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567B1 -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 Google Patents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567B1
KR101886567B1 KR1020170039013A KR20170039013A KR101886567B1 KR 101886567 B1 KR101886567 B1 KR 101886567B1 KR 1020170039013 A KR1020170039013 A KR 1020170039013A KR 20170039013 A KR20170039013 A KR 20170039013A KR 101886567 B1 KR101886567 B1 KR 10188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tter
side walls
crush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대
Original Assignee
조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대 filed Critical 조영대
Priority to KR102017003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38Motor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 파쇄시 과부하에 의해 칼날이 양측 또는 일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는 양측에 측벽이 구비된 고정프레임; 상기 측벽 사이에 설치 고정되고, 폐 문서를 세단하기 위한 파쇄부;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파쇄부의 양측에 설치 고정되는 밀림방지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파쇄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측벽과 상기 파쇄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쇄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상기 측벽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측벽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PAPER SHREDDER}
본 발명은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 파쇄시 과부하에 의해 칼날이 양측 또는 일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 세단기는 사무실이나 은행 등에서 보안을 요하는 문서나 거래명세서 및 마이크로 필름 등을 잘게 절단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문서 세단기는 다수개의 커터가 한 쌍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모터에 의해 상호 교차회전되면서 문서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문서를 잘게 절단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문서 세단기는 한 번에 여러 장의 문서를 공급할 경우 모터에 걸리는 부하량이 증가하여 작업자가 낱장으로 공급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커터의 회전 및 많은 양의 종이들과 마찰력 등에 의하여 커터가 양측으로 밀려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종이를 절단할 수 없으며, 특히, 조립 후에 간격판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거나 또는 밀림방지용 플레이트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되는 경우 밀림방지용 플레이트가 밀려나가는 문제점이 있어 해체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1330720호(2013년 11월 12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302536호(2013년 08월 27일 등록)
본 발명은 파쇄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밀림방지부를 가압하여 사용함으로써, 문서 파쇄시 과부하에 의해 칼날이 양측 또는 일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커터부 또는 간격판이 밀려 있을 경우 가압부가 밀림방지를 가압하여 커터부 또는 간격판이 최초 상태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는 양측에 측벽이 구비된 고정프레임; 상기 측벽 사이에 설치 고정되고, 폐 문서를 세단하기 위한 파쇄부;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파쇄부의 양측에 설치 고정되는 밀림방지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파쇄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측벽과 상기 파쇄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쇄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상기 측벽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측벽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상기 측벽의 각 코너 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파쇄부에 구비된 커터부 또는 간격판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는 파쇄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밀림방지부를 가압하여 사용함으로써, 문서 파쇄시 과부하에 의해 칼날이 양측 또는 일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커터부 또는 간격판이 밀려 있을 경우 가압부가 밀림방지를 가압하여 커터부 또는 간격판이 최초 상태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밀림방지용 플레이트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의 밀림방지용 플레이트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는 고정프레임(100), 파쇄부(200), 밀림방지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0)은 문서 세단기의 구성 중 외부 케이스인 하우징(미도시)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파쇄부(200) 및 구동부(40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미도시)은 파쇄부(200)에 의해 잘게 세단된 문서가 내부로 자유 낙하되어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00)은 구동부(400)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판(110)과, 고정판(110)의 양측에 체결 고정되고 파쇄부(200)를 고정 지지하는 측벽(120) 및 지지봉(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10)은 면적이 넓은 전면에 파쇄부(200)가 고정 지지되는 측벽(120)이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되고, 후면에는 구동부(400)가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된다.
