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860B1 - 합성수지분쇄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860B1
KR101391860B1 KR20130082039A KR20130082039A KR101391860B1 KR 101391860 B1 KR101391860 B1 KR 101391860B1 KR 20130082039 A KR20130082039 A KR 20130082039A KR 20130082039 A KR20130082039 A KR 20130082039A KR 101391860 B1 KR101391860 B1 KR 10139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ixed blade
fixed
rotary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박철우
주식회사 인성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우, 주식회사 인성알에스 filed Critical 박철우
Priority to KR2013008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08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plastics, e.g. cinematographic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칼날이 상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설치되고 고정칼날의 중앙 부분이 회전칼날에 먼저 근접되어 합성수지재를 절단되게 하여 절단시 충격력을 분산시키면서 절단시의 부하를 줄이는 합성수지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합성수지 원료를 분쇄하는 합성수지분쇄기에 있어서, 합성수지분쇄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고정칼날(20); 고정칼날(20)에 대응되어 회전되는 회전칼날(30); 회전칼날(30)이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칼날(20)은 상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설치각도(a)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분쇄기{PLASTIC CRUSHER}
본 발명은 합성수지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칼날이 상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설치되고 고정칼날의 중앙 부분이 회전칼날에 먼저 근접되어 합성수지재를 절단되게 하여 절단시 충격력을 분산시키면서 절단시의 부하를 줄이는 합성수지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는 대부분 1회용 제품이 많기 때문에 한번 사용되고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합성수지는 한번 버려져 썩는 주기가 길기 때문에 그대로 자연속에 버려지면 환경을 파괴하는 중요 환경오염 요인이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버려지는 합성수지를 수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시 사용을 위해서는 합성수지 종류 별로 분류한 다음에 세척과 재생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재활용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품 형태로 수거된 합성수지 제품을 작은 크기로 분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종래의 합성수지 분쇄기는 돌을 분쇄하거나 곡물을 잘게 부수는 장치로부터 대부분 유래하였기에 그 구조가 거의 비슷하게 형성된다. 즉 회전되는 칼날에 의하여 합성수지를 잘게 썰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이에 회전칼날은 휘어지는 둥근 날개 형상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회전칼날이 합성수지재를 칼로 자르듯이 자르고 지나는 것이다.
일부 종래의 분쇄기는 고정칼날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단순 구조의 금속 판 형상을 갖기 때문에 많은 양의 합성수지재를 분쇄하기에는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성능이 뛰어나면서 많은 양의 합성수지재를 분쇄하더라도 부하를 적게 받으면서 잔고장 없이 효율적으로 분쇄가 가능한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83-0003428호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89-0004458호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89-000766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칼날이 상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설치됨으로써 회전되는 회전칼날의 충격력을 충분히 견디면서 합성수지재를 효과적으로 절단시키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울러 고정칼날과 회전칼날이 소정 각도를 갖게 형성되고 회전칼날이 다판관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절단시의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면서 합성수지재가 잘 잘리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칼날의 중앙 부분이 삼각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고정칼날의 중앙부분이 회전칼날에 먼저 근접되어 합성수지재를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시 충격력을 분산시키면서 미처 잘리지 않은 재료들이 고정칼날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절단시의 부하를 줄이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원료를 분쇄하는 합성수지분쇄기에 있어서, 합성수지분쇄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고정칼날(20); 고정칼날(20)에 대응되어 회전되는 회전칼날(30); 회전칼날(30)이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칼날(20)은 상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설치각도(a)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설치각도(a)는 0.1도 내지 