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512A - 멀티 채널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채널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512A
KR20120010512A KR1020100072098A KR20100072098A KR20120010512A KR 20120010512 A KR20120010512 A KR 20120010512A KR 1020100072098 A KR1020100072098 A KR 1020100072098A KR 20100072098 A KR20100072098 A KR 20100072098A KR 20120010512 A KR20120010512 A KR 20120010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gate
source electrode
electrode
drai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077B1 (ko
Inventor
황인준
신재광
오재준
김종섭
최혁순
홍기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0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0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개시된 HEMT는 소스 전극,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에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적층물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은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은 2DEG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은 오믹 접촉되고, 드레인 전극은 쇼트키 접촉된다.

Description

멀티 채널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having multi chan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자세하게는 멀티 채널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HEMT)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HEMT는 밴드갭(band gap)이 다른 반도체들을 포함한다. HEMT에서 에너지 밴드갭이 다른 반도체들은 접합되어 있다. HEMT에서 밴드갭이 큰 반도체는 도너역할을 한다. 이러한 밴드갭이 큰 반도체에 의해 밴드갭이 작은 반도체에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가 형성된다. HEMT에서 2DEG는 채널로 이용될 수 있다.
HEMT는 전자 캐리어의 이동도를 높이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소자의 하나로써 고내압 트랜지스터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HEMT는 넓은 밴드 갭(wide band gap)을 갖는 반도체, 예컨대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HEMT의 절연파괴 전압은 클 수 있다.
2DEG는 밴드갭이 큰 물질에 n-doping 하는 방법이나 분극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HEMT는 기본적으로 채널이 형성되어 있어서 디플리션 모드(depletion mode)로 동작하게 된다. 하지만 회로의 간소화 등을 고려할 때, 인핸스먼트 모드(enhancement mode)(이하, E-mode)가 유익할 수도 있다. E-mode는 게이트 하부의 채널을 제거하여 구현할 수 있다.
HEMT는 오프 동작 상태에서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의 2DEG가 제거되면서 공간전하가 남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전하에 의해 전기장이 게이트에 집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HEMT의 절연 파괴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 상태에서의 저항을 낮추고 절연파괴 전압을 높일 수 있는 멀티 채널을 갖는 HEMT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러한 HEMT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EMT는 소스 전극,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에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적층물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은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은 2DEG 채널을 포함하는 HEMT를 제공한다.
이러한 HEMT에서 상기 적층물의 측면과 상부면은 상기 소스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 상기 게이트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아래의 상기 적층물에 상기 복수의 채널이 노출되는 콘택홀이 존재하고, 상기 콘택홀은 플러그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적층물은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의 적층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층물은 상기 소스 전극 아래에서 상기 게이트 아래를 지나 상기 드레인 전극 아래까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적층물과 오믹 접촉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적층물과 쇼트기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HEMT의 제조방법은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적층물을 기판 상에 형성하고, 상기 적층물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게이트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채널은 이격되어 있고, 각 채널은 2DEG 채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적층물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분극률이 다른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을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교번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적층물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게이트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층물의 양단을 덮도록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의 상기 적층물의 측면 및 상부면을 덮도록 상기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적층물은 오믹 접촉시키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적층물은 쇼트키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물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게이트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층물에 소스 영역, 게이트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한정하는 단계, 상기 한정된 각 영역에 