측벽(120)은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파쇄부(200)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120)은 좌우측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삽입공(121) 및 체결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121)은 측벽(120)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중간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축(210)의 양단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22)은 측벽(120)에 관통되도록 상하 또는 좌우측 부분 예로 들면, 플레이트(310)의 일측면이 맞닿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밀림방지부(300)의 가압부(32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홀(122)은 플레이트(310)의 코너 부분 및 상하부 중간 부분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측에 2개 이상 형성되면 되나, 바람직하기로는 4 내지 6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홀(122)에 나사 체결되는 가압부(320)가 플레이트(310)의 각 코너 부분에 위치하도록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최소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1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관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측벽(120) 사이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되며, 파쇄부(200)의 간격판(240) 및 밀림방지부(300)의 플레이트(310)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봉(1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측벽(120)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해 측벽의 코너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파쇄부(200)는 고정프레임(100)에 설치 고정되고, 각종 보안이 요구되는 문서 등을 잘게 세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파쇄부(200)는 회전축(210), 커터부(220), 간격링(230) 및 간격판(24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10)은 일정 길이를 갖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고, 측벽(120)에 형성된 삽입공(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구동부(400)에서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10)은 양단 일부분을 제외한 중간 부분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5° 내지 30° 각도로 회전되어 형성된 비틀림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비틀림부(213)는 단면이 사각 또는 육각 등 다각형태로 형성되고, 복수 개로 이루어진 커터부(2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커터부(220) 및 간격링(23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복수 개로 이루어진 커터부(220)가 일측에서 중간으로 다시 중간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면서 5° 내지 30° 각도로 회전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회전축(210)에 비틀림부(213)를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복수 개로 이루어진 커터부(220)가 한 개씩 회전축(210)의 진행각도로 쉽고 편리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회전축(210)은 구동부(400)의 모터(410)와 근접한 삽입공(121)에 체결되고 스프로킷(420)에 연결되어 모터(41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211)과, 삽입공(121)과 이격되어 형성된 다른 하나의 삽입공(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구동축(211)의 회전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동축(2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들면, 구동축(211)의 일측이 삽입공(121)에 삽입될 때 삽입공(121)의 외측에 구비된 스프로킷(420)의 기어에 삽입되고, 구동축(211)의 반대 측에는 피동축(212)과 연결되도록 한 쌍의 톱니기어가 끼움 고정되어 구동축(211)의 회전에 의해 피동축(212)도 같이 회전되게 한다.
즉, 구동부(400)가 작동하면 스프로킷(420)이 회전되어 구동축(211)을 회전시키고, 구동축(211)이 회전되면 한 쌍의 톱니기어에 의해 피동축(212)이 회전하게 된다.
커터부(2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회전축(210)에 형성된 비틀림부(213)에 끼워 고정되며, 회전축(210)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문서 등을 세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터부(220)는 원판 형상의 몸체(221)와, 몸체(221)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로 이루어져 문서를 세단하는 칼날(222)과, 몸체(221) 중앙이 관통되어 비틀림부(213)에 끼워지도록 다각 형태로 형성된 결합공(2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로 이루어진 커터부(220)를 비틀림부(213)로 끼워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일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끼워 고정되는 커터부(220)는 중간까지 끼워진 상태에서, 다시 중간에서 타측 방향으로 끼워지는 커터부(220)는 칼날(222)이 "V"자 모양을 이루도록 일측에 끼워진 커터부(220)와 대칭이 되게 형성한다.
