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498B1 - 3축 파쇄기 - Google Patents

3축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498B1
KR102243498B1 KR1020200099931A KR20200099931A KR102243498B1 KR 102243498 B1 KR102243498 B1 KR 102243498B1 KR 1020200099931 A KR1020200099931 A KR 1020200099931A KR 20200099931 A KR20200099931 A KR 20200099931A KR 102243498 B1 KR102243498 B1 KR 10224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isk
disks
blad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20009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3축 파쇄기는, 투입구(1a)와 배출구(1b)가 구비된 함체(1); 상기 투입구(1a)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제 1 축(10); 상기 제 1 축(10)과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 1 축(10)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 2 축(20); 상기 배출구(1b)와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 2 축(20)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 3 축(30); 상기 제 1 축(1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1 블레이드(4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제 1 디스크(40); 상기 제 2 축(2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2 블레이드(5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제 2 디스크(50); 상기 제 3 축(3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3 블레이드(6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제 3 디스크(60); 상기 제 2 축(20)과 제 1 전동부(80)로 결합되어 상기 제 2 축(20)을 회전시키는 모터(70); 상기 제 1 축(10)과 상기 제 2 축(20)을 연결하여 상기 제 2 축(20)과 연동시켜 상기 제 1 축(10)을 회전시키는 제 2 전동부(90); 상기 제 1 축(10)과 제 3 축(30)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축(10)과 연동시켜 상기 제 3 축(30)을 회전시키는 제 3 전동부(1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디스크(40)와 제 2 디스크(50)에 의한 1차 파쇄와 상기 제 1 디스크(40)와 제 3 디스크(60)에 의한 2차 파쇄에 의해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축 파쇄기{Triaxial Shredder}
본 발명은 3개의 축에 결합되며 블레이드가 구비된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폐지나 폐플라스틱 등의 파쇄물을 잘게 부수어 파쇄시키는 3축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쇄기는 폐지 등을 잘게 부수어 파쇄시키는 장치이며, 2개의 축을 이용하여 축에 결합되는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파쇄되도록 하는 2축 파쇄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2축 파쇄기는 파쇄효율이 떨어져 대형 폐지 등을 파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3축 파쇄기로는 한국등록실용 제20-0351358호(고안의 명칭: 파쇄력이 향상된 삼축 파쇄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파쇄기는 제 1 파쇄축과 제 2 파쇄축 및 제 3 파쇄축을 연이어 설치하고 파쇄시 제 1 파쇄축과 제 2 파쇄축 사이로 파쇄물이 통과되도록 하고 제 2 파쇄축과 제 3 파쇄축 사이로 파쇄물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파쇄물을 파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3축 파쇄기는 2축 파쇄기 두 개를 결합시킨 형태로 다량의 파쇄물을 파쇄하도록 되어 있어 결국 2축 파쇄기에 지나지 않는다.
2축 파쇄기의 문제점은 파쇄물의 파쇄시 2개의 축에 설치된 각각의 디스크 사이를 통과되도록 하여 파쇄되게 되므로 디스크 및 디스크에 구비된 블레이드가 파쇄물과 수직되게 접하게 되므로 디스크 및 블레이드에 압축응력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특히, 두께가 두꺼운 파쇄물의 파쇄시 연질의 파쇄물은 파쇄되지 않고 배출되는 경우가 많고, 파쇄되지 않고 배출되는 경우에는 다시 파쇄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경질의 파쇄물은 디스크 및 블레이드를 손상시키게 되며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파쇄와 2차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3축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 및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압축압력을 줄여 이들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3축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축 파쇄기는 파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a)가 상부에 구비되며, 파쇄된 파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b)가 일측에 구비된 함체(1); 상기 함체(1) 내부에 축설되고 상기 투입구(1a)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제 1 축(10); 상기 함체(1) 내부에 축설되고 상기 제 1 축(10)과 근접하여 상기 제 1 축(1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축(10)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 2 축(20); 상기 함체(1) 내부에 축설되고 상기 배출구(1b)와 근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제 1 축(10) 및 제 2 축(20)과 근접하여 상기 제 1 축(10) 및 제 2 축(2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축(20)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 3 축(30); 상기 제 1 축(1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1 블레이드(4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제 1 디스크(40); 상기 제 2 축(2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2 블레이드(5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제 2 디스크(50); 