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572B1 -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 Google Patents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572B1
KR102594572B1 KR1020220085161A KR20220085161A KR102594572B1 KR 102594572 B1 KR102594572 B1 KR 102594572B1 KR 1020220085161 A KR1020220085161 A KR 1020220085161A KR 20220085161 A KR20220085161 A KR 20220085161A KR 102594572 B1 KR102594572 B1 KR 102594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compression
chamber
crushing chamber
compre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일
Original Assignee
조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일 filed Critical 조재일
Priority to KR102022008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성재료 압축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취성재료를 자동으로 분쇄하도록 함으로써, 분쇄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취성재료를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취성재료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1차 분쇄시키도록 하는 제1압축부와; 상기 제1압축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압축부를 통해 1차 분쇄된 취성재료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2차 분쇄시키도록 하는 제2압축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압축부 각각에 왕복 이송력의 유압을 제공하도록 하는 유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취성재료가 최초로 투입되어 제1압축부에 의해 1차 분쇄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1분쇄실과; 상기 제1분쇄실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쇄실을 통해 1차 분쇄된 파쇄파편을 제공받아 제2압축부에서 2차 분쇄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분쇄실과; 상기 제1분쇄실의 일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제1압축부가 구성되도록 지지하는 제1유압실; 및 상기 제2분쇄실의 일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제2압축부가 구성되도록 지지하는 제2유압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COMPRESSION CRUSHER FOR PANEL- SHAPED BRITTLE MATERIAL}
본 발명은 취성재료 압축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취성재료를 자동으로 분쇄하도록 함으로써,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취성재료 압축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성재료는, 외부 충격을 받았을 때 소성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깨지면서 파괴되는 재료를 말하며, 예컨대 유리 패널, 합성수지 패널 등이 있다.
이러한 취성재료는, 충격을 가해 파쇄할 때 뾰족한 파편이 비산되어 주변의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취성재료는 파쇄과정에서 미세 입자가 발생되어 작업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취성재료를 전용으로 분쇄할 수 있는 압축분쇄기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229112호(2021. 03. 18. 공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34958호(2015. 04. 06. 공개) 한국 등록특허 제10-1391860호(2014. 05. 0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취성재료를 전용으로 분쇄할 수 있는 압축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취성재료를 자동으로 분쇄하도록 함으로써, 분쇄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줄이고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취성재료를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취성재료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1차 분쇄시키도록 하는 제1압축부와; 상기 제1압축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압축부를 통해 1차 분쇄된 취성재료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2차 분쇄시키도록 하는 제2압축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압축부 각각에 전진 및 후진의 왕복 이송력의 유압을 제공하도록 하는 유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취성재료가 최초로 투입되어 제1압축부에 의해 1차 분쇄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1분쇄실과; 상기 제1분쇄실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쇄실을 통해 1차 분쇄된 파쇄파편을 제공받아 제2압축부에서 2차 분쇄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분쇄실과; 상기 제1분쇄실의 일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제1압축부가 구성되도록 지지하는 제1유압실; 및 상기 제2분쇄실의 일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제2압축부가 구성되도록 지지하는 제2유압실;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쇄실은, 투입되는 취성재료를 수집하도록 하는 일정크기의 제1분쇄공간과; 상기 제1분쇄공간으로 취성재료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상단에 구비되어, 취성재료의 투입이 원활해지도록 지지하는 호퍼와; 상기 제1분쇄공간을 통해 1차 분쇄된 파쇄파편이 제2분쇄실로 진입되도록 상기 투입구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 및 상기 제1분쇄공간의 내측 일측에 구비되어, 제1압축부를 통해 제공되는 압축력에 의해 취성재료를 분쇄시킬 때 분쇄를 촉진시키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분쇄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구는, 1차 분쇄파편이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2분쇄실로 분쇄파편이 진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1배출구는, 투입구의 면적 대비 50 ~ 70%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1차 분쇄파편이 상기 제1배출구보다 작은 크기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분쇄헤드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분쇄공간의 내측벽에 일단이 밀착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취성재료가 