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931B1 -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931B1
KR101504931B1 KR1020130130394A KR20130130394A KR101504931B1 KR 101504931 B1 KR101504931 B1 KR 101504931B1 KR 1020130130394 A KR1020130130394 A KR 1020130130394A KR 20130130394 A KR20130130394 A KR 20130130394A KR 101504931 B1 KR101504931 B1 KR 10150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raw material
ship
gea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는: 선박에 적재되는 원료가 내측을 따라 이송되는 메인관로부와, 메인관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회전관로부와, 회전관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관로부에서 배출되어 적재된 원료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및 회전관로부와 회전이송부에 양측이 연결되며 회전이송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APPARATUS FOR PILE UP RAW MATERIAL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적재되는 적하물의 분산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적재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적하물로서 수재슬러그가 생성되어 육상과 해상을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선박을 통한 수재슬래그의 수송작업은, 벨트컨베이어를 경유하여 이송관로로 이동한 후, 선박의 내측으로 이송되어 선박의 내측에 적재된다.
수재슬러그 뿐만 아니라 골재의 적하작업에도, 벨트컨베이어와 이송관로가 사용되어 선박으로 골재를 이송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04939호(2001.01.15 공개, 발명의 명칭: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이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에 적재되는 적하물의 분산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적재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는: 선박에 적재되는 원료가 내측을 따라 이송되는 메인관로부와, 메인관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회전관로부와, 회전관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관로부에서 배출되어 적재된 원료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및 회전관로부와 회전이송부에 양측이 연결되며 회전이송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관로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회전기어와, 회전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구동기어 및 메인관로부에 고정되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이송부는, 회전관로부에 힌지 연결되는 프레임부재와, 프레임부재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기어와, 스프로킷기어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와, 스프로킷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체인부재 및 체인부재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원료를 회전관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패널은 "ㄷ"자 형상으로 굽어져서 체인부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는, 회전관로부에 힌지 연결되는 구동몸체 및 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직선 이동하며 회전이송부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는, 회전이송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 후, 이송모터의 동작으로 이송패널이 이동하면서 선박에 적재되는 원료를 자동으로 분산하므로 적재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에서 원료가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송부가 이동되어 원료가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철소의 부산물을 선박으로 운반하기 위한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에서 원료가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송부가 이동되어 원료가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1)는, 선박(12)에 적재되는 원료(16)가 내측을 따라 이송되는 메인관로부(30)와, 메인관로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료(16)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회전관로부(40)와, 회전관로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관로부(40)에서 배출되어 적재된 원료(16)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50)와, 회전관로부(40)와 회전이송부(50)에 양측이 연결되며 회전이송부(5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12)의 내측에는 원료(16)가 적재되는 저장공간(14)이 구비되며, 저장공간(14)을 구비한 선박(12)은 접안부두(10)에 접안되어 원료(16)의 적재작업이 이루어진다.
제철소에서 발생된 수재슬러그 등의 원료(16)는,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1)를 통해 선박(12)의 저장공간(14)으로 이송된다.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1)는, 접안부두(10)에 설치되는 본체부(20)와, 본체부(20)에서 선박(12)이 설치된 상측(이하 도 1기준)으로 연장되어 메인관로부(30)와 연결되는 연장부(22)를 포함한다.
연장부(22)의 하부로 메인관로부(30)가 연장되며, 메인관로부(30)의 하부에는 회전관로부(40)가 설치된다.
원료(16)는 연장부(22)를 따라 설치된 벨트컨베이어(24)를 따라 이동되어 메인관로부(30)를 따라 하측으로 낙하된다.
메인관로부(30)는 선박(12)에 적재되는 원료(16)가 내측을 따라 이송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인관로부(30)는 접철식으로 동작되어 길이의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길이의 가변 없이 단순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관로부(30)를 통해 낙하되는 원료(16)는 회전관로부(40)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되어 선박(12)에 적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관로부(30)와 회전관로부(40)는 서로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며, 회전관로부(40)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관로부(4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회전관로부(40)에 연결된 회전이송부(50)도 회전관로부(40)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관로부(40)는 메인관로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측을 통하여 원료(16)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관로부(30)의 하측 둘레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회전관로부(40)의 상측은 메인관로부(30)의 외측에 걸려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1)는 회전관로부(4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회전기어(42)와, 회전기어(42)에 맞물려 돌아가는 구동기어(44)와 메인관로부(30)에 고정되며 구동기어(44)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6)를 포함한다.
회전관로부(40)의 상측 둘레를 따라 회전기어(42)가 형성되며, 회전기어(42)에 맞물려 돌아가는 구동기어(44)는 회전모터(4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회전모터(46)는 메인관로부(30)의 외측에 고정되며, 회전모터(46)의 내측에는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가 구비되어 회전모터(46)의 회전수를 측정한다.
또한 회전모터(46)에는 별도의 감속기가 설치되어 토크를 증가시키므로 회전관로부(40)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회전이송부(50)는 회전관로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관로부(40)에서 배출되어 선박(12)에 적재된 원료(16)를 측방향(도 1기준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송부(50)는, 회전관로부(40)에 힌지 연결되는 프레임부재(52)와, 프레임부재(52)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기어(54)와, 스프로킷기어(54)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55)와, 스프로킷기어(54)에 맞물려 돌아가는 체인부재(56)와, 체인부재(56)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원료(16)를 회전관로부(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패널(57)을 포함한다.
프레임부재(52)의 일측은 회전관로부(40)에 힌지 연결되며, 프레임부재(52)의 타측은 회전관로부(4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52)는 2개의 패널이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프레임부재(52)의 양측에는 스프로킷기어(5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모터(55)는 프레임부재(52)에 고정되며, 이송모터(55)의 동력은 스프로킷기어(54)로 전달되어 스프로킷기어(54)를 회전시킨다.
2개의 스프로킷기어(54)가 이송모터(55)에 축 연결되며, 이송모터(55)의 동작으로 2개의 스프로킷기어(54)가 동시에 회전한다.
스프로킷기어(54)에 맞물려 돌아가는 체인부재(56)에 이송패널(57)이 연결되며, 체인부재(56)를 따라 이동하며 원료(16)를 선박(12)의 가장자리로 이송하는 이송패널(57)은 "ㄷ"자 형상으로 굽어져서 체인부재(56)에 연결되므로, 원료(16)가 이송패널(57)의 양측으로 흘러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회전관로부(40)와 회전이송부(50)에 양측이 연결되며, 회전이송부(5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60)는, 회전관로부(40)에 힌지 연결되는 구동몸체(62)와, 구동몸체(6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직선 이동하며 회전이송부(50)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부재(64)를 포함한다.
구동몸체(62)에는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며, 구동몸체(62)의 내측에 구비된 피스톤과 연결된 로드부재(64)는 직선이동하며 프레임부재(52)를 이동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에서 벨트컨베이어(24)를 따라 이동하는 원료(16)는 메인관로부(30)와 회전관로부(40)를 차례를 통과하며 하부로 낙하된다.
회전관로부(40) 하측에 원료(16)가 과다하게 적재되면, 원료(16)를 선박(12)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모터(46)가 동작되어 회전관로부(40)를 회전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가 동작되어 회전이송부(5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이송모터(55)가 동작되어 이송패널(57)을 회전시키므로 이송패널(57)이 이동하면서 원료(16)를 회전관로부(4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송패널(57)의 이동으로 선박(12)에 적재된 원료(16)가 균일한 높이로 적재되어 원료(16)의 적재와 관련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이송부(5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 후, 이송모터(55)의 동작으로 이송패널(57)이 이동하면서 선박(12)에 적재되는 원료(16)를 자동으로 분산하므로 적재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소의 부산물을 선박으로 운반하기 위한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종류의 운송물을 선박에 이송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10: 접안부두 12: 선박
14: 저장공간 16: 원료
20: 본체부 22: 연장부
24: 벨트컨베이어 30: 메인관로부
40: 회전관로부 42: 회전기어
44: 구동기어 46: 회전모터
50: 회전이송부 52: 프레임부재
54: 스프로킷기어 55: 이송모터
56: 체인부재 57: 이송패널
60: 구동부 62: 구동몸체
64: 로드부재

