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348A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348A
KR20120014348A KR1020100076346A KR20100076346A KR20120014348A KR 20120014348 A KR20120014348 A KR 20120014348A KR 1020100076346 A KR1020100076346 A KR 1020100076346A KR 20100076346 A KR20100076346 A KR 20100076346A KR 20120014348 A KR20120014348 A KR 2012001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cutting blade
section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036B1 (ko
Inventor
김성문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성문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문,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성문
Priority to KR102010007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03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재료가공통과, 상기 재료가공통의 상면에 기립형성된 재료투입관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도록 상기 재료가공통의 내부에 설치된 재료가공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스크류구동축과, 전 길이구간에 걸쳐 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공에 상기 스크류구동축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절단날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스크류구동축 사이 및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절단날구동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스크류구동축과 상기 절단날구동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구동축과 상기 절단날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가공통은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재료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유입구가 상방향을 향하고 상기 스크류구동축이 일측 개구를 통해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분쇄통부와, 저면에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배출통바디부와 상기 배출통바디부의 일측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배출통바디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일영역에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지지판을 가지고 상기 즙배출구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분쇄통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배출통부와, 전방구간이 테이퍼져 있는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다수의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개구가 상기 찌꺼기배출구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압착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가공체는 동일한 단멱적을 갖는 직선구간과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는 테이퍼구간을 갖도록 형성된 봉형태의 스크류바디부와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과 테이퍼구간에 걸쳐 형성된 나선형태의 스크류를 가지고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이 상기 재료유입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크류구동축에 결합되는 스크류가공체와, 중앙에 축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체지지판과 상기 축결합공의 둘레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가공체지지판에 형성된 절단날을 가지고 상기 절단날이 상기 재료유입구의 하측에서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축결합공을 통해 상기 절단날구동축에 결합되는 절단날가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시간당 착즙할 수 있는 재료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가공재료의 분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기{Juicer}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등의 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형태로 음식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료를 일단 분쇄하는 과정을 거친 후, 즙형태로 음식물을 가공하는 착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종래의 착즙기의 요부단면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12a)을 갖는 구동부(112)와, 하우징(111)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13)과, 구동축(112a)에 결합된 원동재료가공체(120)와, 원동재료가공체(12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종동재료가공체(180)와, 지지축(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재료가공통(130)과, 재료가공통(130)에 형성된 재료투입관(191)과, 재료가공통(13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보호커버(115)를 갖고 있다.
하우징(111)은 전면 구동축(112a)의 인접영역에 종동후방지지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12)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각 지지축(1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커버지지홈(1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원동재료가공체(120)는 다수의 원동헬리컬기어(121a)가 형성된 원동헬리컬기어부(121)와, 원동헬리컬기어부(121)의 전단에 결합된 원동스크류부(12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재료가공체(120)는 원동헬리컬기어부(121)를 통해 구동축(112a)에 결합되고 원동스크류부(122)의 전단이 후술하는 원동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종동재료가공체(180)는 원동헬리컬기어(121a)와 동일한 개수의 종동헬리컬기어(181a)가 형성된 종동헬리컬기어부(181)와, 종동헬리컬기어부(181)의 후단에 결합된 종동기어축(182)과, 종동헬리컬기어부(181)의 전단에 결합된 종동스크류부(183)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재료가공체(180)는 종동기어축(182)이 종동후방지지홈(111a)에 지지되고, 종동스크류부(183)의 전단이 후술하는 종동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종동재료가공체(180)는 종동헬리컬기어부(181)가 원동헬리컬기어부(121)와 맞물려 회전하며, 종동스크류부(183)가 원동스크류부(12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재료가공통(130)은 한 쌍의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분쇄통부(131)와, 분쇄통부(131)의 양 측면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분쇄통고정홈부(132)와, 분쇄통부(131)에 일체로 형성된 압착통부(134)와, 압착통부(134)의 전방에서 한 쌍의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배출통부(140)을 갖고 있다.