35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20)과 회전칼날(30)이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회전칼날사이각도(b)를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칼날회전칼날사이각도(b)는 10도 내지 40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회전칼날(30)이 설치되는 회전칼날프레임(32)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칼날프레임(32)은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회전칼날다판관절부(33)에 의해 회전축(42)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칼날다판관절부(33)의 다수 관절은 서로 소정 각도의 회전칼날프레임관절각도(c)를 이루어 설치되며, 상기 회전칼날프레임관절각도(c)는 10도 내지 40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20)은 중앙 부분보다 양측이 하향으로 위치되는 삼각형상을 이루는 저항분산삼각고정칼날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호의 라운드형상을 이루는 저항분산라운드고정칼날로 이루어져, 회전칼날(30)이 고정칼날(20)의 중앙부분에 먼저 근접되어 합성수지 원료를 절단하며, 삼각형상을 이루는 고정칼날(20)의 양측 날은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기울임각도(d)를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칼날기울임각도(d)는 0.1도 내지 15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20)은 고정칼날브라켓(21)과 고정칼날프레임(22)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칼날(20)의 고정칼날결함공(24)을 지나는 고정칼날볼트에 의해 고정칼날프레임(2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칼날(30)은 회전칼날브라켓(31)과 회전칼날프레임(32)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칼날(20)의 회전칼날결합공(34)을 지나는 회전칼날볼트에 의해 회전칼날프레임(32)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칼날결합공(24)은 원형홈 또는 장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칼날결합공(34)은 원형홈 또는 장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고정칼날이 상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설치됨으로써 회전되는 회전칼날의 충격력을 충분히 견디면서 합성수지재를 잘 절단하게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아울러 고정칼날과 회전칼날이 소정 각도를 갖게 형성되고 회전칼날이 다판관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절단시의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면서 합성수지재가 잘 잘리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고정칼날의 중앙 부분이 삼각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고정칼날의 중앙부분이 회전칼날에 먼저 근접되어 합성수지재를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시 충격력을 분산시키면서 미처 잘리지 않은 재료들이 고정칼날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절단시의 부하를 줄이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에서 회전칼날이 고정된 회전축 부분이 다각회전판의 다각회전부로 이루어지는 실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에서 회전칼날이 고정된 회전축 부분이 원형 회전축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에서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의 고정칼날이 삼각형상을 이루는 저항분산삼각고정칼날로 이루어지는 실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의 고정칼날이 원형의 라운드형상을 이루는 저항분산라운드고정칼날로 이루어지는 실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의 고정칼날과 회전칼날에 장홈이 형성된 실시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 등에서와 같이, 본체 케이스 상부 커버(41) 일측의 투입구(46)로 합성수지 원료를 투입하여 합성수지분쇄기(10) 내부에서 합성수지 원료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즉 재활용을 위한 합성수지 원료는 다시 분쇄과정을 거쳐서 작은 크기로 되어야 다시 재생과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재활용 대상이 되는 원재료들을 투입구로 투입하면 내부의 고정칼날(20)과 회전칼날(30)에 의해 작은 크기로 분쇄되어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분쇄기(10)에 있어서는, 고정칼날(20)과 회전칼날(30)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합성수지의 분쇄 과정이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아울러 회전모터나 회동부재 및 절단이나 분쇄 구성들에 부하가 적게 하여 분쇄 사용능력이 월등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분쇄기(10)에 대한 상세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합성수지 원료를 분쇄하는 합성수지분쇄기(10)에 있어서, 합성수지분쇄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고정칼날(20)이 마련되고, 고정칼날(20)에 대응되어 회전되는 회전칼날(30)이 마련되며, 또한 회전칼날(30)이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5) 등을 포함하여 합성수지 분쇄기(10)를 이루게 된다. 구동모터(45)의 동력은 벨트(44)에 의해 회전축(42)에 전달되고, 회전축(42)과 동축을 이루는 플라이휠(43, flywheel)에 의해 회전력이 보존되는 것이다.
또한 분쇄된 합성수지 조각들은 아래의 배출망(48)을 통하여 아래의 배출구(4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되는 중에 스크류(47)에 의해 모여져 배출된다.
