MAC 어드레스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20)는 이 MAC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이용하여 표시 장치(30)에 프로브 리퀘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표시 장치(30) 이외의 장치가 이 프로브 리퀘스트에 실수로 응답하지 않게 된다.
또한,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는 수신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를 계속적으로 측정한다(S410A, S414A, S410B, S414B).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는,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의 근접에 의해,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프로브 리스펀스를 송신한다(S418A, 418B).
휴대 전화(20)는 표시 장치(30)에 송신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빈도를, 표시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라. 예를 들어, RSSI가 임계값보다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할 때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다. 따라서, 휴대 전화(20)는, 표시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작을수록, 표시 장치(30)에 송신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빈도를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전화(20)는 RSSI와 프로브 리퀘스트의 송신 빈도간의 관계를 수식 또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다이렉트 접속을 위한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후, 휴대 전화(20)가 표시 장치(30)로부터의 프로브 리퀘스트의 수신에 의해 표시 장치(30)의 존재를 발견하면, 휴대 전화(20)는 단계 S422A 내지 S428A에 나타낸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30)가 휴대 전화(20)로부터의 프로브 리퀘스트의 수신에 의해 휴대 전화(20)의 존재를 발견하면, 표시 장치(30)는 단계 S422B 내지 S428B에 나타낸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을 행한다.
휴대 전화(20)가 표시 장치(30)로부터의 프로브 리스펀스의 수신에 의해 표시 장치(30)의 존재를 발견하면, 휴대 전화(20)는 표시 장치(30)와 다이렉트 접속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라.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휴대 전화(20)가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장치와 접속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휴대 전화(20)는 표시 장치(30)와의 사이에서 단계 S430 내지 S440에 나타낸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전화(20)는 표시 장치(30)와 그룹 소유자(Group Owner)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교환한다(S432, S434). 이후,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 중 우선도가 높은 쪽이 그룹 소유자(Group Owner)로서 동작하는 것을 결정한다. 도 13의 예에서, 표시 장치(30)는 그룹 소유자(Group Owner)로서 동작하고, 휴대 전화(20)는 Client로서 동작한다.
그 후,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는 사전인증(preAuthentication)(S442), WPS 교환(exchange)(S444), 인증(Authentication)(S454), 포웨이 핸드쉐이크(4 way handshake)(S456)의 인증/접속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들 간의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다(S458).
4.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20) 또는 표시 장치(30)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는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한다고 판단했을 경우, 프로브 리퀘스트를 송신한 장치에 통신부(210)가 프로브 리스펀스를 송신하게 한다. 즉, 무선 통신 장치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가 임계값을 상회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프로브 리퀘스트를 송신한 장치와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휴대 전화(20)를 예를 들어 동실 내의 표시 장치(30A)에 근접시키는 간단한 육체적인 조작을 통해, 휴대 전화(20)와 표시 장치(30A)를 다이렉트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RSSI의 임계값을 최적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무선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옆방이나 이웃집으로부터 도래하는 전파의 예상된 최대값보다 임계값을 큰 값으로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형예 또는 변경예를 상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변형 및 변경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브 리퀘스트의 RSSI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서 프로브 리스펀스를 송신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로서, Service Discovery Query의 RSSI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Service Discovery Response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처리 스텝은, 반드시 시퀀스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스텝은, 시퀀스도로서 기재한 순서와 상이한 순서로 처리되거나 병렬로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에 포함되는, CPU, ROM 및 RAM과 같은 하드웨어를, 상술한 휴대 전화(20) 및 표시 장치(30)의 각 구성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기억 매체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010년 8월 24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JP2010-187369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 관련된 요지를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결합된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들 중 하나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하고, 또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과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 각각의 상기 수신 전력간의 차분이 설정값을 상회하면,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들 중 하나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또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이 상기 임계값을 하회한 후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이 증가중이고 상기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와,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이 감소중이고 상기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통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 접속 확립이 완료되면, 상기 통지부는 상기 접속 확립을 통지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가 상기 접속 확립을 위한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접속 확립의 가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평균값 처리(averaging process)가 실시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9.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스텝; 및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응답 요구 신호를 간헐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통신 장치;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상기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상회했을 경우에,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10081226A 2010-08-24 2011-08-16 무선 통신 장치, 프로그램,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200193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7369A JP5671879B2 (ja) 2010-08-24 2010-08-24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JP-P-2010-187369 2010-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74A true KR20120019374A (ko) 2012-03-06

Family

ID=4478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226A KR20120019374A (ko) 2010-08-24 2011-08-16 무선 통신 장치, 프로그램,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92394B2 (ko)
EP (1) EP2424281B1 (ko)
JP (1) JP5671879B2 (ko)
KR (1) KR20120019374A (ko)
CN (1) CN102378391A (ko)
AU (1) AU2011204969A1 (ko)
CA (1) CA2746812A1 (ko)
MX (1) MX2011008688A (ko)
TW (1) TW2012188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634A (ko) * 2013-01-23 2015-09-1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들의 검색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5432B2 (en) 2003-10-16 2010-08-17 Nokia Corporati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ng with a signaling tag
US8965285B2 (en) 2011-05-13 2015-02-24 Nokia Corporation Touch inquiry
US8929816B2 (en) 2011-05-13 2015-01-06 Nokia Corporation Multiple apparatus selection via touch
US8929817B2 (en) 2011-05-13 2015-01-06 Nokia Corporation Sensor-based touch inquiry control
JP5754254B2 (ja) 2011-06-14 2015-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5736986B2 (ja) 2011-06-14 2015-06-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101915314B1 (ko) 2011-10-25 2018-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US9510292B2 (en) 2012-03-13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Limiting wireless discovery range
MX342725B (es) 2012-03-16 2016-10-11 Sony Corp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método de comunicación, programa, y sistema de comunicación.
