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391B1 -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391B1
KR102360391B1 KR1020200108730A KR20200108730A KR102360391B1 KR 102360391 B1 KR102360391 B1 KR 102360391B1 KR 1020200108730 A KR1020200108730 A KR 1020200108730A KR 20200108730 A KR20200108730 A KR 20200108730A KR 102360391 B1 KR102360391 B1 KR 10236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hute
stacker
suppor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509A (ko
Inventor
유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2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Chutes (AREA)

Abstract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는: 상부 컨베이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지지체; 상부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원료가 투입되도록 상부 지지체에 설치되는 상부 슈트; 상부 슈트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태커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체; 하부 지지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부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부 슈트에서 낙하되는 원료를 스태커 컨베이어에 배출하는 하부 슈트; 하부 슈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댐퍼; 하부 슈트의 외측에 고정되고, 하부 슈트를 둘러싸는 복수의 링크부가 구비되는 링크 프레임; 상부 지지체에 나사 결합되고, 복수의 링크부의 위치를 각각 가변시키도록 복수의 링크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조절 핸들부; 및 복수의 댐퍼에 연결되도록 하부 슈트를 관통하고, 조절 핸들부에 의해 링크부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댐퍼의 각도를 조절하는 댐퍼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LEANED LOADING OF STACKER}
본 발명은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태커 컨베이어에 원료가 편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태커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고에 원료를 적치할 수 있도록 스태커(stacker)가 설치된다. 스택커는 리클레어머부의 상측에 연결된다. 스태커의 상측에는 원료를 공급받도록 상부 컨베이어가 설치된다. 상부 컨베이어의 하측에는 스태커 컨베이어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태커 컨베이어가 선회됨에 따라 저장고의 둘레부에 원료가 고르게 적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59210호(2004. 07. 05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과 수송물 편적 조절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태커 컨베이어에 원료가 편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태커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는: 상부 컨베이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지지체; 상기 상부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원료가 투입되도록 상기 상부 지지체에 설치되는 상부 슈트; 상기 상부 슈트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태커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체; 상기 하부 지지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슈트에서 낙하되는 상기 원료를 상기 스태커 컨베이어에 배출하는 하부 슈트; 상기 하부 슈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댐퍼; 상기 하부 슈트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슈트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링크부가 구비되는 링크 프레임; 상기 상부 지지체에 나사 결합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부의 위치를 각각 가변시키도록 복수의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조절 핸들부; 및 복수의 상기 댐퍼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 슈트를 관통하고, 상기 조절 핸들부에 의해 상기 링크부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댐퍼의 각도를 조절하는 댐퍼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지지체는 상기 상부 슈트가 고정되는 상부 패널부; 상기 상부 패널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부 레그부; 상기 상부 레그부에 고정되는 제1 하부 패널부; 및 상기 제1 하부 패널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절 핸들부가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체는 상기 하부 슈트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복수의 하부 레그부; 및 상기 하부 레그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태커 컨베이어가 지지되는 제2 하부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핸들부는 상기 하부 리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리브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부; 및 상기 링크부에 힌지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축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는 상기 간격조절부재가 상기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링크홀부가 형성되는 제1 링크 로드부; 및 상기 제1 링크 로드부에서 연장되고, 이웃한 상기 제1 링크 로드부의 상기 힌지핀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장공부가 형성되는 제2 링크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 로드부는 상기 제1 링크 로드부에서 나란하게 한 쌍이 연장되고, 상기 장공부는 한 쌍의 상기 제2 링크 로드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각도 조절부는 복수의 상기 댐퍼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 리브를 관통하는 복수의 조절 로드부; 복수의 상기 조절 로드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하부 슈트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조절 프레임부; 상기 링크부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조절 롤러부; 및 상기 조절 로드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 로드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는 상기 상부 슈트와 상기 하부 슈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선회 베어링부; 및 상기 하부 지지체와 리클레이머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선회 베어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 핸들부가 회전됨에 따라 링크부의 위치가 가변되고, 링크부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댐퍼의 각도가 조절되므로, 하부 슈트에서 낙하되는 원료가 스태커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에 편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태커 컨베이어에서 원료의 편적이 방지되므로, 스태커 컨베이어가 폭방향으로 사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하부 슈트의 둘레에 링크 프레임부, 조절 핸들부 및 댐퍼각도 조절부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댐퍼각도 조절부의 조절 로드부가 하부 슈트를 관통하여 댐퍼에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링크 프레임부와 조절 핸들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링크 프레임부와 조절 핸들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조절 핸들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댐퍼의 각도가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조절 핸들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댐퍼의 각도가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하부 슈트의 둘레에 링크 프레임부, 조절 핸들부 및 댐퍼각도 조절부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댐퍼각도 조절부의 조절 로드부가 하부 슈트를 관통하여 댐퍼에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링크 프레임부와 조절 핸들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링크 프레임부와 조절 핸들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는 상부 지지체(110), 상부 슈트(120), 하부 지지체(130), 하부 슈트(140), 복수의 댐퍼(150), 링크 프레임(160), 복수의 조절 핸들부(170) 및 댐퍼각도 조절부(18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체(110)는 상부 컨베이어(101)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부 지지체(110)는 저장고(10)의 원형 돔(12)(dome)에 고정된다. 상부 컨베이어(101)가 운행됨에 따라 원료가 이송된다.
