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801A - 합성수지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801A
KR20200137801A KR1020190064715A KR20190064715A KR20200137801A KR 20200137801 A KR20200137801 A KR 20200137801A KR 1020190064715 A KR1020190064715 A KR 1020190064715A KR 20190064715 A KR20190064715 A KR 20190064715A KR 20200137801 A KR20200137801 A KR 2020013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ynthetic resin
unit
cutting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이혜은
Original Assignee
김종기
이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이혜은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2019006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801A/ko
Publication of KR2020013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ly elongat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plastics, e.g. cinematographic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6Axially elongat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2018/188Stationary counter-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패트병, 폐비닐, 그물 등의 합성수지물을 커팅하는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있어서, 커팅 몸체의 내부 양측에 마주보도록 구비된 고정 칼날부와; 상기 고정 칼날부 사이의 가운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커팅 칼날부; 및 상기 회전 커팅 칼날부가 회전 되도록 구비된 구동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성수지의 커팅이 1,2차 구분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팅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가운데 용이한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커팅장치{SYNTHETIC RESIN DEVICE FOR CUTTING}
본 발명은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트병, 폐비닐, 그물 등의 합성수지 커팅이 1,2차 구분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팅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는 대부분 1회용 제품이 많기 때문에 한번 사용되고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고, 한번 버려져 썩는 주기가 길기 때문에 그대로 자연속에 버려지면 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어 버려지는 이를 수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를 재활용 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를 종류 별로 분류한 후 세척과 재생산 공정을 거치게 되며, 재활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품 형태로 수거된 합성수지 제품을 작은 크기로 분쇄시켜야 한다.
합성수지 분쇄기는 돌을 분쇄하거나, 곡물을 잘게 부수는 장치로부터 대부분 유래하였기에 비슷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회전되는 칼날에 의하여 합성수지를 잘게 썰도록 구비된 것으로 대부분 휘어지는 둥근 날개 형상으로 합성수지를 칼로 자르듯이 자르게 된다.
일부 분쇄기는 고정 칼날을 구비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단순 구조의 금속 판 형상을 갖기 때문에 많은 양을 분쇄하기에는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391860호(201 4.4.28)의 합성수지 분쇄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합성수지 분쇄기는 고정 칼날이 상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설치되고, 고정 칼날의 중앙 부분이 회전 칼날에 먼저 근접되어 합성수지재를 절단되게함으로써, 절단시 충격력을 분산시키면서 절단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잔고장 없이 효율적으로 분쇄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고정 칼날과 회전 칼날이 회전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져 있음으로써, 합성수지재가 그 사이로 삽입되어 절단되는 과정에서 동시에 물린 상태로 절단됨에 따라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분쇄기의 구동 부분에 무리를 주어 수명이 단축되는 가운데 생산성 내지는 분쇄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91860호(201 4.4.28)
본 발명은 패트병, 폐비닐, 그물 등의 합성수지물 커팅이 종래와 같이 축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고정 칼날과 회전 칼날에 의하여 동시에 절단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커팅 길이에 대하여 절반씩 1,2차 구분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커팅 과정에서 발생되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절단되는 부분의 주변으로 외기가 공급되어 냉각이 이루어져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트병, 폐비닐, 그물 등의 합성수지물을 커팅하는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있어서, 커팅 몸체(BY)의 내부 양측에 마주보도록 구비된 고정 칼날부(100)와; 상기 고정 칼날부(100) 사이의 가운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커팅 칼날부(200); 및 상기 회전 커팅 칼날부(200)가 회전 되도록 구비된 구동부(30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칼날부(100)는 제1암나사부(111)를 갖는 칼날 고정부재(110)와; 상기 제1암나사부(111)에 중심이 일치되는 제1관통홀(121)을 갖는 고정 칼날(120); 및 상기 제1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제1암나사부(111)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나사(130)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 칼날(120)은 수평을 기준으로 37~44°의 경사각(α)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커팅 칼날부(200)는 구동축(210)과; 상기 구동축(210)의 외주연부에 등간격을 갖도록 구비된 단위 칼날부(220); 및 상기 단위 칼날부(220) 사이의 구동축(210) 외주연부에 구비된 단위 블레이드(23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칼날부(220)와 단위 블레이드(230)는 상기 구동축(210)의 외주연부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축(210)의 일측 외주연부에 구비된 단위 칼날부(220)와 단위 블레이드(230)에 대하여 상기 구동축(210)의 타측 외주연부에 구비된 다른 단위 칼날부(220)와 단위 블레이드(230)는 서로 어긋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칼날부(220)는 구동축(210)의 외주연부에 맞대어져 용접 이음으로 결합된 칼날 지지부재(221)와; 상기 칼날 지지부재(221)의 