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105A -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의 내력면재를 사용한 벽 구조와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의 내력면재를 사용한 벽 구조와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105A
KR20120010105A KR1020110039318A KR20110039318A KR20120010105A KR 20120010105 A KR20120010105 A KR 20120010105A KR 1020110039318 A KR1020110039318 A KR 1020110039318A KR 20110039318 A KR20110039318 A KR 20110039318A KR 20120010105 A KR20120010105 A KR 20120010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wall
bearing wall
face
bearing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루유키 가토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2001/2696Shear br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주택을 건축함에 있어서는 내력벽과 비내력벽을 밸런스 좋게 배치해야만 하지만, 횡가재와 기둥재를 방형 프레임형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구조 축재의 실외측의 면에 내력면재 등의 판형체를 고정하여 내력벽을 구성하는 경우, 내력면재의 표면이 내력면재의 두께 분만큼, 구조 축재의 실외측의 면보다도 돌출되므로, 내력면재가 설치되어 있는 내력벽과 내력면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비내력벽의 실외측의 면은 동일면으로는 되지 않아 단차가 발생하여, 외벽재를 시공할 때 하지 처리가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또한, 건축 후에 축조립 상태를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 내력면재를 벗기지 않으면 점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건축물의 기둥, 간주 및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재가 둘러싸는 내측면에 수용재를 고정하고, 내력면재의 실외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 및 인접하는 비내력벽의 실외측의 면과 동일면 위가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의 내력면재를 사용한 벽 구조와 그 시공 방법{Wall structure using load bearing face material in the wooden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목조 축조립(軸組) 공법에 의해 건축되는 주택에 있어서, 내력면재를 사용한 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물의 구조 설계에 있어서는 일정한 풍압력, 지진력을 견딜 수 있도록 기둥, 들보, 바닥, 벽 등을 유효하게 배치하여, 건축물 전체가 자체 무게, 적재 하중, 적설, 풍압, 토압, 및 수압 및 지진 외의 진동 및 충격에 대하여, 구조 내력상 안전하게 설계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벽, 기둥 및 횡가재(橫架材)를 목조로 한 건축물에 있어서는 모든 방향의 수평력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각 층의 들보간 방향 및 도리 행 방향으로, 각각 벽 또는 근교(筋交)를 넣은 축조립을 균형 좋게 배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근교의 설치에 있어서는 근교 양단의 접합부에 느슨함이 있으면, 근교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또한, 큰 수평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벽에 사용되는 근교의 경우에는 접합 부분의 설계?시공이 복잡해지므로, 시공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근교 대신에, 또는 근교와 병용하여 내력면재를 축조립에 못을 박아 강고하게 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건축물에 있어서, 지진이나 바람 등의 수평 하중(가로로부터의 힘)에 저항하는 능력을 갖는 벽을 내력벽이라고 부르고, 그렇지 않은 벽(구조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는 벽)은 비내력벽이라고 부른다. 또한, 목조의 건축물에 있어서는 내력벽과 비슷하지만, 고정 방법이 불완전하여 저항력이 낮은 벽(예를 들어 칸막이벽 등)은 준내력벽이라고 불린다.
목조 건축물은 접합 부분이 회전하기 쉽기 때문에, 기둥과 들보만으로는 지진이나 바람 등의 수평 하중에 저항할 수 없다. 따라서, 각 층마다 소정의 양의 내력벽을 설치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내력벽이 많은 건축물은 내진성?내풍성이 우수하고, 또한, 각 부재가 금속물로 확실하게 단단히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내진성을 높일 수 있다.
내력벽은 축조립에 근교를 금속물로 설치하거나, 구조용 합판 등의 보드류로 이루어지는 내력면재를 소정의 못으로 박음으로써 만들 수 있다. 한편, 투습 방수 시트나 사이딩만을 설치한 벽은 내력벽으로는 되지 않는다.
내력벽의 성능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벽 배율이 있다. 벽 배율 1.O배는 벽길이 1m당 1.96KN의 수평 하중(가로로부터의 힘)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값이 높을수록, 성능이 높고, 큰 수평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목조 축조립 공법에 있어서는 건축 기준법령 제46조와 건설성 고시 1100호에서, 몇 개의 사양의 내력벽에 대해, 벽 배율을 0.1 내지 5.0의 범위로 규정하고 있다.
주택의 내진성에 대하여 착안하면, 지진력은 주택의 중심(重心)에 작용하고, 주택은 수평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 외에, 강심(剛心) 주위로 회전한다. 따라서, 중심과 강심이 지나치게 이격되어 있으면, 주택에 부분적으로 과대한 변형이 생겨 구조 부재가 손상되고, 그 결과, 주택의 내력이 저하되는 동시에, 다른 부분에 지진력의 부하가 집중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주택의 붕괴(倒壞)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주택의 중심과 강심이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중심이란 건축물의 평면형상의 중심이며 건축물의 무게 중심이다. 강심이란 수평력에 대항하는 힘의 중심이며 내력벽의 강성의 중심이다. 강심은 내력벽 등의 내진 요소의 수평 강성과 그 좌표로부터 구한다. 또한, 건축물의 중심과 강심의 불일치는 편심 거리와 편심률로 정의된다. 편심 거리로부터 산출되는 편심률은 중심과 강심의 간격의 비틀림 저항에 대한 비율이다.
건물 각 층의 중심은 연직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 등의 구조 내력상 주요한 부재에 생기는 장기 하중에 의한 축력 및 그 부재의 좌표(X, Y)로부터 계산된다. 단, 목조 축조립 공법에 있어서는 각 층 모두, 고정 하중, 적재 하중이 평면적으로 똑같이 분포되어 있고, 치우침이 없는 것으로서, 평면의 도심(圖心)이 중심과 일치한다고 가정된다. 강심은 내력벽 등의 내진 요소의 각 계산 방향의 수평 강성과 그 좌표로부터 산출된다. 여기에서, 수평 강성은 벽 실장과 벽 배율로부터 산출되고, 상기 중심과 강심으로부터 계산에 의해, 편심률은 산출된다.