즉, 몸체(221)가 비틀림부(213)의 중간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어 순차적으로 끼움 고정되면 몸체(221)에 형성된 칼날(222)은 나선형으로 비틀어져 5° 내지 30° 각도로 회전되어 "V"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이 칼날(222)이 회전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5° 내지 30° 각도로 회전되어 "V"자 모양으로 이루어 사용하게 되면, 문서 세단의 정확도가 증가하고, 한 번에 많은 양의 문서가 공급될 경우 구동부(400)에 걸리는 과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간격링(23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커터부(220)에 형성된 결합공(223)과 동일한 형태의 구멍이 형성되며, 회전축(210)에 형성된 비틀림부(213)에 체결되어 회전축(210)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간격링(230)은 커터부(220)와 근접한 다른 하나의 커터부(220) 사이를 이격시켜 커터부(220)와 간격판(240)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간격링(230)의 두께를 간격판(24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하여 커터부(220)와 간격판(240)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예로 들면, 비틀림부(213)에 간격링(230)을 끼워 고정한 후, 간격판(240)을 지지봉(130)에 끼움과 동시에 간격링 외주면에 위치하도록 끼워 고정한 다음 커터부(220)를 비틀림부(213)에 끼워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간격링(230)의 외측면이 간격판(240)의 외측면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커터부(220)의 측면과 간격판(240)의 측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비틀림부(213)가 회전하게 되면, 커터부(220)와 간격링(23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간격판(240)은 지지봉(130)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간격판(240)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간격링(2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구멍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봉(13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간격판(24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진 커터부(220)와 근접한 다른 하나의 커터부(220) 사이에 위치하고, 전방에 위치한 구동축(211)에 체결되는 간격판(240)과 후방에 위치한 피동축(212)에 체결되는 간격판(240)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간격판(240)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게 되면 구동축(211)에 체결되는 커터부(220)와 피동축(212)에 체결되는 커터부(220)가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밀림방지부(300)는 파쇄부(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고, 파쇄부(200)에서 발생하는 과부하에 의해 커터부(220)가 양측 또는 일측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밀림방지부(300)는 플레이트(310), 가압부(320) 및 간격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태로 형성되고, 측벽(1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측벽(120)에 형성된 삽입공(121)과 동일한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며, 지지봉(130) 및 회전축(21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10)는 커터부(220) 또는 간격판(240)과 밀착되어 커터부(220)와 간격판(240)이 세단기의 작동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가압부(320)에 의해 회전축(210)의 길이 방향인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가압부(320)는 측벽(120)에 형성된 체결홀(122)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홀(122)과 나사 결합되며, 끝단이 플레이트(310)에 밀착되어 플레이트(310)를 가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320)는 체결홀(122)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어 회전력에 의해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가압부(320)를 회전시켜 플레이트(3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로 들면, 많은 양의 문서가 파쇄부(200)로 한 번에 투입될 경우, 파쇄부(200)에서 발생하는 과부하에 의해 커터부(220) 또는 간격판(240)이 양측 또는 일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플레이트(310)가 최초 상태에서 벗어나거나 변형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32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310)에 압력을 가해 커터부(220)와 간격판(24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파쇄부(200)의 내구성을 향상되도록 한다.
간격대(330)는 일정 두께를 갖는 링 형태의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회전축(210)에 결합 되어 측벽(120)에 형성된 삽입공(121)과 간격판(240)에 형성된 구멍 사이에 위치하고, 플레이트(310)를 측벽(120)과 일정 거리 유지함과 동시에 플레이트(310)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310)와 측벽(120)이 밀착된 상태가 되면, 가압부(320)에 의해 위치 조절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이때, 간격대(33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310)와 측벽(120) 사이를 이격시켜 가압부(320)에 의해 회전축(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부(400)는 고정프레임(100)에 설치 고정되고 문서 세단기에 구비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410)와, 모터(410)의 구동축과 파쇄부(200)의 회전축(210)에 연결되어 모터(41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회전축(210)으로 전달하는 스프로킷(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고정프레임 110; 고정판
120; 측벽 121; 삽입공
122; 체결홀 130; 지지봉
200; 파쇄부 210; 회전축
211; 구동축 212; 피동축
213; 비틀림부 220; 커터부
221; 몸체 222; 칼날
223; 결합공 230; 간격링
240; 간격판 300; 밀림방지부
310; 플레이트 320; 가압부
330; 간격대 400; 구동부
410; 모터 420; 스프로킷

Claims (3)

  1. 양측에 측벽이 구비된 고정프레임;