MX342724B (es) 2012-04-10 2016-10-10 Sony Corp Aparato de comunicación, método de control de comunicaciones y programa.
WO2013153617A1 (ja) * 2012-04-10 2013-10-1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TWI532352B (zh) 2012-05-04 2016-05-0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無演進封包核心直接通訊系統及其通訊連接方法
WO2014028071A1 (en) 2012-08-17 2014-02-20 Flextronics Ap, Llc Methods and displays for providing intelligent television badges
WO2014014245A1 (en) * 2012-07-16 201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op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821447B (zh) * 2012-08-16 2015-09-30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数据通信方法
EP2887753B1 (en) * 2012-09-24 2020-04-2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6322358B2 (ja) * 2012-10-08 2018-05-09 株式会社アイ・オー・データ機器 映像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映像通信端末、映像通信プログラム、携帯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映像通信端末プログラム
US9924551B2 (en) 2012-11-29 2018-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in Wi-Fi direct service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2014143660A (ja) * 2012-12-26 2014-08-07 Sharp Corp 携帯端末、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906171B (zh) * 2012-12-28 2017-12-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游戏数据通信方法及终端
US9042829B2 (en) * 2013-01-04 2015-05-2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EP2785103A1 (en) 2013-03-28 2014-10-0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ffic in a wireless lan
EP2785093A1 (en) * 2013-03-28 2014-10-0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Access point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CN105325018B (zh) * 2013-06-19 2019-10-18 索尼公司 无线通信装置和通信控制装置
WO2015037129A1 (ja) * 2013-09-13 2015-03-19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接続方法
WO2015101769A1 (en) 2013-12-31 2015-07-0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and corresponding wireless access point for adjusting data rate of secondary users
US9753562B2 (en) * 2014-01-15 2017-09-05 Nokia Technologies Oy Dynamic threshold for local connectivity setup
WO2015107564A1 (en) 2014-01-15 2015-07-23 Sony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telephone call sharing using a direct wireless connection
US20150199165A1 (en) * 2014-01-16 2015-07-16 Nvidia Corporation Automatic proximity display switching for a miracast environment
EP3108686B1 (en) * 2014-02-21 2019-06-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lan throughput prediction
EP3117667A1 (en) 2014-03-14 2017-0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Wifi efficient network transition
US9860297B2 (en) 2014-06-02 2018-01-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edia selection for moving user
US9743257B2 (en) 2014-06-12 2017-08-2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creation of talkgroups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US9635690B2 (en) 2014-06-24 2017-04-2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102014212226A1 (de) * 2014-06-25 2015-12-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ppeln zweier Kommunikationspartner
US9338635B2 (en) 2014-07-01 2016-05-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vice tracking
JP6387748B2 (ja) * 2014-09-02 2018-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US9265080B1 (en) 2014-10-01 2016-02-1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ulti-device output mode configuration
US10404794B2 (en) * 2016-06-21 2019-09-03 Orion Labs Discovery and formation of local communication group
JP7082576B2 (ja) * 2016-06-24 2022-06-08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情報伝送方法及び装置
FR3060251B1 (fr) * 2016-12-09 2019-05-10 Sagemcom Broadband Sas Procede d'appairage d'un terminal de type wi-fi a un point d'acces de type wi-fi
JP6822180B2 (ja) * 2017-02-02 2021-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CN111955022B (zh) 2018-03-29 2024-03-08 英国电讯有限公司 无线网络中进行信道选择的改进方法
CN114615688B (zh) * 2022-03-30 2022-09-30 广州芯德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WiFi热点设备与当前接入设备之间近距离自动配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3125B2 (ja) 1991-04-04 2003-09-02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板中の残留可燃性発泡剤ガスの無機ガス置換方法
SE522344C2 (sv) * 1999-02-26 2004-02-03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anordning för trådlös telekommunikation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JP3738205B2 (ja) * 2000-08-12 2006-01-25 三星電子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の伝送電力最適化装置及びその方法
US7355994B2 (en) * 2002-05-06 2008-04-08 Extricom Ltd. CDMA messaging between wireless LAN access points
KR100532100B1 (ko) * 2002-12-30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
US7403512B2 (en) * 2003-10-14 2008-07-22 Intel Corporation Service discovery architecture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s
JP4543657B2 (ja) 2003-10-31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07227B2 (ja) * 2003-12-03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設定方法
