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441B1 -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 Google Patents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441B1
KR100889441B1 KR1020070043058A KR20070043058A KR100889441B1 KR 100889441 B1 KR100889441 B1 KR 100889441B1 KR 1020070043058 A KR1020070043058 A KR 1020070043058A KR 20070043058 A KR20070043058 A KR 20070043058A KR 100889441 B1 KR100889441 B1 KR 10088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
roller
bottom plate
gear
fix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777A (ko
Inventor
양재근
Original Assignee
양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근 filed Critical 양재근
Priority to KR102007004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4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9Other feature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랩의 풀림 정도를 조절하여 랩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가 개시된다. 승강 가능하며 랩을 고정할 수 있는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로서, 랩핑기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되, 바닥판, 바닥판에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 및 기둥의 자유 단부에 결합되는 기어박스로 이루어진 몸체를 포함한다.랩 고정바는 몸체의 바닥판에 세워진다. 제 1 롤러는 몸체의 바닥판과 기어박스에 자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축결합된다. 제 2 롤러는 제 1 롤러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3 롤러는 제 2 롤러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품의 랩핑 작업시 랩이 늘어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랩의 사용량 감소에 따른 원가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
랩, 랩핑기, 랩 롤링장치, 롤러.

Description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WRAP ROLLING APPARATUS OF WRAPP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랩 롤링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랩핑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랩 롤링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랩 롤링장치에 랩이 통과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4는 도 3의 랩 롤링장치의 롤러들 사이로 랩이 통과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랩핑기 110 : 랩 롤링장치
120 : 몸체 122 : 바닥판
124 : 기둥 126 : 기어박스
130 : 랩 고정바 140 : 제 1 롤러
142 : 제 2 롤러 144 : 제 3 롤러
150 : 제 1 기어 152 : 제 2 기어
160 : 받침구 162 : 누름구
164 : 조절구 166 : 압축 스프링
본 발명은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랩의 풀림 정도를 조절하여 랩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랩핑기는 포장된 물품상자나 벽돌 등을 먼지나 습기로부터 보호하거나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된 랩핑 필름으로 감싸주는 포장을 하는 장비이다.
종래의 랩핑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바, 그 대표적인 예는 본 발명의 출원인 양재근에 의해 2006년 9월 5일자로 등록받은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426323호(고안의 명칭; 랩핑기)가 있다. 이는 수직의 지지대, 지지대의 일측 표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리프트 및 리프트의 표면에 세워 설치되는 랩핑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랩핑기는, 랩핑봉에 랩을 단순히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된 구조였다. 즉, 작업자가 제품에 랩핑 작업을 할 때, 랩핑봉에 장착된 랩을 단순히 잡아당겨 주기만 하면 되었다. 이때, 랩은 랩핑봉으로부터 단순하게 풀림 작동되었다. 이 과정에서, 랩은 아무런 제어장치 없이 랩핑봉으로부터 풀어지게 되기 때문에 랩의 사용량이 필요 이상으로 사용되어 비용 부담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랩의 풀림을 제어하여 랩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승강 가능하며 랩을 고정할 수 있는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로서,
상기 랩핑기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되,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자유 단부에 결합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판에 세워지는 랩 고정바; 및
상기 몸체의 바닥판과 기어박스 사이에서 자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결합되는 다수의 롤러부재; 를 포함하는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몸체의 바닥판과 기어박스에 자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축결합되는 제 1 롤러; 상기 제 1 롤러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3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롤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에 내에 설치되는 제 1 기어; 및 상기 제 2 롤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 내에 설치되는 제 2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부재;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어 대 제 2 기어의 톱니수는 7 대 3의 비율로 한다.
상기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의 바깥 표면은 연질의 러버가 코팅 처리된다.
상기 랩 고정바의 고정단부에 제공되는 받침구; 상기 랩 고정바의 자유단부에 끼워지는 누름구; 상기 랩 고정바의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구; 및 상기 누름구와 조절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구를 강제 하강시키는 압축스프링; 으로 이루어진 랩 풀림 제어부재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랩 롤링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랩핑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랩 롤링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랩 롤링장치에 랩이 통과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랩 롤링장치의 롤러들 사이로 랩이 통과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랩핑기(100)는 베이스(10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104)을 포함한다. 승강지주(106)는 베이스(102)의 타측에 세워 설치된다. 이러한 랩핑기(100)의 랩 롤링장치(110)는 승강지주(106)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다.