접촉되는 일단에는 모따기 형상의 제1첨단면이 형성되며,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분쇄공간에 착탈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분쇄실은, 제1분쇄실에서 분쇄된 1차 파쇄파편을 제공받아 이를 수집하도록 하는 일정크기의 제2분쇄공간과; 상기 제2분쇄공간으로 진입된 1차 파쇄파편이 제2압축부의 압축력에 의해 2차 분쇄가 이루어지면 2차 파쇄파편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제2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의 하단에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2차 파쇄파편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출구는, 제1배출구의 면적 대비 50 ~ 70%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2차 파쇄된 분쇄파편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압축부는, 제1분쇄실의 일측에 고정되고, 유압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제1피스톤이 왕복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제1피스톤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1피스톤의 왕복 이송에 따라 함께 왕복 이송되면서 제1분쇄실에 투입된 취성재료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1차 분쇄공정이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제1압축판; 및 상기 제1압축판의 일단에 구비되어, 취성재료를 압축시켜 분쇄시킬 때 분쇄를 촉진시키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분쇄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린더(210)는, 제1압축판(220)에 대하여 복열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분쇄헤드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압축판에 일단이 밀착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취성재료가 접촉되는 일단에는 모따기 형상의 제2첨단면이 형성되며, 체결볼트에 의해 제1압축판에 착탈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이송분쇄헤드는 제1압축판에 대해 복수로 구성되고, 제1분쇄실에는 하나의 고정분쇄헤드가 구성되어, 상기 이송분쇄헤드와 고정분쇄헤드가 상호 교호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압축부는, 제2분쇄실의 일측에 고정되고, 유압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이 왕복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제2피스톤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2피스톤의 왕복 이송에 따라 함께 왕복 이송되면서 제2분쇄실에 투입된 1차 파쇄파편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2차 분쇄공정이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제2압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취성재료를 자동으로 분쇄함으로써, 분쇄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줄이고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취성재료를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성재료 압축분쇄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성재료 압축분쇄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압축판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압축부의 구성관계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취성재료 압축분쇄기의 작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취성재료 압축분쇄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제1압축부(20)와, 제2압축부(30), 및 유압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제1분쇄실(110)과, 제2분쇄실(120)과, 제1유압실(130), 및 제2유압실(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분쇄실(110)은, 외부에서 투입되는 취성재료를 수집함과 함께, 제1압축부(20)의 압축력에 의해 취성재료가 1차 분쇄되도록 한다.
상기 제1분쇄실(110)은 제1분쇄공간(112)과, 투입구(114)와, 제1배출구(116), 및 고정분쇄헤드(118)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분쇄공간(112)은, 프레임(10)의 일측에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내측에 투입되는 취성재료가 수집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투입구(114)는, 상기 제1분쇄공간(112)의 내측으로 취성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114)는 상기 제1분쇄공간(11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취성재료가 자유낙하로 제1분쇄공간(112)의 내측으로 수집되도록 구비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투입구(114)는 제1분쇄공간(112)의 일측방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입구(114) 상단 즉, 프레임(10)의 상단 일측에는 상광하협 형상의 ㅎ호퍼(115)가 구비된다.
제1배출구(116)는, 상기 제1분쇄공간(1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분쇄공간(112)에 수집된 취성재료가 제1압축부(20)에 의해 일정크기로 1차 분쇄가 이루어지면, 이의 분쇄파편을 제2분쇄실(120)로 진입되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배출구(116)는, 제1분쇄실(110)과 제2분쇄실(120) 사이에 구비되어, 제1분쇄실(110)을 통해 1차 분쇄된 분쇄파편이 제2분쇄실(120)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배출구(116)는, 제1분쇄실(110)의 입장에서 1차 분쇄파편이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분쇄실(120)의 입장에서 1차 분쇄파편이 진입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구(116)는, 투입구(114)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1차 분쇄파편이 상기 제1배출구(116) 보다 작은크기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출구(116)는 투입구(114)의 면적 대비 50 ~ 70%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분쇄헤드(118)는, 제1분쇄공간(1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압축부(20)를 통해 제공되는 압축력에 의해 취성재료를 파쇄시킬 때, 취성재료가 쉽게 파쇄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즉 상기 고정분쇄헤드(118)는, 제1압축부(20)와 대향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제1압축부(20)의 압축력에 의해 밀리는 취성재료의 파쇄를 촉진시킨다.
