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409A -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409A
KR20120011409A KR1020100073174A KR20100073174A KR20120011409A KR 20120011409 A KR20120011409 A KR 20120011409A KR 1020100073174 A KR1020100073174 A KR 1020100073174A KR 20100073174 A KR20100073174 A KR 20100073174A KR 20120011409 A KR20120011409 A KR 20120011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transport
chute
guide damp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784B1 (ko
Inventor
박운석
구근모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7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20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는: 공급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운송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며 운송물이 수송벨트컨베이어로 이동되는 배출공을 구비하는 슈트부와, 슈트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공급벨트컨베이어에서 배출공으로 낙하되는 운송물의 낙하 방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댐퍼 및 가이드댐퍼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GOODS SUPPLYING DEVICE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물이 벨트부재에 편적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 및 원료 등의 운송물 수송은 해상과 육상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대다수의 경우 선박을 통하여 운송되어 언로더를 통하여 하역되고,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된다.
선박에서 하역된 운송물의 장거리 이송이 필요할 경우에는, 여러 개의 벨트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야적장으로 이송한다.
벨트컨베이어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지며, 벨트부재가 메인롤러에 의해 구동되므로 석탄이나 광석 등의 운송물을 이송한다.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를 따라서 운송물이 이송되며, 운송물을 이송하고 난 이후의 벨트부재는 메인롤러에 감겨서 회전된 이후에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벨트컨베이어는 설치 장소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운송물이 이송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벨트부재로 공급되는 운송물이 벨트부재의 중앙부로 공급되어 벤트컨베이어의 내구성 및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는: 공급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운송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며 운송물이 수송벨트컨베이어로 이동되는 배출공을 구비하는 슈트부와, 슈트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공급벨트컨베이어에서 배출공으로 낙하되는 운송물의 낙하 방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댐퍼 및 가이드댐퍼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슈트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공급벨트컨베이어의 단부가 설치되며, 배출공의 하측으로 수송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댐퍼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변부는, 가이드댐퍼에 연결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루부재와, 스크루부재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되어 슈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며 수송벨트컨베이어로 낙하되는 운송물의 낙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부는 수송벨트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와 연결되며 센서부의 동작상태 및 가이드댐퍼의 위치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는, 수송벨트컨베이어로 공급되는 운송물이 편적되는 경우, 가변부가 동작되어 운송물의 낙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댐퍼의 위치를 조절하므로, 운송물의 편적이 방지되어 수송벨트컨베이어의 내구성 및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벨트컨베이어에 운송물이 편적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가 동작되어 수송벨트컨베이어의 중앙부로 운송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벨트컨베이어에 운송물이 편적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가 동작되어 수송벨트컨베이어의 중앙부로 운송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1)는, 공급벨트컨베이어(10)를 따라 이동되는 운송물(30)을 수송벨트컨베이어(20)로 안내하는 슈트부(40)와, 슈트부(40)를 따라 이송되는 운송물(30)의 낙하 방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댐퍼(50) 및 슈트부(40)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댐퍼(50)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변부(60)를 포함한다.
슈트부(40)의 측면(42)을 관통하여 공급벨트컨베이어(10)의 단부가 설치되므로, 슈트부(40)로 운송물(30)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공급벨트컨베이어(10)의 공급헤드풀리(14)는 슈트부(40)의 내측에 설치되며, 공급헤드풀리(14)의 회전으로 이동되는 공급벨트부재(12)는 운송물(30)을 슈트부(40)의 내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슈트부(40)의 측면(42)은 공급벨트컨베이어(10)와 운송물(30)이 이동되기 위한 유입공(44)이 구비된다.
슈트부(40)의 하측에는 운송물(30)이 수송벨트컨베이어(20)로 이동되는 통로인 배출공(46)이 구비된다.
배출공(46)의 하측에는 슈트부(40)에서 낙하되는 운송물(30)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수송벨트컨베이어(20)가 설치된다.