분쇄통부(131)는 원동재료가공체(120)과 종동재료가공체(180)에 형상 맞춤되는 가공체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각 분쇄통고정홈부(132)에는 원호단면형태의 분쇄통고정홈(132a)이 분쇄통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압착통부(134)는 전방구간이 테이퍼져 있고, 관벽에는 다수의 즙통과공(134a)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부(140)는 저면영역에 즙배출구(141a)가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고정관부(141b)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부(140)는 전면에 찌꺼기배출구(141c)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내표면 찌꺼기배출구(141c)의 좌 우측영역에는 각각 원동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과 종동전방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재료투입관(191)은 배출통부(140)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어 있다.
보호커버(115)는 내표면에 한 쌍의 걸림핀(115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안내관부(115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115)는 안내관부(115b)가 재료투입관(191)에 연통하도록 재료가공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축(113)이 분쇄통고정홈(132a)에 삽입되도록 분쇄통부(131)를 설치한다.
다음에 지지축(113)이 고정관부(141b)를 통과하도록 배출통부(140)을 설치한다.
다음에 각 걸림핀(115a)이 지지축(113)의 커버지지홈(113a)에 삽입되도록 보호커버(115)를 설치한다.
보호커버(115)가 설치된 상태에서 걸림핀(115a)과 커버지지홈(113a)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분쇄통부(131)와 배출통부(140)의 설치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에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을 배출통부(140)의 즙배출구(141a) 하부에 설치한다.
다음에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12a)은 회전한다.
구동축(112a)이 회전하면, 원동재료가공체(120)와 종동재료가공체(180)는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재료가공체(120)와 종동재료가공체(180)가 회전하면, 안내관부(115b)에 재료(야채 또는 과일)를 투입한다.
안내관부(115b)에 투입된 재료는 재료투입관(191)를 통해 원동헬리컬기어(121a)와 종동헬리컬기어(181a)의 맞물림영역에 투입된 후, 분쇄된다.
원동재료가공체(120)와 종동재료가공체(180)에 의해 분쇄된 재료는 원동스크류부(122), 종동스크류부(183) 및 압착통부(134)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되면서 배출통부(140)를 향해 이송된다.
압착동작시 발생하는 즙은 배출통부(140)의 즙배출구(141b)를 통해 배출되고, 압착찌꺼기는 찌꺼기배출구(142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에 따르면, 원동헬리컬기어(121a)와 종동헬리컬기어(181a) 사이에 재료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재료투입공간이 적고 이에 따라 시간당 착즙할 수 있는 재료량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원동헬리컬기어(121a)와 종동헬리컬기어(181a)의 맞물림동작에 의해 가공재료가 분쇄되고 종동가공체(180)에는 구동부(112)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가공재료의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당 착즙할 수 있는 재료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가공재료의 분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재료가공통과, 상기 재료가공통의 상면에 기립형성된 재료투입관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도록 상기 재료가공통의 내부에 설치된 재료가공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스크류구동축과, 전 길이구간에 걸쳐 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공에 상기 스크류구동축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절단날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스크류구동축 사이 및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절단날구동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스크류구동축과 상기 절단날구동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구동축과 상기 절단날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가공통은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재료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유입구가 상방향을 향하고 상기 스크류구동축이 일측 개구를 통해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분쇄통부와, 저면에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배출통바디부와 상기 배출통바디부의 일측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배출통바디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일영역에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지지판을 가지고 상기 즙배출구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분쇄통부에 결합되는 배출통부와, 전방구간이 테이퍼져 있는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다수의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개구가 상기 찌꺼기배출구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압착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가공체는 동일한 단멱적을 갖는 직선구간과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는 테이퍼구간을 갖도록 형성된 봉형태의 