상기 고정분쇄헤드(118)는, 제1분쇄공간(112)의 내측벽에 일단이 밀착되고,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분쇄헤드(118)의 일단, 즉 밀리는 취성재료가 접촉되는 일단에는 취성재료의 파쇄를 촉진시키도록 제1첨단면(118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첨단면(1182)은, 상기 고정분쇄헤드(118)의 일단에서 뾰족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취성재료의 파쇄를 촉진시킨다. 상기 제1첨단면(1182)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분쇄헤드(118)는,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분쇄공간(112)에 착탈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분쇄헤드(118)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제2분쇄실(120)은, 상기 제1분쇄실(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쇄실(110)에서 1차 분쇄된 파쇄파편을 제공받아 제2압축부(30)를 통해 2차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분쇄실(120)은, 제2분쇄공간(122)과, 제2배출구(124), 및 토출가이드(126)를 포함한다.
상기 제2분쇄공간(122)은, 제2압축부(30)를 통해 제공되는 압축력에 의해 2차 파쇄공정이 수행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2분쇄공간(122)의 상단부에 제1분쇄실(110)의 제1배출구(116)가 형성됨에 따라, 제1분쇄실(110)을 통해 1차 파쇄된 분쇄파편이 자연스럽게 제1배출구(116)를 통해 제2분쇄공간(122)으로 투입된다.
상기 제2배출구(124)는, 제1배출구(116)과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어, 2차 파쇄된 분쇄파편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2배출구(124)는, 제1배출구(116)의 면적 대비 50 ~ 70%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가이드(126)는, 상기 제2배출구(124)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되는 2차 파쇄파편이 원하는 위치로 배출이 이루어져 2차 파쇄파편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토출가이드(126)는 일단에서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된다.
제1유압실(130)은, 상기 제1분쇄실(110)의 일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제1압축부(2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압축부(20)의 압축력이 제1분쇄실(110)에 안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제1압축부(2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유압실(130)은, 제1압축부(20)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브라켓(132)을 구비한다.
상기 제1고정브라켓(132)은, 제1유압실(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압축부(20)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의 일측을 고정시킨다.
제2유압실(140)은, 제2분쇄실(120)의 일측에 구성되고, 내측에 제2압축부(3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2압축부(30)에서 제공되는 압축력에 의해 2차 파쇄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압축부(30)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2유압실(140)에는, 제2압축부(3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2고정브라켓(142)이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브라켓(142)은, 상기 제2유압실(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압축부(30)에 구비되는 제2실린더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제1압축부(20)는, 제1유압실(130)에 구비되어, 유압부(40)에서 제공되는 유압력에 의해 전,후진의 왕복 이송을 통해 제1분쇄실(110)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분쇄실(110)에서 1차 파쇄공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1압축부(20)는, 제1실린더(210), 및 제1압축판(22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실린더(210)는, 제1유압실(130)에 고정되어, 유압부(40)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왕복 이송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210)에는, 일단이 제1실린더(210)의 삽입되고 타단이 제1분쇄실(110)의 분쇄공간(112)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유압의 왕복 이송력에 의해 왕복 이송되면서 상기 분쇄공간(112)에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제1피스톤(2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210)의 외주연 일측에는, 제1유압실(130)의 고정브라켓(132)에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제1유압실(130)에 제1실린더(2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2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축판(220)에 대하여 복열로 구비됨에 따라 취성재료의 파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압축판(220)은, 상기 피스톤(212)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212)의 왕복 이송에 의해 함께 이송되면서 제1분쇄공간(112)에 투입된 취성재료를 압축시켜 1차 파쇄공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1압축판(2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실(110)에 왕복 이송되면서 실질적으로 취성재료에 압축력을 작용하여, 취성재료의 1차 파쇄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파쇄헤드(2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파쇄헤드(230)는, 제1압축판(220)에 일단이 밀착되고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취성재료의 파쇄를 촉진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분쇄헤드(230)의 일단, 즉 밀리는 취성재료가 접촉되는 일단에는 취성재료의 파쇄를 촉진시키도록 제2첨단면(2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첨단면(232)은, 상기 이송분쇄헤드(230)의 일단에서 뾰족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취성재료의 파쇄를 촉진시킨다. 