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587Y1 - 음식재료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재료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587Y1
KR200366587Y1 KR20-2004-0023662U KR20040023662U KR200366587Y1 KR 200366587 Y1 KR200366587 Y1 KR 200366587Y1 KR 20040023662 U KR20040023662 U KR 20040023662U KR 200366587 Y1 KR200366587 Y1 KR 200366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gear
material processing
grinding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래
Original Assignee
이석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래 filed Critical 이석래
Priority to KR20-2004-0023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5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재료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과, 전단영역에 원동협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치형의 강철재질 원동분쇄기어부와 상기 원동협경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헬리컬치형 원동치합기어부와 상기 원동치합기어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동치합기어부의 전단에 결합된 나선치형 원동스크류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원동재료가공체와, 후단영역에 종동협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치형의 강철재질 종동분쇄기어부와 상기 종동협경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헬리컬치형 종동치합기어부와 상기 종동분쇄기어부의 전단에 결합된 나선치형 종동스크류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종동치합기어부가 상기 원동분쇄기어부가 맞물리고 상기 종동분쇄기어부가 상기 원동치합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종동재료가공체와, 상기 원동재료가공체와 상기 종동재료가공체를 수용하기 위한 가공체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원동분쇄기어부 및 종동분쇄기어부의 상측영역에는 직선상의 투입관부가 상기 가공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원동스크류부 및 종동스크류부의 인접영역에는 상기 원동스크류부와 상기 종동스크류부에 의해 가압 가공되는 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음식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재료가공통을 갖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동치합기어부는 상기 원동분쇄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분쇄기어부는 상기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원동치합기어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부충격에 의해 크랙된 원동치합기어부가 원동분쇄기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동재료가공체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재료가공장치{Vegetables Material Processing Device}
본 고안은 음식재료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 과일, 반죽 등의 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 가락 등의 형태로 음식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즙 형태의 음식이나 가락형태의 음식(칼국수, 우동, 국수 등)을 즐겨 먹게 됨에 따라 착즙기 등의 음식재료가공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3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종래의 착즙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5는 종래의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확대사시도이고, 도6은 종래의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7은 종래의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분해단면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12a)을 갖는 구동부(112)와, 하우징(111)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13)과, 한 쌍의 지지축(113) 사이영역에서 구동축(112a)에 결합된 원동재료가공체(120) 및 종동재료가공체(140)와, 원동재료가공체(120) 및 종동재료가공체(140)가 수용되도록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재료가공통(170)과, 재료가공통(17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150)와, 하우징(111)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구동부(112)에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전원공급스위치(114)를 갖고 있다.
구동부(112)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각 지지축(1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커버지지홈(1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원동재료가공체(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헬리컬 치형(齒形)이 형성된 강철재질의 원동분쇄기어부(130)와,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헬리컬 치형이 형성되고 원동분쇄기어부(130)의 전단에 결합된 합성수지재질의 원동치합기어부(121)와, 외표면에 장방형상단면의 나선치형이 형성되고 원동치합기어부(121)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원동분쇄기어부(130)의 전단에 결합된 원동스크류부(122)와, 원동분쇄기어부(130)와 원동스크류부(122)를 연결하도록 원동분쇄기어부(130)와 원동스크류부(122)에 내삽되는 원동전방축부(123)를 갖고 있다.
원동분쇄기어부(130)는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동바디부(131)와, 원동바디부(131)의 전단영역에 형성된 원동협경부(132)와, 원동바디부(131)의 후단영역에 일체로 형성된 원동후방축부(133)를 갖고 있다.
원동후방축부(133)는 구동축(112a)에 결합하기 위한 축결합홈(133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원동치합기어부(121)는 원동분쇄기어부(130)의 원동협경부(132)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원동전방축부(123)는 전단이 원동스크류부(122)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재료가공체(120)는 축결합홈(133a)을 통해 구동축(112a)에 결합된다.