복수의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물 상에 상기 소스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채우는 상기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전극이 형성된 결과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 후, 상기 적층물 상에 상기 드레인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채우는 상기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물 상에 상기 게이트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채우는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물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층물을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의 적층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된 복수의 적층물은 상기 소스 전극 아래에서 상기 게이트 아래를 지나 상기 드레인 전극 아래까지 확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EMT는 멀티 채널을 구비하여 온 상태에서 흐르는 온 전류(on-current)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HEMT의 멀티 채널은 내츄럴 수퍼 정션(natural super junction) 구조에서 비롯되는 바, 2DEG가 디플리션 될 때 대응되는 2DHG도 함께 디플리션되어 공간전하가 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공간전하에 따른 전기장이 게이트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HEMT의 절연파괴 전압은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채널을 갖는 HEMT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HEMT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HEMT를 3-3'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HEMT를 4-4'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 채널을 갖는 HEMT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HEMT를 6-6'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HEMT를 7-7'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HEMT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HEMT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12-12'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채널을 갖는 HEMT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먼저, 멀티 채널을 갖는 HEMT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HEMT의 평면 레이아웃(layout)을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하면, HEMT는 적층 구조물(10)을 포함한다. 적층 구조물(10)은 Y축 방향으로 주어진 길이를 갖고, X축 방향으로 주어진 폭을 갖는다. 적층 구조물(10)의 Y축 방향의 양단은 소스 전극(22S)과 드레인 전극(22D)으로 덮여 있다. 소스 전극(22S)과 드레인 전극(22D) 사이의 적층 구조물(10)에 핀 게이트(fin gate)(24G)가 존재한다. 핀 게이트(24G)는 소스 전극(22S) 및 드레인 전극(22D)과 이격되어 있되, 소스 전극(22S)에 보다 가깝게 위치한다. 핀 게이트(24G)는 적층 구조물(10)의 상부면과 측면을 덮는다.
도 2는 도 1의 HEMT의 우측 측면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스 전극(22S), 드레인 전극(22D) 및 핀 게이트(24G)는 적층 구조물(10)의 상부면과 측면을 덮는다. 적층 구조물(10)은 기판(30)과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물질층(40A, 40B)을 포함한다. 기판(30)과 복수의 물질층(40A, 40B) 사이에 버퍼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기판(30)은 사파이어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예를 들면 AlN 또는 AlGaN층일 수 있다. 복수의 물질층(40A, 40B)은 복수의 제1 물질층(40A)과 복수의 제2 물질층(40B)을 포함한다. 한 개의 제1 물질층(40A)과 한 개의 제2 물질층(40B)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한 쌍(pair)을 이룬다. 복수의 물질층(40A, 40B)은 이러한 쌍을 복수개 포함한다. 복수의 쌍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물질층(40A, 40B)는 제1 물질층(40A)과 제2 물질층(40B)이 여러 번 교번 적층된 구조물이다.
제1 및 제2 물질층(40A, 40B)은 분극율이 다르고 밴드갭이 다른 반도체층일 수 있다. 제2 물질층(40B)의 분극률과 밴드갭은 제1 물질층(40A)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물질층(40A)은 반도체층으로써, 예컨대 화합물 반도체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물질층(40A)은 AlGaN층, AlInN층, AlGaInN층일 수 있다. 제1 물질층(40A)은 AlN층일 수도 있다. 제2 물질층(40B)은 반도체층으로써, 예컨대 화합물 반도체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물질층(40B)은 GaN층 또는 InGaN층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물질층(40A, 40B)의 분극률 차이에 따라 제1 물질층(40A)에 분극(화살표 참조)이 나타난다. 이러한 분극에 따라 맨 아래쪽의 제1 물질층(40A)과 접촉되는 제2 물질층(40B)의 계면에 2차원 홀 가스(2-Dimensional Hole Gas)(2DHG)가 나타난다. 2DHG는 p채널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물질층(40B) 상에 형성된 제1 물질층(40A)의 분극에 의해 제2 물질층(40B)의 상부면 계면에는 2차원 전자 가스(2-Dimensional Electron Gas)(2DEG)가 나타낸다. 2DEG는 n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적층 구조물(10)에서 복수의 제1 물질층(40A)과 복수의 제2 물질층(40B)은 순차적으로 교번 적층되어 있으므로, 적층 구조물(10)은 복수의 채널, 곧 복수의 n 채널 또는 복수의 p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HEMT는 복수의 채널을 갖고 있으므로, HEMT가 온 모드(on-mode) 혹은 온 상태(on-state)에 있을 때, 온 전류(on-current)의 저항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적층 구조물(10)은 제2 물질층(40B)이 2DEG와 2DHG를 함께 갖고 있는 내츄럴 수퍼 정션(natural super junction) 구조이므로, HEMT가 오프 모드일 때, 게이트(24G)에 대응하는 2DEG가 디플리션 되면서 2DHG도 함께 디플리션 되어 공간 전하가 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공간 전하에 기인하여 게이트(24G)에 집중되는 전기장이 사라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HEMT의 절연파괴 전압이 높아지게 된다.
