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948Y1 - 게이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게이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948Y1
KR200395948Y1 KR20-2005-0011156U KR20050011156U KR200395948Y1 KR 200395948 Y1 KR200395948 Y1 KR 200395948Y1 KR 20050011156 U KR20050011156 U KR 20050011156U KR 200395948 Y1 KR200395948 Y1 KR 200395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rame
gate
longitudinal direction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테코
Priority to KR20-2005-0011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65Roller driving means with displacement of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를 횡단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게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 뿐만 아니라 카트나 지게차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된 게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는 일측에 콘베이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이웃하는 컨베이어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흰지결합부를 구비하고,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복수의 다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된 물건을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으로 부터 이송되는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회전로울러를 구비한 회동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이트 컨베이어{GATE CONVEYOR}
본 고안은 컨베이어를 횡단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게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 뿐만 아니라 카트나 지게차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된 게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연속적으로 재료나 물건을 운반하는 장치로서 벨트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벨트를 순환시켜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OR)와, 롤러를 길게 늘어 놓은 형태로서 롤러의 상부에 물건을 올려놓고 운반하는 롤러컨베이어(ROLLER CONVEYOR)와, 나사를 회전시켜서 물건을 나사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SCREW CONVEYOR) 등이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이송거리가 장거리일 경우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물건을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를 중간에서 횡단하기 위한 별도의 게이트가 설치된 컨베이어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컨베이어의 일측에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회동게이트를 설치하고, 이 회동게이트를 통하여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는 회봉게이트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야하므로 회동게이트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카트나 지게차 등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넓은 간격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는 컨베이어를 횡단해야 할 물건의 중량이 무거워 지게차나 카트를 사용해야만 할 경우 컨베이어를 해체하므로 컨베이어의 횡단을 위한 컨베이어의 탈부착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카트나 지게차 등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넓은 간격이 확보된 게이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컨베이어를 횡단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탈부착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게이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게이트 컨베이어는 일측에 콘베이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이웃하는 컨베이어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흰지결합부를 구비하고,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복수의 다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된 물건을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으로 부터 이송되는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회전로울러를 구비한 회동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게이트 컨베이어는 프레임의 일측에, 프레임과 이웃하는 컨베이어를 체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게이트 컨베이어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는 이송로울러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축과, 상기 선축과 상기 이송로울러 사이에 엇걸기로 장착되는 벨트와, 상기 선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게이트 컨베이어는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선축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게이트 컨베이어의 회전로울러는 상기 이송수단과 별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의 회동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는 이웃하는 컨베이어에 흰지결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적재된 물건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과, 프레임부의 타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게이트로 구성된다.
프레임(14)은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다리(12)가 2열로 설치되고, 다리(12)의 각열을 따라 다리(12)의 상부에 프레임(14)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리(12)는 프레임(14)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양측에 각각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리(12)는 다리(12)에 가해지는 하중의 과다에 따라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다리(12)의 하부에는 바퀴(16)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바퀴(16)는 다리(12)의 연장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4)은 2열로 배치되는 다리(1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프레임(14)의 일측에 컨베이어의 일측과 연결되는 흰지결합부(40)가 형성되고, 이 흰지결합부(40)의 흰지축(42)이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프레임(14)이 연직축을 축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14)의 타측에는 프레임(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클램프(50)가 설치된다. 클램프(50)는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는 걸쇠(54)와, 프레임(14)의 일측에 프레임(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손잡이(52)구비된다. 이 손잡이(52)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가능한 걸림쇠(56)가 설치된다. 이러한 클램프(50)는 걸림쇠(56)를 걸쇠(54)에 건 상태에서 손잡이(52)를 프레임(14)의 길이방향의 전방으로 회동시켜 체결할 수 있고, 손잡이(52)를 프레임(14)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회동시켜 체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50)는 이웃하는 컨베이어에 게이트 컨베이어가 신속하게 착탈되도록 한다.
이송수단은 프레임(14)에 축지지되는 이송로울러(22)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축(24)과, 선축(24)과 이송로울러(22) 사이에 엇걸기로 장착되는 벨트(26)와, 선축(24)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이송로울러(22)는 프레임(14)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선축(24)은 프레임(14)에 형성된 베어링(18)에 축지지되어 프레임(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선축(24)에는 벨트(26)가 장착되는 환상(環狀)의 홈(24a)이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24a)과 이송롤러(22) 사이에는 벨트(26)가 장착된다. 여기서 벨트(26)는 선축(24)과 이송롤러(22)가 소정의 각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엇걸기로 장착된다. 구동모터(미도시)는 선축(24)을 회전시키도록 선축에 연결되다. 여기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인접하는 컨베이어의 선축(70)과 게이트 컨베이어의 선축(24)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동력의 전달을 연결시키거나 차단하는 마찰클러치(30)가 설치된다.
회동게이트(60)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흰지축(66)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프레임(14)의 타측에 설치되며, 이송수단으로부터 이송되는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회전로울러(64)가 구비된다. 이 회전로울러(64)는 선축(24)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지 않고 별도의 동력에 의해서 구동되는 파워로울러(POWER ROLL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로울러(64)는 별도의 회전로울러 구동모터(68)가 일측에 연결설치된다. 이러한 회동게이트(60)는 게이트 컨베이어가 회동할 때 프레임(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접혀져 게이트 컨베이어의 회전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게이트 컨베이어를 개방하기 전 게이트 컨베이어는 마찰클러치(30)에 입력된 동력은 선축(24)에 전달되고, 선축(24)에 전달된 동력은 선축(24)에 엇걸기로 장착된 벨트(26)에 의해 이송로울러(22)를 회전시킨다. 또한 회동게이트(60)에 설치된 회전로울러(64)는 별도의 회전롤러구동모터(68)에 의해서 회전된다. 따라서 게이트 컨베이어에 전달된 물건은 이송로울러(22)와 회전로울러(64)의 상부를 통과한 후 이웃하는 컨베이어에 물건이 전달된다.
게이트 컨베이어의 작동중 카트나 지게차가 컨베이어를 횡단하여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선축(70)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 때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선축(70)이 정지되면 이 선축(70)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컨베이어의 선축(24)도 정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로울러 구동모터(68)의 전원을 차단하여 회전되고 있는 회전로울러(64)를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동게이트(60)를 흰지축(66)을 축중심으로 하여 프레임(14) 길이방향의 상방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클램프(50)의 손잡이(52)를 프레임(14)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회동시켜 걸쇠(54)와 걸림쇠(56)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게이트 컨베이어를 밀어서 연직축인 흰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 다리(12)에 바퀴(16)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게이트 컨베이어가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회동게이트(60)는 프레임(14)의 길이방향에 상방으로 열려 있으므로 게이트 컨베이어의 회전반경이 확보되다.
이와 같이 게이트 컨베이어가 회동되어 통로가 확보되면 이 통로를 통하여 카트나 지게차 등이 컨베이어를 횡단하게 된다.
작업을 마치고 카트나 지게차 등이 귀환하면 게이트 컨베이어를 개방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게이트 컨베이어를 회동시켜 프레임(14)이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프레임(14)이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면 걸림쇠(56)를 걸쇠(54)에 건 후 체결시와 반대방향으로 손잡이(52)를 회동시켜 프레임(14)이 이웃하는 컨베이어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 때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선축(70)과 게이트 컨베이어의 선축(24)이 마찰클러치(30)에 의해 연결되다. 또한 회동게이트(60)를 열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회동프레임이 프레임(14)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게이트 컨베이어는 게이트 컨베이러을 회동시켜 넓은 간격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카트나 지게차 등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게이트 컨베이어는 클램핑장치에 의해서 착탈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게이트 컨베이어의 탈부착 시간을 절감하여 생선성을 향상시킨다.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의 회동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컨베이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2 다리 14 프레임
16 바퀴 22 이송로울
24 선축 26 벨트
30 마찰클러치 50 클램프