내력벽을 충분히 확보해도, 건물의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밸런스 좋게 배치하지 않으면, 지진시에 변형이나 비틀림이 발생하여, 건물의 붕괴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주부 부근에 많은 내력벽이 있으면, 비틀어짐에 강하다. 한편, 북쪽이 전체면 내력벽이고, 남측이 전체면 개구와 같은, 소위 コ자형 배치는 비틀림에 약하여, 지진시에 쉽게 붕괴된다.
내력벽의 치우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편심률이 있고, 편심률의 값이 클수록 내력벽이 치우쳐 있는 것을 나타낸다. 평성 12년 건설성 고시 제1352호에서, 건축 기준법 시공령 제46조 제4항에 규정하는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는 편심률이 0.3 이하가 아니면 안 된다고 되어 있어, 일반적으로는 편심률이 0.15 이하인 주택이 특히 바람직하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진에 강한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내력벽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부터, 목조 축조립 공법에 의해 주택을 건축하는 경우, 내력면재라고 불리는 판형체를 근교 대신에, 또는 근교와 함께 사용하여 지진이나 풍압 등의 수평 방향의 힘에 대항하는 내력벽으로 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90184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71828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152922 실용 신안등록 제3129745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280580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55-132839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250192
종래부터, 목조 축조립 공법에 의해 주택을 건축하는 경우, 근교 대신에 내력면재를 축조립에 못을 박는 내력벽은 근교를 사용한 내력벽보다도 시공성이 양호하다고 알려져 있다.
내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택의 외주를 전체에 내력벽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람이 살기 위해서는 창문이나 현관 그리고 출입구와 같이 개구부가 필요하게 되므로, 내력벽을 설치하지 않는 장소로서 비내력벽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주택을 설계함에 있어서는 내력벽과 비내력벽을 밸런스 좋게 배치해야만 한다. 따라서, 건축 기준법에 있어서는 주택의 내진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내력벽과 비내력벽을 밸런스 좋게 배치하는 지표로서 편심률이 정해져 있다.
횡가재와 기둥재를 방형(方形) 프레임형으로 조립한 구조 축재의 외면에 내력면재 등의 외측판 상체를 고정하여 내력벽을 구성하는 경우, 내력면재의 두께 분만큼, 구조 축재의 외면에서도 내력면재의 표면이 돌출되므로, 내력면재가 설치되어 있는 내력벽과 내력면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비내력벽 사이에는 요철이 생기게 된다. 외벽재를 시공할 때는 하지(下地)에는 요철이 있어서는 안 되므로, 하지를 평활하게 하기 위한 공정이 종래에는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상기 하지의 요철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비내력벽에 내력면재가 아니지만 내력면재와 같은 두께 분의 비내력면재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불필요한 비내력면재를 사용하게 되어, 재료 비용이나 시공 비용이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력면재를 사용한 내력벽이면서, 내력면재의 표면은 축조립 구조 부재 및 인접하는 비내력벽의 실외측의 외면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그 후에 시공되는 외벽재의 시공에서 요철의 조정 작업을 발생시키는 것을 없앨 수 있고, 내력벽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며, 정밀도 좋고 또한 능률 좋게 내력면재를 구조 축재에 시공할 수 있는 벽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하나의 과제는 내력면재로 이루어지는 내력벽은 시공성이 간편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대벽(大壁) 공법에 의해 시공되어 있다. 그러나, 대벽 공법에 의해 내력면재가 축조립에 못 등으로 시공되어 있으면, 건축 후의 메인티넌스에서 축조립의 상태를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 목조 축조립 공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구조 부재인 기둥이나 횡가재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이 내력면재를 벗기지 않으면 점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장기에 걸쳐서 목조 주택을 계속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택의 구조재, 특히 기둥, 토대의 정기적인 점검은 중요한 점검 포인트이고, 이 기둥과 토대의 점검을 용이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도 내력면재가 구조재를 덮지 않음으로써, 구조재의 점검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는 내력벽의 구조가 요망되어 있었다.
제 1 발명은 내력벽과 비내력벽과 바디 에지(胴緣)와 외벽재로 이루어지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로서, 목조 건축물의 기둥 및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재가 둘러싸는 내측면에 수용재가 고정되고, 상기 수용재의 실외측에 내력면재가 고정되어 있는 내력벽에 있어서,
내력면재의 실외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 및 인접하는 비내력벽의 실외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청구항 1)이다.
제 1 발명에서는 소정의 사양에 기초하여 구조재에 강고하게 고정구로 일체화된 내력벽의 구조에 기여하는 수용재를 구조재의 내측면에 고정하고, 이 수용재의 실외측에 내력면재를 고정한 내력벽에 있어서, 내력면재의 실외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보다도 실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력면재의 두께 분만큼 구조재의 실외측의 최외면보다도 내려간 위치에 수용재는 고정된다.
내력면재의 단부가 구조재의 내측면으로 들어가도록 내력면재는 배치되고, 내력면재의 주위 단부의 근방에 못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수용재에 고정된다.
내력벽 내부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조재에 고정되는 수용재에 실내측과 실외측을 관통하는 통기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수용재의 통기성이 향상된다.(청구항 2)
또한, 수용재의 통기부의 개구부를 폐쇄하지 않도록, 구조재와 내력면재의 단부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여, 상기 내력면재가 수용재에 고정되어 있으면, 내력벽으로서의 통기성은 더욱 개선된다.(청구항 3)
내력면재가 내력면재의 주위 단부 근방에서 수용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용재와 내력면재는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또한, 내력면재를 수용재에 고정하는 못 등의 고정구보다도 수용재를 구조재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강고하게 함으로써, 수용재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전단력(剪斷力)이 작용해도, 구조재와 수용재와 고정구의 면 전단 변형은 작아지고, 수용재는 구조재와 완전히 일체화된 것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구조재, 수용재 및 내력면재가 일체화된 상태로 된다. 또한, 내력면재를 수용재에 고정하는 고정구의 간격이나, 수용재를 구조재에 고정하는 고정구의 간격은 필요로 하는 벽 배율에 따라서 간격이 설정된다.