종동재료가공체(1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헬리컬 치형(齒形)이 형성된 강철재질 종동분쇄기어부(160)와,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헬리컬 치형이 형성되고 종동분쇄기어부(160)의 후단에 결합된 합성수지재질의 종동치합기어부(141)와, 외표면에 장방형상단면의 나선치형이 형성되고 종동분쇄기어부(160)의 전단에 결합된 종동스크류부(142)와, 종동분쇄기어부(160)와 종동스크류부(142)를 연결하도록 종동분쇄기어부(160)와 종동스크류부(142)에 내삽되는 종동전방축부(143)를 갖고 있다.
종동분쇄기어부(160)는 후단영역에 종동협경부(163)가 형성되어 있고, 종동협경부(163)의 후단영역에는 종동후방축부(1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종동치합기어부(141)는 종동분쇄기어부(160)의 종동협경부(163)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종동전방축부(143)는 전단이 종동스크류부(142)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종동재료가공체(140)는 원동재료가공체(12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헬리컬치형과 나선치형이 원동재료가공체(120)의 그것과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재료가공체(140)는 한 쌍의 지지축(113) 사이영역에서 원동재료가공체(120)와 치형이 상호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재료가공통(170)은 한 쌍의 지지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배출통(180)과, 배출통(180)과 하우징(111)의 사이영역에서 한 쌍의 지지축(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착즙통(171)을 갖고 있다.
배출통(180)은 캡부(181)와, 캡부(181)의 전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관부(183)를 갖고 있다.
캡부(181)는 저면영역에는 즙배출구(181a)가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 전방영역에는 한 쌍의 스크류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부(183)는 캡부(181)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180)은 캡부(181)가 하우징(111)의 전면부를 향하도록 지지축(113)에 결합되어 있다.
착즙통(171)은 원동재료가공체(120) 및 종동재료가공체(140)에 형상 맞춤되는 가공체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이송스크류부(123)의 둘레영역에는 다공의 즙배출필터(171a)가 형성되어 있고,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분쇄기어부(121)의 상방향영역에는 직선상의 투입관부(17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즙통(171)은 원동재료가공체(120) 및 종동재료가공체(140)가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전방개구가 캡부(181)에 연통되며, 투입관부(171b)가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지지축(113)에 결합되어 있다.
보호커버(150)는 상판부(151)와, 상판부(15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152)와, 투입관부(131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151)로부터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안내관부(153)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150)는 안내관부(153)가 투입관부(171b)에 연통하도록 재료가공통(17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종래의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 상태의 착즙통(171)과 배출통(180)을 지지축(113)에 결합한 후, 보호커버(150)를 설치한다.
다음에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을 배출통(180)의 즙배출구(181a) 하부에 설치한다.
다음에 전원공급스위치(114)를 조작하여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12a)은 회전한다. 구동축(112a)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재료가공체(120) 및 종동재료가공체(140)는 치가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재료가공체(120) 및 종동재료가공체(140)가 회전하면, 보호커버(150)의 안내관부(153)에 착즙재료(야채, 과일 등)를 투입한다.
안내관부(153)에 투입된 착즙재료는 투입관부(171b)를 통해 원동분쇄기어부(130)와 종동분쇄기어부(160)사이에 공급된 후, 분쇄된다.
원동분쇄기어부(130)와 종동분쇄기어부(160)에서 분쇄된 착즙재료는 원동스크류부(122), 종동스크류부(142)와 착즙통(17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되면서 배출통(180)을 향해 이송된다.
원동스크류부(122), 종동스크류부(142)와 착즙통(171)에 의한 압착동작에서 발생하는 즙은 착즙통(171)의 즙배출필터(171a)와 배출통(180)의 즙배출구(181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납컵으로 낙하한다.
