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881A -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881A
KR20120016881A KR1020100079395A KR20100079395A KR20120016881A KR 20120016881 A KR20120016881 A KR 20120016881A KR 1020100079395 A KR1020100079395 A KR 1020100079395A KR 20100079395 A KR20100079395 A KR 20100079395A KR 20120016881 A KR20120016881 A KR 20120016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r
doppler
ultrason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986B1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9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2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 G01S13/524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based upon the phase or frequency shift resulting from movement of objects,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signals, e.g. coherent MTi
    • G01S13/53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based upon the phase or frequency shift resulting from movement of objects,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signals, e.g. coherent MTi performing filtering on a single spectral line and associated with one or more range gates with a phase detector or a frequency mixer to extract the Doppler information, e.g. pulse Doppler ra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he target
    • G01S15/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5/523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for presence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0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ultrason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천장에 배치되고 차량 실내 제 1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1 송신기 및 제 1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차량 실내 제 1 영역 이외의 차량 실내 제 2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2 송신기 및 제 2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송신기 및 상기 제 2 송신기의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 발신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해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해석을 실행하는 신호 해석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로부터의 해석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 출력부를 가동시키도록 차량 네트워크로 경고 신호의 전달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VEHICULAR ALRAM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침입 등의 상황에서 안정적인 경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조의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데, 차량의 핵심 구동 요소로서의 엔진 및 변속기에 대한 전자적 제어를 포함한 각종 구성 요소는 전자화되었거나 전자화 단계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차량에 다양한 고가의 편의 시설이 장착되는만큼 차량 실내 장착품의 도난 등의 위험성도 증대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침입 경보 장치는 초음파 등의 차량 실내 센서가 배치되어 경보 동작을 가동시킨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차량 침입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받은 차량 침입 경보 장치가 가동되어 음향 출력 상태를 형성하여 주의 환기를 통한 침입자의 침입 행위를 중단시키는 효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경사 충격 센서 등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경보 장치의 경우 외부의 단순한 충격 등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경고 신호의 오작동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의 차량 경보 장치가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지속적인 감지 대기 상태로 인하여 전력 소모가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감지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천장에 배치되고 차량 실내 제 1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1 송신기 및 제 1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차량 실내 제 1 영역 이외의 차량 실내 제 2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2 송신기 및 제 2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송신기 및 상기 제 2 송신기의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 발신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해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해석을 실행하는 신호 해석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로부터의 해석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 출력부를 가동시키도록 차량 네트워크로 경고 신호의 전달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해석부는: 상기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가 펄스 에코 타입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해석하는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와, 상기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가 도플러 타입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해석하는 도플러 신호 해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 및 상기 도플러 신호 해석부 중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신호 해석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송신기, 제 2 송신기, 제 1 수신기 및 제 2 수신기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하우징은: 차량 실내 천장에 배치되는 센서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센서 하우징 베이스와 체결되는 센서 하우징 커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 커버에는, 상기 1 송신기의 일단을 차량 실내로 노출시키는 제 1 송신기 커버 관통구, 상기 제 2 송신기의 일단을 차량 실내로 노출시키는 제 2 송신기 커버 관통구, 상기 제 1 수신기의 일단을 차량 실내로 노출시키는 제 1 수신기 커버 관통구, 상기 제 2 수신기의 일단을 차량 실내로 노출시키는 제 2 수신기 커버 관통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커버 관통구 및 상기 제 1 수신기 커버 관통구의 길이 방향 선분은 차량 실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 2 송신기 커버 관통구 및 상기 제 2 수신기 커버 관통구의 길이 방향 선분은 차량 실내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차량 실내 천장에 배치되고 차량 실내 제 1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1 송신기 및 제 1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차량 실내 제 1 영역 이외의 차량 실내 제 