구조재에 고정된 수용재에 통기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내력벽의 내부에 있어서의 통기성은 확보되고, 내력벽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만일 물이 침입하거나, 결로수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배수되는 동시에 통기에 의해 빠르게 건조되어, 구조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수용재에 통기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시공시에 수용재를 절단하는 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벽 전체의 시공이 용이하게 되고, 공사 기간 단축이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벽 내부의 통기성을 유지하여 구조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벽 배율이 높은 내력벽으로 할 수 있다.
내력면재로서는 구조용 합판, 파티클 보드, 오리엔티드 스트랜드 보드(OSB), 하드 보드, 경질 목편 시멘트판, 석고 보드, 펄프 시멘트판, 시징 보드 외의 건축 기준법 시공예 제46조에서 인정되어 있는 재료가 사용되고, 인정된 방법으로 구조재에 고정된 벽이 내력벽으로 된다.
구조 부재에 내력면재를 설치한 후, 내력면재의 실외측의 표면에 투습 방수 시트 등의 방수지를 깔고, 방수지 위로부터 바디 에지를 기둥, 횡가재 등의 구체(軀體)에 고정한다. 그 후, 이 바디 에지에 외벽재를 못 또는 고정 금속구로 고정한다. 바디 에지를 사이에 둠으로써, 외벽재와 내력면재 사이에는 통기층이 형성된다.
가령, 실내측의 습기가 내벽재를 통과하여 내력벽의 내부로 침입해도, 내력면재가 투습성의 판형체이면 그 습기는 내력면재를 통과하거나, 또는 투습성이 떨어지는 판형체이면 수용재에 설치된 통기부에 의해, 방수지를 통하여 외벽재측에 방습 내지 투습되고, 외벽재와 내력면재 사이에 배합된 통기층에 실내측의 습기는 방출된다.
또한, 내력벽과 비내력벽 사이에는 단차가 없으므로, 내력벽과 비내력벽 사이의 단차나 요철을 해소하기 위한 받침대 등을 사용하거나, 두께가 다른 바디 에지를 사용하는 등의 하지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바디 에지 시공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로서 강도를 발휘하는 내력면재가 바디 에지를 사이에 두고, 외벽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력면재가 외벽재에 의해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부식 등에 의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므로, 내력벽으로서의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제 1 발명의 벽 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는 기둥 및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재가 둘러싸는 내측면에 수용재를 고정한 후, 수용재에 내력면재를 고정하는 방법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시공 방법이 있다.
목조 건축물의 기둥 및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재가 둘러싸는 내측면에 수용재가 고정되어 상기 수용재의 실외측에 내력면재가 고정되어 있는 내력벽과, 비내력벽과, 바디 에지와, 외벽재로 이루어지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로서, 내력면재의 실외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 및 인접하는 비내력벽의 실외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력벽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미리 내력면재에 설치된 수용재를, 상기 기둥 또는 상기 횡가재의 내측면에 내력면재와 일체로 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력벽의 시공 방법.(청구항 5)
상기 시공 방법에 따르면, 내력면재가 미리 수용재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재를 구조재에 설치하므로, 내력면재를 수용재에 설치하는 작업을 건축 현장에서 실시할 필요가 없어져, 건축 공사 기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력벽으로서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력면재는 수용재에 규정의 고정구를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해야만 하고, 만일 고정구의 개수가 적게 시공되었을 때는 규정의 벽 배율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내력벽의 시공에 있어서, 내력면재를 설치하는 고정구를 못으로 한 경우, 못의 개수는 대량이며, 시공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못 박기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이 못 박기 관리 즉, 내력면재를 수용재에 고정하는 작업을 건축 현장과는 다른 공장에서 실시하는 것은 내력벽의 시공 품질을 유지하는 것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시공 공사 기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시공 방법에 있어서도, 수용재에 통기부를 설치하고, 수용재의 통기부를 폐쇄하지 않도록 구조재와 수용재 사이에 간격을 두어 내력면재를 수용재에 설치하면 내력벽 내부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한 상태에서 시공할 수 있다.(청구항 6, 청구항 7)
제 2 발명은 내력벽과 비내력벽과 바디 에지와 외벽재로 이루어지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로서, 목조 건축물의 기둥 및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에 내력면재가 고정되어 있는 내력벽에 있어서, 내력면재가 구조재에 고정되는 장소에는 상기 내력면재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력면재의 실외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 및 인접하는 비내력벽의 실외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이다. (청구항 4)
제 2 발명에 따르면, 내력면재가 구조재에 고정되는 장소에는 상기 내력면재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에 내력면재가 고정되므로, 제 1 발명과 같이 수용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수용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건축 현장에서 수용재를 고정하는 작업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시공의 합리화와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내력면재를 구조 부재의 실외측의 면에 고정시킨 내력벽을 사용한 벽 구조에서는 편심률을 고려한 설계에 의해 내력벽과 비내력벽이 서로 인접하여 설계 시공된 경우, 내력벽과 비내력벽의 단차 또는 요철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비내력벽에 내력면재와 같은 두께로서 내력을 갖지 않는 비내력면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재료 비용이 발생하는 동시에, 비내력면재를 시공하는 수고도 발생하고, 보다 많은 시공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한편, 내력벽과 비내력벽 사이에 단차 또는 요철을 발생시키고 싶지 않아, 모든 벽을 내력벽으로 바꾼 경우는 필요 이상으로 내력면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재료 비용 및 시공 비용이 증가되어 버린다. 또한, 모든 벽을 내력벽으로 해 버리면, 정해진 편심률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져, 지진에 대한 저항성은 오히려 악화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발명의 목조 건축물의 내력벽의 구조에 있어서는 편심률을 최적으로 유지하도록 내력벽과 비내력벽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내력벽과 비내력벽의 단차나 요철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외벽재의 시공에 있어서, 내력벽과 비내력벽의 단차나 요철을 해소하기 위한 하지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성이 향상된다.