그리고 고정칼날(20)은 첨부된 예시 도면에서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1개씩, 총 2개의 고정날개가 설치됨을 예를 보이고 있다. 물론 2개의 고정칼날이 구비됨으로써 상측으로부터 투입되는 합성수지 원료가 잘 투입되게 하고, 또한 잘게 썰려 분쇄된 합성수지들이 아래의 배출망(48)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이처럼 2개의 고정칼날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기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 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경우 1개의 고정칼날이 설치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회전칼날(30)은 첨부된 도면예시에서는 1개의 회전축(42)에 대해 3개의 회전칼날이 결합됨을 예시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1개에서부터 2개, 혹은 4개 이상의 회전칼날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회전칼날은 투입되는 합성수지 원료가 회전칼날 및 고정칼날 사이로 원활히 위치되도록 하면서, 잘려진 합성수지 조각들이 배출망에 도달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개수나 형상이 알맞게 정하여져 설치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20)은 상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설치각도(a)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고정칼날(20)이 위치된 부분과 회전칼날(30)의 회전축을 잇는 선분에 대해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설치각도(a)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즉 회전칼날(30)은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되는 힘에 의한 회전력으로 합성수지 원료를 절단하게 된다.
종래의 분쇄기에 있어서 고정칼날은 대부분 회전칼날의 회전축이 위치된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단지 고정칼날의 날카로운 형상에 의한 특성으로만 합성수지 원료를 절단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분쇄기(10)에 있어서는, 회전축(42)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고정칼날설치각도(a)를 이루어 고정칼날(20)이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칼날(20)이 결국 회전칼날(30)의 회전되어 들어오는 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지 고정칼날(20)이나 회전칼날(30)의 날카로운 칼날의 형상에 따른 특성에 더하여, 회전칼날(30)이 회전되어 들어오는 방향으로 고정칼날(20)이 경사지게 세워진 설치구조를 갖기 때문에, 합성수지 원료에 대한 절단 특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고정칼날설치각도(a)는 0.1도 내지 35도로 이루어져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0.1도 미만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회전칼날(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합성수지 원료에 의해 고정칼날(20)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35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회전되는 회전칼날(30) 또는 회전칼날(30)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합성수지 원료에 의하여 고정칼날(20) 또는 고정칼날(20) 프레임이 외향으로 젖혀지거나 부러질 우려가 있다.
특히 고정칼날설치각도(a)의 소정 각도가 10도 내지 30도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즉 고정칼날(20)이 10도 내지 30도 사이의 범위 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회전칼날(30) 및 회전칼날(30)과 함께 회전되는 합성수지 원료 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여도 대부분 고정칼날(20)의 날 부분에 닿기 때문에 고정칼날(20)이나 프레임이 부딪혀 파손될 우려가 적게 된다.
특히 합성수지 원료가 회전되어 들어오는 방향을 향하여 고정칼날(20)이 세워져 설치된 것이므로, 회전되는 합성수지 원료는 1차적으로 고정칼날(20) 날끝에 부딪히면서 1차로 절단되고, 이후 다시 회전칼날(30)이 접하면서 2차적으로 절단되며, 나아가 고정된 고정칼날(20) 측으로 회전되는 회전칼날(30)의 가압력에 의하여 3차로 절단되는 등, 다수의 단계에 걸쳐 절단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의 완벽하게 합성수지 원료가 절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분쇄기(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20)과 회전칼날(30)이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회전칼날사이각도(b)를 이루어 설치되고, 이러한 고정칼날회전칼날사이각도(b)는 10도 내지 40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고정칼날설치각도(a)를 이루어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칼날(20)에 대하여, 고정칼날(20)이 향하는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인 고정칼날회전칼날사이각도(b) 만큼 상향으로(도 2, 도 3 등에서 우측 아래로 향한 고정칼날에 대한 회전칼날은 하향으로) 더욱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칼날(20)과 회전칼날(30) 사이에 위치되는 합성수지 원료를 상향에서부터 가격하기 때문에 합성수지 원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쇄되는 것이다.