상기 제2첨단면(232)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쇄헤드(230)는,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압축판(220)에 착탈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송분쇄헤드(23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분쇄헤드(230)는, 제1압축판(220)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분쇄헤드(230)는, 상기 압축판(220)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210)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분쇄헤드(230)는, 도 2와 같이, 제1압축판(220)에 대해 복수로 구성되고, 제1분쇄실(110)에 하나의 고정분쇄헤드(118)가 구성되되, 상기 이송분쇄헤드(230)와 고정분쇄헤드(118)가 상호 교호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1분쇄실(110)의 제1분쇄공간(112)에서 제1압축판(220)의 압축길이를 단축시켜, 파쇄를 촉진시키고 분쇄파편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2압축부(30)는, 제2유압실(140)에 구비되어, 유압부(40)에서 제공하는 유압에 의해 제2분쇄실(120)에 압축력을 제공함에 따라 취성재료에 대한 2차 파쇄공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2압축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310), 및 제2압축판(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실린더(310)는, 제2유압실(140)에 고정되어, 유압부(40)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왕복 이송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310)에는, 일단이 제2실린더(310)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분쇄실(120)의 제2분쇄공간(122)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유압의 왕복 이송력에 의해 왕복 이송되면서 상기 제2분쇄공간(122)에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제2피스톤(3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310)의 외주연 일측에는, 제2유압실(140)의 제2고정브라켓(142)에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제2유압실(140)에 제2실린더(3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3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210)는 제2압축판(320)에 대하여 복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압축판(320)은, 상기 제2피스톤(312)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피스톤(312)의 왕복 이송에 의해 함께 이송되면서, 제2분쇄공간(122)에 투입된 취성재료를 압축시켜 2차 파쇄공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유압부(40)는,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압축부(20)(30)로 유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압축부(20)(30) 각각에서 왕복 이송에 의한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유압부(40)는 유압모터(42) 및 오일펌프(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축분쇄기의 작용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와 같이, 프레임(10)의 일측에 구성된 호퍼(115)로 취성재료를 투입시키면, 상기 호퍼(115)의 안내에 따라 취성재료가 투입구(114)를 통해 제1분쇄실(110)의 제1분쇄공간(112)으로 투입된다.
도 6b와 같이, 제1분쇄실(110)에 취성재료의 투입이 완료되면, 제1유압실(130)에 구성된 제1압축부(20)에서 제공되는 압축력에 의해 취성재료에 대한 1차 파쇄공정이 수행된다.
즉, 유압부(40)의 모터(42)의 작용으로 오일펌프(44)에서 전진력에 대한 유압이 제1압축부(20)의 제1실린더(210)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제1실린더(210)에 구성된 제1피스톤(212)이 전진됨에 따라 상기 제1피스톤(212)의 일단에 구성된 제1압축판(220)이 전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압축판(220)이 전진되면서 제1분쇄공간(112)에 투입된 취성재료를 압축함으로써, 상기 제1분쇄공간(112)에서 취성재료의 파쇄가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압축판(220)의 일단에 이송분쇄헤드(230)가 구성되고, 제1분쇄공간(112)에 상기 이송분쇄헤드(230)와 교호되게 고정분쇄헤드(118)가 구성됨으로써, 취성재료에 대한 파쇄를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압축판(220)이 제1분쇄공간(112)의 내부 끝단까지 전진이 이루어지면, 유압부(40)에서 후진력에 대한 유압이 제1압축부(20)에 제공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압축부(20)의 제1실린더(210)에 작용하는 후진의 유압에 의해 제1피스톤(212)과 함께 제1압축판(220)이 후진하게 된다.
상기 유압부(40)에서 제공되는 후진의 유압에 의해 제1압축부(20)의 후진이 완료되면, 재차 상기 유압부(40)에서 전진 유압이 작용하여 상기 제1압축부(20)에서 취성재료에 대한 압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취성재료의 파쇄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제1압축부(20)는 제1분쇄실(110)에 수차례 반복적인 압축력을 작용시켜 취성재료에 대한 1차 파쇄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분쇄실(110)에서 1차 파쇄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1차 파쇄된 취성재료는, 제1분쇄실(110)의 일측에 구성된 제1배출구(116)를 통해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낙하되어, 상기 제1분쇄실(110)의 하방에 구성된 제2분쇄실(120)로 이송된다.