상부 슈트(120)는 상부 컨베이어(101)에서 이송되는 원료가 투입되도록 상부 지지체(110)에 설치된다. 상부 슈트(120)는 다각통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체(130)는 상부 슈트(1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태커 컨베이어(103)를 지지한다. 하부 지지체(130)에는 구동장치(미도시)가 연결된다. 구동장치는 하부 지지체(130)의 하측에 배치된 리클레이머부(137)를 통해 하부 지지체(130)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슈트(140)는 하부 지지체(13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부 지지체(130)에 설치되고, 상부 슈트(120)에서 낙하되는 원료를 스태커 컨베이어(103)에 배출한다. 하부 슈트(140)는 다각통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슈트(140)가 하부 지지체(13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부 지지체(130)에 설치되므로, 스태커 컨베이어(103)에서 낙하되는 원료가 저장고(10)의 둘레를 따라 고르게 적치될 수 있다.
복수의 댐퍼(150)는 하부 슈트(1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 슈트(14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하부 슈트(140)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댐퍼(150)는 하부 슈트(14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슈트(140)는 스태커 컨베이어(103)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 프레임(160)은 하부 슈트(140)의 외측에 고정되어 하부 슈트(140)와의 상대회전이 방지된다. 링크 프레임(160)은 하부 슈트(14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복수의 링크부(161)를 구비한다. 복수의 링크부(161)가 링크 결합되어 링크 프레임(160)을 형성한다. 링크 프레임(16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절 핸들부(140)가 상부 지지체(110)의 하부 리브(133)에 결합됨에 따라 하부 슈트(140)의 외측에 고정된다.
복수의 조절 핸들부(170)는 상부 지지체(110)에 나사 결합되고, 복수의 링크부(161)의 위치를 각각 가변시키도록 복수의 링크부(161)에 연결된다. 복수의 조절 핸들부(170)가 복수의 링크부(161)의 위치를 가변시키므로, 복수의 조절 핸들부(170) 중 일부의 조절 핸들부(170)를 조작하여 일부의 링크부(161)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링크 프레임(160)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댐퍼각도 조절부(180)는 복수의 댐퍼(150)에 연결되도록 하부 슈트(140)를 관통하고, 조절 핸들부(170)에 의해 링크부(161)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댐퍼(150)의 각도가 조절된다. 조절 핸들부(170)가 회전됨에 따라 링크부(161)의 위치가 가변되고, 링크부(161)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댐퍼(150)의 각도가 조절되므로, 하부 슈트(140)에서 낙하되는 원료가 스태커 컨베이어(103)의 폭방향 일측에 편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태커 컨베이어(103)에서 원료의 편적이 방지되므로, 스태커 컨베이어(103)가 폭방향으로 사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지지체(110)는 상부 패널부(111), 복수의 상부 레그부(113), 제1 하부 패널부(131), 복수의 하부 리브(133)를 포함한다.
상부 패널부(111)에는 상부 슈트(120)가 고정된다. 상부 패널부(111)는 상부 컨베이어(101)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부 컨베이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상부 레그부(113)는 상부 패널부(1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부 레그부(113)는 하부 슈트(140)의 둘레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복수의 바퀴부(115)는 복수의 상부 레그부(113)에 각각 설치되고, 하부 슈트(140)에 의해 지지된다.