단부에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제2암나사부(222)가 형성된 칼날 지지편(223)과; 상기 칼날 지지편(223)의 상부로 얹혀지며, 상기 제2암나사부(222)에 중심이 일치되는 제2관통홀(224)이 구비된 칼날편(225)과; 상기 칼날편(225)의 상부로 제2관통홀(224)과 중심이 일치되는 제3관통홀(226)이 구비된 칼날 가압편(227); 및 상기 제3관통홀(226), 제2관통홀(224)을 관통하여 제2암나사부(222)에 나사 결합되는 제2고정나사(228)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칼날 지지부(221)와 칼날 지지편(223)은 42~45°의 경사각(β)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위 칼날부와 단위 블레이드가 구동축의 외주연부에서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패트병, 폐비닐, 그물 등 합성수지의 커팅이 1,2차로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커팅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합성수지물의 커팅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것을 통해 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충분한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커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있어 회전 커팅 칼날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있어 회전 커팅 칼날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있어 회전 커팅 칼날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있어 회전 커팅 칼날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있어 회전 커팅 칼날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커팅장치는 패트병, 폐비닐, 그물 등의 합성수지물 커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커팅율을 높이는 가운데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칼날부(100), 회전 커팅 칼날부(200) 및 구동부(300)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 칼날부(100)는 커팅 몸체(BY)의 내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커팅 몸체(BY)에 구비된 투입구(IN)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합성수지물은 도면상 좌측으로 위치된 고정 칼날부(100)에 의하여 절단된 후 절단되지 않은 나머지는 도면상 우측에 위치된 고정 칼날부(100)에 의하여 완전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 칼날부(100)는 칼날 고정부재(110), 고정 칼날(120) 및 제1고정나사(130)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칼날 고정부재(110)는 상부에 제1암나사부(1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 칼날(120)은 상기 제1암나사부(111)에 중심이 일치되는 제1관통홀(121)이 구비되어 상기 제1암나사부(111)에 제1관통홀(121)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고정나사(130)를 조임으로써, 고정 칼날(120)이 칼날 고정부재(110)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 칼날(120)은 수평을 기준으로 37~44°의 경사각(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칼날편(225)이 구동축(210)에 의하여 회전되는 과정에서 최적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 커팅 칼날부(200)는 고정 칼날부(100) 사이의 가운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 구동축(210), 단위 칼날부(220) 및 단위 블레이드(230)로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210)은 양측단부가 미도시한 베어링에 의하여 커팅 몸체(BY)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구동축(210)의 일측 단부 또는 타측 단부에는 상기 구동부(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단위 칼날부(220)는 구동축(210)의 외주연부에 등간격을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구동축(210)의 외주연부에 칼날 지지부재(221)가 맞대어져 용접 이음으로 안정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칼날 지지부재(221)의 단부에는 제2암나사부(222)가 형성된 칼날 지지편(223)이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칼날 지지편(223)의 상부로 제2암나사부(222)에 중심이 일치되는 제2관통홀(224)이 구비된 칼날편(225)이 얹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칼날편(225)의 상부로 제2관통홀(224)과 중심이 일치되는 제3관통홀(226)이 형성된 칼날 가압편(22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관통홀(226), 제2관통홀(224)을 관통하여 제2암나사부(222)에 나사 결합되는 제2고정나사(228)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단위 블레이드(230)는 직사각의 평판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장방향의 단부가 구동축(210)의 외주연부에 맞대어져 용접 이음으로 결합된다.
상기 단위 블레이드(230)의 위치는 상기 단위 칼날부(220) 사이의 노출 또는 위치되는 구동축(210) 외주연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구동축(21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절단되거나 절단되지 않은 상태의 합성수지(물)를 커팅 몸체(BY)의 하부로 끌어 당기기 위함이다.
상기 단위 칼날부(220)와 단위 블레이드(230)는 구동축(210)의 외주연부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합성수지가 커팅되는 과정에서 구동축(210)의 전체 길이가 일시에 커팅되지 않고 절반씩 나뉘어져 1,2차로 커팅되도록 함으로써, 커팅에 소요되는 동력을 줄이는 가운데 적은 동력으로도 커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커팅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210)의 일측 외주연부에 구비된 단위 칼날부(220)와 단위 블레이드(230)에 대하여 상기 구동축(210)의 타측 외주연부에 구비된 다른 단위 칼날부(220)와 단위 블레이드(230)는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210)의 일측 외주연부에 구비된 단위 칼날부(220)가 끝나는 부분에 단위 블레이드(23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축(210)의 일측 외주연부에 구비된 단위 블레이드(230)가 끝나는 부분에 다른 단위 칼날부(220)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날 지지부(221)와 칼날 지지편(223)은 42~45°의 경사각(β)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 칼날(12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최적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부(300)는 회전 커팅 칼날부(200)가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한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모터(M) 및 구동모터(M)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동력전달 수단인 풀리와 벨트 또는 체인(T)을 통해 구동축(210)이 구동될 수 있도록 된다.