도 6c와 같이, 제1압축부(20)에 의해 1차 파쇄된 취성재료가 제1배출구(116)를 통해 제2분쇄실(120)에 투입되면, 상기 제2분쇄실(120)의 일단에 구성된 제2압축부(30)에서 제공되는 압축력에 의해 2차 파쇄공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2차 파쇄된 취성재료의 분쇄파편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유압부(40)에서 전진력의 유압이 제2압축부(30)의 제2실린더(310)로 제공되면, 상기 제2실린더(310)에 구성된 제2피스톤(312)이 전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2피스톤(312)의 일단에 구성된 제2압축판(320)이 전진함으로써, 제2분쇄실(120)의 제2분쇄공간(122)에 투입된 취성재료의 1차 분쇄파편을 파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압축판(320)의 전진이 완료되면, 유압부(40)에서 후진의 유압이 작용하여 제2압축부(30)의 제2실린더(310)에서 후진력이 작용함으로써, 전진된 제2압축판(320)이 제2피스톤(312)과 함께 후진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압부(40)에서 전진 및 후진의 왕복 이송의 유압이 수차례 제공됨에 따라, 상기 제2압축부(30)에서 수차례 반복적인 압축력이 제2분쇄실(120)에 작용함으로써, 1차 분쇄파편에 대한 2차 파쇄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취성재료 압축분쇄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프레임 110: 제1분쇄실
112: 제1분쇄공간 114: 투입구
115: 호퍼 116: 제1배출구
118: 고정분쇄헤드 1182: 제1첨단면
120: 제2분쇄실 122: 제2분쇄공간
124: 제2배출구 126: 토출가이드
130: 제1유압실 132: 제1고정브라켓
140: 제2유압실 142: 제2고정브라켓
20: 제1압축부 210: 제1실린더
212: 제1피스톤 214: 제1지지브라켓
220: 제1압축판 230: 이송분쇄헤드
232: 제2첨단면 30: 제2압축부
310: 제2실린더 312: 제2피스톤
314: 제2지지브라켓 320: 제2압축판
40: 유압부 42: 유압모터
44: 오일펌프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취성재료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1차 분쇄시키도록 하는 제1압축부와;
    상기 제1압축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압축부를 통해 1차 분쇄된 취성재료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2차 분쇄시키도록 하는 제2압축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압축부 각각에 전진 및 후진의 왕복 이송력의 유압을 제공하도록 하는 유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취성재료가 최초로 투입되어 제1압축부에 의해 1차 분쇄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1분쇄실과;
    상기 제1분쇄실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쇄실을 통해 1차 분쇄된 파쇄파편을 제공받아 제2압축부에서 2차 분쇄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분쇄실과;
    상기 제1분쇄실의 일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제1압축부가 구성되도록 지지하는 제1유압실; 및
    상기 제2분쇄실의 일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제2압축부가 구성되도록 지지하는 제2유압실;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쇄실은,
    투입되는 취성재료를 수집하도록 하는 일정크기의 제1분쇄공간과;
    상기 제1분쇄공간으로 취성재료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상단에 구비되어, 취성재료의 투입이 원활해지도록 지지하는 호퍼와;
    상기 제1분쇄공간을 통해 1차 분쇄된 파쇄파편이 제2분쇄실로 진입되도록 상기 투입구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 및
    상기 제1분쇄공간의 내측 일측에 구비되어, 제1압축부를 통해 제공되는 압축력에 의해 취성재료를 분쇄시킬 때 분쇄를 촉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분쇄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구는, 1차 분쇄파편이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2분쇄실로 분쇄파편이 진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1배출구는, 투입구의 면적 대비 50 ~ 70%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1차 분쇄파편이 상기 제1배출구보다 작은 크기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분쇄헤드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분쇄공간의 내측벽에 일단이 밀착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취성재료가 접촉되는 일단에는 모따기 형상의 제1첨단면이 형성되며,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분쇄공간에 착탈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분쇄실은,
    제1분쇄실에서 분쇄된 1차 파쇄파편을 제공받아 이를 수집하도록 하는 일정크기의 제2분쇄공간과;
    상기 제2분쇄공간으로 진입된 1차 파쇄파편이 제2압축부의 압축력에 의해 2차 분쇄가 이루어지면 2차 파쇄파편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제2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의 하단에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2차 파쇄파편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토출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출구는, 제1배출구의 면적 대비 50 ~ 70%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2차 파쇄된 분쇄파편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압축부는,