상기 제 3 축(3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3 블레이드(6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제 3 디스크(60); 상기 제 2 축(20)과 제 1 전동부(80)로 결합되어 상기 제 2 축(20)을 회전시키는 모터(70); 상기 제 1 축(10)과 상기 제 2 축(20)을 연결하여 상기 제 2 축(20)과 연동시켜 상기 제 1 축(10)을 회전시키는 제 2 전동부(90); 상기 제 1 축(10)과 제 3 축(30)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축(10)과 연동시켜 상기 제 3 축(30)을 회전시키는 제 3 전동부(1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디스크(40)와 제 2 디스크(50)에 의한 1차 파쇄와 상기 제 1 디스크(40)와 제 3 디스크(60)에 의한 2차 파쇄에 의해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와 이와 연접한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는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와 이와 연접한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5 내지 3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각각의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일측면에는 돌기(42,52,62)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인접한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돌기(42,52,62)가 삽입되는 삽입홈(43,53,63)이 구비되며, 상기 돌기(42,52,62)와 삽입홈(43,53,63)은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각각의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는 상하로 나뉘어져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로 이등분 되며,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는 양측면에서 상하로 볼트체결되어 상기 제 1, 2, 3 축(10,20,30)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3축 파쇄기는 1차 파쇄와 2차 파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어 파쇄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되므로 폐지, 폐플라스틱 등의 파쇄물을 파쇄할 때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응력이 분산되게 되므로 디스크 및 블레이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되므로 파쇄시 파쇄물의 파쇄 이송이 원활하게 되어 파쇄물이 디스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형 파쇄물의 파쇄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2, 3 디스크를 디스크의 폭만큼을 삼등분한 폭 만큼 디스크를 배치하게 되므로 파쇄물의 파쇄시 더 잘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3축 파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3축 파쇄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3축 파쇄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3축 파쇄기의 디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3축 파쇄기의 디스크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3축 파쇄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3축 파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3축 파쇄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3축 파쇄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3축 파쇄기의 디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3축 파쇄기의 디스크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3축 파쇄기는, 함체(1), 제 1 축(10), 제 2 축(20), 제 3 축(30), 제 1 디스크(40), 제 2 디스크(50), 제 3 디스크(60), 모터(70), 제 2 전동부(90), 제 3 전동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1)는 폐지, 폐플라스틱 등의 파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a)가 상부에 구비되며, 파쇄된 파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b)가 일측에 구비된다. 파쇄물은 함체(1) 상부의 투입구(1a)로 투입되고 파쇄되어 함체(1) 일측의 배출구(1b)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 1 축(10)은 상기 함체(1) 내부에 축설되고 상기 투입구(1a)와 근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 2 축(20)은 상기 함체(1) 내부에 축설되고 상기 제 1 축(10)과 근접하여 상기 제 1 축(1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축(10)보다 낮게 설치된다.
상기 제 3 축(30)은 상기 함체(1) 내부에 축설되고 상기 배출구(1b)와 근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제 1 축(10) 및 제 2 축(20)과 근접하여 상기 제 1 축(10) 및 제 2 축(2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축(20)보다 낮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디스크(40)는 상기 제 1 축(1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1 블레이드(4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며 다수개로 된다.
상기 제 2 디스크(50)는 상기 제 2 축(2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2 블레이드(5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며 다수개로 된다.
상기 제 2 디스크(50)는 상기 제 1 디스크(40)와 함께 상기 제 1 디스크(40)와 상기 제 2 디스크(50) 사이로 투입되는 파쇄물을 1차 파쇄하게 된다.
1차 파쇄된 1차 파쇄물은 상기 제 1 디스크(40)와 제 3 디스크(60) 사이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제 3 디스크(60)는 상기 제 3 축(3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3 블레이드(6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며 다수개로 된다.
상기 제 3 디스크(60)는 상기 제 1 디스크(40)와 함께 상기 제 1 디스크(40)와 상기 제 2 디스크(50)에 의해 1차 파쇄되어 이송된 1차 파쇄물을 2차 파쇄하게 된다.