2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2 송신기 및 제 2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송신기 및 상기 제 2 송신기의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 발신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해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해석을 실행하는 신호 해석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로부터의 해석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 출력부를 가동시키도록 차량 네트워크로 경고 신호의 전달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로 신호 처리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센서부가 발신 신호를 인가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로 신호 해석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센서부가 수신한 초음파 에코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펄스 에코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반사 초음파 신호의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이 실행하여야 할 작동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감지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펄스 에코 감지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송신기에 초음파 펄스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펄스 에코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수신기의 초음파 에코 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제 1 펄스 에코 감지 단계에서의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에코 변화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에코 판단 단계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송신기에 초음파 펄스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수신기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펄스 에코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수신기의 초음파 에코 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제 2 펄스 에코 감지 단계에서의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에코 변화 판단 단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에코 판단 단계 또는 제 2 에코 판단 단계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작동 모드를 도플러 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해석부는: 상기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가 펄스 에코 타입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해석하는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와, 상기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가 도플러 타입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해석하는 도플러 신호 해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상기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 및 상기 도플러 신호 해석부 중 택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작동 모드가 도플러 모드인 경우, 상기 도플러 모드는: 상기 스위치부를 통하여 상기 신호 해석부 중 도플러 신호 해석부를 선택하는 신호 해석부 절환 단계와, 상기 제 1 송신기가 초음파 도플러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도플러 감지 단계와, 상기 제 1 도플러 감지 단계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도플러 판단 단계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2 송신기에 초음파 도플러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수신기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도플러 감지 단계와, 상기 제 2 도플러 감지 단계에서 초음파 도플러 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 또는 제 2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 네트워크로 경고 작동을 실행하도록 하는 경고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펄스 에코 타입 초음파 신호와 도플러 타입 초음파 신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송출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운영시 전력 소모를 최적화시킴과 동시에 침입 감지 성능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펄스 에코 타입과 도플러 타입의 초음파 신호의 이중 감지 기능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 내지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종래의 충격 센서 등의 경우 발생하였던 오감지 내지 경고 오작동 가능성을 현저하게 저감 내지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 실내 상태의 개략적인 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센서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센서부의 도 2의 선 Ⅰ-Ⅰ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펄스 에코 감지 단계 및 모드 설정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도플러 모드 실행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은 센서부(120)와, 제어부(200)와, 신호 처리부(140)와, 신호 해석부(160)와, 통신부(300)를 포함하고,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은 센서 하우징(110)을 더 구비하여 센서부(120)의 안정적인 장착 및 가동 영역을 안내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센서 하우징(110)은 센서 하우징 베이스(113)와 센서 하우징 커버(111)를 포함하는데, 센서 하우징 베이스(113)는 차량(1)의 실내 천장(2)에 장착된다. 센서 하우징 커버(111)는 센서 하우징 베이스(113)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센서 하우징 베이스(113)와 센서 하우징 커버(111)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센서부(120) 등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실내 천장(2)에 배치되는 센서 하우징(110) 등을 통하여 차량 실내에 배치된다. 센서부(120)는 제 1 센서(120F)와 제 2 센서(120R)를 포함하는데, 제 1 센서(120F)와 제 2 센서(120R)는 각각 제 1 송신기(120TF)와 제 1 수신기(120RF) 및 제 2 송신기(120TR)와 제 2 수신기(120RR)을 구비한다. 센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센서 인쇄회로기판(130)이 배치되는데, 센서 인쇄회로기판(130)은 제어부(20) 등과 전기적 연결 구조를 형성하여 신호의 전달 내지 전원의 공급을 이룰 수 있다. 센서부(120)의 제 1 센서(120F) 및 제 2 센서(120R)는 센서 인쇄회로기판(130) 상에 장착되고 제 1 센서(120F) 및 제 2 센서(120R)의 단부는 차량 실내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제 1 송신기(120TF) 및 제 2 송신기(120RF)는 각각 초음파 신호를 차량 실내로 발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하기되는 제어부(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초음파 신호를 발진시키는 트랜스듀서로 구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펄스 에코 타입 초음파 신호와 도플러 타입 초음파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펄스 에코 타입 초음파 신호는 40kHz의 주파수로 30msec의 주기로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를, 그리고 40kHz의 주파수로 500msec 동안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를 도플러 타입 신호로 명명한다.