한편 원동스크류부(122), 종동스크류부(142)와 착즙통(171)사이의 압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는 원동스크류부(122)와 종동스크류부(142)의 이송동작에 의해 배출통(180)의 배출관부(18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착즙작업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보호커버(150), 배출통(180), 착즙통(171), 재료가공체(120)를 분리시킨 후, 세척 보관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에 따르면, 합성수지재질의 원동치합기어부(121) 또는 종동치합기어부(141)가 외부충격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경우 크랙된 원동분쇄기어부(130) 또는 종동분쇄기어부(160)로부터 부분적으로 이탈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원동치합기어부(121) 또는 종동치합기어부(141)가 원동분쇄기어부(130) 또는 종동분쇄기어부(160)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원동재료가공체(120)와 종동재료가공체(140)의 기능이 상실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원동재료가공체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재료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분해단면도,
도3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4는 종래의 착즙기의 결합사시도,
도5는 종래의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확대사시도,
도6은 종래의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분해사시도,
도7은 종래의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분해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120 : 원동재료가공체 21, 121 : 원동치합기어부
22, 122 : 원동스크류부 30, 130 : 원동분쇄기어부
40, 140 : 종동재료가공체 41, 141 : 종동치합기어부
42, 142 : 종동스크류부 111 : 하우징
112 : 구동부 113 : 지지축
170 : 재료가공통 171 : 착즙통
180 : 배출통 181 : 캡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과, 전단영역에 원동협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치형의 강철재질 원동분쇄기어부와 상기 원동협경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헬리컬치형 원동치합기어부와 상기 원동치합기어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동치합기어부의 전단에 결합된 나선치형 원동스크류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원동재료가공체와, 후단영역에 종동협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치형의 강철재질 종동분쇄기어부와 상기 종동협경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헬리컬치형 종동치합기어부와 상기 종동분쇄기어부의 전단에 결합된 나선치형 종동스크류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종동치합기어부가 상기 원동분쇄기어부가 맞물리고 상기 종동분쇄기어부가 상기 원동치합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종동재료가공체와, 상기 원동재료가공체와 상기 종동재료가공체를 수용하기 위한 가공체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원동분쇄기어부 및 종동분쇄기어부의 상측영역에는 직선상의 투입관부가 상기 가공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원동스크류부 및 종동스크류부의 인접영역에는 상기 원동스크류부와 상기 종동스크류부에 의해 가압 가공되는 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음식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재료가공통을 갖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동치합기어부는 상기 원동분쇄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분쇄기어부는 상기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원동치합기어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종동재료가공체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종동치합기어부는 상기 종동분쇄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종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동분쇄기어부는 상기 종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종동치합기어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원동재료가공체의 기능을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 상기 원동스크류부는 상기 원동치합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치합기어부는 상기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원동스크류결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종동재료가공체의 기능을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종동분쇄기어부는 외표면에 상기 헬리컬치형이 형성되고 후단면에 상기 종동치합기어결합홈이 형성되며 후단면의 상기 종동치합기어결합홈의 내측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축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종동바디부와, 상기 종동치합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꺽쇠형단면의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결합홈을 통해 상기 종동바디부에 결합되는 종동후방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치합기어부는 상기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종동축부결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종래의 착즙기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는 하우징(111), 구동부(112), 지지축(113), 재료가공통(170), 보호커버(150) 및 전원공급스위치(114)를 갖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의 착즙기와 구조와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재료가공체의 분해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원동재료가공체(20)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헬리컬 치형(齒形)이 형성된 강철재질의 원동분쇄기어부(30)와,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고 원동분쇄기어부(30)의 전단에 결합된 합성수지재질의 원동치합기어부(21)와, 외표면에 장방형상단면의 나선치형이 형성되고 원동치합기어부(21)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원동치합기어부(21)의 전단에 결합된 원동스크류부(22)와, 원동분쇄기어부(30)와 원동스크류부(22)를 연결하도록 원동분쇄기어부(30)와 원동스크류부(22)에 내삽되는 원동전방축부(23)를 갖고 있다.
원동분쇄기어부(30)는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동바디부(31)와, 원동바디부(31)의 전단영역에 형성된 원동협경부(32)와, 원동바디부(31)의 후단영역에 일체로 형성된 원동후방축부(3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원동바디부(31)는 후술하는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21a)에 대응하는 원동치합기어결합홈(31a)이 원동협경부(32)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동후방축부(33)는 구동축(112a)에 결합하기 위한 축결합홈(33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원동치합기어부(21)는 후단면에 원동바디부(31)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21a)가 내경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단면에 후술하는 원동스크류부(22)의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22a)에 대응하는 원동스크류결합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원동치합기어부(21)는 고리상으로 제작되어, 원동분쇄기어부(30)의 원동협경부(32)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원동스크류부(22)는 후단면에 원동치합기어부(21)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22a)가 형성되어 있다.