    제1분쇄실의 일측에 고정되고, 유압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제1피스톤이 왕복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제1피스톤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1피스톤의 왕복 이송에 따라 함께 왕복 이송되면서 제1분쇄실에 투입된 취성재료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1차 분쇄공정이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제1압축판; 및
    상기 제1압축판의 일단에 구비되어, 취성재료를 압축시켜 분쇄시킬 때 분쇄를 촉진시키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분쇄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린더는, 제1압축판에 대하여 복열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분쇄헤드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압축판에 일단이 밀착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취성재료가 접촉되는 일단에는 모따기 형상의 제2첨단면이 형성되며, 체결볼트에 의해 제1압축판에 착탈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이송분쇄헤드는 제1압축판에 대해 복수로 구성되고, 제1분쇄실에는 하나의 고정분쇄헤드가 구성되어, 상기 이송분쇄헤드와 고정분쇄헤드가 상호 교호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압축부는,
    제2분쇄실의 일측에 고정되고, 유압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이 왕복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제2피스톤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2피스톤의 왕복 이송에 따라 함께 왕복 이송되면서 제2분쇄실에 투입된 1차 파쇄파편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2차 분쇄공정이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제2압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85161A 2022-07-11 2022-07-11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KR102594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161A KR102594572B1 (ko) 2022-07-11 2022-07-11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161A KR102594572B1 (ko) 2022-07-11 2022-07-11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572B1 true KR102594572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161A KR102594572B1 (ko) 2022-07-11 2022-07-11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5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083A (ja) * 1992-09-28 1994-04-19 Yuatsuki Kogyo Kk 油圧による鋳造用の堰、湯道、不良製品等の破砕・折断装置
JPH07527U (ja) * 1993-06-11 1995-01-06 丸協産業株式会社 剪断型破砕装置及び圧縮型破砕装置並びに両破砕装置を用いた多段式破砕装置
KR100597192B1 (ko) * 2001-12-29 2006-07-04 정은수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91860B1 (ko) 2013-07-12 2014-05-07 박철우 합성수지분쇄기
KR20150034958A (ko) 2013-09-27 2015-04-06 고영재 커터 이동식 합성수지 폐기물 분쇄기
KR20190091613A (ko) * 2018-01-29 2019-08-07 강철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102229112B1 (ko) 2020-08-21 2021-03-18 한성석 패각분쇄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083A (ja) * 1992-09-28 1994-04-19 Yuatsuki Kogyo Kk 油圧による鋳造用の堰、湯道、不良製品等の破砕・折断装置
JPH07527U (ja) * 1993-06-11 1995-01-06 丸協産業株式会社 剪断型破砕装置及び圧縮型破砕装置並びに両破砕装置を用いた多段式破砕装置
KR100597192B1 (ko) * 2001-12-29 2006-07-04 정은수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91860B1 (ko) 2013-07-12 2014-05-07 박철우 합성수지분쇄기
KR20150034958A (ko) 2013-09-27 2015-04-06 고영재 커터 이동식 합성수지 폐기물 분쇄기
KR20190091613A (ko) * 2018-01-29 2019-08-07 강철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102229112B1 (ko) 2020-08-21 2021-03-18 한성석 패각분쇄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328407U (zh) 一种建筑材料垃圾快速破碎装置
CN108889370B (zh) 建筑水泥加工用高压辊磨机
CN111408466A (zh) 一种高效碎石机
KR200426412Y1 (ko) 압축 파쇄기
KR102594572B1 (ko)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KR102178018B1 (ko) 가연성 폐기물 압축절단파쇄기
CN210522589U (zh) 双侧进料立轴多级齿刃圆锥破碎机
KR100934427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마쇄기
CN211612947U (zh) 一种煤矿破碎装置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100642253B1 (ko) 압축 파쇄기
KR102216444B1 (ko) 자동차의 폐엔진 푸시형 파쇄기
CN209866267U (zh) 一种改良型玻璃粉碎结构
CN108972964A (zh) 废泡沫造粒回收设备
CN208786625U (zh) 一种建筑工程用废弃建材回收装置
RU1659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робления стеклотары
CN214599243U (zh) 一种混凝土废料回收利用装置
CN109894210A (zh) 一种药物粉碎机及其操作方法
JPH0341792Y2 (ko)
CN217989411U (zh) 一种饲料超微粉碎机
CN213611878U (zh) 一种化工废料粉碎处理装置
CN211385259U (zh) 一种玻璃钢粉碎机
CN213102548U (zh) 一种能够均匀粉碎平稳出料的粉碎机
CN114011516B (zh) 带有三层冲击板的二次打击式中药粉碎机
CN211964295U (zh) 出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