스크류바디부와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과 테이퍼구간에 걸쳐 형성된 나선형태의 스크류를 가지고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이 상기 재료유입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크류구동축에 결합되는 스크류가공체와, 중앙에 축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체지지판과 상기 축결합공의 둘레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가공체지지판에 형성된 절단날을 가지고 상기 절단날이 상기 재료유입구의 하측에서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축결합공을 통해 상기 절단날구동축에 결합되는 절단날가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가공재료에 가해지는 이송압력이 커지고 이에 따라 착즙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에 형성된 1차직선구간스크류와, 상기 1차직선구간스크류와 나란하도록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에 형성된 2차직선구간스크류와, 상기 1차직선구간스크류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테이퍼구간에 도달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된 1차연결스크류와, 상기 2차직선구간스크류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테이퍼구간에 도달하고 상기 1차연결스크류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2차연결스크류와, 상기 1차연결스크류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전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1차테이퍼구간스크류와, 상기 2차연결스크류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전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2차테이퍼구간스크류와, 상기 1차연결스크류의 우측영역과 상기 2차연결스크류사이에 상기 1차연결스크류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1차보조스크류와, 상기 2차연결스크류의 우측영역과 상기 1차연결스크류사이에 상기 2차연결스크류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2차보조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어 착즙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2차직선구간스크류는 상기 1차직선구간스크류보다 적어도 1권회 늦게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차보조스크류와 2차보조스크류에 의한 압착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1차보조스크류는 각 형성시작점과 상기 2차직선구간스크류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1차연결스크류에 인접하는 쪽이 더 커지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2차보조스크류는 각 형성시작점과 상기 1차직선구간스크류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2차연결스크류에 인접하는 쪽이 더 커지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어 착즙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단날은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절단날의 회전방향 전방에는 재료투입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와 절단날사이에 사이에 재료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재료투입공간이 커지고 이에 따라 시간당 착즙할 수 있는 재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단날의 절단동작에 의해 가공재료가 분쇄되고 스크류가공체와 절단날가공체에 각각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가공재료의 분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3 및 도4는 각각 도2에 도시된 스크류가공체의 상세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절단날가공체의 사시도,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동력전달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배출통과 찌꺼기배출조절부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배출통과 찌꺼기배출조절부 영역의 결합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11은 종래의 착즙기의 요부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도2에 도시된 스크류가공체의 상세도이고, 도5는 도2에 도시된 절단날가공체의 사시도이고,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동력전달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배출통과 찌꺼기배출조절부 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배출통과 찌꺼기배출조절부 영역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21)을 갖는 구동부(20)와, 하우징(11)의 전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관(12)과, 각 지지관(12)에 하나씩 설치된 지지축(13)과, 지지축(13)의 전단에 결합된 잠금레버(14)와, 지지관(12)의 후단에 결합된 스토퍼부재(15)와, 지지축(13)의 후단에 결합된 가압부재(16)와, 하우징(11)의 외표면에 설치된 전원공급스위치(19)와, 구동축(21)의 전방에서 하우징(1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재료가공통(30)과, 재료가공통(30)의 상면에 기립형성된 재료투입관(91)과, 구동축(21)에 결합되도록 재료가공통(30)의 내부에 설치된 재료가공체(60)와, 재료가공통(30)에 설치된 찌꺼거배출조절부(50)를 갖고 있다.
구동부(20)는 구동축(21)에 더하여 모터(22)와, 모터(22)의 회전력을 구동축(2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3)를 갖고 있다.
구동축(21)은 스크류구동축(21a)과, 전 길이구간에 걸쳐 축공(21c)이 형성되어 있는 절단날구동축(21b)을 갖고 있다.
스크류구동축(21a)은 축공(21c)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모터(22)는 모터축(22a)을 갖고 있다.