센서부는 송신기가 수신기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구성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는 별개의 송신기와 수신기를 구비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감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 1 송신기(120TF) 및 제 2 송신기(120RF)는 하기되는 제어부(200)로부터의 초음파 발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부(140)를 거쳐 디지털로 변환된 발진된 초음파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수신기(120RF) 및 제 2 수신기(120RR)는 차량 실내로 발신되어 반사된 초음파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제 1 수신기(120RF) 및 제 2 수신기(120RR)에서 수신된 초음파 에코 신호는 신호 처리부(140)를 거쳐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제 1 송신기(120TF) 및 제 1 수신기(120RF)를 구비하는 제 1 센서(120F)는 차량 실내 전방 영역(AF)을 커버하고 제 2 센서(120R)는 차량 실내 후방 영역(AR)을 커버한다. 이와 같은 센서부(120)의 보다 정확한 영역 분할을 위하여 센서 하우징(110)은 상기 센서부(1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센서 하우징(120)의 센서 하우징 커버(111)에는 커버 관통구(115)를 구비하는데, 커버 관통구(115)는 제 1 송신기 커버 관통구(115TF), 제 1 수신기 커버 관통구(115RF), 제 2 송신기 커버 관통구(115TR), 제 2 수신기 커버 관통구(115RR)을 구비한다. 각각의 제 1 송신기 커버 관통구(115TF), 제 1 수신기 커버 관통구(115RF), 제 2 송신기 커버 관통구(115TR), 제 2 수신기 커버 관통구(115RR)는 센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제 1 센서(120F) 및 제 2 센서(120R)의 단부가 차량 실내 공간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송신기 커버 관통구(115TF) 및 제 1 수신기 커버 관통구(115RF)는 각각의 관통구의 길이 방향 선분이 차량 실내 전방 영역(AF, 도 1 참조)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송신기 커버 관통구(115TR) 및 제 2 수신기 커버 관통구(115RR)는 각각의 관통구의 길이 방향 선분이 차량 실내 후방 영역(AR)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관통구(115)의 길이 방향 선분을 도면 부호 선 A-A로 표시할 때, 선 A-A는 차량 실내 천장(2)이 이루는 선 B-B와 관통 경사 각도(α)를 이루는데, 이와 같이 커버 관통구(115)의 길이 방향 선분이 차량 천장에 대하여 관통 경사 각도(α)를 이룸으로써 각각의 커버 관통구(115)는 차량 실내의 전방 또는 후방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관통구(115)가 경사 구조를 형성하여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로부터 조사 내지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와 다른 구성요소의 간섭없이 안정적인 발신 내지 수신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센서 하우징(110)과 이격되어 차량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제어부(200)는 센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센서 인쇄회로기판(130)과 전기적 연결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어부(200)와 센서 인쇄회로기판(130)가 이격 배치되는 경우 이들 간의 전기적 연결은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배선 라인을 통하여 직결되거나 별도의 CAN 통신 등을 이룰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센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송신기(120TF) 및 제 2 송신기(120TR)의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즉, 제어부(200)는 소정의 설정 조건에 따라 제 1 송신기(120TF) 및 제 2 송신기(120TR)를 통한 초음파 신호 발진을 위한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데, 송신 제어 신호는 신호 처리부(140)로 전달된다.
신호 처리부(140)는 초음파 발진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데, 제어부(200)의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 센서부(100)로 발신 신호를 인가하도록 한다. 신호 처리부(140)는 발진부(141) 및 펄서(143)를 포함하는데, 발신부(141)는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신부(141)에서 발진된 트리거 신호는 펄서(143)로 전달되고 펄서(143)는 인가된 트리거 신호에 따라 파형을 형성한다. 펄서(143)는 형성되는 파형에 따라 펄스 형상의 구형파를 생성할 수 있다. 펄서(143)는 제 1 송신기(120TF) 및 제 2 송신기(120TR)에 구형파 신호를 전달하여 제 1 송신기(120TF) 및/또는 제 2 송신기(120TR)를 통한 소정의 초음파 신호 발진을 이룬다. 제 1 송신기(120TF) 및/또는 제 2 송신기(120TR)는 트랜스듀서로서 PZT(lead zirconate titanate;납 지르코늄 티타늄)와 같은 압전 소자 등의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데,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는 펄서로부터 입력되는 구형파의 주기 등의 특성에 따라 단순 펄스 구형파를 출력할 수도 있고, 소정의 연속파를 출력할 수도 있는 등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파형의 초음파 발신이 가능하다.