랩 롤링장치(110)는 몸체(120)에 랩 고정바(130) 및 다수의 롤러부재가 제공되어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랩 롤링장치는 기어부재 및 랩 풀림부재가 더 포함된다.
몸체(120)는 랩핑기(100)의 일측인 승강지주(10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몸체(120)는 바닥판(122), 바닥판(122)에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124) 및 각각의 기둥(124)의 자유 단부에 결합되는 기어박스(126)를 포함한다. 바닥판(122)과 기어박스(126)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랩 고정바(130)는 몸체(120)의 바닥판(122)에 세워져 고정된다. 랩 고정바(130)에는 랩(R)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수의 롤러부재는 몸체(120)의 바닥판(122)과 기어박스(126) 사이에서 자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결합된다. 롤러부재는 몸체(120)의 바닥판(122)과 기어박스(126)에 자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축결합되는 제 1 롤러(140), 제 1 롤러(140)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롤러(142) 및 제 2 롤러(142)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3 롤러(144)가 포함된다. 제 1 롤러(140), 제 2 롤러(142) 및 제 3 롤러(144)는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재는 제 1 롤러(140)의 일단에 결합되며, 기어박스(126) 내에 설치되는 제 1 기어(150)가 포함된다. 제 2 기어(152)는 제 2 롤러(142)의 일단에 결합되며 기어박스(126) 내에 설치된다. 제 1 기어(150)와 제 2 기어(152)의 톱니수는 7 : 3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제 1 롤러(140)와 제 2 롤러(142)의 다른 회전수 때문에 랩(R)이 늘어나게 할 수 있다. 제 1 롤러(140)와 제 2 롤러(142)의 바깥 표면은 연질의 러버가 코팅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롤러(140) 및 제 2 롤러(142)에 감겨져 통과되는 랩(R)을 당겨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랩 풀림부재는 랩 고정바(130)의 고정단부에 제공되는 받침구(160)를 포함한다. 누름구(162)는 랩 고정바(130)의 자유단부에 끼워져 승강 작동된다. 조절구(164)는 랩 고정바(130)의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압축 스프링(166)은 누름구(162)와 조절구(164) 사이에 위치되어 누름구(162)를 강제 하강시킨다. 이들은 랩 고정바(130)에 끼워진 랩(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랩(R)이 늘어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포장을 위한 제품을 턴테이블(104)의 상면에 올려놓는다. 이와 동시에, 작업자는 랩(R)을 랩 고정바(130)에 끼워 설치한다. 이러한 랩(R)의 자유단부를 잡아당겨, 제 1 롤러(140), 제 2 롤러(142) 및 제 3 롤러(144)의 순으로 통과되도록 한다. 이렇게 통과된 랩(R)의 자유단부는 다시 제품(P)의 외주면에 감아준 상태로 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작업자는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랩 롤링장치(110)가 승강지주(106)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랩 롤링장치(110)가 턴테이블(104)의 상면에 얹혀진 제품의 위치와 상응한 높이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랩 롤링장치(110)의 승강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턴테이블(104)이 동작되도록 조절한다. 턴테이블(104)이 회전되면, 제품(P)도 함께 회전되어 제품(P)의 랩핑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랩 고정바(130)에 설치된 랩(R)이 제품(P)에 랩핑되는 과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즉, 랩 고정바(130)의 랩(R)은 제 1 롤러(140), 제 2 롤러(142) 및 제 3 롤러(144)의 순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랩(R)이 제 1 롤러(140)와 제 2 롤 러(142)를 통과할 때, 약간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제 1 롤러(140)의 제 1 기어(150)가 제 2 롤러(142)의 제 2 기어(152)의 톱니수가 많기 때문이다. 즉, 랩(R)이 제 1 롤러(140)를 통과할 때에는 천천히 통과되다가 제 2 롤러를 통과할 때에는 빨리 통과되기 때문에 랩(R)이 늘어나는 형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롤러(140)와 제 2 롤러(142)의 바깥 표면에 연질의 러버가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랩(R)을 자연스럽게 당겨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랩 고정바(130)에는 랩 풀림 제어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랩(R)의 풀림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랩 고정바(130)에는 받침구(160)를 우선적으로 끼워 베이스(102)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어, 랩 고정바(130)에 랩(R)을 끼우게 되면, 랩(R)의 하단이 받침구(160)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후, 압축 스프링(166)과 함께 조절구(164)를 랩 고정바(130)의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시킨다. 그러면, 누름구(162)는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랩(R)을 하부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여기서, 누름구(162)를 얼마만큼 하강하느냐에 따라,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이 조절되기 때문에 랩(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이 높게 되면, 랩(R)의 회전이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이 낮아지게 되면 랩(R)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결과적으로, 누름구(162)의 조작에 따라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랩(R)의 늘어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는 몸체와 제 1 롤러, 제 2 롤러, 제 3 롤러를 구비하여 랩이 통과될 수 있게 하고, 제 1 롤러의 제 1 기어와 제 2 롤러의 제 2 기어의 톱니수의 차이를 주고, 랩 고정바에 끼워진 랩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랩핑 작업시 랩이 늘어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랩의 사용량 감소에 따른 원가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

