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596Y1 - 음식재료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재료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596Y1
KR200392596Y1 KR20-2005-0015069U KR20050015069U KR200392596Y1 KR 200392596 Y1 KR200392596 Y1 KR 200392596Y1 KR 20050015069 U KR20050015069 U KR 20050015069U KR 200392596 Y1 KR200392596 Y1 KR 200392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support
material processing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래
유순기
Original Assignee
이석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래 filed Critical 이석래
Priority to KR20-2005-0015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재료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과, 상기 한 쌍의 지지축에 지지되고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재료의 가공공간을 제공하는 재료가공통과, 상기 재료가공통의 전방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축에 지지되고 상기 재료가공통에서 가공된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통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재료가공통에 수용된 재료를 가공하는 재료가공체를 갖는 재료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영역에 복수의 볼안내공이 둘레방향을 따라 분산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관형상 하우징축지지부가 상기 하우징전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지지축과 동일한 축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지지축은 상기 각 하우징축지지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방영역에 상기 볼안내공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반원단면의 축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은 상기 하우징축지지부의 종단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되고 내표면 상기 볼안내공의 대향영역에 배출통걸림홈이 상기 축걸림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안내공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고 상기 볼안내공에 하나씩 장착되는 지지볼과, 상기 축걸림홈이 상기 볼안내공에 대향하는 전진위치와 상기 축걸림홈이 상기 볼안내공으로부터 벗어나는 후진위치사이를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을 함께 이동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축이동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축지지부의 상기 볼안내공의 내측 외표면에 결합된 관형상의 볼스토퍼와, 신장상태에서 상기 볼스토퍼가 상기 볼안내공과 상기 축걸림홈에 수용된 지지볼에 탄성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축지지부의 외표면에 장착된 스토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배출통을 지지축에 결합 분리시키는 장치구조 및 결합분리 동작이 간단해진다.

Description

음식재료가공장치{Vegetables Material Processing Device}
본 고안은 음식재료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반죽 등의 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 가락 등의 형태로 음식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착즙기 등 재료를 일단 분쇄하는 과정을 거친 후, 즙 등의 형태로 음식물을 가공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종래의 착즙기의 보호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12a)을 갖는 구동부(112)와, 하우징(111)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13)과, 한 쌍의 지지축(113) 사이영역에서 구동축(112a)에 결합된 한 쌍의 재료가공체(120)와, 한 쌍의 재료가공체(120)가 수용되도록 지지축(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재료가공통(130)과, 재료가공통(130)의 전방에서 지지축(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배출통(140)과, 재료가공통(130)과 배출통(14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보호커버(150)와, 하우징(111)의 상면에 형성된 파지부(160)와, 하우징(111)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구동부(112)에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전원공급스위치(114)를 갖고 있다.
구동부(112)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각 지지축(113)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커버지지홈(113a)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각 재료가공체(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헬리컬 치형(齒形)이 형성된 분쇄기어부(121)와, 외표면에 장방형상단면의 나선 치형이 형성된 이송스크류부(123)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한 쌍의 재료가공체(120)는 한 쌍의 지지축(113) 사이영역에서 치형이 상호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축(112a)에 결합되어 있다.
재료가공통(130)은 한 쌍의 재료가공체(120)에 형상 맞춤되는 가공체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이송스크류부(123)의 둘레영역에는 다공의 필터부(130b)가 형성되어 있고,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분쇄기어부(121)의 상방향영역에는 직선상의 투입관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재료가공통(130)은 양 측 연부에 원호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공통축지지부(130a)를 통해 지지축(113)에 결합된다. 여기서 재료가공통(130)은 한 쌍의 재료가공체(120)가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전방개구가 후술하는 캡부(141)에 연통되며, 투입관부(131)가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지지축(113)에 결합되어 있다.
배출통(140)은 캡부(141)와, 캡부(141)의 전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관부(143)를 갖고 있다.
캡부(141)는 저면영역에는 즙배출구(141a)가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 전방영역에는 한 쌍의 스크류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부(141)의 상면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관형상의 고정돌부(141c)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부(143)는 캡부(141)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부(143)는 즙배출구(141a)와 함께 음식배출구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40)은 캡부(141)의 양 측 연부에 원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축지지부(141b)를 통해 지지축(113)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통(140)은 캡부(141)가 하우징(111)의 전면부(111a)를 향하도록 지지축(113)에 결합된다.