동력전달부(23)는 모터축(22a)의 종단에 형성된 헬리컬형태의 모터축기어(23a)와, 절단날구동축(21b)의 외표면에 형성된 절단날구동축기어(23b)와, 스크류구동축(21a)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제1보조축(23c) 및 제2보조축(23d)과, 모터축기어(23a)에 치합하도록 제1보조축(23c)에 설치된 헬리컬형태의 원동제1보조축기어(23e)와, 원동제1보조축기어(23e)의 전방에서 제1보조축(23c)에 설치된 종동제1보조축기어(23f)와, 종동제1보조축기어(23f)에 치합하도록 스크류구동축(21a)에 설치된 스크류구동축기어(23g)와, 절단날구동축기어(23b)와 종동제1보조축기어(23f)에 각각 치합하도록 제2보조축(23d)에 설치된 제2보조축기어(23h)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동력전달부(23)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축(22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도6 및 도7의 ① 참조), 원동제1보조축기어(23e)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도6 및 도7의 ② 참조).
원동제1보조축기어(23e)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제1보조축기어(23f)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도6 및 도7의 ③ 참조).
종동제1보조축기어(23f)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류구동축기어(23g)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도6 및 도7의 ④ 참조).
스크류구동축기어(23g)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류구동축(21a)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도6 및 도7의 ⑤ 참조).
한편 종동제1보조축기어(23f)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보조축기어(23h)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도6 및 도7의 ⑥ 참조).
제2보조축기어(23h)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절단날구동축기어(23b)와 절단날구동축(21b)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도6 및 도7의 ⑦ 및 ⑧ 참조).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23)는 모터(22)의 축과 스크류구동축(21a) 사이 및 모터(22)의 축과 절단날구동축(21b) 사이에 개재하여 스크류구동축(21a)과 절단날구동축(21b)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22)의 회전력을 스크류구동축(21a)과 절단날구동축(21b)에 전달할 수 있다.
각 지지관(12)은 구동축(21)에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지지축(13)은 양단이 각 지지관(12)의 외부로 노출되고, 각 지지관(1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잠금스위치레버(17a)는 봉상의 잠금레버바디부(14a)와, 잠금레버바디부(14a)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잠금레버바디부(14a)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잠금레버(14)는 잠금레버바디부(14a)가 지지축(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잠금레버바디부(14a)를 통해 각 지지축(13)의 전단에 결합된다.
걸림편(14b)은 잠금레버바디부(14a)가 배출통부(40)를 향해 회동할 때 진입안내면(33c)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재(15)는 지지관(12)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사용하여 구현되어 있다. 스토퍼부재(15)는 지지관(12)이 하우징(1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원공급스위치(19)는 구동부(20)와 소정의 전원전압사이를 개폐한다.
재료가공통(30)은 관형태의 분쇄통부(31)와, 분쇄통부(31)의 전방에 설치되는 배출통부(40)와, 분쇄통부(31)의 양 측면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분쇄통고정홈부(32)와, 배출통부(40)의 양 측면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배출통고정홈부(33)와, 분쇄통부(31)와 배출통부(40)사이에 개재된 관형태의 압착통부(34)를 갖고 있다.
분쇄통부(31)는 관벽에 재료유입구(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분쇄통부(31)는 재료유입구(31a)가 상방향을 향하고 스크류구동축(21a)이 일측 개구를 통해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배출통부(40)는 관형태의 배출통바디부(41)와, 배출통바디부(41)의 일측개구를 밀폐하도록 배출통바디부(41)로부터 연장형성된 배출통지지판(42)을 갖고 있다.
배출통바디부(41)는 저면에 즙배출구(41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지지판(42)은 중앙영역에 찌꺼기배출구(42a)가 형성되어 있다.
찌꺼기배출구(42a)는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부(40)는 즙배출구(41a)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분쇄통부(31)의 전방에 설치된다.
각 분쇄통고정홈부(32)에는 원호단면형태로 분쇄통고정홈(32a)이 분쇄통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각 배출통고정홈부(33)에는 배출통고정홈(33a)과 걸림홈(33b)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고정홈(33a)은 원호단면형태로 분쇄통고정홈(32a)에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3b)은 분쇄통고정홈(32a)에 연통하도록 분쇄통고정홈(32a)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홈(33b)에는 배출통고정홈부(33)의 외표면으로부터 잠금레버바디부(14a)의 전단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진입안내면(33c)이 형성되어 있다.
