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192B1 -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192B1
KR100597192B1 KR1020010088151A KR20010088151A KR100597192B1 KR 100597192 B1 KR100597192 B1 KR 100597192B1 KR 1020010088151 A KR1020010088151 A KR 1020010088151A KR 20010088151 A KR20010088151 A KR 20010088151A KR 100597192 B1 KR100597192 B1 KR 10059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hute
case
hoppers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022A (ko
Inventor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정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수 filed Critical 정은수
Priority to KR102001008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1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를 분쇄, 세척, 건조 및 포장까지 완료하여 부피를 줄여 운반비용과 쓰레기 처리 비용을 줄이고 기업체, 아파트 단지내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바로 재활용하거나 폐기처리 할 수 있도록 된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리된 쓰레기가 종류에 따라 각각 담기는 복수의 호퍼들(11~15), 이 호퍼들로부터 각각 쓰레기를 투입하는 복수의 슈트(21~25,26,27), 캔과 병 따위를 파쇄하는 파쇄수단(30), 이 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된 쓰레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단(40), 세척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50), 건조된 쓰레기를 포장하는 제1포장수단(60), 플라스틱류와 종이 따위를 분쇄하는 제1분쇄수단(70), 일반 폐기용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2분쇄수단(90), 상기 제1 및 제2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쓰레기를 포장하는 제2포장수단(80), 상기 각 슈트에 연결되는 개폐수단(101~107)을 구비한다.
쓰레기, 파쇄, 세척, 건조, 포장, 분쇄, 슈트

Description

쓰레기 처리장치{Waste treatment apparatus}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된 파쇄수단을 일부 절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된 세척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된 건조수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된 제1포장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된 제1분쇄수단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쇄롤러의 일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된 제2포장수단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된 제2분쇄수단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된 슈트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삭제
삭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5 : 호퍼 21~27 : 슈트
30 : 파쇄수단 40 : 세척수단
50 : 건조수단 60 : 제1포장수단
70 : 제1분쇄수단 80 : 제2포장수단
90 : 제2분쇄수단 101~107 : 개폐수단
본 발명은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분리된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쇄 및 세정하여 포장까지 완료하는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 식당, 유흥업소, 사업장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는 분리 수거되고, 이 분리 수거된 쓰레기는 폐기물 처리 업체에 의해 일정장소로 운반되어 재활용 또는 폐기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 수거된 생활 쓰레기나 일반 쓰레기는 부피가 커서 운반 및 수거에 많은 인력과 운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대규모 쓰레기 처리장 시설의 설치와 운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업장이나 아파트 단지에서 분리된 각각의 쓰레기를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쓰레기 처리장치는 캔류, 병류, 합성수지류 등 각각이 개별적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쓰레기를 동시에 한 장소에서 처리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쓰레기를 분쇄, 세척, 건조 및 포장까지 완료함으로써 부피를 줄여 운반비용과 최종적인 쓰레기 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업체, 아파트 단지내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바로 재활용하거나 폐기처리 할 수 있도록 일괄 처리 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쓰레기 처리장치는, 분리된 쓰레기가 종류에 따라 각각 담기는 복수의 호퍼들과, 이 호퍼들로부터 각각 쓰레기를 투입하는 복수의 슈트와, 상기 호퍼들중 캔과 병 따위의 쓰레기를 위한 호퍼들과 그 슈트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투입되는 캔과 병 따위를 압축 또는 파쇄하는 압축겸파쇄수단과, 이 압축겸파쇄수단에 의해 압축 또는 파쇄된 쓰레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세척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과, 건조된 쓰레기를 포장하는 제1포장수단과, 상기 호퍼들중 플라스틱류와 종이 따위의 쓰레기가 각각 담기는 호퍼들과 그 슈트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1분쇄수단과, 상기 호퍼들중 일반 폐기용 쓰레기가 담기는 호퍼와 그 슈트를 통해 연결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2분쇄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쓰레기를 포장하는 제2포장수단과, 상기 각 슈트에 연결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압축겸파쇄수단은 상부에 상기 슈트와 연결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하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채워진 