원동전방축부(23)는 전단이 원동스크류부(22)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재료가공체(20)는 축결합홈(33a)을 통해 구동축(112a)에 결합되고, 그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원동치합기어부(21)를 원동협경부(32)에 결합한다.
다음에 원동전방축부(23)를 원동바디부(31)의 전면으로부터 삽입한 다음, 원동스크류부(22)를 원동전방축부(23)에 끼운다.
마지막으로 원동치합기어부(21)를 원동바디부(31)의 전면에 결합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종동재료가공체(40)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헬리컬 치형(齒形)이 형성된 강철재질 종동분쇄기어부(60)와,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헬리컬 치형이 형성되고 종동분쇄기어부(60)의 후단에 결합된 합성수지재질의 종동치합기어부(41)와, 외표면에 장방형상단면의 나선치형이 형성되고 종동분쇄기어부(60)의 전단에 결합된 종동스크류부(42)와, 종동분쇄기어부(60)와 종동스크류부(42)를 연결하도록 종동분쇄기어부(60)와 종동스크류부(42)에 내삽되는 종동전방축부(43)를 갖고 있다.
종동분쇄기어부(60)는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된 종동바디부(61)와, 종동바디부(61)의 후단면에 결합되는 종동후방축부(62)를 갖고 있다.
종동바디부(61)는 후단면에 후술하는 종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41a)에 대응하는 종동치합기어결합홈(61a)이 형성되고, 후단면의 종동치합기어결합홈(61a)의 내측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축결합홈(61b)이 형성되어 있다.
종동후방축부(62)는 외표면에 종동치합기어부(41)와의 결합을 위한 꺽쇠형단면의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62a)가 형성되어 있다.
종동치합기어부(41)는 전단면에 종동바디부(61)와의 결합을 위한 종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41a)가 내경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단면에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62a)에 대응하는 종동축부결합홈(41b)이 형성되어 있다.
원동치합기어부(21)는 고리상으로 제작되어, 종동협경부를 구성하는 종동후방축부(62)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종동전방축부(43)는 전단이 종동스크류부(42)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종동재료가공체(40)는 원동재료가공체(2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헬리컬치형과 나선치형이 원동재료가공체(20)의 그것과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재료가공체(40)는 한 쌍의 지지축(113) 사이영역에서 원동재료가공체(20)와 치형이 상호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종동전방축부(43)를 종동바디부(61)의 전면으로부터 삽입한 다음, 종동스크류부(42)를 종동전방축부(43)에 끼운다.
다음에 종동치합기어부(41)를 종동바디부(61)의 후면에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종동후방축부(62)를 종동바디부(61)에 끼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용방법은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동치합기어부(21)에 원동분쇄기어부(30)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21a)를 형성하고, 원동분쇄기어부(30)에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21a)에 대응하는 원동치합기어결합홈(31a)을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재질의 원동치합기어부(21)가 외부충격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크랙(Crack)이 발생하더라도 크랙된 원동치합기어부(21)가 원동분쇄기어부(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원동재료가공체(20)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동스크류부(22)에 원동치합기어부(21)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22a)를 형성하고, 원동치합기어부(21)에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22a)에 대응하는 원동스크류결합홈(21b)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원동재료가공체(20)의 기능을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동치합기어부(41)에 종동분쇄기어부(60)와의 결합을 위한 종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41a)를 형성하고, 종동분쇄기어부(60)에 종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41a)에 대응하는 종동치합기어결합홈(61a)을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재질의 종동치합기어부(41)가 외부충격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크랙(Crack)이 발생하더라도 크랙된 종동치합기어부(41)가 종동분쇄기어부(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종동재료가공체(40)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동분쇄기어부(60)에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62a)를 형성하고 종동치합기어부(41)에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62a)에 대응하는 종동축부결합홈(41b)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종동재료가공체(40)의 기능을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원동분쇄기어부(30)에 원동치합기어결합홈(31a)을 형성하고 원동스크류부(22)에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22a)를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원동분쇄기어부(30)의 원동치합기어결합홈(31a)이나 원동스크류부(22)의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22a)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종동분쇄기어부(60)에 종동치합기어결합홈(61a)을 형성하고 종동후방축부(62)에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62a)를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종동분쇄기어부(60)의 종동치합기어결합홈(61a)와 종동후방축부(62)의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62a)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착즙기에 본 고안을 적용하고 있으나, 착즙이외 국수, 떡 등 가락이나 절편 형태 등의 음식물을 