압착통부(34)는 전방구간이 테이퍼져 있고, 관벽에는 다수의 즙통과공(3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착통부(34)는 전방개구가 찌꺼기배출구(42a)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재료투입관(91)은 재료유입구(31a)에 연통하도록 배출통부(40)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어 있다.
재료가공체(60)는 스크류구동축(21a)에 결합된 스크류가공체(70)와, 절단날구동축(21b)에 결합되는 절단날가공체(80)를 갖고 있다.
스크류가공체(70)는 봉형태의 스크류바디부(71)와, 스크류바디부(71)에 형성된 스크류(72)를 갖고 있다.
스크류바디부(71)는 동일한 단멱적을 갖는 직선구간(71a)과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는 테이퍼구간(71b)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류바디부(71)는 전단에 스크류지지홈(71c)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72)는 스크류바디부(71)의 직선구간(71a)에 형성된 1차직선구간스크류(72a) 및 2차직선구간스크류(72b)와, 1차직선구간스크류(72a)의 전단으로부터 스크류바디부(71)의 테이퍼구간(71b)에 도달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된 1차연결스크류(72c)와, 2차직선구간스크류(72b)의 전단으로부터 스크류바디부(71)의 테이퍼구간(71b)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2차연결스크류(72d)와, 1차연결스크류(72c)의 우측영역과 2차연결스크류(72d)사이에 형성된 1차보조스크류(72e)와, 2차연결스크류(72d)의 우측영역과 1차연결스크류(72c)사이에 형성된 2차보조스크류(72f)와, 1차연결스크류(72c)의 전단으로부터 스크류바디부(71)의 전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1차테이퍼구간스크류(72g)와, 2차연결스크류(72d)의 전단으로부터 스크류바디부(71)의 전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2차테이퍼구간스크류(72h)를 갖고 있다.
2차직선구간스크류(72b)는 1차직선구간스크류(72a)보다 적어도 1권회 늦게 시작하고 1차직선구간스크류(72a)와 나란하도록 형성된다.
2차연결스크류(72d)는 1차연결스크류(72c)에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1차보조스크류(72e)는 1차연결스크류(72c)에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차보조스크류(72e)는 각 형성시작점과 2차직선구간스크류(72b)사이의 이격거리가 1차연결스크류(72c)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더 작아지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도3에서 ① 〉② 〉③ 순으로 간격이 큼).
2차보조스크류(72f)는 2차연결스크류(72d)에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차보조스크류(72f)는 각 형성시작점과 1차직선구간스크류(72a)사이의 이격거리가 2차연결스크류(72d)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더 작아지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도4에서 ④ 〉⑤ 〉⑥ 순으로 간격이 큼).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크류가공체(70)는 스크류바디부(71)의 직선구간이 재료유입구(31a)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스크류구동축(21a)에 결합되고, 스크류지지홈(71c)과 부시(73)를 통해 후술하는 나사봉협경부(51b)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절단날가공체(80)는 중앙에 축결합공(81a)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체지지판(81)과, 축결합공(81a)의 둘레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가공체지지판(81)에 형성된 절단날(82)을 갖고 있다.
절단날(82)은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이 형성되고, 각 절단날(82)의 회전방향 전방에는 재료투입개구(8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절단날가공체(80)는 절단날(82)이 재료유입구(31a)의 하측에서 스크류바디부(71)의 직선구간을 둘러싸도록 축결합공(81a)을 통해 절단날구동축(21b)에 결합된다.
찌꺼거배출조절부(50)는 찌꺼기배출구(42a)의 사이공간에서 배출통지지판(42)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나사봉(51)과, 나사봉(51)에 결합된 조임부재(52) 및 마개부재(53)를 갖고 있다.
