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759A -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759A
KR20130021759A KR1020110084218A KR20110084218A KR20130021759A KR 20130021759 A KR20130021759 A KR 20130021759A KR 1020110084218 A KR1020110084218 A KR 1020110084218A KR 20110084218 A KR20110084218 A KR 20110084218A KR 20130021759 A KR20130021759 A KR 2013002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rame
package
chute memb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833B1 (ko
Inventor
전일원
Original Assignee
전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일원 filed Critical 전일원
Priority to KR102011008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8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4Switching conveyors by a pivoting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08Adjustable and/or adaptable to the 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2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successively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2812/014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successively by a series of conveyors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veyors
    • B65G2812/015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successively by a series of conveyors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veyors the conveyors being movably lin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운반물을 1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 또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운반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가진 슈트부재를 포함하는 회전결합유닛과, 상기 회전결합유닛의 슈트부재에 지지되어 제 1컨베이어에 의해 1차 이송되어 슈트부재를 통과한 운반물을 소정의 높이로 2차 운반하는 제 2컨베이어를 구비한 배출 분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물을 다양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은 운반물을 목적지까지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운반수단이다. 예컨대, 농산물, 소금, 광산물, 해산물, 토목 및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토사, 제철소의 철광선 등을 연속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은 운반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술한 운반물의 형태에 관계없이 부피가 작고 이송거리가 긴 경우에는 벨트컨베이어 시스템이 가장 적합하다.
벨트컨베이어 시스템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연장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양 끝에 각각 설치되는 헤드드럼 및 테일드럼과, 헤드드럼 및 테일드럼에 사이에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되는 캐리어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드럼과 테일드럼에 감겨 순환하는 벨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벨트컨베이어 시스템은 구동롤러를 작동시킬 경우 벨트가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순환하며 적재된 운반물을 목적지까지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물이 헤드 드럼측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은 컨베이어 벨트를 벗어난 경우 수직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낙하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쌓이게 된다. 특히, 소금, 곡물 등은 상이는 부위에 원뿔형상으로 쌓이기 때문에 넓은 면적에 고르게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소금의 경우,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의 염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소금창고에 운반 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적재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부위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폭넓게 소금을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컨베이어 벨트에 이송된 운반물 즉, 소금을 넓게 확산시켜 주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컨베이어를 연속하여 다단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많은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금, 곡물 등과 같은 운반물을 넓은 각도로 분산시켜 운반물의 적재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물의 배출방향을 임으로 조정할 수 있는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운반물을 1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 또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운반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가진 슈트부재를 포함하는 회전결합유닛과, 상기 회전결합유닛의 슈트부재에 지지되어 제 1컨베이어에 의해 1차 이송되어 슈트부재를 통과한 운반물을 소정의 높이로 2차 운반하는 제 2컨베이어를 구비한 배출 분산부를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재는 제 1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을 슈트부재의 통로로 가이드 하기 위한 호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결합유닛의 슈트부재는 통로가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슈트부재의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쓰러스트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 2컨베이어의 프레임에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결합유닛은 지지 프레임에 대해 제 2 컨베이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다른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는 컨베이어를 통하여 운반되는 운반물의 배출위치를 임으로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되어 적재되는 운반물 예컨대, 소금, 곡물 등과 같은 입자상의 운반물이 운반되어 적재되는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베이어는 운반물의 배출위치를 임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운반물의 적재 및 분산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절대적으로 일손이 부족한 어촌이나 농촌에 있어서, 운반물의 이송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결합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결합유닛의 단면도.