캔 또는 병을 압축 또는 파쇄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 상기 슬라이더와 가압을 각각 전후진 시키도록 작동되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압판에 다수의 침상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슈트에 의해 연결되는 제1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쓰레기를 이송하도록 구동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이 분사노즐과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세척수탱크로부터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수단은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쓰레기를 이송하도록 구동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제2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노즐과, 이 열풍노즐과 덕트로 연결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케이스의 일측에는 내부의 증발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풍덕트와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분쇄수단은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절삭 파쇄돌기가 상호 엇갈리게 설치되는 파쇄돌기들이 형성된 한쌍의 분쇄롤러와, 상기 분쇄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포장수단은 상기 제1분쇄수단과 슈트로 연결되는 압축케이스와, 이 압축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가압판과, 상기 압축케이스의 하부에 압축케이스에 끼워진 포대를 지지하며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대와, 상기 압축케이스에 끼워진 포대를 지지하는 가대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의 호퍼중 적어도 하나와, 그 적어도 하나의 호퍼와 연결되어 쓰레기를 압축 또는 파쇄하는 상기 압축겸파쇄수단이나 그 투하되는 쓰레기를 분쇄하는 상기 제1분쇄수단과, 그 압축겸파쇄수단 또는 제1분쇄수단에 의해 처리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용기를 하나의 케이스에 장착하여 되는 간이용의 쓰레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10)는 분리 수거된 쓰레기가 종류별로 각각 담기는 제1,2,3,4,5호퍼(11~15)들과, 상기 호퍼들중 캔과 병 따위의 쓰레기를 위한 제1,2호퍼(11,12)와 제1,2슈트(21,22)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압축겸파쇄수단(30)과, 이 압축겸파쇄수단(30)에 의해 압축된 캔이나 파쇄된 병조각 등의 쓰레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단(40)과, 상기 압축 또는 파쇄된 쓰레기의 세척후 건조를 위한 건조수단(50)과, 건조된 쓰레기를 포장하는 제1포장수단(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들중 플라스틱류와 종이 따위의 쓰레기를 위한 제3,4호퍼(13,14)와 제3,4슈트(23,24)에 의해 연결되는 제1분쇄수단(70)과, 상기 제1분쇄수단(70)에 의해 분쇄된 쓰레기를 포장하는 제2포장수단(80)과, 상기 호퍼들중 일반 폐기용 쓰레기가 담기는 제5호퍼(15)와 제5슈트(25)에 의해 연결되며 분쇄하는 제2분쇄수단(90)과, 상기 제1,2분쇄수단(70,90)과 상기 제2포장수단(80)을 연결하는 제6슈트(26)와, 상기 각 슈트에 연결되는 개폐수단(101~107)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내지 5호퍼(11,15)는 상부가 개방되어 선택된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호퍼(11,12)와 제1,2슈트(21,22)와 연결된 상기 압축겸 파쇄수단(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그 제1,2슈트(21,22)와 연결되는 투입구(31)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토출구(32a)가 형성된 본체(32)와, 이 본체(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하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더(33)와 상기 본체(32)의 내부에 일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투입된 캔을 작은 부피로 압축하고 또는 투입된 병을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도록 가압하는 가압판(34), 상기 슬라이더(33)와 가압판(34)을 각각 밀고 당기도록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35,36)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32)에 대한 슬라이더(33)의 전후진은 슬라이더(33)에 하중이 가하여져도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별도의 가이드 수단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34)에는 압축이나 파쇄가 용이하도록 하는 다수의 침상 돌기(3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단(40)은 상기 압축겸파쇄수단(30)에 의해 압축 또는 파쇄된 쓰레기를 세척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겸파쇄수단(30)의 하부에 설치된 제6호퍼(16)와 제7슈트(27)에 의해 연결되는 제1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42)와, 상기 제1케이스(41)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43)과, 상기 분사노즐(43)과 연결관(43a)으로 연결되어 세척수탱크(45)로부터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4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컨베이어는 메쉬상의 벨트체인 컨베이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스(41)의 하부는 세척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경사져 있으며 이의 출구는 세척수를 정화시키는 위한 정화탱크(46)와 연결된다. 