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548A - 운송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운송물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1548A KR20120041548A KR1020100103045A KR20100103045A KR20120041548A KR 20120041548 A KR20120041548 A KR 20120041548A KR 1020100103045 A KR1020100103045 A KR 1020100103045A KR 20100103045 A KR20100103045 A KR 20100103045A KR 20120041548 A KR20120041548 A KR 201200415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ort
- unit
- processing apparatus
- shipment
- mov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7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ransferring materials in bulk from one conveyor to several conveyors, or vice vers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운송물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는 운송물을 운송하는 제1운송부 또는 슈트부; 제1운송부 또는 슈트부와 연계되는 복수의 제2운송부; 및 복수의 제2운송부 사이에 배치되어 운송물을 각각의 제2운송부로 분기처리가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운송물을 분기하여 운송하는 운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물 처리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운송물을 분기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 작업영역 사이로 운송물을 분기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운송물 처리장치(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운송물(M)을 이동하기 위한 제1컨베이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송물 처리장치(50)는 제1컨베이어(12)로부터 공급되는 운송물(M)을 분기하여 지상에 설치된 제2컨베이어(30)로 안내하는 슈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상에 설치된 제2컨베이어(3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운송물 처리장치(50)의 슈트부(20)는 각각의 제2컨베이어(30)와 연결되기 위해 경사진 안내부(22)를 포함한다. 또한, 운송물 처리장치(50)는 운송물(M)을 각각의 제2컨베이어(30)로 분기하여 공급하기 위한 댐퍼(24)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24)는 슈트부(20)의 안내부(2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측의 안내부(22)의 입구 중 어느 한 쪽을 개방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운송물 처리장치(50)는 운송물(M)이 지상의 제2컨베이어(30)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경사진 안내부(22)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운송물(M)이 지상의 제2컨베이어(30)에 경사진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진 형태로 공급된 운송물(M)은 제2컨베이어(3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컨베이어(30)로부터 낙하 또는 비산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댐퍼(24)를 회전시키는 구조에 운송물(M) 등이 끼어들어갈 수 있고, 이에 따라 댐퍼(24)의 원활할 회전을 제한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댐퍼(24)가 한 쪽의 안내부(22) 입구를 막게 될 경우, 댐퍼(24)에 잔류된 운송물(M) 등에 의해 다른 쪽의 안내부(22) 입구가 완전히 막히지 않는 문제가 있고, 댐퍼(24)에 잔류된 원료가 안내부(22) 입구와의 틈 등을 통해 떨어져 분진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송물의 분기가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운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는 운송물을 운송하는 제1운송부 또는 슈트부; 제1운송부 또는 슈트부와 연계되는 복수의 제2운송부; 및 복수의 제2운송부 사이에 배치되어 운송물을 각각의 제2운송부로 분기처리가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은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과 각각의 제2운송부 사이에 제공되어 운송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는 운송물이 유입되는 입구부 보다 출구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운송물 처리장치는 안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구부 주변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은 운송물의 이동 선상에 설치되어 운송물의 이송을 제한하기 위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는 운송물의 이동에 의해 상부 일측을 축으로 회전하며 운송물의 이동 선상을 개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운송물 처리장치는 플레이트의 접촉에 의해 운송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접촉식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운송물 처리장치는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에 의해 운송물이 이동되는지를 감지하는 운송물 이동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물 이동감지부는 광학식 촬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물의 수평이동된 후 다른 이송부 또는 작업장으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운송물이 수직으로 이동되어 이송부로 공급되므로 운송물이 낙하 또는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송물이 수평이동에 의해 분기되므로 분기과정에서 운송물이 끼이거나 원하지 않는 이송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송물이 배출구 등으로 떨어지는 분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는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안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는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안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50)는 원거리로 적재된 운송물(M) 등을 이송하는 장치로서, 운송물(M)을 분기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운송물 처리장치(50)는 운송물(M)을 운송하는 제1운송부(52) 또는 (도시되지 않은)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운송부(52)는 복수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운송부(52)는 원거리에 적재된 운송물(M)을 직접 이송하거나 다른 운송부로부터 운송물(M)을 넘겨 받아 이송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제1운송부(52)는 컨베이어(convey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베이어의 종류로 리클라이머(reclaime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운송물(M)은 제1운송부(52)에 의해 이송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운송물(M)의 생산 또는 적재과정에서 운송물(M)이 직접 공급되는 슈트부(chute)(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운송부(52) 또는 슈트부(60)로부터 이송된 운송물(M)은 복수의 제2운송부(70)로 분기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운송부(52) 또는 슈트부(60)와 제2운송부(70) 사이에는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운송부(70)는 지상 등에 설치되어 작업장으로 