신호 해석부(160,170)는 제어부(200)와 전기적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데,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해석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수신기(120RF) 및/또는 제 2 수신기(120RR)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 즉 초음파 에코 신호의 해석을 실시힌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해석부(160,170)는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160)와 도플러 신호 해석부(170)를 포함하는데, 제 1 송신기(120TF) 및/또는 제 2 송신기(120TR)로부터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따른 작동 모드가 펄스 에코 모드인지 도플러 모드인지 여부에따라 제 1 수신기(120RF) 및/또는 제 2 수신기(120RR)를 통하여 입력되는 초음파 에코 신호를 개별적으로 해석한다. 즉, 제 1 송신기(120TF) 및/또는 제 2 송신기(120TR)로부터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따른 작동 모드가 펄스 에코 모드인 경우 신호 해석부(160,170)의 펄스 에코 신호부(160)가 가동되고, 제 1 송신기(120TF) 및/또는 제 2 송신기(120TR)로부터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따른 작동 모드가 도플러 모드인 경우 신호 해석부(160,170)의 도플러 신호부(170)가 가동된다.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160) 및 도플러 신호 해석부(170)는 각각 증폭기(161/171), 필터부(163/173) 및 AD 컨버터(165/175)를 포함하는데, 증폭기(161/171)는 제 1 수신기(120RF) 및/또는 제 2 수신기(120RR)에서 수신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수신 초음파 에코 신호는 필터부(163/173)를 거쳐 불필요한 노이즈가 제거되는데, 필터부(163/173)는 저역 및 고역 필터를 포함한다. 필터링된 증폭 수신 초음파 에코 신호는 AD 컨버터(165/175)로 전달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제어부(200)로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제어부(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부(400)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펄스 에코 모드 또는 도플러 모드와 같은 작동 모드에 따른 신호 해석부의 개별 제어는 제어부(200)로부터의 직접적인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수신기(120RF) 및/또는 제 2 수신기(120RR)와 신호 해석부(160,170) 사이에 스위치부(15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취한다. 스위치부(150)는 제어부(200)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송신기(120TF) 및/또는 제 2 송신기(120TR)에서 감지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신호 해석부(160,170)의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160) 및 도플러 신호 해석부(170)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 해석 제어 신호에 따라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160) 또는 도플러 신호 해석부(170)가 소정의 신호 해석 과정을 실행한다.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은 통신부(300)를 더 구비하는데, 통신부(300)는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00)의 통신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제어부(20)로 음향 출력부(10)를 제어하기 위한 음향 제어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 내지 감지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와 같은 통신 규약 방식에 따라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200)는 신호 해석부(160,1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해석된 초음파 에코 신호 및 저장부(40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작동되어야 할 작동 모드를 판단하고 이를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의 통신부(300)를 통하여 차량 제어부(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가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이 실행하여야 할 작동 모드가 리턴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차량 제어부(20)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에 의한 감지 결과 데이터를 별도의 차량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여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의 정상 작동 여부 등을 후속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고,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의 제어부(200)로부터 작동 모드가 경고 작동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작동 모드로 판단하고 경고 제어 신호를 차량 제어부(20)로 전달함으로써 차량 제어부(20)가 차량에 배치되는 음향 출력부(30)로 하여금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부(30)는 차량에 장착되는 스피커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음향 출력부가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에 구비되어 별도의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은 제공 단계(S10), 펄스 에코 감지 단계(S20), 모드 설정 단계(S30) 및 모드 실행 단게(S40)를 포함하는데, 제공 단계(S10)에서 상기한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이 제공된다.
그런 후, 펄스 에코 감지 단계(S20)에서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10)의 제어부(200)가 센서부(100)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센서부(100)가 반사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제어부(200)의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 처리부(140)가 신호 해석부(160,170)가 감지 처리된 신호를 해석하여 반사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한 작동되어야 할 모드를 판단 선택한다. 펄스 에코 감지 단계(S20)는 제 1 펄스 에코 감지 단계(S210)와 제 1 에코 변화 판단 단계(S220)와 제 2 펄스 에코 감지 단계(230)와 제 2 에코 변화 판단 단계(S240)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펄스 에코 감지 단계(S210)가 실행되는데, 제 1 펄스 에코 감지 단계(S210)에서 제어부(200)는 신호 처리부(140)로 신호 처리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센서부(100)의 제 1 송신기(120TF)로 하여금 소정의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제어부(200)는 제 1 수신부(120RF) 및 신호 해석부(160)로 하여금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 신호의 감지 수신 및 이의 해석을 통한 변화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200)는 신호 처리부(140)의 발진부(141)에 발진 제어 신호로서의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신부(141)에서 발진된 트리거 신호가 펄서(143)로 전달됨으로써 펄서(143)는 인가된 트리거 신호에 따라 소정의 파형을 생성할 수 있고, 펄서(14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트랜스듀서로서의 제 1 송신기(120TF)로 전달되어 소정의 초음파 신호를 발신하는데, 제 1 송신기(120TF)에서 송신되는 초음파 신호는 40kHz 주파수로 30msec의 주기의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는데, 이 조건의 초음파 신호를 본 실시예에서는 펄스 에코 타입 초음파 신호로 명명한다.