상기 정화탱크(46)에는 교반기(47)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화 약품공급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건조수단(50)은 세척수단으로부터 세척된 쓰레기를 세척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단의 출구측에 그 입구가 설치되는 제2케 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1)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52)와, 상기 제2케이스(51)의 상부 즉, 컨베이어(52)와 대응되는 상부에 설치되는 열풍노즐(53)과, 상기 열풍노즐(53)과 덕트(54)에 의해 연결되는 열풍기(5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51)의 일측에는 내부의 증발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풍덕트(56)와 팬(57)이 더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단(40)과 건조수단(5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파쇄된 쓰레기를 건조 및 세척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제 1포장수단(60)은 상기 건조수단(50)된 파쇄물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와 제8호퍼(18)을 연결하는 밸트컨베이어(61)와, 상기 제8호퍼(18)의 하부에 설치되는 포대 지지대(62)와, 상기 포대 지지대(62)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대(300)을 지지하며 포대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로드셀(63)이 설치된 테이블(64)을 포함한다. 상기 포대는 규격화된 쓰레기 봉지 또는 출구를 묶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마대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포대 지지대(62)는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62a)들에 가이드 되는 체인(62b)들과, 상기 각 체인(62b)들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마대 지지봉(62c)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은 별도의 구동모우터(62d)에 의해 포대(300) 간격에 맞춰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 8호퍼(18)의 출구에는 로드셀에 감지된 무게에 따라 호퍼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65)를 포함하는데, 이 개폐장치는 통상적인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버터 플라이 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3,4호퍼(13,14)와 제3,4 슈트(23,24)와 연결되는 제1분쇄장치(70)는 종이류와 플라스틱류를 분쇄하는 것으로, 도 1 및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7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분쇄롤러(72,73)와, 상기 분쇄롤러(72,73)들의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75)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롤러(72,73)는 각각 외주면에 절삭날(72a,73a)과 절삭 톱니(72b,73b)가 상호 엇갈리며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포장수단(80)은 상기 제1분쇄수단(70)에 의해 분쇄된 종이 또는 플라스틱류를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수단(70)과 그 측면을 연결하는 슈트(81a)가 연통되는 압축케이스(81)와, 이 압축케이스(81)의 상부에 설치되며 실린더(82a)에 의해 승강되는 가압판(8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케이스(81)의 하부에 압축케이스(81)에 끼워진 포대(300)를 지지하는 지지대(83)가 설치되는데, 이 지지대(83)는 실린더(84)에 의해 승강되며, 일측에는 상기 압축케이스(81)에 끼워진 포대를 지지지하는 가대(85)가 설치된다.
상기 제2분쇄장치(90)는 일반 쓰레기를 분쇄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호퍼(15)와 연결된 케이싱(9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분쇄롤러(92,93)와, 상기 분쇄롤러(92,93)들의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95)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롤러(92,93)는 각각 외주면에 절삭 파쇄 돌기(92a,93a)가 상호 엇갈리며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장치는 제9슈트(29)에 의해 제6호퍼(16)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슈트들에는 개폐장치(101-107)가 설치되는데, 이 개폐장치(101-107)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에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셔터(101a-107a)와, 상기 셔터(101a-107a)를 전후진시키는 실린더(101b-107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셔텨의 하부에는 바이 패스통로(101c-107c)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동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된 쓰레기들을 각 제1,2,3,4,5호퍼(11-15)에 각각 병, 캔, 플라스틱류, 종이, 일반쓰레기를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병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개패장치(101)을 열어 호퍼(11)의 내부에 공급된 병이 상기 파쇄수단(30)의 본체(31)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슬라이더(33)는 전진하여 토출구(32a)를 차단하고, 상기 가압판(34)은 실린더(36)에 의해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병이 파쇄수단(30)의 내부에 공급되면 상기 실린더(36)에 의해 가압판(34)가 전진하여 가압함으로써 병을 파쇄한다. 이와 같이 파쇄가 완료되면 상기 가압판(34)이 후퇴됨과 동시에 슬라이더(33)가 실리더(35)에 의해 후퇴되어 토출구(32a)가 열린다.
상기 토출구(32a)가 열리면 파쇄된 유리는 제6호퍼(16)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유리를 제7슈트(27)를 통하여 세척장치(40)의 컨베이어(42)로 공급된다. 상기 컨베 이어(42)로 공급된 유리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고, 이의 상부에 설치된 노즐(43)으로부터 펌프(44)에 의해 공급된 세척수가 분사되어 이들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유리를 세척하고난 세척수는 케이스의 경사진 하면을 따라 정화탱크로 유입되고 이 정화탱크(46)에 설치된 교반기(47)에 의해 약품과 혼합되어 정화된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를 이동하면서 세척된 유리는 건조수단(50)의 컨베이어(52)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되는 과정중에 이의 상부에 설치된 열풍노즐(53)로부터 열풍기(55)에 의해 공급된 온풍에 의해 건조된다.