100:고정 칼날부 110:칼날 고정부재
111:제1암나사부 120:고정 칼날
121:제1관통홀 130:제1고정나사
200:회전 커팅 칼날부 210:구동축
220:단위 칼날부 221:칼날 지지부재
222:제2암나사부 223:칼날 지지편
224:제2관통홀 225:칼날편
226:제3관통홀 227:칼날 가압편
228:제2고정나사 230:단위 블레이드
300:구동부

Claims (6)

  1. 패트병, 폐비닐, 그물 등의 합성수지물을 커팅하는 합성수지 커팅장치에 있어서,
    커팅 몸체(BY)의 내부 양측에 마주보도록 구비된 고정 칼날부(100)와;
    상기 고정 칼날부(100) 사이의 가운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커팅 칼날부(200); 및
    상기 회전 커팅 칼날부(200)가 회전 되도록 구비된 구동부(30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커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칼날부(100)는 제1암나사부(111)를 갖는 칼날 고정부재(110)와;
    상기 제1암나사부(111)에 중심이 일치되는 제1관통홀(121)을 갖는 고정 칼날(120); 및
    상기 제1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제1암나사부(111)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나사(130)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 칼날(120)은 수평을 기준으로 37~44°의 경사각(α)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커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팅 칼날부(200)는 구동축(210)과;
    상기 구동축(210)의 외주연부에 등간격을 갖도록 구비된 단위 칼날부(220); 및
    상기 단위 칼날부(220) 사이의 구동축(210) 외주연부에 구비된 단위 블레이드(23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커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칼날부(220)와 단위 블레이드(230)는 상기 구동축(210)의 외주연부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축(210)의 일측 외주연부에 구비된 단위 칼날부(220)와 단위 블레이드(230)에 대하여 상기 구동축(210)의 타측 외주연부에 구비된 다른 단위 칼날부(220)와 단위 블레이드(230)는 서로 어긋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커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칼날부(220)는 구동축(210)의 외주연부에 맞대어져 용접 이음으로 결합된 칼날 지지부재(221)와;
    상기 칼날 지지부재(221)의 단부에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제2암나사부(222)가 형성된 칼날 지지편(223)과;
    상기 칼날 지지편(223)의 상부로 얹혀지며, 상기 제2암나사부(222)에 중심이 일치되는 제2관통홀(224)이 구비된 칼날편(225)과;
    상기 칼날편(225)의 상부로 제2관통홀(224)과 중심이 일치되는 제3관통홀(226)이 구비된 칼날 가압편(227); 및
    상기 제3관통홀(226), 제2관통홀(224)을 관통하여 제2암나사부(222)에 나사 결합되는 제2고정나사(228)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커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지지부(221)와 칼날 지지편(223)은 42~45°의 경사각(β)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커팅장치.
KR1020190064715A 2019-05-31 2019-05-31 합성수지 커팅장치 KR20200137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15A KR20200137801A (ko) 2019-05-31 2019-05-31 합성수지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15A KR20200137801A (ko) 2019-05-31 2019-05-31 합성수지 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801A true KR20200137801A (ko) 2020-12-09

Family

ID=7378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715A KR20200137801A (ko) 2019-05-31 2019-05-31 합성수지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8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60B1 (ko) 2013-07-12 2014-05-07 박철우 합성수지분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60B1 (ko) 2013-07-12 2014-05-07 박철우 합성수지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013B2 (en) High efficiency single pass shredder-granulator
KR101045634B1 (ko) 폐고무 분말 제조장치
US5509610A (en) Centrifugal chopping and grinding apparatus
US7182285B1 (en) Tire rubber granulator
CN105750044A (zh) 一种螺旋粉碎机
KR200445561Y1 (ko) 폐 고무용 분쇄기
JP5459888B1 (ja) 廃プラスチック類の微粉砕機
KR200405320Y1 (ko) 폐비닐 분쇄기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KR20200137801A (ko) 합성수지 커팅장치
KR101391860B1 (ko) 합성수지분쇄기
KR20210015351A (ko) 음식물쓰레기 파쇄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KR101279902B1 (ko) Epe 감용기
US5921480A (en) Grinding machine and method
KR20160020943A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의 파쇄기 장치
CN205253286U (zh) 一种塑料粉碎机
KR100717298B1 (ko) 분쇄기용 칼날
CN203508140U (zh) 一种v型刀片粉碎机
US11845086B2 (en) Machine for reducing the size of feed material
KR101600137B1 (ko) 저속 다축 분쇄기
CN105107582A (zh) 一种负压风送无筛网植物物料粉碎机
KR200457257Y1 (ko) 플라스틱 튜브의 저속 분쇄기
JP2004174304A (ja) プラスチック粉砕機
KR200375858Y1 (ko) 뿌리 파쇄장치
CN205288607U (zh) 葛根削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