보호커버(150)는 한 쌍의 걸림핀(151a)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151)와, 상판부(15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152)와, 투입관부(1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판부(151)로부터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안내관부(153)와, 안내관부(153)의 전방영역에서 상판부(151)에 장착된 고정노브(154)를 갖고 있다.
상판부(151)는 고정노브(154)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도시되지 않음)이 캡부(141)의 고정돌부(141c) 대향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노브(154)는 원형단면의 헤드부(154a)와, 헤드부(154a)의 중앙영역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다리부(154b)를 갖고 있다. 다리부(154b)의 자유단부영역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150)는 안내관부(153)가 투입관부(131)에 연통하도록 재료가공통(130)의 둘레영역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착즙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 상태의 재료가공통(130)과 배출통(140)을 지지축(113)에 결합한 후, 보호커버(150)를 설치한다.
여기서 보호커버(150)는 각 걸림핀(151a)이 지지축(113)의 커버지지홈(113a)에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노브(154)를 회전 조작하여 다리부(154b)가 캡부(141)의 고정돌부(141c)에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된다. 보호커버(150)는 설치된 상태에서 걸림핀(151a)과 커버지지홈(113a)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지축(113)의 길이방향으로의 유동하는 것을 제한되고, 고정노브(154)에 의해 하우징(111)의 높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그리고 보호커버(150)가 걸림핀(151a)과 커버지지홈(113a)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지축(113)의 길이방향으로의 유동하는 것을 제한됨에 따라 재료가공통(130)과 배출통(140)이 지지축(11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다음에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을 배출통(140)의 즙배출구(141a) 하부에 설치한다.
다음에 전원공급스위치(114)를 조작하여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12a)은 회전한다. 구동축(112a)이 회전함에 따라 한 쌍의 재료가공체(120)는 치형이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재료가공체(120)가 회전하면, 조작보호커버(150)의 안내관부(153)에 재료(야채 또는 과일)를 투입한다.
안내관부(153)에 투입된 재료는 투입관부(131)를 통해 분쇄기어부(121)에 공급된 후, 분쇄된다.
분쇄기어부(121)에서 분쇄된 재료는 이송스크류부(12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되면서 배출통(140)을 향해 이송된다. 한 쌍의 이송스크류부(123)에 의한 압착동작에서 발생하는 즙은 재료가공통(130)의 필터부(130b)와 배출통(140)의 즙배출구(141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납컵으로 낙하한다.
한편 이송스크류부(123)와 재료가공통(130)사이의 압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는 이송스크류부(123)의 이송동작에 의해 배출통(140)의 배출관부(14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착즙작업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보호커버(150), 배출통(140), 재료가공통(130), 재료가공체(120)를 분리시킨 후, 세척 보관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에 따르면, 배출통(140)을 지지축(113)에 고정시키기 위해 걸림핀(151a)과 고정노브(154)를 갖는 보호커버(150)를 마련하고 배출통(140)의 캡부(141)에 고정돌부(141c)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출통(140)을 지지축(113)에 결합분리시키는 장치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걸림핀(151a)을 지지축(113)의 커버지지홈(113a)에 삽입한 다음 고정노브(154)를 캡부(141)의 고정돌부(141c)에 나사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출통(140)을 지지축(113)에 결합분리시키는 동작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들은 착즙용 이외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각 용도에 적합한 구조의 착즙통과 배출통 세트를 사용함)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출통을 지지축에 결합분리시키는 장치구조 및 결합분리동작이 간단해지도록 한 음식재료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과, 상기 한 쌍의 지지축에 지지되고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재료의 가공공간을 제공하는 재료가공통과, 상기 재료가공통의 전방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축에 지지되고 상기 재료가공통에서 가공된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통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재료가공통에 수용된 재료를 가공하는 재료가공체를 갖는 재료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영역에 복수의 볼안내공이 둘레방향을 따라 분산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관형상 하우징축지지부가 상기 하우징전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지지축과 동일한 축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지지축은 상기 각 하우징축지지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방영역에 상기 볼안내공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반원단면의 축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은 상기 하우징축지지부의 종단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되고 내표면 상기 볼안내공의 대향영역에 배출통걸림홈이 상기 축걸림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안내공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고 상기 볼안내공에 하나씩 장착되는 지지볼과, 상기 축걸림홈이 상기 볼안내공에 대향하는 전진위치와 상기 축걸림홈이 상기 볼안내공으로부터 벗어나는 후진위치사이를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을 함께 