제1 물질층(40A)에 의해 제2 물질층(40B)에 2DEG 채널이 형성되므로, 제1 물질층(40A)은 자신보다 분극률이 작은(혹은 밴드 갭이 작은) 제2 물질층(40B)에 2DEG 채널을 형성시키는 채널 공급층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채널 공급층인 제1 물질층(40A)에 의해서 형성되는 2DEG 채널은 제2 물질층(40B)에 형성되므로 제2 물질층(40B)은 2DEG 채널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물질층(40B)은 2DEG 채널이 형성되어지는 층, 곧 채널 형성층이라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을 3-3'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10)의 최상층은 제1 물질층(40A)이고, 소스전극(22S), 드레인 전극(22D) 및 게이트(24G)는 최상층의 제1 물질층(40A) 상에 구비되어 있다. 소스 전극(22S)은 적층 구조물(10)과 오믹 접촉(Ti/Al)될 수 있고, 드레인 전극(22D)은 적층 구조물(10)과 쇼트키 접촉(schottky contact)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해서 HEMT의 온 및 오프 상태에서 드레인 전극(22D)을 통한 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24G)의 문턱전압(Vth)을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적층 구조물(10)의 게이트(24G)가 형성될 영역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산화하던가 게이트(24G)와 적층 구조물(10) 사이에 p형 반도체 또는 유전체를 구비하던가 게이트(24G)의 폭을 조절하여 문턱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제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p-type 반도체는, 예를 들면 p-GaN, p-AlGaN, p-AlInN, p-AlGaInN 등의 3-N 반도체 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을 4-4'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핀 게이트(24G)는 적층 구조물(10)의 상부면과 양 측면을 덮고, 기판(30)의 양 측면도 덮는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HEMT의 평면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 5를 참조하면, HEMT는 적층 구조물(20)을 포함하고, 적층 구조물(20)의 X축 방향의 양단은 소스전극(52S)과 드레인 전극(52D)으로 덮여 있다. 소스전극(52S)과 드레인 전극(52D) 사이의 적층 구조물(20) 상에 게이트(54G)가 존재한다. 게이트(54G)는 소스 전극(52S)과 드레인 전극(52D)과 이격되어 있되, 소스 전극(52S)에 가깝게 위치한다. 참조부호 h1, h2 및 h3는 적층 구조물(20)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홀을 나타낸다. 이러한 홀들(h1, h2, h3)은 각 전극에 3개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3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5를 6-6'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30) 상에 적층 구조물(20)이 존재한다. 적층 구조물(20)은 제1 물질층(40A)과 채널로 사용되는 제2 물질층(40B)이 반복적으로 교번 적층된 것이다. 제1 및 제2 물질층(40A, 40B)은 한 쌍을 이룬다. 도 6에는 제1 및 제2 물질층(40A, 40B)이 3번 교번 적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교번 적층되는 수는 3번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적층 구조물(20)의 최상층은 제1 물질층(40A)이다. 적층 구조물(20)에 제1 내지 제3 홀(h1, h2, h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홀(h1-h3)은 각각 제1 내지 제3 플러그(P1-P3)로 채워져 있다. 소스 전극(52S)은 제1 홀(h1)을 덮고 제1 플러그(P1)와 접촉된다. 드레인 전극(52D)은 제3 홀(h3)을 덮고 제3 플러그(P3)와 접촉된다. 게이트(54G)는 제2 홀(h2)을 덮고 제2 플러그(P2)와 접촉된다. 소스 전극(52S)과 제1 플러그(P1)는 같은 물질일 수 있다. 드레인 전극(52D)과 제3 플러그(P3)는 같은 물질일 수 있다. 게이트(54G)와 제2 플러그(P2)는 같은 물질일 수 있다.