상기 모터(7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축(20)과 제 1 전동부(80)로 결합되어 상기 제 2 축(2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전동부(9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축(10)과 상기 제 2 축(20)을 연결하여 상기 제 2 축(20)과 연동시켜 상기 제 1 축(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 전동부(10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축(10)과 제 3 축(30)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축(10)과 연동시켜 상기 제 3 축(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축(10)과 상기 제 2 축(20)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며 상기 제 1 축(10)과 상기 제 2 축(20)의 회전방향은 함체(1) 투입구(1a)의 하부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 1 축(10)과 상기 제 3 축(30)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며 상기 제 1 축(10)과 상기 제 3 축(30)의 회전방향은 함체(1) 배출구(1b)의 배출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파쇄와 2차 파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어 파쇄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3 축(30)은 도 4에서와 같이 컨베이어(110)를 연동회전시켜 파쇄된 2차 파쇄물을 배출구(1b)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 1, 2, 3 디스크(40,50,60)에 의해 파쇄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디스크에 의한 파쇄시 파쇄물이 디스크와 수직되게 투입되게 되므로 디스크 및 디스크에 구비된 블레이드가 압축응력을 받게 되어 이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축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와 이와 연접한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는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되면, 파쇄물을 파쇄할 때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응력이 분산되게 되므로 디스크 및 블레이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되므로 파쇄시 파쇄물의 파쇄 이송이 원활하게 되어 파쇄물이 디스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형 파쇄물의 파쇄도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와 이와 연접한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5 내지 3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와 이와 연접한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5도 미만이 되면, 파쇄물을 파쇄할 때 디스크 및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이 크게 되어 이들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크고, 파쇄된 파쇄물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와 이와 연접한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30도를 초과하게 되면, 파쇄물을 파쇄할 때 디스크 및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은 현저하게 줄고 파쇄된 파쇄물의 이송이 원활하게 되나, 블레이드에 의한 파쇄효율이 줄어들어 파쇄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각각의 제 1, 2, 3 디스크(40,50,60)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를 상기 제 1, 2, 3 축(10,20,3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도 5에서와 같이 각각의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일측면에는 돌기(42,52,62)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인접한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돌기(42,52,62)가 삽입되는 삽입홈(43,53,63)이 구비되며, 상기 돌기(42,52,62)와 삽입홈(43,53,63)은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각각의 제 1, 2, 3 디스크(40,50,60)에 형성된 상기 돌기(42,52,62)와 삽입홈(43,53,63)이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게 되면,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를 축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제 1, 2, 3 축(10,20,3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를 상기 제 1, 2, 3 축(10,20,30)에 결합시키는 것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각각의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는 상하로 나뉘어져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로 이등분되며,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는 양측면에서 상하로 볼트체결되어 상기 제 1, 2, 3 축(10,20,30)에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축의 회전에 의한 디스크 회전시 블레이드의 축방향으로의 회전폭을 넓히기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는 디스크의 원주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서로 교번되게 치우쳐져 형성되도록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는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 일측으로 치우쳐져 형성되고 이와 인접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는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 타측으로 치우쳐져 형성되도록 한다.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디스크의 원주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서로 교번되게 치우쳐져 형성되도록 하게 되면, 블레이드의 회전폭을 넓게 하여 파쇄 영역을 넓힐 수 있게 되므로 파쇄물을 더 잘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의 배치에 있어서 제 1, 2, 3 디스크(40,50,60)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파쇄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직경 및 폭은 동일하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디스크(50)의 원주면 중심은 상기 제 1 디스크(40)의 원주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디스크(40) 폭의 1/3 만큼 제 2 축(20)의 일측으로 치우쳐져 고정되고, 상기 제 3 디스크(60)의 원주면 중심은 상기 제 1 디스크(40)의 원주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디스크(40) 폭의 2/3 만큼 제 3 축(30)의 일측으로 치우쳐져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직경은 동일하고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직경 및 폭은 동일하게 되면, 서로 호환성을 갖게 되어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제 1 디스크(40)와 인접한 상기 제 2 디스크(50)의 원주면 중심은 상기 제 1 디스크(40)의 원주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디스크(40) 폭(W)의 1/3 만큼 제 2 축(20)의 일측으로 치우쳐져 고정되고, 하나의 제 1 디스크(40)와 인접한 상기 제 3 디스크(60)의 원주면 중심은 상기 제 1 디스크(40)의 원주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디스크(40) 폭의 2/3 만큼 제 3 축(30)의 일측으로 치우쳐져 고정되게 되면, 제 1, 2, 3 디스크를 디스크의 폭만큼을 삼등분한 폭 만큼 디스크를 배치하게 되고 제 1, 2, 3 디스크(40,50,60)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게 되어, 블레이드에 의한 파쇄물의 파쇄시 절단 영역을 좁게 할 수 있게 되므로 파쇄물을 더 잘게 파쇄할 수 있게 되고 결국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함체 1a : 투입구