그런 후, 제어부(200)는 제 1 수신기(120RF) 및 신호 해석부(160)에 소정의 감지 기능 및 신호 해석 제어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차량 실내에 반사되어 감지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신호 해석부(160)가 입력받도록 하고 신호 해석부의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160)가 소정의 신호 해석 기능을 담당하도록 한다. 즉, 트랜스듀서로서의 제 1 수신기(120RF)는 소정의 초음파 에코 신호를 받아 이를 전기적으로 변환하고 증폭기(161)에서 증폭되어 필터부(163)에서 필터링되어 노이즈가 제거된 후 AD 컨버터(165)에 의하여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그런 후, 제어 흐름은 제 1 에코 판단 단계(S220)로 전환되는데, 제 1 에코 판단 단계(S220)에서 제 1 펄스 에코 감지의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00)는 신호 해석부의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160)가 해석한 데이터와 저장부(400)에 저장된 기본적인 초음파 에코 신호를 비교한다. 여기서, 기본적인 정상 초음파 에코 신호는 차량의 탑승자 내지 물체 등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의 사전 설정 값이 사용할 수도 있고, 전회(前回)의 제 1 수신기에서 감지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초음파 에코 신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00)는 감지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사전 설정 값과 비교하여, 초음파 신호가 발신된 차량 실내 전방 영역(AF)에서의 초음파 에코 신호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차량 실내 전방 영역으로 펄스 타입의 초음파가 송신되어 반사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 실내의 제 1 영역, 즉 차량 실내 전방 영역(AF)에 외부로부터의 침입 상태 발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 실내의 제 2 영역, 즉 차량 실내 후방 영역(AR)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펄스 에코 감지 단계(S230)를 실행한다. 제 2 펄스 에코 감지 단계(S230)에서도 제어부(200)는 신호 처리부(140)로 신호 처리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센서부(100)의 제 2 송신기(120TR)로 하여금 차량 실내 제 2 영역, 즉 차량 실내 후방 영역(AR)으로 소정의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제어부(200)는 제 2 수신부(120RR) 및 신호 해석부(160)로 하여금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 신호의 감지 수신 및 이의 해석을 통한 변화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200)는 신호 처리부(140)의 발진부(141)에 발진 제어 신호로서의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신부(141)에서 발진된 트리거 신호가 펄서(143)로 전달됨으로써 펄서(143)는 인가된 트리거 신호에 따라 소정의 파형을 생성할 수 있고, 펄서(14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트랜스듀서로서의 제 2 송신기(120TR)로 전달되어 소정의 초음파 신호를 발신한다. 그런 후, 제어부(200)는 제 2 수신기(120RR) 및 신호 해석부(160)에 소정의 감지 기능 및 신호 해석 제어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차량 실내에 반사되어 감지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신호 해석부(160)가 입력받도록 하고 신호 해석부의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160)가 소정의 신호 해석 기능을 담당하도록 한다.