Claims (6)

  1. 승강 가능하며 랩을 고정할 수 있는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로서,
    상기 랩핑기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되,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자유 단부에 결합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판에 세워지는 랩 고정바;
    상기 몸체의 바닥판과 기어박스에 자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축결합되는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3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의 바닥판과 기어박스 사이에서 자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결합되는 다수의 롤러부재; 및
    상기 랩 고정바의 고정단부에 제공되는 받침구와, 상기 랩 고정바의 자유단부에 끼워지는 누름구와, 상기 랩 고정바의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구와, 상기 누름구와 조절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구를 강제 하강시키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랩 풀림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제 1 롤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 내에 설치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롤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 내에 설치되는 제 2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의 톱니수는 7 : 3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의 바깥 표면은 연질의 러버가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43058A 2007-05-03 2007-05-03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KR10088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058A KR100889441B1 (ko) 2007-05-03 2007-05-03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058A KR100889441B1 (ko) 2007-05-03 2007-05-03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777A KR20080097777A (ko) 2008-11-06
KR100889441B1 true KR100889441B1 (ko) 2009-03-24

Family

ID=4028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058A KR100889441B1 (ko) 2007-05-03 2007-05-03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4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391A (ko) * 2016-07-12 2018-01-23 김성연 수동식 비닐 포장기
KR20190035366A (ko) 2017-09-26 2019-04-03 양재근 저울을 구비한 랩핑장치
KR20230094664A (ko) 2021-12-21 2023-06-28 박광섭 랩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7355B (zh) * 2021-05-25 2022-08-16 赣州广建玻纤有限公司 一种用于织布生产的收卷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4377A (en) * 1974-06-12 1980-05-27 Lantech,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wrapping netting material around a lo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4377A (en) * 1974-06-12 1980-05-27 Lantech,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wrapping netting material around a loa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391A (ko) * 2016-07-12 2018-01-23 김성연 수동식 비닐 포장기
KR20190035366A (ko) 2017-09-26 2019-04-03 양재근 저울을 구비한 랩핑장치
KR20230094664A (ko) 2021-12-21 2023-06-28 박광섭 랩핑장치
KR20230095044A (ko) 2021-12-21 2023-06-28 박광섭 랩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777A (ko)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2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load to a pallet with a roped film web
KR100889441B1 (ko) 랩핑기의 랩 롤링장치
ITBO980472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il caricamento di film su macchine per l&#39; avv olgimento di prodotti .
CN206645658U (zh) 一种小型线缆放线盘及放线架
JP2008253116A (ja) 柱体昇降作業装置
JP6396437B2 (ja) ベルト交換装置
ITMO20110107A1 (it) Apparato di avvolgimento
KR20190058047A (ko) 와이어 꼬임 방지 장치
KR101098768B1 (ko) 회전되는 선재용 밴딩장치
JP5623794B2 (ja) 巻線用線材のバックテンション付与装置及びそのバックテンション付与方法
KR20100000620U (ko) 래핑머신
KR20100113910A (ko) 래핑머신의 포장지 고정장치
CN211437530U (zh) 一种铝条放卷机
KR200393162Y1 (ko) 선형 재료의 권출 텐션 조절 장치
ITBO20110711A1 (it) Dispositivo per il recupero di energia
CN109650161B (zh) 用于圆线的稀土线辊自动绕线机
EP1270484A2 (en) Apparatus for unwinding wire from reels with high inertia
JP5300036B1 (ja) ワイヤロープ繰り出し装置
KR101301987B1 (ko) 와이어로프 리빙용 텐션장치
KR20190056506A (ko) 견고한 랩핑이 가능한 랩핑기
CN212501207U (zh) 一种捆扎方盒的辅助装置
CN215514272U (zh) 一种移动式半自动缠膜装置
KR20240005645A (ko) 랩핑기
KR200469562Y1 (ko) 래핑머신용 포장지 절단장치
JP7158752B2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送出器及びこれを具えたストレッチ梱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