또한, 내력면재가 미리 수용재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재를 구조재에 설치하는 시공 방법에 따르면, 수용재와 내력면재를 건축 현장 이외의 장소에서 가공할 수 있으므로, 내력벽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킨다.
제 2 발명의 목조 건축물의 내력벽의 구조에 따르면, 수용재를 사용하지 않고, 편심률을 최적으로 유지하도록 내력벽과 비내력벽을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내력벽과 비내력벽의 단차나 요철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외벽재의 시공에 있어서, 내력벽과 비내력벽의 단차나 요철을 해소하기 위한 하지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성이 더욱 향상된다.
지금까지의 대벽 구조의 내력벽에서는 가장 중요한 구조 부재인 기둥이나 횡가재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 내력면재를 벗겨서 점검해야만 했지만, 제 1 발명과 제 2 발명의 내력벽이라면, 내력면재가 구조재를 덮을 일이 없으므로, 목조 축조립 공법의 건축물을 건축한 후 장기간 경과한 후의 축조립의 검사에 있어서도, 내력면재를 벗기지 않고 축조립의 검사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내력벽과 비내력벽이 인접한 상태에서 외벽재가 시공된 평단면도.
도 5는 실내측과 실외측을 관통하는 통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사용되는 수용재.
도 6은 실내측과 실외측을 관통하는 통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수용재를 사용하여, 상기 통기부를 폐쇄하지 않도록 내력면재가 수용재에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내력벽과 비내력벽이 인접한 상태에서 외벽재가 시공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내력벽과 비내력벽이 인접한 상태에서 외벽재가 시공된 평단면도.
도 13은 종래 예의 목조 건축물의 구체의 사시도.
도 14는 종래 예의 목조 건축물의 구체의 종단면도.
도 15는 종래 예의 목조 건축물의 구체의 평단면도.
도 16은 종래 예의 대벽 구조의 내력벽의 사시도.
도 17은 종래 예의 대벽 구조의 내력벽의 종단면도.
도 18은 종래 예의 대벽 구조의 내력벽의 평단면도.
도 19는 종래 예의 대벽 구조의 내력벽과 비내력벽이 인접한 상태에서 외벽재가 시공된 평단면도.
도 20은 종래 예의 대벽 구조의 내력벽과 비내력면재가 고정된 비내력벽이 인접한 상태에서 외벽재가 시공된 평단면도.
도 21은 종래 예의 대벽 공법의 내력벽에 있어서의 접합 금속물(산형(山形) 플레이트)과 내력면재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접합 금속물(산형 플레이트)과 내력면재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종래 예의 대벽 공법의 내력벽에 있어서의 접합 금속물(모서리 금속물)과 내력면재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접합 금속물(모서리 금속물)과 내력면재의 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내력벽 배치의 양호한 예(A)(B)와 나쁜 예(C)(D).
도 26은 건물의 내진 밸런스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2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내력벽(31)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기둥(3, 3)은 상하 단부 및 그 중간부에 있어서 횡가재(바디 차(胴差); 1)와 횡가재(토대; 2)에 의해 결합되고, 기둥(3) 및 횡가재(1, 2)는 모두 구조재로 되어 있다.
상기 기둥(3, 3)과 횡가재(1, 2)의 구조재가 둘러싸는 내측면에는 기둥과 평행한 수직 방향의 수용재(7A)와 횡가재(1, 2)와 평행한 수평 방향의 수용재(7B)가 고정재(6)에 의해 구조재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재(7A, 7B)의 실외측의 면에는 내력면재(10)가 못(21)에 의해 못 부착됨으로써 내력벽(31)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력면재(10)의 면적은 구조재가 둘러싸는 내측면으로 이루어지는 면적보다도 작다.
내력면재(10)가 수용재(7A, 7B)에 못 부착되었을 때, 내력면재(10)의 실외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보다도 실외측(A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재(7A)는 내력면재(10)의 두께 분만큼 실내측(B측)으로 내려간 위치에 기둥(3, 3)의 구조재에 고정재(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수용재(7B)는 내력면재(10)의 두께 분만큼 실내측으로 내려간 위치에 횡가재(1, 2)의 구조재에 고정재(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내력면재(10)가 수용재(7A, 7B)에 못 부착된 실시형태 1의 내력벽(31)의 평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내력벽(31)을 비내력벽(30A)과 서로 인접하여 시공하여도, 내력벽(31)의 실외측(A측)의 면은 비내력벽(30A)의 실외측(A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나란히 배열되므로, 외벽 시공시에 필요하게 되는 하지면은 평면으로 된다.
따라서, 방수지(15)는 내력벽(31)과 비내력벽(30A)의 이음매의 단차를 걱정 없이 구조재와 내력면재(1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벽재(16)를 시공할 때에 필요한 바디 에지(13)는 내력벽(31)과 비내력벽(30A)의 쌍방에 대하여 같은 두께의 바디 에지(13)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내력벽(31)과 비내력벽(30A)의 이음매의 단차나 요철을 의식하지 않고 외벽재(16)는 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비내력벽(30A)은 도 13 내지 도 15에 기재된 종래 예의 구체를 사용하여 도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내력벽(31B)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다. 수용재(8)에 형성된 통기부(19)는 수용재(8)의 실외측의 면과 실내측의 면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실외측과 실내측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해서 설치된 것이다. 이 통기부(19)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각진 형의 노치 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통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원호형의 노치나 원형 그리고 각진 형의 구멍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도 6에는 기둥(3)에 설치된 수용재(8A)에 형성된 통기부(19A)와, 횡가재(2)에 설치된 수용재(8B)에 형성된 통기부(19B)가 도시된다.