이동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축이동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축지지부의 상기 볼안내공의 내측 외표면에 결합된 관형상의 볼스토퍼와, 신장상태에서 상기 볼스토퍼가 상기 볼안내공과 상기 축걸림홈에 수용된 지지볼에 탄성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축지지부의 외표면에 장착된 스토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축지지부에 대한 배출통 또는 지지축의 정렬상태가 흐트러지는 경우 지지축의 전후진동작시 지지볼의 이동동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축걸림홈은 상기 각 지지축의 전 둘레구간에 걸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 지지축을 안정적으로 한께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지지축은 후방영역 저면에 랙기어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이동조작부는 상기 랙기어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동축과, 각각 원주면에 상기 랙기어에 대응하는 피니온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도록 상기 연동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동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축을 안정적으로 후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하우징 대향면과 상기 지지축의 상기 하우징 대향면 중 어느 일방에는 반원형단면의 조작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이 후진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조작안내홈 대향 영역에 설치된 복귀스프링과, 상기 지지축이 후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안내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복귀스프링의 종단에 고정되는 조작안내볼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출통이 지지축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가공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축에 고정된 접촉캠과, 상기 구동부와 소정의 전원공급부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축이 전진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접촉캠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결합사시도이며, 도7 및 도8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분해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2a)을 갖는 구동부(12)와, 하우징(11)의 전면부(11a)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할 수 있도록 나란하게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13)과, 한 쌍의 지지축(13) 사이영역에서 구동축(12a)에 결합된 한 쌍의 재료가공체(20)와, 한 쌍의 재료가공체(20)가 수용되도록 지지축(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재료가공통(30)과, 재료가공통(30)의 전방에서 지지축(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배출통(40)과, 하우징(11)의 상면에 형성된 파지부(60)와, 하우징(11)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구동부(12)에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전원공급스위치(14)를 갖고 있다.
구동부(12), 재료가공체(20), 전원공급스위치(14) 및 파지부(60)는 도10에 도시된 종래의 음식재료가공장치와 구조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12)의 구동축은 도면번호 12a, 재료가공체(20)의 분쇄기어부는 도면번호 21, 재료가공체(20)의 이송스크류부는 도면번호 23을 각각 사용하기로 한다.
하우징(11)은 후술하는 복귀스프링(74a)을 기립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스프링실(11b)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전면부(11a)로부터 전방을 향해 한 쌍의 하우징축지지부(11c)가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하우징축지지부(11c)는 지지축(13)과 동일한 축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방영역에는 6개의 볼안내공(11d)이 둘레방향을 따라 분산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볼안내공(11d)은 지지축(13)이 전진위치에 있을 때 축걸림홈(13a)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각 하우징축지지부(11c)는 후술하는 가공통축지지부(32)에 삽입 지지된다.
각 지지축(13)은 하우징축지지부(11c)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축(13)은 전방영역에 반원단면의 축걸림홈(13a)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영역 저면에 랙기어(1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축걸림홈(13a)은 볼안내공(11d)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고 지지축(13)의 전진위치에서 볼안내공(11d)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재료가공통(30)은 한 쌍의 재료가공체(20)에 형상 맞춤되는 가공체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이송스크류부(23)의 둘레영역에는 다공의 필터부(30b)가 형성되어 있고,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된 분쇄기어부(21)의 상방향영역에는 대략 T자단면의 투입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재료가공통(30)은 양 측 연부에 관형상의 가공통축지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재료가공통(30)은 한 쌍의 재료가공체(20)가 가공체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전방개구가 캡부(41)에 연통되며 투입관부(31)가 하우징(11)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가공통축지지부(32)를 통해 지지축(13)에 결합된다.
배출통(40)은 캡부(41)와, 캡부(41)의 전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관부(43)와, 캡부(41)의 양 측 연부에 하나씩 형성된 배출통축지지부(44)를 갖고 있다.
캡부(41)는 저면영역에는 즙배출구(41a)가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 전방영역에는 한 쌍의 스크류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부(43)는 캡부(41)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부(43)는 즙배출구(41a)와 함께 음식배출구를 구성한다.