운송물(M)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컨베이어의 상부에는 운송물(M)을 분할하여 저장하기 위한 케리어(carrier)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은 복수의 제2운송부(7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물(M)의 각각의 제2운송부(70)로 분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은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분진 등을 방지하기 위해 슈트부(6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은 컨베이어(92)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컨베이어(92)에는 운송물(M)의 이송방향이 전환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92)의 작동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은 구동부(94)가 컨베이어(92)를 정회전시킴에 따라 운송물(M)을 어느 하나의 제2운송부(70)로 이송하게 되고, 구동부(94)가 컨베이어(92)를 역회전시킬 경우 운송물(M)을 다른 제2운송부(70)로 분기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94)는 컨베이어(92) 상에 하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92)의 양단부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부(94)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94)는 각각의 제2운송부(70)에 각각 위치되는 구동롤러(95)와, 이 구동롤러(95)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롤러(95)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96) 사이에는 컨베이어(92)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 롤러(98)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운송물 처리장치(50)는 구동부(9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운송물(M)이 원하는 제2운송부(70)로 이송되도록 구동부(94)의 작동을 제어하여 컨베이어(92)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구동부(94)는 서버모터(server mot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롤러(95)의 회전량을 측정하기 위한 엔코더(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코더(99)는 구동롤러(95)의 회전수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운송물(M)의 이송량 및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과 각각의 제2운송부(70) 사이에는 운송물(M)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6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안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은 운송물(M)을 분기하여 각각의 제2운송부(70)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며, 제2운송부(7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운송물(M)을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의 배출측에는 안내부(62)가 설치되며,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으로부터 이송되는 운송물(M)이 안내부(62)에 의해 안내되어 제2운송부(70)로 이송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62)는 슈트부(60)의 출구측에 하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62)는 운송물(M)이 유입되는 입구부 보다 출구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운송물(M)은 안내부(6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출구부로 배출되는 운송물(M)이 내측으로 모이도록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62)에는 배출되는 운송물(M)이 제2운송부(70)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부(62)의 출구부 주변을 차폐하는 차폐부재(6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부재(64)는 안내부(6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내부(62)와 제2운송부(70) 사이의 거리 또는 적재되는 운송물(M)의 높이 등에 따라 차폐부재(64)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차폐부재(64)는 안내부(62)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66) 등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64)와 안내부(62) 사이에는 벨로우즈부(bellows)(68)가 설치될 수 있다.
벨로우즈부(68)는 안내부(62)와 차폐부재(64)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으며, 이 틈을 통해 운송물(M)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장치의 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물(M)의 이동 선상에 운송물(M)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플레이트(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플레이트(100)는 상부 일측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00)은 슈트부(6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는 이송되는 운송물(M)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며 이동 선상을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00)는 이송되는 운송물(M)의 상부영역과 접촉함에 따라 상부 영역을 평활화시킬 수 있다. 즉, 운송물(M)은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부 영역에 적재된 운송물(M)의 일부가 플레이트(100)에 걸려 측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운송물(M)의 적재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에는 운송물(M)의 이동 및 이로 인한 플레이트(100)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센서는 접촉식 감지센서(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송물(M)의 이송시 분진 등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식 감지센서(102)는 제어부(110)와 연결되며,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의 작동시 소정 시간후 접촉식 감지센서(102)에 플레이트(100)의 작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제1운송부(52)로부터 운송물(M)이 공급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구동부(94)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운송물(M)이 공급되지 않음을 작업자에게 알려 제1운송부(52) 또는 슈트부(60) 등으로부터 운송물(M)의 공급여부를 점검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운송물 처리장치(50)는 운송물(M)의 이동 선상에 운송물(M)의 공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운송물 이동 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운송물 처리장치(50)는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90)에 의해 운송물(M)이 이동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운송물 이동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운송물(M) 이동감지부는 광학식 촬상장치(1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광학식 촬상장치(104)는 운송물(M)의 이송 선상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광학식 촬상장치(104)는 운송물(M)의 이동하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110)는 이 신호에 따라 구동부(94)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운송물 이동 감지부는 광학식 촬상장치(10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자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감지창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50 : 운송물 처리장치 52 : 제1운송부