도 6에서 통기부(19A, 19B)를 갖는 수용재(8A, 8B)의 시공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내력면재(10B)는 수직 방향의 수용재(8A)의 통기부(19A)와 수평 방향의 수용재(8B)의 통기부(19B)를 폐쇄하지 않도록, 내력면재(10B)의 단부가 구조재인 기둥(3)과 횡가재(2)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여 수용재(8A, 8B)에 못 부착된다.
수용재(8A, 8B)는 통기부(19A, 19B)의 개구부가 구조재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고정구(6)에 의해, 기둥(3)과 횡가재(2)에 고정된다. 통기부(19A, 19B)의 개구부가 기둥(3)과 횡가재(2)의 구조재의 내측면에 접함으로써, 통기부(19A, 19B)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면서, 구조재와 내력면재(10B)의 단부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하여, 수용재(19A, 19B)가 구조재에 고정된다.
실시형태 2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내력면재(10B)가 수용재(8A, 8B)에 못 부착되었을 때, 내력면재(10B)의 실외측(A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A측)의 면보다도 실외측(A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재(8A, 8B)는 내력면재(10B)의 두께 분만큼 실내측(B측)으로 내려간 위치에 횡가재(2)와 기둥(3)에 대하여 고정구(6)에 의해 고정된다.
도 7은 내력면재(10B)가 통기부(19A, 19B)를 갖는 수용재(8A, 8B)에 못 부착된 실시형태 2의 내력벽(31B)의 평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내력벽(31B)을 비내력벽(30A)과 서로 인접하여 시공하여도, 내력벽(31B)의 실외측(A측)의 면은 비내력벽(30A)의 실외측(A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나란히 배열되므로, 외벽재(16)를 시공할 때의 하지면은 평면이 된다.
따라서, 방수지(15)는 내력벽(31B)과 비내력벽(30A)의 이음매의 단차나 요철을 걱정 없이 구조재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벽재(16)를 시공할 때에 필요한 바디 에지(13)는 내력벽(31B)과 비내력벽(30A)의 쌍방에 대하여 같은 두께의 바디 에지(13)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내력벽(31B)과 비내력벽(30A) 사이의 단차나 요철을 의식하지 않고 외벽재(16)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비내력벽(30A)은 도 13 내지 도 15에 기재된 종래 예의 구체를 사용하여 도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내력벽(31C)에 대해 도 9 내지 도 12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내력벽(31C)의 구조를 도시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기둥(3, 3)은 상하 단부 및 그 중간부에 있어서 횡가재(1)와 횡가재(2)에 의해 결합되고, 기둥(3) 및 횡가재(1, 2)는 모두 구조재로 되어 있다.
상기 기둥(3, 3)과 횡가재(1)와 횡가재(2)의 구조재의 실외측(A측)의 면에는 내력면재(10C)가 고정되어 내력벽(31C)이 형성된다. 내력면재(10C)가 고정되는 구조재의 실외측(A측)의 면에는 내력면재(10C)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의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력면재(10C)가 구조재의 오목부(11)에 못(21)에 의해 못 부착되었을 때, 내력면재(10C)의 실외측(A측)의 면은 구조재의 실외측(A측)의 면보다도 실외측(A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도 11은 내력면재(10C)가 내력면재(10C)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의 오목부(11)가 형성된 기둥(3, 3)에 못 부착된 내력벽(31C)의 평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의 내력벽(31C)을 비내력벽(30A)과 서로 인접하여 시공하여도, 내력벽(31C)의 실외측(A측)의 면은 비내력벽(30A)의 실외측(A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나란히 배열되므로, 외벽 시공시에 필요로 되는 하지면은 평면이 된다.
따라서, 방수지(15)는 내력벽(31C)과 비내력벽(30A)의 이음매의 단차나 요철을 걱정 없이 구조재와 내력면재(10C)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벽재(16)를 시공할 때에 필요한 바디 에지(13)는 내력벽(31C)과 비내력벽(30A)의 쌍방에 대하여 같은 두께의 바디 에지(13)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내력벽(31C)과 비내력벽(30A)의 이음매의 단차나 요철을 의식하지 않고 외벽재(16)는 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비내력벽(30A)은 도 13 내지 도 15에 기재된 종래 예의 구체를 사용하여 도시한다.
다음에, 종래 예의 대벽 구조에 의한 내력벽에 대해서 도 16 내지 도 20으로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종래 예의 대벽 구조에 의한 내력벽(31D)의 구조를 도시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기둥(3, 3)은 상하 단부 및 그 중간부에 있어서 횡가재(1)와 횡가재(2)에 의해 결합되고, 기둥(3) 및 횡가재(1, 2)는 모두 구조재로 되어 있다.
상기 기둥(3)과 횡가재(1, 2)의 실외측(A측)의 면에는 내력면재(10D)가 고정되어 내력벽(31D)이 형성된다. 종래 예의 대벽 구조에 의한 내력벽(31D)에서는 내력면재(10D)가 구조재에 못(21)에 의해 못 부착되었을 때, 내력면재(10D)의 실외측(A측)의 면은 구조재의 실외측(A측)의 면보다도 실외측(A측)에 내력면재(10D)의 두께 분만큼 돌출된다.
도 19는 종래 예의 대벽 구조에 의한 내력벽(31D)을 구체만으로 이루어지는 비내력벽(30A)과 가로맞춤으로 시공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예의 대벽 구조에 의한 내력벽(31D)을 비내력벽(30A)과 서로 인접하여 시공하면, 내력벽(31D)의 실외측(A측)의 면은 비내력벽(30A)의 실외측(A측)의 면보다도 내력면재(10D)의 두께 분만큼 실외측(A측)으로 돌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벽재(16)를 시공하기 위한 하지면은 평면으로는 되지 않고, 내력벽(31D)과 비내력벽(30A) 사이에는 내력면재(10D)의 두께 분만큼의 단차나 요철이 발생한다.