배출통축지지부(44)는 하우징축지지부(11c)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우징축지지부(11c)의 종단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배출통축지지부(44)는 내표면 하우징축지지부(11c)의 볼안내공(11d) 대향영역에 배출통걸림홈(44a)이 지지축(13)의 축걸림홈(13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40)은 배출통축지지부(44)를 통해 캡부(41)가 하우징(11)의 전면부(11a)를 향하도록 지지축(13)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볼안내공(11d)에 하나씩 장착되는 지지볼(71)과, 한 쌍의 지지축(13)을 함께 이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우징(11)에 설치되어 있는 축이동조작부(80)와, 하우징축지지부(11c)의 볼안내공(11d) 내측 외표면에 결합된 관형상의 볼스토퍼(72)와, 하우징축지지부(11c)의 외표면에 장착된 스토퍼스프링(73)과, 하우징(11)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조작안내부(74, 74') 및 전압차단부(7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지지볼(71)은 축걸림홈(13a)과 동일한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볼안내공(11d)에 장착되어 있다.
축이동조작부(80)는 랙기어(13b)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동축(81)과, 연동축(81)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부(82)와, 하우징(11)의 외부에서 연동축(81)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작레버(83)를 갖고 있다.
각 피니언기어부(82)는 원주면에 랙기어(13b)에 대응하는 피니온기어(82a)가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기어(82a)가 랙기어(13b)와 치합하도록 연동축(81)에 결합된다.
조작레버(83)는 하우징(11)의 스프링실(11b) 대향영역에 조작안내홈(8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레버(83)를 시계방향(재료가공통(30)에 접근하는 방향)과 반시계방향(재료가공통(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한 쌍의 지지축(13)을 함께 전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
스토퍼스프링(73)은 신장(伸長)상태에서 볼스토퍼(72)가 축걸림홈(13a)과 볼안내공(11d)에 장착된 지지볼(71)에 탄성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조작안내부(74, 74')는 소정 회동각도만큼 분리되도록 하우징(11)에 설치된 전진위치조작안내부(74)와 후진위치조작안내부(7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진위치조작안내부(74)와 후진위치조작안내부(74')는 조작레버(83)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조작할 때 지지축(13)의 축걸림홈(13a)이 하우징축지지부(11c)의 볼안내공(11d)에 대향하는 전진위치와 지지축(13)의 축걸림홈(13a)이 하우징축지지부(11c)의 볼안내공(11d)으로부터 벗어나는 후진위치사이를 지지축(13)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진위치조작안내부(74)는 하우징(11)의 스프링실(11b)에 설치된 복귀스프링(74a)과, 하우징(11)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복귀스프링(74a)의 종단에 고정되는 조작안내볼(74b)을 갖고 있다.
후진위치조작안내부(74')는 전진위치조작안내부(74)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전압차단부(75)는 연동축에 고정된 접촉캠(75a)과, 구동부(12)와 소정의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사이에 개재하는 리미트스위치(75b)를 갖고 있다.
리미트스위치(75b)는 지지축(13)이 후진되도록 조작레버(83)를 조작할 때, 접촉캠(75a)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구동부(12)에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우징(11)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작동과 사용방법은 배출통(40)과 재료가공통(30)을 지지축(13)에 결합하고 지지축(13)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을 제외하고 도10에 도시된 종래의 착즙기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에서 배출통(40)과 재료가공통(30)을 지지축(13)에 결합하고 지지축(13)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을 도9a, 도9b, 도9c 및 도9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볼(71), 볼스토퍼(72) 및 스토퍼스프링(73)은 하우징축지지부(11c)에 장착되어 있고, 지지축(13)은 전진위치에 있는 것(이 때 조작레버는 후진위치조작안내부에 의해 회동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음)으로 가정한다.
먼저 가공통축지지부(32)에 하우징축지지부(11c)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재료가공통(30)을 하우징(11)을 향해 가압하여 지지축(13)에 결합시킨다(도9a 참조). 여기서 재료가공통(30)의 가압동작은 우측단이 하우징(11)의 전면부(11a)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다음에 배출통축지지부(44)가 하우징축지지부(11c)의 외표면에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배출통(40)을 재료가공통(30)을 향해 가압한다(도9a 참조). 여기서 배출통(40)의 가압동작은 배출통걸림홈(44a)이 하우징축지지부(11c)의 볼안내공(11d)에 대향할 때까지 계속된다(도9b 참조).