나사봉(51)은 외표면 전방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나사봉지지판(51a)과 나사봉협경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나사봉(51)은 나사봉지지판(51a)이 배치통지지판(42)의 전면에 지지되고, 나사봉협경부(51b)가 배출통부(4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조임부재(52)는 후방영역에 테이퍼구간을 갖는 관형태로 형성되고, 테이퍼구간의 내표면을 통해 나사봉(5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임부재(52)는 마개부재(53)가 찌꺼기배출구(4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작용을 한다.
마개부재(53)는 관형태의 마개부재바디부(53a)와, 마개부재바디부(53a)와 협조하여 대략 나비넥타이 형태를 이루도록 마개부재바디부(53a)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53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개부재(53)는 마개부재바디부(53a)가 나사봉(51)에 삽입되고 날개부(53b)가 각각 찌꺼기배출구(42a)를 밀폐하도록 나사봉(51)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개부재(53)는 실리콘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크류가공체(70)와 절단날가공체(80)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관(12)이 분쇄통고정홈(32a)에 삽입되도록 분쇄통부(31)를 설치한다.
다음에 압착통부(34)의 내부로 스크류가공체(70)가 진입하도록 압착통부(34)를 설치한다.
다음에 잠금레버바디부(14a)가 배출통고정홈(33a)에 삽입되도록 배출통부(40)를 설치한다.
다음에 걸림편(14b)이 진입안내면(33c)을 따라 걸림홈(33b)에 진입하도록 잠금레버(14)를 회동시킨다. 걸림편(14b)이 진입안내면(33c)을 따라 이동할 때 배출통부(40)는 하우징(11)을 향해 가압된다.
걸림편(14b)이 걸림홈(33b)에 진입한 상태에서 걸림편(14b)과 걸림홈(33b)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분쇄통부(31)와 배출통부(40)의 설치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에 전원공급스위치(19)를 조작하여 구동부(20)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21)은 회전한다.
구동축(21)이 회전하면, 스크류가공체(70)와 절단날가공체(8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가공체(70)와 절단날가공체(8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재료투입관(91)을 통해 재료(야채 또는 과일)를 투입한다.
재료투입관(91)을 통해 투입된 가공재료는 재료유입구(31a)를 통과하여 절단날가공체(80)에 공급된다.
절단날가공체(80)에 공급된 가공재료는 재료투입개구(82a)로 진입하고, 재료투입개구(82a)에 진입한 가공재료는 절단날(82)의 절단동작에 의해 분쇄된다.
다음에 절단날(82)에 의해 분쇄된 가공재료는 1차직선구간스크류(72a)에 의해 압착통부(34)를 향해 이송된다.
가공재료가 2차직선구간스크류(72b)에 도달하면 1차직선구간스크류(72a)와 2차직선구간스크류(72b)에 의해 압착통부(34)를 향해 이송된다. 1차직선구간스크류(72a)와 2차직선구간스크류(72b)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가공재료는 압착통부(34)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소분쇄되고 소분쇄동작시 착즙이 일부 생성된다.
가공재료가 1차연결스크류(72c)와 2차연결스크류(72d)에 도달하면 1차연결스크류(72c), 2차연결스크류(72d), 1차보조스크류(72e) 및 2차보조스크류(72f)와 압착통부(34)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가공재료는 압착되고, 압착동작시 착즙이 생성된다.
1차보조스크류(72e)가 1차연결스크류(72c)로부터 멀어질수록 각 형성시작점과 2차직선구간스크류(72b)사이의 이격거리가 점점 더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차연결스크류(72c)의 우측영역을 통과하는 가공재료가 1차보조스크류(72e)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골고루 분산되고 이에 따라 1차보조스크류(72e)에 의한 압착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2차보조스크류(72f)가 2차연결스크류(72d)로부터 멀어질수록 각 형성시작점과 1차직선구간스크류(72a)사이의 이격거리가 점점 더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차연결스크류(72d)의 우측영역을 통과하는 가공재료가 2차보조스크류(72f)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골고루 분산되고 이에 따라 2차보조스크류(72f)에 의한 압착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생성된 착즙은 즙통과공(34a)을 통과한 후 즙배출구(41a)를 통해 낙하하여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에 수집된다.