제1 하부 패널부(131)는 상부 레그부(113)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부 패널부(13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하부 리브(133)는 제1 하부 패널부(1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조절 핸들부(170)가 나사결합된다. 복수의 하부 리브(133)는 제1 하부 패널부(1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하부 리브(133)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리브(133)에는 조절 핸들부(170)의 스크류축부(172)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홀부(133a)가 형성된다.
하부 지지체(130)는 복수의 하부 레그부(135) 및 제2 하부 패널부(136)를 포함한다.
하부 레그부(135)는 하부 슈트(140)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하부 레그부(135)는 스태커 컨베이어(103)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하부 레그부(135)는 조절 핸들부(170) 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외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레그부(135)는 상단이 절곡되어 하부 슈트(140)측을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하부 슈트(140)에 일체로 연결된다.
제2 하부 패널부(136)는 하부 레그부(135)에 연결되고, 스태커 컨베이어(103)를 지지한다. 제2 하부 패널부(136)는 스태커 컨베이어(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하부 레그부(135) 및 제2 하부 패널부(136)가 동시에 회전되므로, 스태커 컨베이어(103)가 회전되면서 저장고(10)의 둘레에 원료를 고르게 적치한다.
조절 핸들부(170)는 조작 핸들(171), 스크류축부(172) 및 간격조절부재(173)를 포함한다. 조작 핸들(171)은 하부 리브(133)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크류축부(172)는 조작 핸들(171)에 연결되고, 하부 리브(133)에 나사결합된다. 간격조절부재(173)는 링크부(161)에 힌지핀(174)에 의해 연결되고, 스크류축부(172)가 회전됨에 따라 링크부(161)를 이동시킨다.
간격조절부재(173)는 대략 "⊂" 형태로 형성된다. 간격조절부재(173)의 중심부에는 스크류축부(17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부싱(173b)이 설치된다. 간격조절부재(173)의 링크부(161) 측에는 힌지핀(174)이 삽입되도록 힌지홀부(173a)가 형성되고, 간격조절부재(173)의 중심부에는 부싱(173b)이 설치된다.
링크부(161)는 제1 링크 로드부(162) 및 제2 링크 로드부(163)를 포함한다.
제1 링크 로드부(162)에는 간격조절부재(173)가 힌지핀(174)에 의해 결합되도록 링크홀부(162a)가 형성된다. 제2 링크 로드부(163)는 제1 링크 로드부(162)에서 연장되고, 제2 링크 로드부(163)에는 이웃한 제1 링크 로드부(162)의 힌지핀(174)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장공부(163a)가 형성된다. 이때, 제2 링크 로드부(163)는 제1 링크 로드부(162)에서 한 쌍이 나란하게 연장되고, 장공부(163a)는 한 쌍의 제2 링크 로드부(163)에 각각 형성된다. 제1 링크 로드부(162)와 제2 링크 로드부(163)는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제2 링크 로드부(163)는 제1 링크 로드부(162)와 높이와 거의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된다. 한 쌍의 제2 링크 로드부(163) 사이에는 이웃한 링크부(161)의 제1 링크 로드부(162)가 삽입된다. 힌지핀(174)은 제2 링크 로드부(163)의 장공부(163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댐퍼각도 조절부(180)는 복수의 조절 로드부(181), 조절 프레임부(182), 조절 롤러부(183) 및 탄성부재(184)를 포함한다.
복수의 조절 로드부(181)는 복수의 댐퍼(150)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부 리브(133)를 관통한다. 조절 로드부(181)는 하부 슈트(140)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조절 프레임부(182)는 복수의 조절 로드부(181)를 연결하도록 하부 슈트(140)의 둘레부에 배치된다. 조절 프레임부(182)는 복수의 조절 로드부(181)에 연결되도록 대략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 프레임부(182)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일측의 댐퍼(150)의 하측이 하부 슈트(14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고, 타측의 댐퍼(150)의 하측이 하부 슈트(140)의 내측 벽면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절 롤러부(183)는 링크부(161)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조절 프레임부(182)에 설치된다. 조절 롤러부(183)가 링크부(161)의 내측을 지지하므로, 링크부(161)의 위치가 조절 핸들부(170)에 의해 변경될 때 또는 하부 슈트(140)가 회전될 때 조절 롤러부(183)가 링크부(161)와 구름 접촉될 수 있다.