도 4는 구동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컨베이에 의해 제 2컨베이어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는 운반물의 배출위치를 임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10)는 프레임(11)이 지지되어 운반물을 소정의 높이로 1차 운반하는 제 1컨베이어(20)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11) 또는 제 1컨베이어 프레임(21)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운반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가진 슈트부재(32)를 포함하는 회전결합유닛(30)과, 상기 회전결합유닛(30)의 슈트부재(32)에 지지되어 제 1컨베이어(20)에 의해 1차 이송되어 슈트부재(31)를 통과한 운반물을 소정의 높이로 2차 운반하는 제 2컨베이어(40)를 구비한 배출 분산부(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를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10)의 프레임(11)에 지지된 제 1컨베이어(20)는 1차적으로 운반물(100)을 소정의 높이로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 프레임(11)에 소정의 경사로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제 1컨베이어(20)는 제 1컨베이어 프레임(21)의 하단부측과 상단부측에 각각 제1헤드드럼(22)과 제1 테일드럼(23)이 설치되고, 이 제 1헤드드럼(22)과 제 1테일드럼(23)은 무한궤도상의 제 1컨베이어 벨트(24)가 걸린다. 그리고 제 1컨베이어 프레임(21)의 일측에는 제1 헤드드럼(22)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모터(25)가 설치된다. 상기 제 1컨베이어(20)의 제1 헤드 드럼(22)이 설치되는 부위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 1평면부(26)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제 1평면부(26)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별도의 호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리고 제1평면부(26)와 제1 경사부(26)의 경계부위에는 벨트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체인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배출분산부(50)는, 상기와 같이 제 1컨베이어(2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제 1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는 운반물을 2차로 운반하기 위한 제 2컨베이어(40)와, 상기 제 1컨베이어(20)에 대해 제 2컨베이어(4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결합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제 2컨베이어(40)는 제 1컨베이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컨베이어(40)는 제 2컨베이어 프레임(41)이 제 1,2 프레임(41a)(41b)으로 분리되고, 이 제 1,2프레임(41a)(41b)은 힌지축(41c)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프레임(41a)의 단부와 제 2프레임(41b)의 단부에는 제 2헤드드럼(42)과 제 2테일드럼(4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2헤드드럼(42)과 제 2테일드럼(43)에는 무한궤도상의 제 2컨베이어벨트(44)가 걸린다.
그리고 상기 제1,2프레임(41a)(41b)의 힌지축 결합부위에는 제1,2프레임(41a)(41b)의 회동 시 제 2컨베이어벨트(44)의 구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미도시)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 2컨베이어를 이루는 제 1프레임(41a)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쉬트부재 본체의 하단부에 브라켓(41d)들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헤드드럼(42)은 제 2모터(25)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프레임(41b)은 후술하는 회동유닛(46)에 의해 제 1프레임(41a)에 대해 회동된다.
상기 회전결합유닛(30)은 프레임(11) 또는 제 1컨베이어프레임(21)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슈트부재(32)를 구비한다. 상기 슈트부재(32)는 상기 지지프레임(32)을 관통하며 상기 제 1컨베이어(20)에 의해 운반된 운반물이 통과하는 통로(33)가 형성된 본체부(32a)가 마련되고, 이 본체부(32a)의 상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32b)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1)과 플랜지부(32b)의 사이에는 쓰러스트 베어링(34)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1)에 대해 슈트부재(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슈트부재의 본체부(32) 즉, 상기 지지프레임(31)으로 돌출된 본체부(32)는 제 1프레임(21a)에 브라켓들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프레임(35)에 고정된다. 이 때에 상기 슈트본체의 본체부(32)에 형성된 통로(33)는 제 2컨베이어벨트에 노출되어 통로(33)를 통과한 운반물이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31)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1)에 대해 슈트부재(33)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유닛(6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34)와 제 2컨베이어(40)의 제 2프레임(41b)의 사이에는 제 2프레임(41b)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유닛(7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구동유닛(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트부재(32)의 플랜지부(32b)에 종동기어(6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61)에는 상기 종동기어(61)와 치합되는 구동기어(62)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제 3모터(6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유닛(70)은 고정프레임(35)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2프레임(41b)에 설치된 필로우블록(71)에 지지되는 리드 스크류(72)와 상기 리드 스크류(72)와 나사 결합되어 제 2프레임(41a)을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73)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유닛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제 2프레임의 힌지부위에 웜휠이 설치되고, 상기 제 1프레임(41a)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웜휠과 결합되는 웜 및 웜에 설치되어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슈트부재(32)에는 제 1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된 운반물을 슈트부재의 통로(33)로 가이드 하기 위하 호퍼(80)가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10)를 이용하여 소금,곡물 등과 같은 운반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제 1,2모터(25)(45)들을 구동시켜 제 1, 2컨베이어(20)(4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회동유닛(70)의 핸들(73)을 이용하여 제 2컨베이어(40)의 각도를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컨베이어(20)의 제 1수평부(25)의 제 1컨베이어벨트(24)에 운반물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공급된 운반물은 제 1컨베이어벨트(24)에 의해 운반된 후 제 1테일드럼(22)측에서 배출되고, 이 배출된 운반물은 호퍼(80)와 슈트부재(32)의 통로(33)를 통하여 제 2컨베이어로 공급된다.