한편 착즙되고 남은 가공재료찌꺼기는 1차테이퍼구간스크류(72g)와 2차테이퍼구간스크류(72h)에 의해 이송된 후 찌꺼기배출구(42a)를 통해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72)와 절단날(82)사이에 재료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재료투입공간이 커지고 이에 따라 시간당 착즙할 수 있는 재료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단날(82)의 절단동작에 의해 가공재료가 분쇄되고 스크류가공체(70)와 절단날가공체(80)에 각각 구동부(2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가공재료의 분쇄가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1차보조스크류(72e)와 2차보조스크류(72f)를 포함하도록 스크류(72)를 형성함으로써, 가공재료에 가해지는 이송압력이 커지고 이에 따라 착즙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2차직선구간스크류(72b)가 1차직선구간스크류(72a)보다 적어도 1권회 늦게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어 착즙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형성시작점과 2차직선구간스크류(72b)사이의 이격거리가 1차연결스크류(72c)에 인접하는 쪽이 더 커지도록 복수개의 1차보조스크류(72e)를 형성하고 각 형성시작점과 1차직선구간스크류(72a)사이의 이격거리가 2차연결스크류(72d)에 인접하는 쪽이 더 커지도록 복수개의 2차보조스크류(72f)를 형성함으로써, 1차연결스크류(72c)의 우측영역을 통과하는 가공재료가 1차보조스크류(72e)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골고루 분산되고 2차연결스크류(72d)의 우측영역을 통과하는 가공재료가 2차보조스크류(72f)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골고루 분산되고 이에 따라 1차보조스크류(72e)와 2차보조스크류(72f)에 의한 압착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절단날(82)의 회전방향 전방에 재료투입개구(82a)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어 착즙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1, 111 : 하우징 12, 112 : 지지관
13, 113 : 지지축 14, 114 : 잠금레버
20, 112 : 구동부 23 : 동력전달부
30, 130 : 재료가공통 31, 131 : 분쇄통부
32, 132 : 분쇄통고정홈부 33, 133 : 배출통고정홈부
34, 134 : 압착통부 40, 140 : 배출통부
50 : 찌꺼기배출조절부 60 : 재료가공체
70 : 스크류가공체 71, 171 : 스크류바디부
72, 172 : 스크류 80 : 절단날가공체
81 : 가공체지지판 82 : 절단날

Claims (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재료가공통과, 상기 재료가공통의 상면에 기립형성된 재료투입관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도록 상기 재료가공통의 내부에 설치된 재료가공체를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스크류구동축과, 전 길이구간에 걸쳐 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공에 상기 스크류구동축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절단날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스크류구동축 사이 및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절단날구동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스크류구동축과 상기 절단날구동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구동축과 상기 절단날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가공통은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재료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유입구가 상방향을 향하고 상기 스크류구동축이 일측 개구를 통해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분쇄통부와, 저면에 즙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배출통바디부와 상기 배출통바디부의 일측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배출통바디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일영역에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지지판을 가지고 상기 즙배출구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분쇄통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배출통부와, 전방구간이 테이퍼져 있는 관형태로 형성되고 관벽에는 다수의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개구가 상기 찌꺼기배출구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압착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가공체는 동일한 단멱적을 갖는 직선구간과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는 테이퍼구간을 갖도록 형성된 봉형태의 스크류바디부와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과 테이퍼구간에 걸쳐 형성된 나선형태의 스크류를 가지고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이 상기 재료유입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크류구동축에 결합되는 스크류가공체와, 중앙에 축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체지지판과 상기 축결합공의 둘레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가공체지지판에 형성된 절단날을 가지고 상기 절단날이 상기 재료유입구의 하측에서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축결합공을 통해 상기 절단날구동축에 결합되는 절단날가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에 