따라서, 방수지(15)는 내력벽(31D)과 비내력벽(30A)의 이음매에 내력면재(10D)의 두께분의 단차가 있는 상태에서 시공하게 되므로, 방수지(15)의 시공이 어렵게 된다. 또한, 외벽재(16)의 시공에 있어서 외벽재(16)의 시공 하지(下地)는 평면이 아니면 안 되므로, 내력벽용의 바디 에지(13)와 비내력벽용의 바디 에지(13A)의 두께가 다른 2종류의 바디 에지를 준비해야만 한다.
따라서, 내력벽(31D)과 비내력벽(30A)의 단차나 요철을 의식하여, 주의 깊게 방수지(15)와 바디 에지(13, 13A) 또한 외벽재(16)를 시공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비내력벽(30A)은 도 13 내지 도 15에 기재된 종래 예의 구체를 사용하여 도시한다.
도 20은 실시형태 3의 내력벽(31D)과 비내력면재(9)로 이루어지는 대벽 구조의 비내력벽(30B)을 서로 인접하여 시공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의 내력벽(31D)을 비내력면재(9)로 이루어지는 대벽 구조의 비내력벽(30B)과 서로 인접하여 시공하면, 내력벽(31D)의 실외측(A측)의 면은 대벽 구조의 비내력벽(30B)의 실외측(A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나란히 배열되므로, 외벽 시공의 하지면은 평면으로 된다.
따라서, 방수지(15)는 내력벽(31D)과 비내력벽(30B)의 이음매의 단차나 요철을 걱정 없이 구조재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바디 에지(13)는 내력벽(31D)과 비내력벽(30B)의 쌍방에 대하여 같은 두께의 바디 에지(13)를 사용하여 구조재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비내력면재(9)로 이루어지는 대벽 구조의 비내력벽(30B)에서는 본래는 필요하지 않는 비내력면재(9)가 사용되므로, 재료 비용이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고, 또한 시공 수고도 여분으로 필요하게 된다.
다음에, 구조재를 강고하게 조립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형 플레이트(25A)나 모서리 금속물(25B)과 같은 접합 금속물과 내력벽의 조합에 대해서 기술한다.
종래의 대벽 구조의 내력벽(31D)에 접합 금속물인 산형 플레이트(25A)나 모서리 금속물(25B)을 설치하는 경우, 도 21과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력면재(10D)가 접합 금속물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내력면재를 구조재에 붙이기 전에, 내력면재에 노치(26A)나 노치(26B)와 같은 노치를 가공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또한 내력면재(10D)에 노치(26A, 26B)를 형성함으로써, 내력벽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못을 박을 수 없게 되므로, 노치에 의해 박을 수 없게 된 수의 못 개수 이상의 증가 박기 못(22)을 노치부의 근방에 증가하여 박지 않으면 안되었다.
한편, 본원 발명의 내력벽에 의하면, 구조재가 내력면재에 덮이는 일이 없고,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도 22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력면재(10)를 절단하는 것도, 증가 박기 못(22)을 증가하여 박지 않고, 접합 금속물을 내력벽의 구조재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벽 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는 기둥(3) 및 횡가재(1, 2)로 이루어지는 구조재를 건축 현장에서 조립한 후에, 구조재가 둘러싸는 내측면에 수용재(7A, 7B)를 고정한 후, 수용재(7A, 7B)에 내력면재(10, 10B)를 고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그 밖에도 이하에 기술하는 시공 방법이 있다.
미리 공장 등에 있어서 내력면재(10)를 수용재(7A, 7B)에 설치하여, 이 내력면재(10)와 수용재(7A, 7B)가 일체로 된 패널을, 건축 현장에서 구조재의 내측면에 고정한다. 이 시공 방법에 따르면, 내력면재(10)를 수용재(7A, 7B)에 설치하는 작업을 건축 현장에서 실시할 필요가 없어져 건축 공사 기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력벽으로서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력면재(10)는 수용재(7A, 7B)에 대하여, 벽 배율에 의해 정해지는 못을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고, 만일 못의 개수가 적게 시공되었을 때는 규정의 벽 배율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내력벽의 시공에 있어서, 내력면재를 설치하는 못의 개수는 대량의 개수이며, 현장 시공에서의 못 박기 관리는 시공 품질을 유지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관리 항목이었다.
이 못 박기의 관리, 즉 내력면재를 수용재에 고정하는 작업을 건축현장과는 다른 공장에서 실시하는 것은 내력벽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에 많이 기여할 수 있고, 시공 공사 기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공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시공에 있어서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내력벽이 시공된 후의 외벽재의 시공에 대해 기술한다.
내력면재가, 수용재 및 구조재에 고정된 후에, 축조립의 외측(실외측)에, 방수지(15)를 가로 접착으로 붙인다. 이 때 인접하는 방수지(15)는 겹침대 부분을 겹쳐서 고정한다. 또한, 방수지(15)의 좌우 겹침 부분의 겹침부는 기둥이나 간주(間柱) 위에 오도록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지(15)를 하지에 고정한 후에는 바디 에지(13)를 사용하여 방수지(15)의 외측에 12m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외벽재(16)를 배치하고, 외벽재와의 사이에 통기용의 공간인 통기층(14)을 형성한다. 또한, 축조립의 내측(실내측)에는 내장벽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내장벽의 내측에 단열재를 배치하고, 실내의 온도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구조재와 내력면재와 방수지(15), 외벽재(16)를 고정함으로써, 벽체 내의 통기를 확보한다.