그런 후, 제어 흐름은 제 2 에코 판단 단계(S240)로 전환되는데, 제 2 에코 판단 단계(S240)에서 제어부(200)는 제 2 펄스 에코 감지의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00)는 신호 해석부의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160)가 해석한 데이터와 저장부(400)에 저장된 기본적인 초음파 에코 신호를 비교한다. 여기서, 기본적인 정상 초음파 에코 신호는 차량의 탑승자 내지 물체 등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의 사전 설정 값이 사용할 수도 있고, 전회(前回)의 제 2 수신기에서 감지되어 신호 해석부의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160)에서 증폭되고 필터링된 후 AD 컨버터(165)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200)로 전달되는데, 이 신호와의 비교 대상 기준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초음파 에코 신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00)는 감지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사전 설정 값과 비교하여, 초음파 신호가 발신된 차량 실내 후방 영역(AR)에서의 초음파 에코 신호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40에서, 차량 실내 후방 영역에 대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드 설정 단계(S300)에서 제어부(200)는 실행되어야 할 모드가 리턴 모드라고 판단하고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를 리턴 모드로 설정하고(S320), 모드 실행 단계(S400)에서 제어 흐름을 단계 S20으로 복귀시켜 소정의 펄스 에코법을 통한 차량 실내 침입 감지 기능 실행을 위한 준비 단계를 실행한다.
반면, 단계 S220에서 차량 실내 전방 영역에 대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단계 S240에서 차량 실내 후방 영역에 대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있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가 도플러 모드라고 판단하고 작동 모드를 도플러 모드로 설정한다(S310). 그런후, 모드 실행 단계(S400)에서 도플러 모드를 실행하는데, 작동 모드가 도플러 모드인 경우의 모드 실행 단계(S400)는 신호 해석부 절환 단계(S410)와, 제 1 도플러 감지 단계(S420)와, 제 1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S430)와, 제 2 도플러 감지 단계(S440)와, 제 2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S450)를 포함하는데, 먼저, 신호 해석부 절환 단계(S410)에서 제어부(200)는 신호 해석부 중 도플러 신호 해석부(170)를 선택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200)는 신호 해석부(160,170)와 제어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부(150)를 절환하여 제 1 수신기(120RF) 및 제 2 수신기(120RR)에서 감지된 초음파 에코 신호가 신호 해석부 중 도플러 신호 해석부(17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런 후, 제어부(200)는 제 1 영역, 즉 차량 실내 전방 영역에 대하여 제 1 송신기(120TF)가 소정의 초음파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는데, 앞선 펄스 에코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지부가 소정의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트리거 신호에 따라 펄서가 신호 생성하여 이를 트랜스듀서를 통하여 출력한다.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는 40kHz 주파수를 구비하는데, 이는 앞선 펄스 에코 타입 초음파 신호와 더불어 도플러 타입 초음파 신호로 명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신호가 대략 500msec 동안 차량 실내 전방 영역(AF)으로 출력되고, 제어부(200)는 제 1 수신기(120RF)를 가동시켜 40kHz 주파수 신호의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신호 해석부의 도플러 신호 해석부(170)로 신호 전달을 이루도록 제어부(200)가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입력받은 반사 초음파 에코 신호 및 저장부(400)에 사전설정되어 저장된 정상 상태에서의 차량 실내 영역에 대하여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 신호 내지는 전단계에서 얻어진 40kHz 주파수의 초음파 에코 신호를 비교하여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차량 실내 전방 영역에서의 침입 여부를 판단한다(S430).
단계 S430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없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어 흐름을 단계 S440으로 전환하여 제 2 도플러 감지 단계(S440)를 실행한다. 제 2 도플러 감지 단계(S440)에서도 앞선 제 1 도플러 감지 단계(S420)에서와 마찬가지의 구현 방식이 이루어지는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으로 대체하는데, 다만 제1 도플러 감지 단계(S420)에서와는 제 2 송신기 및 제 2 수신기를 통하여 달리 제 2 영역, 즉 차량 실내 후방 영역에 대한 초음파 수신 및 감지 기능이 실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단계 S440가 완료된 후, 제어부(200)는 단계 S44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실내 후방 영역에 대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 여부를 통하여 차량 실내 후방 영역에 대한 침입 여부를 제어부(200)가 제 2 도플러 변환 판단 단계(S450)에서 판단한다. 단계 S450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도플러 모드의 실행 회수를 나타내는 반복 회소(N)를 갱신하는 카운트 단계(S460)를 실행한다. 그런 후, 제어 흐름은 단계 S470으로 전달되어 반복 회수의 사전 설정된 회수(M)에의 도달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도플러 모드의 반복 회수(N)가 사전 설정된 회수(M)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410으로 전달하여 도플러 모드를 반복하는데, 이는 반복적 동작을 통한 보완 기능으로서 센서부(100)에서 감지된 신호가 미약하거나 오차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전 설정된 회수(M)는 5~6의 값을 갖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예일뿐 정확도와 신속성 중 어느 곳에 중점을 두는가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단계 S470에서 반복 회수가 사전 설정된 회수(M)에 도달하는 경우 도플러 모드의 반복을 중단하고 제어 흐름을 단계 S320으로 전환하여 소정의 리턴 모드를 실행하여 제어 흐름의 복귀 상태를 형성한다.