만약 고정칼날(20)과 회전칼날(30)이 향하는 방향이 거의 비슷하게 된다면 단지 고정칼날(20) 부근의 합성수지 원료를 회전칼날(30)이 누르는 정도의 역할만 하게 될 수 있으나, 원을 그리면서 회전력으로 가격하는 회전칼날이 좀더 날의 각도를 세워서 가격하기 때문에 합성수지 원료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강하게 전달하면서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한번 회전칼날이 고정칼날 부근을 지나게 됨에 의하여 거의 모든 합성수지 원료가 잘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고정칼날(20)은 합성수지 분쇄기(10)의 하부 본체에 고정된 고정칼날프레임(22)에 고정되고, 고정칼날(20) 상측의 고정칼날브라켓(21)에 의해 고정칼날(20)이 고정칼날프레임(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회전칼날(30)은 회전축(42)에 결합된 회전칼날프레임(32)에 고정되는 것이며, 회전칼날(30) 외부로 회전칼날브라켓(31)에 의하여 회전칼날(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회전칼날(30)이 설치되는 회전칼날프레임(32)이 구비되고, 특히 상기 회전칼날프레임(32)은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회전칼날다판관절부(33)에 의해 회전축(4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다수 관절의 수는 시설되는 합성수지 분쇄기(10)의 실시 조건에 따라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칼날다판관절부(33)의 다수 관절은 서로 소정 각도의 회전칼날프레임관절각도(c)를 이루어 설치되며, 상기 회전칼날프레임관절각도(c)는 10도 내지 40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다판관절로 되는 회전칼날다판관절부(33)가 마련됨으로써, 고정칼날(20)에 대하여 회전칼날(30)을 설치하는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합성수지 분쇄 조건에 알맞은 조건으로 시설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칼날프레임관절각도(c)를 10 내지 40도 사이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다수 관절을 이루는 회전칼날프레임(32)이 회전칼날다판관절부(33)에 의해 고정칼날(20)과 회전칼날(30)로 합성수지 원료를 분쇄함으로 인한 힘이 다판관절로 분산되는 것이다. 따라서 분쇄과정으로 인한 충격력은 고정칼날(20) 및 회전칼날(30)에서 발생하며 고정칼날(20)의 충격력은 바로 합성수지분쇄기(10) 본체로 전달되어 충격의 여파가 소모된다.
그러나 회전칼날(30)의 충격력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그대로 회전축에 전달되어 회전력저하 및 부하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분쇄기(10)에 있어서는 회전칼날(30)을 회전시키는 회전칼날프레임(32)이 회전칼날다판관절부(33)의 다판관절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회전칼날(30)에서의 분쇄과정시 발생한 충격력의 방향이 축방향을 향하지 않고 다판관절이므로 힘의 방향이 분산되는 것이다. 또한 다판관절 부분을 통해 충격력이 분산되어 결국 회전축(42)에는 충격력이 거의 전달되지 않아 회전축(42) 및 회전부재들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회전칼날프레임관절각도(c)가 10도 내지 40도 사이를 이룸으로써 힘의 방향 및 힘의 세기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분쇄기(10)는 도 5의 정면도에서처럼 고정칼날(20)은 중앙부분이 상향으로 높게 되고, 반면 양측은 아래로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을 갖게 본체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칼날(20)은 중앙 부분보다 양측이 하향으로 위치되는 삼각형상을 이루는 저항분산삼각고정칼날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원호의 라운드형상을 이루는 저항분산라운드고정칼날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로써 회전칼날(30)이 고정칼날(20)의 중앙부분에 먼저 근접되어 합성수지 원료를 절단하는 것이다.