통기 성능이 떨어지는 내력면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의 통기층(14)에 실내측의 습기를 보내기 위해서, 수용재에 통기부(19A, 19B)가 설치되어 있는 수용재(8A, 8B)를 사용하는 것이 기대된다. 이 통기부가 있는 수용재를 사용하면, 만일 통기성이 나쁜 내력면재라도, 벽체 내의 공간의 수분이 수용재의 통기부(19A, 19B)를 통과하여 내력벽의 실외측(A측)으로 방출되고, 방수지(15)를 통과하여, 외벽재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기층(14)을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내력벽의 내부는 항상 건조한 상태가 되고, 구조재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건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지(15)는 벽체 외로의 수증기의 배출은 행하지만 공기의 이동은 막고, 외벽측으로부터 침입한 물방울이 벽체 내로 침입하는 것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수지는 예를 들어 수십 미크론 정도의 작은 구멍이 다수 형성된 시트이며, 내구성, 내수성, 내부식성을 구비하고, 빗방울 등의 큰 입자는 통과시키지 않고, 수증기 등의 작은 입자를 통과시키는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방수성과 동시에 통기성을 구비하고, 또한 공기의 이동을 막는 단열효과도 겸하여 구비한다. 이 방수지의 일 예로서는 타이백(제조원: 듀폰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기부를 갖는 수용재의 통기부의 형상은 벽체와 외벽측이 연이어 통하고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소개한 바와 같은 네모형 이외의 원구멍, 각진 구멍, 원호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이라도 내력벽 수용재로서 필요하게 되는 강도를 잃어버리지 않을 정도의 구멍의 크기, 개수이면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횡가재(바디 차(胴差)) 2: 횡가재(토대)
3: 기둥 6: 고정구
7: 수용재 7A: 수용재
7B: 수용재 8: 통기부를 갖는 수용재
8A: 통기부를 갖는 수용재 8B: 통기부를 갖는 수용재
9: 비내력면재 10: 내력면재
10B: 내력면재 10C: 내력면재
10D: 내력면재 11: 오목부
13: 바디 에지 13A: 요철 조정용의 바디 에지
14: 통기층 15: 방수지
16: 외벽재 19: 통기부
19A: 통기부 19B: 통기부
21: 못 22: 증가 박기 못
25A: 산형(山形) 플레이트 25B: 모서리 금속물
26A: 노치 26B: 노치
30A: 비내력벽 30B: 비내력벽
31: 내력벽 31A: 내력벽
31B: 내력벽 31C: 내력벽
31D: 내력벽 32: 강심(剛心)
33: 중심(重心) 34: 편심거리
35: 지진력 36: 지진시의 회전 방향
37: 건물 38: 지진시에 회전하는 건물
A: 실외측 B: 실내측

Claims (7)

  1. 내력벽과 비내력벽과 바디 에지와 외벽재로 이루어지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로서,
    목조 건축물의 기둥 및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재가 둘러싸는 내측면에 수용재가 고정되고, 상기 수용재의 실외측에 내력면재가 고정되어 있는 내력벽에 있어서,
    내력면재의 실외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 및 인접하는 비내력벽의 실외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재에 실내측과 실외측을 관통하는 통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용재의 통기부를 폐쇄하지 않도록, 구조재와 내력면재의 단부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고, 상기 내력면재가 수용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
  4. 내력벽과 비내력벽과 바디 에지와 외벽재로 이루어지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로서,
    목조 건축물의 기둥 및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에 내력면재가 고정되어 있는 내력벽에 있어서,
    내력면재가 구조재에 고정되는 장소에는 상기 내력면재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력면재의 실외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 및 인접하는 비내력벽의 실외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
  5. 목조 건축물의 기둥 및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재가 둘러싸는 내측면에 수용재가 고정되어 상기 수용재의, 실외측에 내력면재가 고정되어 있는 내력벽과, 비내력벽과, 바디 에지와, 외벽재로 이루어지는 목조 건축물의 벽 구조로서,
    내력면재의 실외측의 면이, 구조재의 실외측의 면 및 인접하는 비내력벽의 실외측의 면과 동일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력벽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미리 내력면재에 설치된 수용재를, 상기 기둥 또는 상기 횡가재의 내측면에 내력면재와 일체로 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력벽의 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수용재에 실내측과 실외측을 관통하는 통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력벽의 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내력면재는 수용재의 통기부를 폐쇄하지 않도록 구조재와 내력면재의 단부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여 수용재에 못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력벽의 시공 방법.
KR1020110039318A 2010-07-20 2011-04-27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의 내력면재를 사용한 벽 구조와 그 시공 방법 KR20120010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2607 2010-07-20
JP2010162607A JP5667389B2 (ja) 2010-07-20 2010-07-20 木造建築物における耐力面材を使用した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105A true KR20120010105A (ko) 2012-02-02

Family

ID=4522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318A KR20120010105A (ko) 2010-07-20 2011-04-27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의 내력면재를 사용한 벽 구조와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40412B2 (ko)
JP (1) JP5667389B2 (ko)
KR (1) KR20120010105A (ko)
CN (1) CN102337765B (ko)
AU (1) AU2011202934B2 (ko)
CA (1) CA2742547C (ko)
DE (1) DE102011079425A1 (ko)
NZ (1) NZ593612A (ko)
RU (1) RU2483170C2 (ko)
TW (1) TWI45749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914B1 (ko) * 2012-12-17 2014-02-18 주식회사 럼버홈코리아 목조 건축물용 벽체
KR101434101B1 (ko) * 2013-05-24 2014-08-26 김기태 목조 건축용 벽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2112A (ja) * 2011-03-25 2012-10-22 Nichiha Corp 外壁下地の施工構造
FR2988111B1 (fr) * 2012-03-16 2015-12-18 Bernard Lamberton Mur exterieur pour maison a ossature bois ventile par la toiture
CN102758528B (zh) * 2012-07-12 2013-06-19 江苏武进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淤泥烧结保温砖外墙自保温施工方法
JP5805893B2 (ja) * 2013-09-09 2015-11-1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耐力壁及び耐力壁用の壁面材