이와 같이 건조된 유리는 포장수단(60)의 컨베이어(61)을 따라 이동이송된 후 제8호퍼(18)로 유입되고, 제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62b)에 의해 지지된 포대(300)로 공급된다. 포대(300)에 공급되면 상기 로드셀(63)에 의해 그 무게가 감지되고 설정된 무게가 되면 개폐장치(61)가 닫힌다. 이와 같이 포대에 유리의 공급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포대를 들어내어 묶음으로써 포장을 완료한다.
상기 제2호퍼에 담긴 캔류도 상술한 바와 같이 파쇄하여 포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이를 분쇄하여 포장하기 위해서는 제3호퍼(13)에 공급된 종이를 제4슈트(24)를 통하여 제1분쇄장치(70)로 공급한다. 공급된 종이는 분쇄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절단칼날(72a,73a)과 절단톱니(72b,73b)에 의해 분쇄된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종이는 슈트(81a)를 통하여 압축케이스(81)에 공급된다. 이때에 상기 압축 케이스(81)에는 가대(85)에 지지된 포대가 끼워져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포대(300)에 담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대(300)에 일정량의 종이가 채워지면 상기 실린더(82a)에 의해 가입판(82)이 하강하여 종이를 가압한 후 상승하게 된다. 그리 고 다시 포대에는 분쇄된 종이가 공급되고 상기 가압판(82)이 하강하여 다시 가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포대에 종이가 충분히 가압된 상태로 담기면 상기 가압판이 하강함과 동시에 실린더(84)에 의해 지지대가 하강하여 포대(300)가 압축케이스(81)로부터 분리되고 작업자는 분리된 포대를 묶어 포장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류 또는 일반쓰레기도 제1분쇄장치 또는제2분쇄장치에 의해 분쇄하여 상기와 같이 포장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류를 분쇄하여 세정하기 위해서는 분쇄된 플라스틱류를 제9슈트(29)에 의해 제6호퍼로 공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 및 건조 포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처리장치의 간이용으로서, 쓰레기중 재활용가능한 쓰레기, 예를 들면 캔과 병 및 플라스틱을 각각 1차처리하도록 간소화된 실시예를 보인다. 이 간이용의 쓰레기처리장치는 하나의 케이스(400)에, 전술한 제1,제2 및 제4호퍼(11,12,14), 각 호퍼와 연결된 슈트(21,22,24), 제1,제2슈트의 개폐수단(101,102), 제1,제3호퍼(11,12)측의 슈트(21,22)를 통해 투하되는 캔이나 병을 압축 또는 파쇄하는 압축겸파쇄수단(30), 이 압축겸파쇄수단의 출구측 개폐장치(108), 제4호퍼(14)측의 슈트(24)를 통해 투하되는 플라스틱류를 분쇄하는 분쇄수단(70), 그리고 압축겸파쇄수단(30)에 의해 압축된 캔과 파쇄된 병 및 분쇄수단(70)에 의해 분쇄된 플락스틱 쓰레기를 각각 수거하는 수거용기(401,402,403)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간이용 쓰레기처리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는 분리된 쓰레기를 분쇄 및 파쇄하여 그 부피를 줄이 상태에서 세척 및 포장 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이 용이하고 포장과 운반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공장, 가정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로 인하여 주위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 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분리된 쓰레기가 종류에 따라 각각 담기는 복수의 호퍼들과, 이 호퍼들로부터 각각 쓰레기를 투입하는 복수의 슈트와, 상기 호퍼들중 캔과 병 따위의 쓰레기를 위한 호퍼들과 그 슈트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투입되는 캔과 병 따위를 압축 또는 파쇄하는 압축겸파쇄수단과, 이 압축겸파쇄수단에 의해 압축 또는 파쇄된 쓰레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세척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과, 건조된 쓰레기를 포장하는 제1포장수단과, 상기 호퍼들중 플라스틱류와 종이 따위의 쓰레기가 각각 담기는 호퍼들과 그 슈트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1분쇄수단과, 상기 호퍼들중 일반 폐기용 쓰레기가 담기는 호퍼와 그 슈트를 통해 연결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2분쇄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쓰레기를 포장하는 제2포장수단과, 상기 각 슈트에 연결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압축겸파쇄수단이 상부에 상기 슈트와 연결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하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채워진 캔 또는 병을 압축 또는 파쇄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 상기 슬라이더와 가압을 각각 전후진 시키도록 작동되는 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제2포장수단은 상기 제1분쇄수단과 슈트로 연결되는 압축케이스와, 이 압축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가압판과, 상기 압축케이스의 하부에 압축케이스에 끼워진 포대를 지지하며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대와, 상기 압축케이스에 끼워진 포대를 지지하는 가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이 다수의 침상 돌기를 가지고 있는 쓰레기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이 상기 슈트에 의해 연결되는 제1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쓰레기를 이송하도록 