탄성부재(184)는 조절 로드부(181)를 탄성 지지하도록 조절 로드부(181)에 설치된다. 탄성부재(184)는 조절 로드부(181)에 끼워지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84)가 조절 로드부(181)를 탄성 지지하므로, 조절 로드부(18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조절 로드부(181)가 탄성부재(184)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탄성부재(184)가 조절 로드부(181)와 하부 슈트(140) 사이에 배치되므로, 조절 로드부(181)가 하부 슈트(140)에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는 제1 선회 베어링부(191)와 제2 선회 베어링부(193)를 포함한다.
제1 선회 베어링부(191)는 상부 슈트(120)와 하부 슈트(14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선회 베어링부(193)는 하부 지지체(130)와 리클레이머부(137)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부가 구동됨에 따라 스태커 컨베이어(103)와 하부 슈트(140)가 함께 회전되면서 원료를 저장고(10)의 둘레에 고르게 적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조절 핸들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댐퍼의 각도가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에서 조절 핸들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댐퍼의 각도가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스태커가 구동되기 전에 편적방지장치의 조절 핸들부(170)를 조작하여 댐퍼각도 조절부(180)를 이동시킨다. 이때, 일부의 조절 핸들부(170)가 일측으로 회전되면, 조절 핸들부(170)의 스크류축부(172)가 하부 리브(133)에서 이동된다. 이때, 하부 리브(133)는 스크류축부(172)가 상부 패널부(111)에 고정되므로, 스크류축부(172)가 이동되더라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스크류축부(172)가 이동됨에 따라 간격조절부재(173)가 이동되고, 간격조절부재(173)가 이동됨에 따라 스크류축부(172)에 연결되는 링크부(161)가 이동된다. 링크부(161)가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조절 롤러부(183)와 일측의 조절 로드부(181)를 가압하고, 조절 로드부(181)가 이동됨에 따라 조절 프레임부(182)가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타측의 조절 로드부(181)를 이동시킨다. 이때, 조절 프레임부(182)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조절 로드부(181)가 이동되므로, 일측의 댐퍼(150)는 하측이 하부 슈트(140)의 중심부 측으로 회전되고, 타측의 댐퍼(150)는 하측이 하부 슈트(140)의 내측 벽면 측으로 회전된다.
이처럼 댐퍼(150)의 각도가 조절된 후 스태커가 구동되면, 하부 지지체(130)가 구동부에 의해 하부 슈트(140)를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된다. 이때, 하부 슈트(140)에 연결된 조절 롤러부(183)는 하부 슈트(140)의 외측에 고정된 링크부(161)의 내측면에 구름 접촉되어 회전된다.
이후, 상부 컨베이어(101)의 원료가 상부 슈트(120)와 하부 슈트(140)를 통해 스태커 컨베이어(103)에 배출된다. 이때, 스태커 컨베이어(103)가 하부 지지체(130) 및 하부 슈트(140)와 함께 회전되므로, 스태커 컨베이어(103)의 원료가 저장고(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고르게 적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저장고 12: 돔
101: 상부 컨베이어 103: 스태커 컨베이어
110: 상부 지지체 111: 상부 패널부
113: 상부 레그부 115: 바퀴부
120: 상부 슈트 130: 하부 지지체
131: 제1 하부 패널부 132: 레일부
133: 하부 리브 133a: 나사홀부
135: 하부 레그부 136: 제2 하부 패널부
137: 리클레이머부 140: 하부 슈트
150: 댐퍼 160: 링크 프레임
161: 링크부 162: 제1 링크 로드부
162a: 링크홀부 163: 제2 링크 로드부
163a: 장공부 170: 가변조절 핸들부
171: 조절 핸들 172: 스크류축부
173: 간격조절부재 173a: 힌지홀부
173b: 부싱 174: 힌지핀
180: 댐퍼각도 조절부 181: 조절 로드부
182: 조절 프레임부 183: 조절 롤러부
184: 탄성부재 191: 제1 선회 베어링부
193: 제2 선회 베어링부

Claims (8)

  1. 상부 컨베이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지지체;
    상기 상부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원료가 투입되도록 상기 상부 지지체에 설치되는 상부 슈트;
    상기 상부 슈트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태커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체;
    상기 하부 지지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슈트에서 낙하되는 상기 원료를 상기 스태커 컨베이어에 배출하는 하부 슈트;
    상기 하부 슈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댐퍼;
    상기 하부 슈트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슈트를 둘러싸는 복수의 링크부가 구비되는 링크 프레임;
    상기 상부 지지체에 나사 결합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부의 위치를 각각 가변시키도록 복수의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조절 핸들부; 및
    복수의 상기 댐퍼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 슈트를 관통하고, 상기 조절 핸들부에 의해 상기 링크부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댐퍼의 각도를 조절하는 댐퍼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체는,
    상기 상부 슈트가 고정되는 상부 패널부;
    상기 상부 패널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부 레그부;
    상기 상부 레그부에 고정되는 제1 하부 패널부; 및
    상기 제1 하부 패널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절 핸들부가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체는,