1b : 배출구 10 : 제 1 축
20 : 제 2 축 30 : 제 3 축
40 : 제 1 디스크 41 : 제 1 블레이드
42,52,62 : 돌기 43,53,63 : 삽입홈
50 : 제 2 디스크 51 : 제 2 블레이드
60 : 제 3 디스크 61 : 제 3 블레이드
70 : 모터 80 : 제 1 전동부
90 : 제 2 전동부 100 : 제 3 전동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파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a)가 상부에 구비되며, 파쇄된 파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b)가 일측에 구비된 함체(1);
    상기 함체(1) 내부에 축설되고 상기 투입구(1a)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제 1 축(10);
    상기 함체(1) 내부에 축설되고 상기 제 1 축(10)과 근접하여 상기 제 1 축(1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축(10)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 2 축(20);
    상기 함체(1) 내부에 축설되고 상기 배출구(1b)와 근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제 1 축(10) 및 제 2 축(20)과 근접하여 상기 제 1 축(10) 및 제 2 축(2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축(20)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 3 축(30);
    상기 제 1 축(1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1 블레이드(4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제 1 디스크(40);
    상기 제 2 축(2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2 블레이드(5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제 2 디스크(50);
    상기 제 3 축(30)에 연접하여 결합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제 3 블레이드(6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제 3 디스크(60);
    상기 제 2 축(20)과 제 1 전동부(80)로 결합되어 상기 제 2 축(20)을 회전시키는 모터(70);
    상기 제 1 축(10)과 상기 제 2 축(20)을 연결하여 상기 제 2 축(20)과 연동시켜 상기 제 1 축(10)을 회전시키는 제 2 전동부(90);
    상기 제 1 축(10)과 제 3 축(30)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축(10)과 연동시켜 상기 제 3 축(30)을 회전시키는 제 3 전동부(1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디스크(40)와 제 2 디스크(50)에 의한 1차 파쇄와 상기 제 1 디스크(40)와 제 3 디스크(60)에 의한 2차 파쇄에 의해 파쇄되고,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와 이와 연접한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는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되, 축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5 내지 30도이며,
    각각의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일측면에는 돌기(42,52,62)와 삽입홈(43,53,63)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이와 인접한 각각의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타측면에는 상기 돌기(42,52,62)가 삽입되는 삽입홈(43,53,63)과 상기 삽입홈(43,53,63)에 삽입되는 돌기(42,52,62)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를 상기 제 1, 2, 3 축(10,20,30)에 결합시키며, 상기 돌기(42,52,62)와 삽입홈(43,53,63)은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가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는 디스크의 원주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서로 교번되게 치우쳐져 형성되도록 각각의 디스크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는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 일측으로 치우쳐져 형성되고 이와 인접한 상기 제 1, 2, 3 블레이드(41,51,61)는 상기 제 1, 2, 3 축(10,20,30)의 축방향 타측으로 치우쳐져 형성되며,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의 직경 및 폭은 동일하며, 상기 제 2 디스크(50)의 원주면 중심은 상기 제 1 디스크(40)의 원주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디스크(40) 폭의 1/3 만큼 제 2 축(20)의 일측으로 치우쳐져 상기 제 1 축(10)에 고정되고, 상기 제 3 디스크(60)의 원주면 중심은 상기 제 1 디스크(40)의 원주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디스크(40) 폭의 2/3 만큼 제 3 축(30)의 일측으로 치우쳐져 상기 제 3 축(30)에 고정되며,
    각각의 상기 제 1, 2, 3 디스크(40,50,60)는 상하로 나뉘어져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로 이등분 되며,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는 양측면에서 상하로 볼트체결되어 상기 제 1, 2, 3 축(10,20,30)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축 파쇄기.
KR1020200099931A 2020-08-10 2020-08-10 3축 파쇄기 KR10224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31A KR102243498B1 (ko) 2020-08-10 2020-08-10 3축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31A KR102243498B1 (ko) 2020-08-10 2020-08-10 3축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498B1 true KR102243498B1 (ko) 2021-04-22

Family

ID=7573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931A KR102243498B1 (ko) 2020-08-10 2020-08-10 3축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4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567B1 (ko) * 2017-03-28 2018-08-07 조영대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KR20200087586A (ko) * 2019-01-11 2020-07-21 광림 컴팩 주식회사 폐지류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567B1 (ko) * 2017-03-28 2018-08-07 조영대 커터 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KR20200087586A (ko) * 2019-01-11 2020-07-21 광림 컴팩 주식회사 폐지류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4012B (zh) 雙軸粉碎機
JP2002001148A (ja) 粉砕装置
KR102243498B1 (ko) 3축 파쇄기
KR20200087586A (ko) 폐지류 파쇄장치
JP7162914B2 (ja) 粉砕機
US2738932A (en) Preliminary disintegrating machine particularly adapted to size reduce wood blocks, rubber tires and the like
KR100908139B1 (ko) 폐목을 이용한 화목 제조장치
KR101391860B1 (ko) 합성수지분쇄기
KR102226030B1 (ko) 문서 세단기
JP2005305391A (ja) 木質系粉砕装置
KR101245027B1 (ko) 파쇄기
JP2000051726A (ja) 1軸破砕機
KR100469677B1 (ko) 임목폐기물 파쇄장치
JP3455906B2 (ja) 破砕装置
CN208232146U (zh) 一种塑料料条粉碎机
CN216368297U (zh) 碎纸机
JP2002153764A (ja) ハンマシュレッダの細破砕ハンマ
KR200204230Y1 (ko) 음식물 파쇄기
KR20210015351A (ko) 음식물쓰레기 파쇄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GB2154470A (en) Comminuting apparatus in a mill
KR1014326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분쇄장치
KR200342456Y1 (ko) 분쇄기용 칼날
KR101732949B1 (ko) 수목가지 파쇄 장치
KR102480752B1 (ko) 문서 세단기
CN219943105U (zh) 一种岩棉用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