즉 회전칼날(30)에 처음 근접하는 고정칼날(20)의 중앙 부분부터 합성수지 원료를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점차로 고정칼날(20) 양측으로 회전칼날(30)이 접하면서 나머지 합성수지 원료를 절단하는 것이다. 이에 혹여 이러한 과정 중에 서로 밀리는 합성수지 원료는 밀리더라도 중앙으로 밀리지 않고 양측 가장자리로 밀리기 때문에 절단 및 압착으로 인한 부하가 발생해도 외향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절단과정에서 부하발생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고정칼날(20)의 중앙이 먼저 접함으로 인해 절단과정에 따른 저항을 분산하게 되는 것이며, 이처럼 분산되게 하는 고정칼날은 삼각형상의 저항분산삼각고정칼날과 둥근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저항분산라운드고정칼날 등으로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삼각형상을 이루는 고정칼날(20)의 양측 날은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기울임각도(d)를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칼날기울임각도(d)는 0.1도 내지 15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는 둥근 라운드 형상의 고정칼날은 지름이 e로 이루어지는 원호를 그리거나 또는 타원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저항분산삼각고정칼날과 저항분산라운드고정칼날 등의 형상은 첨부된 도 6, 도 7 등에서는 고정칼날(20)의 중앙 부분이 상향으로 위치된 형상을 갖는 것이고, 이는 도 5에서처럼 합성수지 분쇄기(10)의 정면에 설치되는 예에서와 같다. 그러나 합성수지 분쇄기(10)의 배면측으로 설치되는 고정칼날의 경우에는 반대로 고정칼날의 중앙 부분이 하향으로 위치된 형상을 갖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되는 회전칼날(30)이 항시 고정칼날의 중앙 부분에 먼저 접하여 합성수지를 분쇄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분쇄기(10)에 있어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칼날(20)은 고정칼날브라켓(21)과 고정칼날프레임(22)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며, 이에 고정칼날(20)의 고정칼날결함공(24)을 지나는 고정칼날볼트에 의해 고정칼날프레임(2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고정칼날결합공(24)은 원형홈 또는 장홈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칼날(30)은 회전칼날브라켓(31)과 회전칼날프레임(32)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회전칼날(20)의 회전칼날결합공(34)을 지나는 회전칼날볼트에 의해 회전칼날프레임(3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회전칼날결합공(34)은 원형홈 또는 장홈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고정칼날결합공(24)이나 회전칼날결합공(34)이 장홈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칼날(20) 및 회전칼날(30) 등의 안정적인 설치위치를 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칼날(20)과 회전칼날(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합성수지 원료의 분쇄 성능을 조정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합성수지 분쇄기
20 : 고정칼날 21 : 고정칼날브라켓
22 : 고정칼날프레임 24 : 고정칼날결합공
30 : 회전칼날 31 : 회전칼날브라켓
32 : 회전칼날프레임 33 : 회전칼날다판관절부
34 : 회전칼날결합공 42 : 회전축
45 : 구동모터 48 : 배출망

Claims (6)

  1. 합성수지분쇄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고정칼날(20);
    고정칼날(20)에 대응되어 회전되는 회전칼날(30); 및
    회전칼날(30)이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5)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회전칼날(30)이 설치되는 회전칼날프레임(32)이 구비되어 합성수지 원료를 분쇄하는 합성수지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칼날프레임(32)은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회전칼날다판관절부(33)에 의해 회전축(42)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칼날다판관절부(33)의 다수 관절은 서로 소정 각도의 회전칼날프레임관절각도(c)를 이루어 설치되며,
    상기 회전칼날프레임관절각도(c)는 10도 내지 40도로 이루고,
    상기 고정칼날(20)은 중앙 부분보다 양측이 하향으로 위치되는 삼각형상을 이루는 저항분산삼각고정칼날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호의 라운드형상을 이루는 저항분산라운드고정칼날로 이루어져, 회전칼날(30)이 고정칼날(20)의 중앙부분에 먼저 근접되어 합성수지 원료를 절단하며,
    삼각형상을 이루는 고정칼날(20)의 양측 날은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기울임각도(d)를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칼날기울임각도(d)는 0.1도 내지 15도로 이루며,
    상기 고정칼날(20)은 상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설치각도(a)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설치각도(a)는 0.1도 내지 35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20)과 회전칼날(30)이 소정 각도의 고정칼날회전칼날사이각도(b)를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칼날회전칼날사이각도(b)는 10도 내지 40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20)은 고정칼날브라켓(21)과 고정칼날프레임(22)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칼날(20)의 고정칼날결함공(24)을 지나는 고정칼날볼트에 의해 고정칼날프레임(2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칼날(30)은 회전칼날브라켓(31)과 회전칼날프레임(32)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칼날(20)의 회전칼날결합공(34)을 지나는 회전칼날볼트에 의해 회전칼날프레임(32)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칼날결합공(24)은 원형홈 또는 장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칼날결합공(34)은 원형홈 또는 장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분쇄기.