    상기 측벽 사이에 설치 고정되고, 폐 문서를 세단하기 위한 파쇄부;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파쇄부의 양측에 설치 고정되는 밀림방지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파쇄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측벽과 상기 파쇄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쇄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상기 측벽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측벽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측벽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양단 일부분을 제외한 중간 부분에 단면이 다각 형태의 비틀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쇄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비틀림부에 회전되면서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되고, 중간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칭되도록 "V"자 모양으로 형성된 커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상기 비틀림부는 몸체에 형성된 칼날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어져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5°내지 30°각도로 회전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터부가 상기 비틀림부의 중간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5°내지 30°각도로 회전되면서 순차적으로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상기 비틀림부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측벽의 각 코너 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파쇄부에 구비된 커터부 또는 간격판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KR1020170039013A 2017-03-28 2017-03-28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KR101886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013A KR101886567B1 (ko) 2017-03-28 2017-03-28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013A KR101886567B1 (ko) 2017-03-28 2017-03-28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567B1 true KR101886567B1 (ko) 2018-08-07

Family

ID=6325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013A KR101886567B1 (ko) 2017-03-28 2017-03-28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5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040B1 (ko) * 2020-09-09 2021-03-11 주식회사 세돌이 오일함유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문서 세단기
KR102243498B1 (ko) * 2020-08-10 2021-04-22 주식회사 삼우이엔아이 3축 파쇄기
KR102452104B1 (ko) * 2022-04-08 2022-10-11 제이어스테크 주식회사 문서 세단기의 커터홀딩 기구
KR20230085603A (ko) * 2021-12-07 2023-06-14 카피어랜드 주식회사 문서 세단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95Y1 (ko) * 2001-03-19 2001-10-18 강태욱 문서 세단기의 커팅구조
JP2006263589A (ja) * 2005-03-24 2006-10-05 Iris Ohyama Inc カッターの支持軸
KR100705464B1 (ko) * 2006-09-06 2007-04-13 주식회사 이륜 문서세단기
JP2012183507A (ja) * 2011-03-07 2012-09-27 Oriental:Kk シュレッダーの細断機構
US20150041576A1 (en) * 2013-08-12 2015-02-12 Fellowes, Inc. Twisted helical cutting shaft or gear for a shred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95Y1 (ko) * 2001-03-19 2001-10-18 강태욱 문서 세단기의 커팅구조
JP2006263589A (ja) * 2005-03-24 2006-10-05 Iris Ohyama Inc カッターの支持軸
KR100705464B1 (ko) * 2006-09-06 2007-04-13 주식회사 이륜 문서세단기
JP2012183507A (ja) * 2011-03-07 2012-09-27 Oriental:Kk シュレッダーの細断機構
US20150041576A1 (en) * 2013-08-12 2015-02-12 Fellowes, Inc. Twisted helical cutting shaft or gear for a shredd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98B1 (ko) * 2020-08-10 2021-04-22 주식회사 삼우이엔아이 3축 파쇄기
KR102226040B1 (ko) * 2020-09-09 2021-03-11 주식회사 세돌이 오일함유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문서 세단기
KR20230085603A (ko) * 2021-12-07 2023-06-14 카피어랜드 주식회사 문서 세단기
KR102567669B1 (ko) * 2021-12-07 2023-08-18 카피어랜드 주식회사 문서 세단기
KR102452104B1 (ko) * 2022-04-08 2022-10-11 제이어스테크 주식회사 문서 세단기의 커터홀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567B1 (ko)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CN104053383B (zh) 果汁机的果汁萃取模组
US5820041A (en) Food cutting apparatus
BRPI0806278A2 (pt) tambor de trituração com um arranjo de fresas para uma direção de rotação
EP2098297B1 (de) Rotor und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Aufgabegut
EP3831494B1 (de) Schneidmühle zum schneidenden zerkleinern von proben
CN219816514U (zh) 棒状物料一级粉碎机构及棒状物料粉碎装置
KR101819351B1 (ko) 문서 세단기
KR101198036B1 (ko) 착즙기
KR101245027B1 (ko) 파쇄기
KR101754181B1 (ko) 타공기
KR100896348B1 (ko) 문서세단기 회전축의 휨 방지장치
KR20220069841A (ko) 파쇄장치 및 파쇄장치의 제조방법
KR101472272B1 (ko) 비대칭 고정나이프가 구비되는 복합 파쇄 장치
KR101749575B1 (ko) 문서 세단기
KR200340028Y1 (ko) 폐기물 파쇄기의 파쇄롤
CN209866247U (zh) 粉碎刀组件及粉碎装置
DE3239137C2 (de)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s Abstandes zwischen einem freistehenden und einem drehbaren Mahlstein einer Mühle, insbesondere Getreidemühle
CN205550471U (zh) 一种梳芯旋刀切碎装置
KR20050119622A (ko) 고추 분쇄기
EP3235572B1 (en) Knife assembly
KR101606837B1 (ko) 단축을 이용한 정역구동 타입 폐기물 파쇄기
CN211193982U (zh) 一种旋转式多用切药机
JP3959262B2 (ja) 2軸スクリューシャフト式粉砕機
KR20160003863U (ko)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