도 7은 도 5를 7-7'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전극(52S) 아래의 적층 구조물(20)에 3개의 제1 홀(h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홀(h1)은 제1 플러그(P1)로 채워져 있다. 소스 전극(52S) 아래의 적층 구조물(20)에는 3개 이하 또는 3개 이상의 제1 홀(h1)이 있을 수 있으나 편의 상 3개의 제1 홀(h1)만 도시하였다.
게이트(54G) 및 드레인 전극(52D) 아래의 적층 구조물(20)에도 각각 소스 전극(52S)아래처럼 3개의 홀이 존재한다. 곧, 소스 전극(52S), 드레인 전극(52D) 및 게이트(54G) 아래에는 같은 수의 홀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각 홀들은 동일 선상에 있을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에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EMT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판(30) 상에 적층 구조물(20)을 형성한다. 적층 구조물(20)은 제1 및 제2 물질층(40A, 40B)을 순차적으로 교번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적층 구조물(20)의 최상층은 제1 물질층(40A)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적층 구조물(20)의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들을 한정하고, 한정된 영역들 내에 각각 복수의 콘택홀들(h1-h3)을 형성한다. 제1 콘택홀(h1)은 소스가 형성될 영역으로 한정된 영역에 형성하고, 제2 콘택홀(h2)은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으로 한정된 영역에 형성한다. 그리고 제3 콘택홀(h3)은 드레인이 형성될 영역으로 한정된 영역에 형성한다. 이후, 게이트 및 드레인이 형성될 영역을 마스크(미도시)로 덮고, 제1 콘택홀(h1)을 채우는 소스 전극(52S)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마스크을 제거한다. 이후, 소스 전극(52S)이 형성된 결과물을 열처리하여 소스 전극(52S)과 적층 구조물(20) 사이에 오믹 접촉을 형성한다. 이러한 열처리는, 예를 들면 급속 열 어닐(Rapid Thermal Anneal)(RTA)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는 600-900℃의 온도와 대기압하에서 1초-1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열처리를 완료한 후, 소스 전극(52S)과 제2 콘택홀(h2)을 덮고 제3 콘택홀(h3)과 그 주변을 노출시키는 마스크(M1)를 형성한다. 제3 콘택홀(h3)을 채우는 드레인 전극(52D)을 형성하고, 마스크(M1)를 제거한다. 드레인 전극(52D)은 소스 전극(52S) 처럼 열처리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레인 전극(52D)과 적층 구조물(20) 사이에는 쇼트키 접촉이 형성될 수 있어 HEMT의 오프 동작시 홀 전류, 곧 2DHG에 기인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콘택홀(h2)과 그 주변을 노출시키고 나머지는 마스킹하는 마스크(미도시)를 형성한다. 제2 콘택홀(h2)을 채우는 게이트(54G)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마스크를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멀티 채널을 갖는 HEMT가 형성된다. 게이트(54G)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소스전극(52S)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마스크를 형성하고, 소스 전극(52S)의 노출된 부분에 절연층을 형성한 다음, 제2 콘택홀(h2)을 채우는 게이트(54G)를 형성함으로써, 소스 전극(52S)과 게이트(54G)가 일부 겹치는, 멀티 채널을 갖는 HEMT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HEMT는 분리된 복수의 적층 구조물(7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물(70)은 서로 평행하다. 복수의 적층 구조물(70) 각각의 구성은 도 6의 적층 구조물(20)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조물(70) 사이에는 기판(30)이 노출되는 콘택홀(70h)이 존재한다. 적층 구조물(70)과 콘택홀(70h)은 소스전극(52S)아래에서부터 게이트(54G)를 지나 드레인 전극(52D) 아래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복수의 적층 구조물(70) 각각은 핀형 HEMT를 구성한다.