슈트부(40)에서 배출공(46)의 상부에는 경사안내면(48)이 구비되므로, 공급벨트컨베이어(10)에서 낙하되는 운송물(30)을 수송벨트컨베이어(20) 방향으로 안내한다.
수송벨트컨베이어(20)는 운송물(30)을 운반하는 수송벨트부재(22)가 구비되며, 이러한 수송벨트부재(22)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동작된다.
슈트부(4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댐퍼(50)는, 공급벨트컨베이어(10)에서 배출공(46)으로 낙하되는 운송물(30)의 낙하 방향을 조절한다.
가이드댐퍼(50)는 수송벨트컨베이어(20)를 따라 슈트부(40)로 공급되는 운송물(30)과 접하도록 슈트부(40)의 내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가이드댐퍼(5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출공(46)을 향한 운송물(30)의 낙하를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슈트부(40)의 내측에서 가이드댐퍼(50)의 위치는 가변부(60)의 작동으로 이동되어 운송물(30)의 낙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가변부(60)는 운송물(30)의 낙하위치를 조절하여 수송벨트컨베이어(20)에 운송물(30)의 편적을 방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60)는, 가이드댐퍼(50)에 연결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루부재(62)와, 스크루부재(62)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되어 슈트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64) 및 회전부재(64)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부재(66)를 포함한다.
가이드댐퍼(50)는 스크루부재(62)의 일측(도 2기준 우측)에 고정되며, 스크루부재(62)의 타측(도 2기준 좌측)은 슈트부(4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스크루부재(62)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회전부재(64)의 내측에도 형성된다.
회전부재(64)는 슈트부(4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부재(64)는 동력부재(66)와 타이밍벨트나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진다.
동력부재(66)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며, 제어부(70)의 신호에 따라 정회전이나 역회전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전동모터를 포함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동력부재(6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는 센서부(72)와 연결된다. 센서부(72)는 수송벨트컨베이어(20)로 낙하되는 운송물(30)의 낙하 위치를 감지하여 측정값을 제어부(70)로 전달한다.
센서부(72)는 수송벨트컨베이어(2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센서(74)와 제2센서(76)를 포함하며, 제1센서(74)와 제2센서(76)는 운송물(30)이 수송벨트부재(22)의 중앙부가 아닌 일측으로 편적되는 여부를 측정한다.
이러한 제1센서(74)와 제2센서(76)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운송물(3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제어부(70)에는 모니터부(78)가 연결되어, 센서부(72)의 동작상태 및 가이드댐퍼(50)의 위치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모니터부(78)의 화면에는 제1센서(74)와 제2센서(76)에서 측정되는 운송물(30)의 거리정보와 편적 여부 및 슈트부(40) 내에서 가이드댐퍼(50)의 위치 등을 출력한다.
가이드댐퍼(50)의 위치는 제어부(70)에서 계산된 값이 출력되거나, 슈트부(40) 내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의 화상을 출력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1)를 설치한 후, 공급벨트컨베이어(10)를 동작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벨트부재(12)를 따라 슈트부(40)로 공급되는 운송물(30)이 가이드댐퍼(50)에 가이드되어 배출공(46)을 통해 수송벨트부재(22)로 낙하된다.
운송물(30)이 수송벨트부재(22)의 일측으로 편적되어 낙하되는 경우, 센서부(72)의 제1센서(74)와 제2센서(76)가 이를 측정하여 제어부(7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70)는 운송물(30)의 편적 정도를 계산하여 동력부재(66)를 동작시키며, 동력부재(66)의 동작으로 회전부재(64)가 회전된다.