반면, 단계 S430 및 단계 S450에서 각각 제 1 영역, 즉 차량 실내 전방 영역(AF)에서의 도플러 모드 중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제 2 영역, 즉 차량 실내 후방 영역(AR)에서의 도플러 모드 중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경고 작동 단계(S460)를 실행하는데, 제어부(200)는 차량에 배치되는 경고 음향 출력부(30)가 실행되어야 한다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300)를 통하여 차량 제어부(20)로 전달하고, 차량 제어부(20)는 입력되는 경고 작동 신호에 따라 음향 출력부(30)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차량 실내 침입자가 존재한다는 경고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100...센서부
200...제어부 300...통신부
400...저장부

Claims (10)

  1. 차량 실내 천장에 배치되고 차량 실내 제 1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1 송신기 및 제 1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차량 실내 제 1 영역 이외의 차량 실내 제 2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2 송신기 및 제 2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송신기 및 상기 제 2 송신기의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 발신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해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해석을 실행하는 신호 해석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로부터의 해석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 출력부를 가동시키도록 차량 네트워크로 경고 신호의 전달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해석부는:
    상기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가 펄스 에코 타입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해석하는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와,
    상기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가 도플러 타입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해석하는 도플러 신호 해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 및 상기 도플러 신호 해석부 중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신호 해석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송신기, 제 2 송신기, 제 1 수신기 및 제 2 수신기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하우징은:
    차량 실내 천장에 배치되는 센서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센서 하우징 베이스와 체결되는 센서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 커버에는, 상기 1 송신기의 일단을 차량 실내로 노출시키는 제 1 송신기 커버 관통구, 상기 제 2 송신기의 일단을 차량 실내로 노출시키는 제 2 송신기 커버 관통구, 상기 제 1 수신기의 일단을 차량 실내로 노출시키는 제 1 수신기 커버 관통구, 상기 제 2 수신기의 일단을 차량 실내로 노출시키는 제 2 수신기 커버 관통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커버 관통구 및 상기 제 1 수신기 커버 관통구의 길이 방향 선분은 차량 실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 2 송신기 커버 관통구 및 상기 제 2 수신기 커버 관통구의 길이 방향 선분은 차량 실내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6. 차량 실내 천장에 배치되고 차량 실내 제 1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1 송신기 및 제 1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차량 실내 제 1 영역 이외의 차량 실내 제 2 영역을 커버하는 초음파를 발신 및 감지하는 제 2 송신기 및 제 2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송신기 및 상기 제 2 송신기의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 발신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 해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해석을 실행하는 신호 해석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로부터의 해석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 출력부를 가동시키도록 차량 네트워크로 경고 신호의 전달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로 신호 처리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센서부가 발신 신호를 인가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로 신호 해석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센서부가 수신한 초음파 에코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펄스 에코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반사 초음파 신호의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이 실행하여야 할 작동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감지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에코 감지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송신기에 초음파 펄스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펄스 에코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수신기의 초음파 에코 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제 1 펄스 에코 감지 단계에서의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에코 변화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에코 판단 단계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송신기에 초음파 펄스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수신기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펄스 에코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해석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수신기의 초음파 에코 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제 2 펄스 에코 감지 단계에서의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에코 변화 판단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에코 판단 단계 또는 제 2 에코 판단 단계에서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작동 모드를 도플러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해석부는: 상기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가 펄스 에코 타입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해석하는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와, 상기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가 도플러 타입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해석하는 도플러 신호 해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된 감지 신호를 상기 펄스 에코 신호 해석부 및 상기 도플러 신호 해석부 중 택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작동 모드가 도플러 모드인 경우,
    상기 도플러 모드는:
    상기 스위치부를 통하여 상기 신호 해석부 중 도플러 신호 해석부를 선택하는 신호 해석부 절환 단계와,