Claims (5)

  1. 일측에 콘베이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이웃하는 컨베이어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흰지결합부를 구비하고,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복수의 다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된 물건을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으로 부터 이송되는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회전로울러를 구비한 회동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트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프레임과 이웃하는 컨베이어를 체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트 컨베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는 이송로울러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축과, 상기 선축과 상기 이송로울러 사이에 엇걸기로 장착되는 벨트와, 상기 선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컨베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선축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컨베이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울러는 상기 이송수단과 별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게이트 컨베이어.
KR20-2005-0011156U 2005-04-21 2005-04-21 게이트 컨베이어 KR200395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156U KR200395948Y1 (ko) 2005-04-21 2005-04-21 게이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156U KR200395948Y1 (ko) 2005-04-21 2005-04-21 게이트 컨베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227A Division KR20060110969A (ko) 2005-04-21 2005-04-21 게이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948Y1 true KR200395948Y1 (ko) 2005-09-16

Family

ID=4369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156U KR200395948Y1 (ko) 2005-04-21 2005-04-21 게이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9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750A (zh) * 2018-12-29 2019-03-08 广东华风海洋信息系统服务有限公司 一种岸基渔获传输装置
KR20200075273A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게이트 컨베이어 및 그를 구비한 게이트 컨베이어 시스템
EP4124239A1 (en) * 2021-07-28 2023-02-01 Atlantic Man S.r.l. Seeding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273A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게이트 컨베이어 및 그를 구비한 게이트 컨베이어 시스템
CN109436750A (zh) * 2018-12-29 2019-03-08 广东华风海洋信息系统服务有限公司 一种岸基渔获传输装置
CN109436750B (zh) * 2018-12-29 2023-10-03 广东华风海洋信息系统服务有限公司 一种岸基渔获传输装置
EP4124239A1 (en) * 2021-07-28 2023-02-01 Atlantic Man S.r.l. Seed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61499B (zh) 链式传送带系统
JP2004083249A (ja) 移載装置
US7726467B1 (en) Conveyor coupler system
US20080236998A1 (en) Conveyor with accumulating slip rolls
KR200395948Y1 (ko) 게이트 컨베이어
KR20120003286A (ko) 구동형 자바라식 자동컨베이어
KR101309833B1 (ko)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JP4269838B2 (ja) 物品の方向変更装置
KR200419872Y1 (ko)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KR20060110969A (ko) 게이트 컨베이어
US20050126885A1 (en) Directional transition module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roller-type conveyor
JP2001106321A (ja) パイプコンベヤにおける捩れ矯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パイプコンベヤ
US7762389B2 (en) Workpiece conveying mechanism and product line using the same
CN214491138U (zh) 一种上料机构
US3799325A (en) Flexible conveyor system
KR19980025264U (ko) 컨베이어의 운반물 미끄럼 방지장치
KR200190176Y1 (ko) 롤러콘베이어 이송장치
KR200410152Y1 (ko) 방향전환용 아이들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CN211711996U (zh) 一种输送线夹持式过渡机构
JP2004256290A (ja) コンベヤ設備
KR200260318Y1 (ko) 중량물 운반용 터프롤러
JP2833303B2 (ja) ガイド装置付きカーブコンベヤ
KR200356779Y1 (ko) 다규격 팔레트용 디버터
JP3570072B2 (ja) 搬送装置
CN207107664U (zh) 带电动轴的物料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