상기 제 2컨베이어로 공급된 운반물은 제 2컨베이어 벨트(44)에 의해 이송되어 적재위치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운반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컨베이어(40)은 회전결합유닛(3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적재하고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유닛(60)의 제 3모터(63)가 구동되어 슈트부재(32)의 종동기어(61)를 회전시킴으로서 원하는 각도로 제 2컨베이어(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는 운반물을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운반 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운반중인 운반물이 한부분에 집중적으로 쌓이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운반물을 1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 또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운반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가진 슈트부재를 포함하는 회전결합유닛과, 상기 회전결합유닛의 슈트부재에 지지되어 제 1컨베이어에 의해 1차 이송되어 슈트부재를 통과한 운반물을 소정의 높이로 2차 운반하는 제 2컨베이어를 구비한 배출 분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재는 제 1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을 슈트부재의 통로로 가이드 하기 위한 호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결합유닛의 슈트부재는 통로가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슈트부재의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쓰러스트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유닛은 지지 프레임에 대해 제 2 컨베이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유닛을 더 구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제 2컨베이어 프레임이 제 1,2 프레임으로 분리되고, 이 제 1,2프레임은 힌지축 에 의해 상호회동가능설치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단부와 제 2프레임의 단부에는 제 2헤드드럼과 제 2테일드럼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2헤드드럼과 제 2테일드럼에는 무한궤도상의 제 2컨베이어벨트 걸리며,
    상기 제 1,2프레임 또는 제 2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제 2프레임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KR1020110084218A 2011-08-23 2011-08-23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KR10130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218A KR101309833B1 (ko) 2011-08-23 2011-08-23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218A KR101309833B1 (ko) 2011-08-23 2011-08-23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759A true KR20130021759A (ko) 2013-03-06
KR101309833B1 KR101309833B1 (ko) 2013-09-25

Family

ID=4817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218A KR101309833B1 (ko) 2011-08-23 2011-08-23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8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948B1 (ko) * 2020-03-26 2020-08-14 김상동 폐지 압축장치
CN111827287A (zh) * 2020-07-14 2020-10-27 上海憨牛建设工程有限公司 用于围海造田回填的浮动卸料系统
CN112456161A (zh) * 2020-12-30 2021-03-09 郑州工大粮安科技有限公司 一种平房仓散粮入仓系统
CN113148530A (zh) * 2021-04-30 2021-07-23 郑州工大粮安科技有限公司 一种粮食输送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391B1 (ko) * 2019-08-27 2022-02-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634Y2 (ko) * 1985-09-26 1990-03-01
KR100906375B1 (ko) * 2009-02-24 2009-07-06 유신환경 유한회사 순환골재용 이동식 다방향 분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948B1 (ko) * 2020-03-26 2020-08-14 김상동 폐지 압축장치
CN111827287A (zh) * 2020-07-14 2020-10-27 上海憨牛建设工程有限公司 用于围海造田回填的浮动卸料系统
CN111827287B (zh) * 2020-07-14 2021-10-29 上海憨牛建设工程有限公司 用于围海造田回填的浮动卸料系统
CN112456161A (zh) * 2020-12-30 2021-03-09 郑州工大粮安科技有限公司 一种平房仓散粮入仓系统
CN113148530A (zh) * 2021-04-30 2021-07-23 郑州工大粮安科技有限公司 一种粮食输送机
CN113148530B (zh) * 2021-04-30 2023-02-28 郑州工大粮安科技有限公司 一种粮食输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833B1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86504B (zh) 一种物料传送装置
KR101309833B1 (ko)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RU25927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орота ящиков, содержащее две ленты и неприводные ролики
CN101516748B (zh) 输送系统
CN204624502U (zh) 一种物料传送装置
US6427999B1 (en) Signature hopper loader apparatus and method
KR1012257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KR10136827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umar Fundamentals of conveyors
US20160288134A1 (en) Mobile sizer with reduced fines generation
KR1015166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CN105905609A (zh) 一种重型及易碎快递件传送运输装置
KR200395948Y1 (ko) 게이트 컨베이어
KR101415831B1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KR100925633B1 (ko)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이탈방지 장치
CN106743402A (zh) 由直线转为侧向输出的粮食运送车
JP2012020810A (ja) ベルトコンベヤ
KR102056222B1 (ko) 마찰 부위 다변화 기능을 갖는 파이프 컨베이어 벨트 장치
WO2019208000A1 (ja) 搬送仕分け装置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101388038B1 (ko) 벨트 컨베이어
US1450225A (en) Conveyer
KR2014004208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0356779Y1 (ko) 다규격 팔레트용 디버터
KR101504931B1 (ko)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