    상기 하부 슈트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복수의 하부 레그부; 및
    상기 하부 레그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태커 컨베이어가 지지되는 제2 하부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핸들부는,
    상기 하부 리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리브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부; 및
    상기 링크부에 힌지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축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간격조절부재가 상기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링크홀부가 형성되는 제1 링크 로드부; 및
    상기 제1 링크 로드부에서 연장되고, 이웃한 상기 제1 링크 로드부의 상기 힌지핀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장공부가 형성되는 제2 링크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로드부는 상기 제1 링크 로드부에서 나란하게 한 쌍이 연장되고,
    상기 장공부는 한 쌍의 상기 제2 링크 로드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각도 조절부는,
    복수의 상기 댐퍼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 리브를 관통하는 복수의 조절 로드부;
    복수의 상기 조절 로드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하부 슈트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조절 프레임부;
    상기 링크부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조절 롤러부; 및
    상기 조절 로드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 로드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슈트와 상기 하부 슈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선회 베어링부; 및
    상기 하부 지지체와 리클레이머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선회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KR1020200108730A 2019-08-27 2020-08-27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KR102360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5145 2019-08-27
KR1020190105145 201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509A KR20210025509A (ko) 2021-03-09
KR102360391B1 true KR102360391B1 (ko) 2022-02-09

Family

ID=7517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730A KR102360391B1 (ko) 2019-08-27 2020-08-27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3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271B1 (ko) 2009-06-04 2011-09-14 현대로템 주식회사 다중 원료공급 장치
KR101309833B1 (ko) 2011-08-23 2013-09-25 전일원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129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 포스코 붐 선단부의 원료 편적 방지용 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271B1 (ko) 2009-06-04 2011-09-14 현대로템 주식회사 다중 원료공급 장치
KR101309833B1 (ko) 2011-08-23 2013-09-25 전일원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509A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 wrapping a load, including a top platen
JP2014159336A5 (ko)
KR102360391B1 (ko) 스태커의 편적방지장치
CA2975457C (en) Drive belt tensioning device
US3455526A (en) Vibration-proof device for shifting and installing machines
CN101415969A (zh) 牵引机构传动装置的张紧装置
KR101568280B1 (ko) 바퀴(wheel)의 편심위치(偏心位置)에서 머물러 있는 액슬(axle)에 작용하는 하중(荷重)에 의해서 회전하는 바퀴(wheel).
US3315859A (en) Web tracking mechanism
KR20160118910A (ko) 랙 조정식 비료과립 건조 장치
KR20030044707A (ko) 중심 축 이동방식 벨트컨베어 사행조정 장치
KR100889441B1 (ko)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EP2773806B1 (en) A laundry dryer comprising a transportation safety member
KR100899696B1 (ko) 벨트콘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자동조정 캐리어스탠드
CN105314344B (zh) 托盘的旋转装置
KR20160143193A (ko)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JP2001219476A (ja) グリーンタイヤ貯蔵用支持ピン型架台
JP6403264B2 (ja) シート状部材の溝加工装置
JP2000033015A (ja) グリ―ンタイヤ貯蔵用支持ピン型架台
CA2067830C (en) Automatic mechanical centering device for endless belts moving on rollers
US20070272516A1 (en) Transport device
US9126785B2 (en) Suction 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taking off a sheet from a sheet stack
KR20200000780A (ko) 공작기계의 볼스크류 처짐방지장치
JP2009233777A (ja) 玉軸受の玉分配装置
US20130277472A1 (en) Centering rolls
JPH05471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