회전부재(64)와 연결되는 스크루부재(62)는 슈트부(40) 내에서 전진 또는후진하면서 가이드댐퍼(50)의 설치 위치를 가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댐퍼(50)위 위치가 가변되므로, 슈트부(40)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운송물(30)이 수송벨트컨베이어(20)의 중앙부로 낙하되어 운송물(30)의 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1)는, 수송벨트컨베이어(20)로 공급되는 운송물(30)이 편적되는 경우, 가변부(60)가 동작되어 운송물(30)의 낙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댐퍼(50)의 위치를 조절하므로, 운송물(30)의 편적이 방지되어 수송벨트컨베이어(20)의 내구성 및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벨트컨베이어를 사용하는 다른 공장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10: 공급벨트컨베이어 12: 공급벨트부재
14: 공급헤드풀리 20: 수송벨트컨베이어
22: 수송벨트부재 30: 운송물
40: 슈트부 42: 측면
44: 유입공 46: 배출공
48: 경사안내면 50: 가이드댐퍼
60: 가변부 62: 스크루부재
64: 회전부재 66: 동력부재
70: 제어부 72: 센서부
74: 제1센서 76: 제2센서
78: 모니터부

Claims (7)

  1. 공급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운송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며, 상기 운송물이 수송벨트컨베이어로 이동되는 배출공을 구비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벨트컨베이어에서 상기 배출공으로 낙하되는 상기 운송물의 낙하 방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댐퍼; 및
    상기 가이드댐퍼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벨트컨베이어의 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의 하측으로 상기 수송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댐퍼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가이드댐퍼에 연결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루부재;
    상기 스크루부재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슈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송벨트컨베이어로 낙하되는 상기 운송물의 낙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송벨트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의 동작상태 및 상기 가이드댐퍼의 위치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KR1020100073174A 2010-07-29 2010-07-29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KR10122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74A KR101225784B1 (ko) 2010-07-29 2010-07-29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74A KR101225784B1 (ko) 2010-07-29 2010-07-29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409A true KR20120011409A (ko) 2012-02-08
KR101225784B1 KR101225784B1 (ko) 2013-01-23

Family

ID=4583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174A KR101225784B1 (ko) 2010-07-29 2010-07-29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7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3983A (zh) * 2012-05-15 2012-09-19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应用于皮带机输送系统中的物料所在位置的检测系统及其方法
CN103057929A (zh) * 2013-01-25 2013-04-24 李强 落地式堆煤保护装置
KR20150125039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용 댐퍼장치
KR20190035440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컨베이어벨트 원료 편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5489A (zh) * 2015-06-19 2015-09-23 重庆市瑞轩豪邦新型建材有限公司 箱式给料机
CN105292890B (zh) * 2015-11-05 2017-07-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聊城供电公司 一种高效仓储缓冲防护卸货传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920Y1 (ko) * 1999-11-25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편적 형상에 따라 가변되는 슈트내 이송물 안내장치
KR20020039566A (ko) * 2000-11-22 2002-05-27 이구택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KR100870904B1 (ko) * 2008-09-02 2008-11-28 한국산기 주식회사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3983A (zh) * 2012-05-15 2012-09-19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应用于皮带机输送系统中的物料所在位置的检测系统及其方法
CN102673983B (zh) * 2012-05-15 2014-10-15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应用于皮带机输送系统中的物料所在位置的检测系统及其方法
CN103057929A (zh) * 2013-01-25 2013-04-24 李强 落地式堆煤保护装置
KR20150125039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용 댐퍼장치
KR20190035440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컨베이어벨트 원료 편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784B1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7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KR1016482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CN105417097B (zh) 一种精确配料活化给料机
JP2013112483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ベルトコンベヤ設備
JP3185447U (ja) コンベヤ装置
KR20130021759A (ko)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JP3336712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速度制御装置
KR10064724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장치
JP2003214936A (ja) 組合せ計量装置
KR2012011032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20130098804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27856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원료 이송방향 전환장치
KR100925633B1 (ko)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이탈방지 장치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N105102095B (zh) 线材输送量调整装置
CN106743402A (zh) 由直线转为侧向输出的粮食运送车
KR101344311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20130059890A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20140009827A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KR101357540B1 (ko) 트리퍼용 슈트장치
TWM565193U (zh) Conveying device with conveyor belt offset adjustment system
KR101376967B1 (ko) 포장재 자동 공급장치
KR20120041548A (ko) 운송물 처리장치
CN215768272U (zh) 表面质量检测装置
KR101295593B1 (ko) 트리퍼카용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