60 : 슈트부 62 : 안내부
64 : 차폐부재 66 : 실린더
68 : 벨로우즈부 70 : 제2운송부
90 :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 92 : 컨베이어
94 : 구동부 95 : 구동롤러
96 : 구동모터 98 : 아이들 롤러
99 : 엔코더 100 : 플레이트
102 : 접촉식 감지센서 104 : 광학식 촬상장치
60 : 슈트부 62 : 안내부
64 : 차폐부재 66 : 실린더
68 : 벨로우즈부 70 : 제2운송부
90 :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 92 : 컨베이어
94 : 구동부 95 : 구동롤러
96 : 구동모터 98 : 아이들 롤러
99 : 엔코더 100 : 플레이트
102 : 접촉식 감지센서 104 : 광학식 촬상장치
Claims (10)
- 운송물을 운송하는 제1운송부 또는 슈트부;
상기 제1운송부 또는 상기 슈트부와 연계되는 복수의 제2운송부; 및
상기 복수의 제2운송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운송물을 각각의 제2운송부로 분기처리가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
을 포함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은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과 각각의 상기 제2운송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운송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운송물이 유입되는 입구부 보다 출구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처리장치는 상기 안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구부 주변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은 상기 운송물의 이동 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물의 이송을 제한하기 위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운송물의 이동에 의해 상부 일측을 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운송물의 이동 선상을 개방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처리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의 접촉에 의해 상기 운송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접촉식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처리장치는 상기 수평이동형 운송물 분기유닛에 의해 상기 운송물이 이동되는지를 감지하는 운송물 이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이동 감지부는 광학식 촬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3045A KR101294916B1 (ko) | 2010-10-21 | 2010-10-21 | 운송물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3045A KR101294916B1 (ko) | 2010-10-21 | 2010-10-21 | 운송물 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1548A true KR20120041548A (ko) | 2012-05-02 |
KR101294916B1 KR101294916B1 (ko) | 2013-08-08 |
Family
ID=4626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3045A KR101294916B1 (ko) | 2010-10-21 | 2010-10-21 | 운송물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491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0470B1 (ko) * | 2012-10-09 | 2013-02-06 | 임왕춘 | 리크레이머 시스템 |
EP3524547B1 (de) | 2018-02-08 | 2020-08-19 | Benninghoven GmbH & Co. KG | Schüttgutweiche und schüttgut-beschickungsanlage mit einer schüttgutweich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25841B2 (ja) * | 1996-08-27 | 2006-09-27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荷の振分装置 |
JPH11349148A (ja) * | 1998-06-05 | 1999-12-21 | Mitsubishi Heavy Ind Ltd | 貯蔵物の積付け装置 |
KR20030034545A (ko) * | 2001-10-26 | 2003-05-09 | 주식회사 포스코 | 벨트컨베어의 센트럴슈트 댐퍼 조정장치 |
KR100925633B1 (ko) * | 2002-12-02 | 2009-11-06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이탈방지 장치 |
-
2010
- 2010-10-21 KR KR1020100103045A patent/KR10129491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0470B1 (ko) * | 2012-10-09 | 2013-02-06 | 임왕춘 | 리크레이머 시스템 |
EP3524547B1 (de) | 2018-02-08 | 2020-08-19 | Benninghoven GmbH & Co. KG | Schüttgutweiche und schüttgut-beschickungsanlage mit einer schüttgutweich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4916B1 (ko) | 2013-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56132B2 (en) | Surface treatment machine | |
KR101298750B1 (ko) |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 |
KR101237085B1 (ko) |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 |
KR101225784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 |
KR101294916B1 (ko) | 운송물 처리장치 | |
KR101309833B1 (ko) |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 |
JP2007061947A (ja) | 搬送物のストック装置 | |
KR20130046565A (ko)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
KR101581545B1 (ko) |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 |
KR102089144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 |
KR101516627B1 (ko) |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 |
KR20120110321A (ko)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
KR20120072479A (ko) | 벨트컨베이어 장치 | |
KR101175788B1 (ko) |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 |
KR20140009827A (ko) |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 |
KR101277241B1 (ko) | 제철원료의 슬라이딩 분배장치 | |
KR101257462B1 (ko) |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물 넘침 방지장치 | |
KR100758423B1 (ko) |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 |
KR20160015562A (ko) | 벨트 컨베이어용 낙탄 처리장치 | |
KR20200061635A (ko) |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 |
KR101424430B1 (ko) |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 |
KR101246253B1 (ko) | 이송호퍼용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2383804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제거장치 | |
KR102190505B1 (ko) | 시료 채취장치 | |
KR101277837B1 (ko) | 벨트 컨베이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