KR20130082039A 2013-07-12 2013-07-12 합성수지분쇄기 KR10139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039A KR101391860B1 (ko) 2013-07-12 2013-07-12 합성수지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039A KR101391860B1 (ko) 2013-07-12 2013-07-12 합성수지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860B1 true KR101391860B1 (ko) 2014-05-07

Family

ID=5089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039A KR101391860B1 (ko) 2013-07-12 2013-07-12 합성수지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8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01A (ko) 2019-05-31 2020-12-09 김종기 합성수지 커팅장치
KR20220166492A (ko) 2021-06-10 2022-12-19 노창구 폐합성수지 분쇄기
KR102594572B1 (ko) 2022-07-11 2023-10-25 조재일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75Y1 (ko) * 2001-05-22 2001-10-15 범현철 파쇄기의 고정칼날 설치구조
KR100424404B1 (ko) * 2000-11-24 2004-03-30 범현철 파쇄기의 칼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04B1 (ko) * 2000-11-24 2004-03-30 범현철 파쇄기의 칼날
KR200246775Y1 (ko) * 2001-05-22 2001-10-15 범현철 파쇄기의 고정칼날 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01A (ko) 2019-05-31 2020-12-09 김종기 합성수지 커팅장치
KR20220166492A (ko) 2021-06-10 2022-12-19 노창구 폐합성수지 분쇄기
KR102594572B1 (ko) 2022-07-11 2023-10-25 조재일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598864U (zh) 铡草粉碎两用机
KR101391860B1 (ko) 합성수지분쇄기
JP2002001148A (ja) 粉砕装置
TW202000307A (zh) 雙軸粉碎機
CN205325911U (zh) 强化扰动的木材破碎机
CN201579091U (zh) 农用双锤片式粉碎机
BR102013002464A2 (pt) Estrutura de desvio para trituradores
JP3143451B2 (ja) 回転式粉砕機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KR20090000688U (ko) 폐 고무용 분쇄기
KR102254807B1 (ko) 음식물쓰레기 파쇄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CN205731501U (zh) 一种刀片便于拆卸的破碎机
JP2002001147A (ja) 粗砕刃とこれを用いた粉砕装置
CN207913917U (zh) 一种具有斜孔筛网的粉碎机
CN103623900A (zh) 一种多功能直带式切碎机
KR101472475B1 (ko) 폐 타이어 분쇄 장치
KR102536224B1 (ko) 플라스틱 파쇄장치
KR101612534B1 (ko) 산업폐기물 분쇄기
KR101665592B1 (ko) 곡물 분쇄유닛 및 이를 갖는 가정용 곡물 분쇄기
US2386021A (en) Screen for hammer type feed grinders
CN203508140U (zh) 一种v型刀片粉碎机
KR102528511B1 (ko) 폐합성수지 분쇄기
JP5903722B2 (ja) 破砕装置
JPH10230183A (ja) 粉砕器
CN105107582A (zh) 一种负压风送无筛网植物物料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