다음에 조작레버(83)를 시계방향으로 회동 조작한다(도9c 참조). 여기서 조작레버(83)의 시계방향 회동조작은 조작안내홈(83a)에 후진위치조작안내부(74')의 조작안내볼이 진입할 때까지 계속된다.
조작레버(83)를 시계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는 동안 지지축(13)은 후진하고 지지볼(71)은 축걸림홈(13a)으로부터 이탈하여 볼안내공(11d)과 배출통걸림홈(44a)에 수용된다(도9d 참조). 여기서 지지볼(71)이 볼안내공(11d)과 배출통걸림홈(44a)에 수용된 상태는 지지축(13)이 후진상태에 있는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볼(71)이 볼안내공(11d)과 배출통걸림홈(44a)에 수용된 상태에서 배출통(40)은 하우징축지지부(11c)에 고정된다.
한편 착즙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배출통(40)과 재료가공통(30)을 지지축(13)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먼저 조작레버(8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조작한다. 여기서 조작레버(83)의 반시계방향 회동조작은 조작안내홈(83a)에 전진위치조작안내부(74)의 조작안내볼(74b)이 진입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에 따라 지지축(13)은 축걸림홈(13a)이 하우징축지지부(11c)의 볼안내공(11d)에 대향하는 전진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지지축(13)이 전진위치로 이동할 때 접촉캠(75a)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리미트스위치(75b)는 구동부(12)에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킨다.
다음에 배출통(40)을 재료가공통(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여기서 배출통(40)을 잡아당기는 동작은 배출통축지지부(44)가 하우징축지지부(11c)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배출통(40)을 재료가공통(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동안 지지볼(71)은 배출통걸림홈(44a)으로부터 이탈하여 볼안내공(11d)과 축걸림홈(13a)에 수용된다. 여기서 지지볼(71)이 볼안내공(11d)과 축걸림홈(13a)에 수용된 상태는 지지축(13)이 전진위치에 있는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에 재료가공통(30)을 하우징(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여기서 재료가공통(30)을 잡아당기는 동작은 가공통축지지부(32)가 하우징축지지부(11c) 즉, 지지축(13)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때까지 계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축(13)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축(13)의 전후진 동작과 연동하여 배출통(40)이 하우징축지지부(11c)에 결합되거나 또는 하우징축지지부(11c)로부터 분리되도록 지지볼(71)을 이동시킴으로써, 배출통(40)을 지지축(13)에 결합분리시키는 장치구조 및 결합분리동작이 간단해지게 된다.
그리고 축걸림홈(13a)을 각 지지축(13)의 전 둘레구간에 걸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축지지부(11c)에 대한 배출통(40) 또는 지지축(13)의 정렬상태가 흐트러지는 경우 지지축(13)의 전후진동작시 지지볼(71)의 이동동작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각 지지축(13)에 랙기어(13b)를 형성하고 각 랙기어(13b)가 연동축(81)의 회동동작에 따라 한 쌍의 피니언기어부(82)와 동시에 상호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양 지지축(13)을 안정적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축(13)을 후진시킬 때 조작레버(83)의 정지위치를 결정하는 후진위치조작안내부(74')를 마련함으로써, 지지축(13)을 안정적으로 후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축(13)이 전진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2)에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전압차단부(75)를 마련함으로써, 배출통(40)이 지지축(13)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가공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작레버(83)의 하우징(11) 대향면에 반원형단면의 조작안내홈(83a)을 형성하여 조작안내부(74, 74')를 구성하고 있으나, 지지축(13)의 하우징(11) 대향면에 반원형단면의 조작안내홈을 형성하고 그 대응영역에 조작안내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착즙기에 본 고안을 적용하고 있으나, 착즙이외 국수, 떡 등 가락이나 절편 형태 등의 음식물을 가공하는 용도에 적합한 구조의 착즙통과 배출통 세트를 사용하는 재료분쇄형 음식가공장치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축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축을 전후진시킬 때 발생하는 지지볼의 이동동작을 통해 배출통이 하우징축지지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하우징축지지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배출통을 지지축에 결합분리시키는 장치구조 및 결합분리동작이 간단해진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결합사시도,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분해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결합사시도,
도7 및 도8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요부분해단면도,
도9a, 도9b, 도9c 및 도9d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결합분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종래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
도11은 종래의 착즙기의 보호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하우징 12, 112 : 구동부
13, 113 : 지지축 20, 120 : 재료가공체
21, 121 : 분쇄기어부 23, 123 : 이송스크류부
30, 130 : 재료가공통 31, 131 : 투입관부
40, 140 : 배출통 41, 141 : 캡부
43, 143 : 배출관부 60, 160 : 파지부
71 : 지지볼 72 : 볼스토퍼
73 : 스토퍼스프링 74 : 조작안내부
75 : 전압차단부 80 : 축이동조작부
81 : 연동축 82 : 피니언기어부
83 : 조작레버 150 : 보호커버
151 : 상판부 152 : 스커트부
60, 160 : 파지부