    상기 제 1 송신기가 초음파 도플러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도플러 감지 단계와,
    상기 제 1 도플러 감지 단계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도플러 판단 단계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2 송신기에 초음파 도플러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수신기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도플러 감지 단계와,
    상기 제 2 도플러 감지 단계에서 초음파 도플러 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 또는 제 2 도플러 변화 판단 단계에서 초음파 도플러 반사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 네트워크로 경고 작동을 실행하도록 하는 경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00079395A 2010-08-17 2010-08-17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14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395A KR101143986B1 (ko) 2010-08-17 2010-08-17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395A KR101143986B1 (ko) 2010-08-17 2010-08-17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81A true KR20120016881A (ko) 2012-02-27
KR101143986B1 KR101143986B1 (ko) 2012-05-09

Family

ID=4583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395A KR101143986B1 (ko) 2010-08-17 2010-08-17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9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827A1 (ko) * 2012-07-10 2014-01-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8107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침입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침입 검출 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51027A (ko) * 2016-11-08 2018-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20180053115A (ko) 2016-11-11 2018-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실내 침입 감지 방법 및 장치
DE102018122493A1 (de) * 2018-09-14 2020-03-1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Innenraum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iebstahlwarnvorrichtung und Dachbedienvorrichtung
CN111095022A (zh) * 2017-08-25 2020-05-01 马自达汽车株式会社 防盗传感器的配置构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652B1 (ko) 2015-10-29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형 차량 침입 감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0041A (ja) * 1996-02-26 1997-09-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超音波センサ
JP4055563B2 (ja) * 2002-11-29 2008-03-05 株式会社デンソー 侵入検知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827A1 (ko) * 2012-07-10 2014-01-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5530302A (ja) * 2012-07-10 2015-10-15 デース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車両侵入感知システム及び方法
US9610921B2 (en) 2012-07-10 2017-04-04 Daesung Electric Co., Ltd Vehicle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vehicle intrusion detection method
KR20170068107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침입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침입 검출 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51027A (ko) * 2016-11-08 2018-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20180053115A (ko) 2016-11-11 2018-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실내 침입 감지 방법 및 장치
CN111095022A (zh) * 2017-08-25 2020-05-01 马自达汽车株式会社 防盗传感器的配置构造
EP3657207A4 (en) * 2017-08-25 2020-08-26 Mazda Motor Corporation ANTI-BURGLARY SENSOR ARRANGEMENT STRUCTURE
US11052871B2 (en) 2017-08-25 2021-07-06 Mazda Motor Corporation Burglar sensor arrangement structure
DE102018122493A1 (de) * 2018-09-14 2020-03-1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Innenraum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iebstahlwarnvorrichtung und Dachbedien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986B1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986B1 (ko)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191622B1 (ko) 음파통신장치 및 그 방법
US20100188932A1 (en) Low Power Sensor System
JP2010230366A (ja) 障害物検出装置
KR20150048186A (ko) 초음파 센서의 개선된 작동 방법, 운전자 지원 장치 및 자동차
KR100860930B1 (ko) 후방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104428175B (zh) 在车辆中出现欠压时基于超声波的驾驶员辅助系统的可用性的提高
CA27699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b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3221821B2 (ja) 車両用障害物監視装置
KR101483607B1 (ko) 수신 초음파의 감도를 이용한 침입 검출 장치 및 방법
JP3801076B2 (ja) 障害物検知装置
KR101683652B1 (ko) 대형 차량 침입 감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254081B1 (ko) 침입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침입 검출 장치의 제어방법
JP3141278B2 (ja) 超音波センサ
KR101068721B1 (ko) 절전형 초음파 차량 침입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JP3502943B2 (ja) 侵入物体検出装置
KR100778651B1 (ko)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및 타이어 압력 감지 방법
JP2003344539A (ja) 自律走行車
JPH0652449A (ja) 侵入物体検出装置
WO2018032494A1 (en) Vehicle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process implemented in a vehicle
JP2003248051A (ja) 超音波センサ
JP2000185629A (ja) 自動車の室内の監視装置
JP2020106380A (ja) 超音波センサ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US20230196890A1 (en) Device for monitoring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cycle, kit and method based on said device
JP2010126032A (ja) 移動体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