도 12는 도 11을 12-12'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판(30) 상에 복수의 적층 구조물(70)이 서로 이격되어 존재한다. 복수의 적층 구조물(70) 각각의 상부면과 측면은 게이트(54G)로 덮여 있다. 게이트(54G)는 복수의 적층 구조물(70)에 공유된다. 따라서 기판(30) 상에는 멀티 채널을 갖는 핀형 HEMT(80)가 복수개 존재한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 20, 70:적층 구조물 30:기판
22S, 52S: 소스전극 22D, 52D:드레인 전극
24G, 54G:게이트 40A, 40B:제1 및 제2 물질층
70h:콘택홀 80:핀형 HEMT
h1-h3:제1 내지 제3 콘택홀
M1:마스크 P1-P3:제1 내지 제3 플러그

Claims (10)

  1. 소스 전극,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에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적층물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은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은 2DEG 채널을 포함하는 HEMT.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의 측면과 상부면은 상기 소스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으로 덮인 HEMT.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상기 게이트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아래의 상기 적층물에 상기 복수의 채널이 노출되는 콘택홀이 존재하고, 상기 콘택홀은 플러그로 채워진 HEMT.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은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의 적층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층물은 상기 소스 전극 아래에서 상기 게이트 아래를 지나 상기 드레인 전극 아래까지 확장된 HEMT.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적층물과 오믹 접촉되고, 상기 드레인은 상기 적층물과 쇼트기 접촉된 HEMT.
  6.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적층물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물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게이트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은 이격되어 있고, 각 채널은 2DEG 채널을 포함하는 HEMT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분극률이 다른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을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교번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EMT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게이트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층물의 양단을 덮도록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의 상기 적층물의 측면 및 상부면을 덮도록 상기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적층물은 오믹 접촉시키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적층물은 쇼트키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HEMT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게이트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층물에 소스 영역, 게이트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한정하는 단계;
    상기 한정된 각 영역에 복수의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물 상에 상기 소스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채우는 상기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전극이 형성된 결과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 후, 상기 적층물 상에 상기 드레인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채우는 상기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물 상에 상기 게이트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채우는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EMT의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층물을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의 적층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된 복수의 적층물은 상기 소스 전극 아래에서 상기 게이트 아래를 지나 상기 드레인 전극 아래까지 확장되는 HEMT의 제조방법.
KR1020100072098A 2010-07-26 2010-07-26 멀티 채널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71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098A KR101718077B1 (ko) 2010-07-26 2010-07-26 멀티 채널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098A KR101718077B1 (ko) 2010-07-26 2010-07-26 멀티 채널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512A true KR20120010512A (ko) 2012-02-03
KR101718077B1 KR101718077B1 (ko) 2017-03-21

Family

ID=4583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098A KR101718077B1 (ko) 2010-07-26 2010-07-26 멀티 채널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0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2490A1 (en) 2013-03-14 2014-09-25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Superlattice crene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tor
KR20140133360A (ko) * 2013-05-10 2014-11-1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노멀리 오프 타입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WO2016209263A1 (en) 2015-06-26 2016-12-29 Intel Corporation GALLIUM NITRIDE (GaN) TRANSISTOR STRUCTURES ON A SUBSTRATE
US9899416B2 (en) 2016-01-11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WO2019010313A1 (en) * 2017-07-06 2019-01-10 Teledyne Scientific & Imaging, Llc FET HAVING BURNING GRID STRUCTURE