가공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원동치합기어부에 원동분쇄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를 형성하고 원동분쇄기어부에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원동치합기어결합홈을 형성하여 합성수지재질의 원동치합기어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크랙된 원동치합기어부가 원동분쇄기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원동재료가공체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과, 전단영역에 원동협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치형의 강철재질 원동분쇄기어부와 상기 원동협경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헬리컬치형 원동치합기어부와 상기 원동치합기어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동치합기어부의 전단에 결합된 나선치형 원동스크류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원동재료가공체와, 후단영역에 종동협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치형의 강철재질 종동분쇄기어부와 상기 종동협경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헬리컬치형 종동치합기어부와 상기 종동분쇄기어부의 전단에 결합된 나선치형 종동스크류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종동치합기어부가 상기 원동분쇄기어부가 맞물리고 상기 종동분쇄기어부가 상기 원동치합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종동재료가공체와, 상기 원동재료가공체와 상기 종동재료가공체를 수용하기 위한 가공체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원동분쇄기어부 및 종동분쇄기어부의 상측영역에는 직선상의 투입관부가 상기 가공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원동스크류부 및 종동스크류부의 인접영역에는 상기 원동스크류부와 상기 종동스크류부에 의해 가압 가공되는 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음식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재료가공통을 갖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동치합기어부는 상기 원동분쇄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분쇄기어부는 상기 원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원동치합기어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치합기어부는 상기 종동분쇄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종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동분쇄기어부는 상기 종동분쇄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종동치합기어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스크류부는 상기 원동치합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동치합기어부는 상기 원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원동스크류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분쇄기어부는 외표면에 상기 헬리컬치형이 형성되고 후단면에 상기종동치합기어결합홈이 형성되며 후단면의 상기 종동치합기어결합홈의 내측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축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종동바디부와, 상기 종동치합기어부와의 결합을 위한 꺽쇠형단면의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결합홈을 통해 상기 종동바디부에 결합되는 종동후방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치합기어부는 상기 종동치합기어결합플랜지에 대응하는 종동축부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2004-0023662U 2004-08-19 2004-08-19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366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62U KR200366587Y1 (ko) 2004-08-19 2004-08-19 음식재료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62U KR200366587Y1 (ko) 2004-08-19 2004-08-19 음식재료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587Y1 true KR200366587Y1 (ko) 2004-11-06

Family

ID=4944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662U KR200366587Y1 (ko) 2004-08-19 2004-08-19 음식재료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5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489B1 (ko) * 2010-10-15 2013-01-04 이지혜 착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489B1 (ko) * 2010-10-15 2013-01-04 이지혜 착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2862B (zh) 齒輪減速器及包含該齒輪減速器的榨汁機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36658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37750Y1 (ko) 착즙기
KR20043708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101198036B1 (ko) 착즙기
KR200451125Y1 (ko) 착즙기
KR200362954Y1 (ko) 착즙기
KR101267801B1 (ko) 착즙기
KR200494872Y1 (ko) 착즙 주스기용 구동 본체 및 이를 이용한 착즙 주스기
KR200322266Y1 (ko) 착즙 분쇄기
KR200449577Y1 (ko) 착즙기
KR200463482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392596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101267805B1 (ko) 착즙기
KR20039259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16640Y1 (ko) 착즙기
KR20110006829U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51123Y1 (ko) 착즙기
KR200362952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3950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110006831U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69629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51541Y1 (ko) 착즙기
KR200416633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