US20050143119A1 (en) * 2003-12-31 2005-06-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dividual power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wireless wide area network (WLAN/WWAN)
US7969937B2 (en) * 2004-03-23 2011-06-28 Arub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ed station management
JP4318595B2 (ja) * 2004-06-16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端末
WO2006024420A1 (en) * 2004-08-31 2006-03-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roviding robustness in fading radio channels
US7515548B2 (en) * 2004-09-28 2009-04-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nd-point based approach for determining network statu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1249178B1 (ko) * 2005-02-22 2013-04-03 스카이후크 와이어리스, 인크. 위치 확인 시스템의 연속 데이터 최적화
US7894324B2 (en) * 2005-03-08 2011-02-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ignaling data rate option information
US8977308B2 (en) * 2006-02-22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Delayed response to an access probe
US8229455B2 (en) * 2006-07-07 2012-07-24 Skyhook Wireless, Inc. System and method of gathering and caching WLAN packet information to improve position estimates of a WLAN positioning device
US7580393B2 (en) * 2006-10-02 2009-08-25 Tropos Networks, Inc. Probe response determination
US20080080388A1 (en) * 2006-10-02 2008-04-03 Tropos Networks Inc. Probe response suppression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7899006B2 (en) * 2006-12-05 2011-03-01 Zebra Enterprise Solutions Corp. Location syste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ing RSSI and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processing
US8838481B2 (en) * 2011-07-26 2014-09-16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hands-free payment
CN101617549B (zh) * 2007-03-01 2013-03-13 汤姆森特许公司 选择多跳无线网络中的接入点或中继节点的方法和设备
US8270905B1 (en) * 2007-10-02 2012-09-18 Plantroncis, Inc. Near-far sensing using frequency swept RSSI
KR101495915B1 (ko) * 2007-10-03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망 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8520721B2 (en) * 2008-03-18 2013-08-27 On-Ramp Wireless, Inc. RSSI measurement mechanism in the presence of pulsed jammers
US8265017B2 (en) * 2008-04-11 2012-09-1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capacity enhancement for wireless device coexistence
JP5365640B2 (ja) * 2008-10-27 2013-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の制御方法、無線通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2239747B (zh) * 2008-12-04 2014-03-2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选择和控制设备的方法
US8340614B2 (en) * 2008-12-18 2012-12-25 Plantronics, Inc. Antenna diversity to improve proximity detection using RSSI
JP5391056B2 (ja) 2009-01-19 2014-0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8873523B2 (en) * 2009-09-30 2014-10-28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olicited activation for protected wireless networking
EP2487963B1 (en) * 2009-11-17 2019-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vestigating wifi display service in a wifi direct network
US8559340B2 (en) * 2009-12-22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iscovery in Wi-Fi direct network
TW201146042A (en) * 2010-01-08 2011-12-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SG priorities in idle and connected modes
US8816848B2 (en) * 2010-06-22 2014-08-26 Sling Me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location from wireless sign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634A (ko) * 2013-01-23 2015-09-1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들의 검색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92394B2 (en) 2014-07-29
US20120051244A1 (en) 2012-03-01
CN102378391A (zh) 2012-03-14
TW201218839A (en) 2012-05-01
AU2011204969A1 (en) 2012-03-15
EP2424281A1 (en) 2012-02-29
EP2424281B1 (en) 2019-09-11
JP5671879B2 (ja) 2015-02-18
JP2012049625A (ja) 2012-03-08
CA2746812A1 (en) 2012-02-24
MX2011008688A (es) 201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9374A (ko) 무선 통신 장치, 프로그램,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JP5573571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44012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43841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50384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determining a master unit and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598081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650582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기억 매체, 무선 통신 방법 및 제1 무선 통신국
JP5040219B2 (ja) 動き検出システム、動き検出装置、動き検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3329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714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JP5857756B2 (ja) 無線通信装置、近接判断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70137617A (ko) 무선 통신을 위한 셋업 방법 및 장치
CN113543273B (zh) 音频数据传输方法及系统
KR1016596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JP4885052B2 (ja) 無線通信装置
JP7155060B2 (ja) 情報処理装置、電波状態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93926A (ja) 無線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特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