Claims (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축과, 상기 한 쌍의 지지축에 지지되고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재료의 가공공간을 제공하는 재료가공통과, 상기 재료가공통의 전방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축에 지지되고 상기 재료가공통에서 가공된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통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재료가공통에 수용된 재료를 가공하는 재료가공체를 갖는 재료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영역에 복수의 볼안내공이 둘레방향을 따라 분산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관형상 하우징축지지부가 상기 하우징전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지지축과 동일한 축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지지축은 상기 각 하우징축지지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방영역에 상기 볼안내공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반원단면의 축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은 상기 하우징축지지부의 종단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되고 내표면 상기 볼안내공의 대향영역에 배출통걸림홈이 상기 축걸림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안내공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고 상기 볼안내공에 하나씩 장착되는 지지볼과, 상기 축걸림홈이 상기 볼안내공에 대향하는 전진위치와 상기 축걸림홈이 상기 볼안내공으로부터 벗어나는 후진위치사이를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을 함께 이동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축이동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축지지부의 상기 볼안내공의 내측 외표면에 결합된 관형상의 볼스토퍼와, 신장상태에서 상기 볼스토퍼가 상기 볼안내공과 상기 축걸림홈에 수용된 지지볼에 탄성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축지지부의 외표면에 장착된 스토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걸림홈은 상기 각 지지축의 전 둘레구간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축은 후방영역 저면에 랙기어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이동조작부는 상기 랙기어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동축과, 각각 원주면에 상기 랙기어에 대응하는 피니온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도록 상기 연동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동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하우징 대향면과 상기 지지축의 상기 하우징 대향면 중 어느 일방에는 반원형단면의 조작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이 후진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조작안내홈 대향 영역에 설치된 복귀스프링과, 상기 지지축이 후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안내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복귀스프링의 종단에 고정되는 조작안내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축에 고정된 접촉캠과, 상기 구동부와 소정의 전원공급부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축이 전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캠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2005-0015069U 2005-05-27 2005-05-27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392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069U KR200392596Y1 (ko) 2005-05-27 2005-05-27 음식재료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069U KR200392596Y1 (ko) 2005-05-27 2005-05-27 음식재료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596Y1 true KR200392596Y1 (ko) 2005-08-19

Family

ID=4369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069U KR200392596Y1 (ko) 2005-05-27 2005-05-27 음식재료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5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82Y1 (ko) 2010-08-09 2012-11-06 김종길 음식재료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82Y1 (ko) 2010-08-09 2012-11-06 김종길 음식재료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13741B (zh) 榨汁装置
CN102133058B (zh) 食品加工器具
KR101548910B1 (ko) 착즙기
EP01941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quantitatively extruding food material
KR200392596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CN111113524A (zh) 一种新鲜辣椒皮籽分离装置
CN113349620B (zh) 榨汁机
KR200437750Y1 (ko) 착즙기
WO2016091182A1 (zh) 一种螺杆挤压榨汁机
KR20043708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39259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AU2016227620A1 (en) Comminution device for cutting food, in particular for cutting garlic
KR101267801B1 (ko) 착즙기
KR20120014348A (ko) 착즙기
KR200416641Y1 (ko) 착즙기
KR20036658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362953Y1 (ko) 착즙기
CN210540717U (zh) 一种推料输送装置以及榨汁机
KR20110006831U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101442424B1 (ko) 계란껍질 분리장치
KR200362954Y1 (ko) 착즙기
KR200463482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110006829U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56315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0439507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