DE102015103017B4 (de) * 2014-03-03 2021-05-12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Gruppe III-Nitrid-basierter Transistor vom Anreichungsty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2319B2 (en) * 2000-07-18 2006-01-31 Epitaxial Technologies Ultra-linear multi-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US20080048174A1 (en) * 2005-08-25 2008-02-28 Sadaka Mariam G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Lateral Field-Effect Transistor and Schottky Diode
US20080315256A1 (en) * 2007-06-13 2008-12-25 Rohm Co., Ltd.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2319B2 (en) * 2000-07-18 2006-01-31 Epitaxial Technologies Ultra-linear multi-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US20080048174A1 (en) * 2005-08-25 2008-02-28 Sadaka Mariam G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Lateral Field-Effect Transistor and Schottky Diode
US20080315256A1 (en) * 2007-06-13 2008-12-25 Rohm Co., Ltd.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2490A1 (en) 2013-03-14 2014-09-25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Superlattice crene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tor
US9202906B2 (en) 2013-03-14 2015-12-01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Superlattice crene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JP2016512927A (ja) * 2013-03-14 2016-05-09 ノースロップ グラマン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イション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超格子凹凸状ゲー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EP2973722A4 (en) * 2013-03-14 2017-03-08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Superlattice crene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KR20140133360A (ko) * 2013-05-10 2014-11-1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노멀리 오프 타입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E102015103017B4 (de) * 2014-03-03 2021-05-12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Gruppe III-Nitrid-basierter Transistor vom Anreichungstyp
KR20180021123A (ko) * 2015-06-26 2018-02-28 인텔 코포레이션 기판 상의 갈륨 질화물(GaN) 트랜지스터 구조체들
CN107660313A (zh) * 2015-06-26 2018-02-02 英特尔公司 在衬底上的氮化镓(gan)晶体管结构
EP3314657A4 (en) * 2015-06-26 2019-03-20 Intel Corporation TRANSISTOR STRUCTURES OF GALLIUM NITRIDE (GAN) ON A SUBSTRATE
WO2016209263A1 (en) 2015-06-26 2016-12-29 Intel Corporation GALLIUM NITRIDE (GaN) TRANSISTOR STRUCTURES ON A SUBSTRATE
US11195944B2 (en) 2015-06-26 2021-12-07 Intel Corporation Gallium nitride (GaN) transistor structures on a substrate
US9899416B2 (en) 2016-01-11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10224343B2 (en) 2016-01-11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WO2019010313A1 (en) * 2017-07-06 2019-01-10 Teledyne Scientific & Imaging, Llc FET HAVING BURNING GRID STRUCTURE
US10388746B2 (en) 2017-07-06 2019-08-20 Teledyne Scientific & Imaging, Llc FET with buried gate structure
KR20200020001A (ko) * 2017-07-06 2020-02-25 텔레다인 사이언티픽 앤드 이미징, 엘엘씨 매립 게이트 구조체를 가진 fet
CN110998859A (zh) * 2017-07-06 2020-04-10 特励达科学与成像有限责任公司 具有掩埋栅极结构的fet
CN110998859B (zh) * 2017-07-06 2024-02-09 特励达科学与成像有限责任公司 具有掩埋栅极结构的f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077B1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67726B (zh) 改良之氮化鎵結構
US9853108B2 (e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using insulating films having different bandgaps to enhance performance
CN105938799B (zh) 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和半导体器件
US8963207B2 (en) Semiconductor device
JP5766740B2 (ja) 横型hemt
JP6367533B2 (ja) ノーマリーオフ高電子移動度トランジスタ
US10868164B2 (e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CN105702734A (zh) 半导体器件及制造半导体器件的方法
US10833185B2 (en) Heterojunctio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ource and drain pads with improved current crowding
JP5237535B2 (ja) 半導体装置
CN105742360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WO2013066967A1 (en) Monolithically integrated vertical jfet and schottky diode
KR101718077B1 (ko) 멀티 채널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TWI643338B (zh) 半導體裝置
KR20140011791A (ko)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69615A1 (en) Semiconductor device
US9461158B2 (en) Hetero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JP2023052520A (ja) 窒化物半導体装置
KR100797169B1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형성 방법
TW201639180A (zh) 二極體元件及其製造方法
JP201413543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40239356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16001651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11808B1 (ko) Ldd 영역을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emt) 및 그 제조방법
JP6372172B2 (ja)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