구동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이 분사노즐과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세척수탱크로부터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이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쓰레기를 이송하도록 구동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제2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노즐과, 이 열풍노즐과 덕트로 연결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일측에는 내부의 증발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풍덕트와 팬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쇄수단이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절삭 파쇄돌기가 상호 엇갈리게 설치되는 파쇄돌기들이 형성된 한쌍의 분쇄롤러와, 상기 분쇄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10088151A 2001-12-29 2001-12-29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9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151A KR100597192B1 (ko) 2001-12-29 2001-12-29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151A KR100597192B1 (ko) 2001-12-29 2001-12-29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022A KR20030058022A (ko) 2003-07-07
KR100597192B1 true KR100597192B1 (ko) 2006-07-04

Family

ID=3221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151A KR100597192B1 (ko) 2001-12-29 2001-12-29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262B1 (ko) 2017-12-07 2018-11-20 서민철 캔 폐기물 압축방법
KR101920265B1 (ko) 2018-03-23 2018-11-20 서민철 캔 폐기물 압축방법
KR102594572B1 (ko) * 2022-07-11 2023-10-25 조재일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47B1 (ko) * 2020-04-17 2020-07-16 장진혁 재질 별로 컵을 분류하고 분쇄하여 보관하는 일회용 컵 스마트 팩토리
KR102264246B1 (ko) * 2021-02-16 2021-06-14 쓰리에스씨 주식회사 투명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파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693A (ko) * 1995-12-13 1997-07-22 니시보리 사다오 폐기 수지제 포장용 용기의 회수.조립방법
KR19980071974A (ko) * 1998-07-08 1998-10-26 이성춘 음식물쓰레기 발효사료 및 비료화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0177141B1 (ko) * 1996-04-22 1999-04-01 한상철 폐기물 압축기의 압축판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693A (ko) * 1995-12-13 1997-07-22 니시보리 사다오 폐기 수지제 포장용 용기의 회수.조립방법
KR0177141B1 (ko) * 1996-04-22 1999-04-01 한상철 폐기물 압축기의 압축판 구동장치
KR19980071974A (ko) * 1998-07-08 1998-10-26 이성춘 음식물쓰레기 발효사료 및 비료화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262B1 (ko) 2017-12-07 2018-11-20 서민철 캔 폐기물 압축방법
KR101920265B1 (ko) 2018-03-23 2018-11-20 서민철 캔 폐기물 압축방법
KR102594572B1 (ko) * 2022-07-11 2023-10-25 조재일 패널 형상의 취성재료 전용 압축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022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914B1 (ko) 다목적 폐기물 처리 시스템
CN112573044B (zh) 一种自动封口推袋垃圾箱
KR100597192B1 (ko)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0129348A (ko) 폐기물 압축장치
CN105728437B (zh) 一种餐饮垃圾自动处理系统和设备
CN105750066B (zh) 移动式大件垃圾处理设备
KR19980022298A (ko) 쓰레기를 이용한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H09239342A (ja) ゴミの減量方法および減量装置
KR20140060839A (ko) 쓰레기 처리장치
CN109332353A (zh) 一种能够自动称重计量的垃圾回收分选打包系统及其工作流程
CN212981217U (zh) 一种新型工业垃圾处理装置
CN205393170U (zh) 一种餐饮垃圾自动处理系统和设备
KR20060122359A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0225561Y1 (ko) 생활폐기물 중 재활용품 선별장치
US6070522A (en) Trash compactor
KR100425026B1 (ko)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1002761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31951B1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WO2012140456A1 (en) Procedure and plant for sorting of municipal solid waste
JP2000084425A (ja) 破砕機,及び該破砕機を備えた収集装置
CN211686690U (zh) 一种电子示踪垃圾分类回收系统
KR200392073Y1 (ko) 음식물 건조장치
CN214601001U (zh) 一种用于生活垃圾处理用分类打包装置
CN213377104U (zh) 一种建筑材料粉碎装置
CN214191124U (zh) 一种自动封口推袋垃圾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