형성된 1차직선구간스크류와, 상기 1차직선구간스크류와 나란하도록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직선구간에 형성된 2차직선구간스크류와, 상기 1차직선구간스크류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테이퍼구간에 도달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된 1차연결스크류와, 상기 2차직선구간스크류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테이퍼구간에 도달하고 상기 1차연결스크류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2차연결스크류와, 상기 1차연결스크류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전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1차테이퍼구간스크류와, 상기 2차연결스크류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바디부의 전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2차테이퍼구간스크류와, 상기 1차연결스크류의 우측영역과 상기 2차연결스크류사이에 상기 1차연결스크류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1차보조스크류와, 상기 2차연결스크류의 우측영역과 상기 1차연결스크류사이에 상기 2차연결스크류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2차보조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직선구간스크류는 상기 1차직선구간스크류보다 적어도 1권회 늦게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보조스크류는 각 형성시작점과 상기 2차직선구간스크류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1차연결스크류로부터 멀어질 수록 점점 더 작아지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2차보조스크류는 각 형성시작점과 상기 1차직선구간스크류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2차연결스크류로부터 멀어질 수록 점점 더 작아지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절단날의 회전방향 전방에는 재료투입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1020100076346A 2010-08-09 2010-08-09 착즙기 KR10119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46A KR101198036B1 (ko) 2010-08-09 2010-08-09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46A KR101198036B1 (ko) 2010-08-09 2010-08-09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348A true KR20120014348A (ko) 2012-02-17
KR101198036B1 KR101198036B1 (ko) 2012-11-06

Family

ID=4583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346A KR101198036B1 (ko) 2010-08-09 2010-08-09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0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372A (zh) * 2012-05-30 2012-10-03 中国农业大学 曲柄式双筒榨汁机
WO2014026445A1 (zh) * 2012-08-15 2014-02-20 宁波博菱电器有限公司 一种挤压头和具有该挤压头的冰淇淋机
US9675101B2 (en) 2013-03-15 2017-06-13 Whirlpo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CN113927939A (zh) * 2021-11-03 2022-01-14 浙江国丰油脂有限公司 一种智能压榨食用油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648Y1 (ko) 2006-05-23 2006-08-09 조해준 생즙 압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372A (zh) * 2012-05-30 2012-10-03 中国农业大学 曲柄式双筒榨汁机
CN102697372B (zh) * 2012-05-30 2014-04-02 中国农业大学 曲柄式双筒榨汁机
WO2014026445A1 (zh) * 2012-08-15 2014-02-20 宁波博菱电器有限公司 一种挤压头和具有该挤压头的冰淇淋机
US9675101B2 (en) 2013-03-15 2017-06-13 Whirlpo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CN113927939A (zh) * 2021-11-03 2022-01-14 浙江国丰油脂有限公司 一种智能压榨食用油的设备
CN113927939B (zh) * 2021-11-03 2024-01-30 浙江国丰油脂有限公司 一种智能压榨食用油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036B1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036B1 (ko) 착즙기
KR200437750Y1 (ko) 착즙기
KR101886567B1 (ko)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KR200491517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101267801B1 (ko) 착즙기
KR101198035B1 (ko) 착즙기
KR200451125Y1 (ko) 착즙기
KR101267805B1 (ko) 착즙기
KR200463482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66655Y1 (ko) 착즙기
KR200416640Y1 (ko) 착즙기
KR200451541Y1 (ko) 착즙기
KR200451123Y1 (ko) 착즙기
KR20036658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16634Y1 (ko) 착즙기
KR101767325B1 (ko) 자동 공급 착즙기
KR960003180Y1 (ko) 착즙기
KR200205627Y1 (ko) 다단착즙기
KR100576996B1 (ko) 다기능 스크루를 결합한 착유기
KR200463923Y1 (ko) 착즙기
KR200462770Y1 (ko) 착즙기
KR200280339Y1 (ko) 착즙기
KR960004996B1 (ko) 다단 착즙기
KR200451539Y1 (ko) 착즙기
KR200463924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