Claims (5)

  1. 선박에 적재되는 원료가 내측을 따라 이송되는 메인관로부;
    상기 메인관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회전관로부;
    상기 회전관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관로부에서 배출되어 적재된 상기 원료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및
    상기 회전관로부와 상기 회전이송부에 양측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이송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이송부는, 상기 회전관로부에 힌지 연결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기어;
    상기 스프로킷기어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
    상기 스프로킷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체인부재; 및
    상기 체인부재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원료를 상기 회전관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로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구동기어; 및
    상기 메인관로부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패널은 "ㄷ"자 형상으로 굽어져서 상기 체인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관로부에 힌지 연결되는 구동몸체; 및
    상기 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직선 이동하며, 상기 회전이송부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KR1020130130394A 2013-10-30 2013-10-30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KR10150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94A KR101504931B1 (ko) 2013-10-30 2013-10-30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94A KR101504931B1 (ko) 2013-10-30 2013-10-30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931B1 true KR101504931B1 (ko) 2015-03-23

Family

ID=5302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394A KR101504931B1 (ko) 2013-10-30 2013-10-30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9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631A (ko) * 2011-07-28 2013-0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적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631A (ko) * 2011-07-28 2013-0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적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43317A (ru) Машина для упаковки изделий в коробки
CN203638114U (zh) 一种多物料单包配料包装生产设备
CN104229167A (zh) 一种称重下料装置
CN107719817A (zh) 一种小包装自动破袋流水线
KR1012257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CN105059960B (zh) 一种送料装置
KR100922610B1 (ko) 회전식 컨베이어 장치
CN105383900A (zh) 散装物料输送设备
KR101309833B1 (ko)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CN205114543U (zh) 一种全自动扒谷机
KR101504931B1 (ko) 선박용 원료 적재장치
CN206367872U (zh) 一种翻转送料设备
JP2016504970A5 (ko)
CN206551936U (zh) 货物卸载机以及运输货车
KR101253040B1 (ko)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송 시스템
KR10136827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CN104692035A (zh) 一种高强度畚斗前沿的斗式提升机
CN204675373U (zh) 物料自动转运输送机
CN207510871U (zh) 一种小包装自动破袋流水线
KR101435050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1298761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320660B1 (ko) 회전슈트
KR20130013631A (ko) 선박용 적하장치
CN203714191U (zh) 散料称重装箱机
KR101295593B1 (ko) 트리퍼카용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