SE538486C2 (sv) * 2014-10-02 2016-08-02 Paralox Ab Väggelement, väggsektion uppbyggd av nämnda väggelement samtförfarande för att bygga nämnda väggsektion
WO2016096162A1 (en) * 2014-12-19 2016-06-23 Siniat International Sas Seismic protective structure for board partitions
JP6962681B2 (ja) * 2015-11-25 2021-11-05 芳英 春城 木造建築物の耐力構造および耐力工法
RU2622955C1 (ru) * 2016-03-01 2017-06-21 Александр Витальевич Горбунов Домокомплект сборного деревянного домостро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присоединяемой к стене детали
LT6429B (lt) 2016-12-15 2017-07-25 Dan Sofer Savaime susicentruojantys , konstrukcinę apkrovą laikantys statybos elementai ir juos naudojantis nešančiųjų konstrukcijų būdas , sutvirtinant konstrukcinėmis grotelėmis, nenaudojant klijuojančio sluoksnio
RU2678735C1 (ru) * 2017-12-27 2019-01-31 Анатолий Яковлевич Лившиц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ая, виброизолирующая,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ая огр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WO2020080192A1 (ja) * 2018-10-19 2020-04-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ユニット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10731341B2 (en) 2018-11-05 2020-08-04 Covestro Llc Floor assemblies,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the use of such assemblies in a building
CN109812016A (zh) * 2019-02-26 2019-05-28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混凝土结构外墙表面楼层间错台控制方法
US20230017566A1 (en) * 2020-12-23 2023-01-19 Sekisui House, Ltd. Ventilation structure in exterior wall body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8237A (en) * 1936-09-18 1938-05-24 Ingleside Inc Partition
IS831B6 (is) * 1965-10-28 1973-04-12 Nordischer Maschinenbau Rud. BaaderNordischer Maschinenbau, Rud. Baader Aðferð til þess að fjarlægja lifur úr fiskiTæki til að hausa hásskorinn fisk, þannig að vætubeinið verði eftir á fiskinum
US4031681A (en) * 1976-02-04 1977-06-28 Joseph Charniga Wall construction
JPS55132839A (en) * 1979-03-30 1980-10-16 Nat Jutaku Kenzai Method of constructing wall of building
US4393633A (en) * 1981-01-26 1983-07-19 Joseph Charniga Wall construction
JPS6238308U (ko) * 1985-08-26 1987-03-06
JP2559149B2 (ja) * 1989-12-08 1996-12-04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高通気性住宅
JPH03129745U (ko) 1990-04-09 1991-12-26
AT394410B (de) * 1990-07-27 1992-03-25 Wolf Systembau Gmbh & Co Kg Wand, die aus vorgefertigten wandelementen zusammengesetzt ist
US5165212A (en) * 1990-09-28 1992-11-24 Arnold Joseph R Hollow panel wall assembly
JP2649323B2 (ja) * 1994-03-14 1997-09-03 弘明 菊地 2種のパネルと集成材軸組を組合せた木造外断熱合理化構法による外壁面
JPH09132946A (ja) * 1995-11-08 1997-05-20 Tanaka:Kk 耐震壁装置
JPH09250192A (ja) * 1996-03-15 1997-09-22 Mitsuo Nakayama 建造物のダブル耐力壁工法
JPH1025841A (ja) * 1996-07-10 1998-01-27 Toei Kensetsu Kogyo:Kk 家屋の外壁構造
JP3753485B2 (ja) * 1996-11-25 2006-03-08 大建工業株式会社 壁パネルとその取付構造
JPH10280580A (ja) 1997-04-08 1998-10-20 Sekisui House Ltd 透湿性耐力壁面材
US7251920B2 (en) * 1997-04-14 2007-08-07 Timmerman Sr Timothy L Lateral force resisting system
JP3853036B2 (ja) * 1997-08-29 2006-12-06 大建工業株式会社 通気壁構造
US6067769A (en) * 1997-11-07 2000-05-30 Hardy Industries Reinforcing brace frame
US8397454B2 (en) * 1997-11-21 2013-03-19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Building wall for resisting lateral forces
CA2226595C (en) * 1998-01-12 2003-12-02 Emco Limited Composite vapour barrier panel
JPH11217902A (ja) * 1998-01-30 1999-08-10 Daiken Trade & Ind Co Ltd 屋根の通気構造
JPH11293842A (ja) * 1998-04-13 1999-10-26 Nakano Komuten:Kk 木造建築の耐力パネル
US6212849B1 (en) * 1999-01-04 2001-04-10 Mitek Holdings, Inc. Pultruded fiberglass reinforced shear panel
DE19901433A1 (de) * 1999-01-18 2000-07-20 Juergen Ihle Vorgefertigte Wandplatte
JP2001090184A (ja) 1999-09-21 2001-04-03 Daiken Trade & Ind Co Ltd 木造建築物における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AU746655B2 (en) * 1999-12-24 2002-05-02 Nichiha Co., Ltd External wall construction
JP2001207583A (ja) * 2000-01-27 2001-08-03 Noda Corp 建築用板およびその施工構造
GB0019934D0 (en) * 2000-08-15 2000-09-27 Charland Gilles Grooved construction beam
US6668504B2 (en) * 2002-04-11 2003-12-30 Knight-Celotex, L.L.C. Sound-deadened wall and wall panel for same
US6792725B1 (en) * 2002-09-10 2004-09-21 Flannery Inc. Vent device for a wall structure
RU44697U1 (ru) * 2004-04-20 2005-03-27 Горбунов Александр Витальевич Деревянное домостроение
JP2005307517A (ja) * 2004-04-20 2005-11-04 Inayama Kenchiku Sekkei Jimusho:Kk 耐力壁
JP3129745U (ja) * 2006-09-28 2007-03-08 ニチハ株式会社 窯業系サイディングおよび該窯業系サイディングを使用した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CN200999400Y (zh) * 2006-12-21 2008-01-02 中国林业科学研究院木材工业研究所 木墙骨结构复合墙体
US7617638B1 (en) * 2007-06-06 2009-11-17 Slama Peter D Sid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914B1 (ko) * 2012-12-17 2014-02-18 주식회사 럼버홈코리아 목조 건축물용 벽체
KR101434101B1 (ko) * 2013-05-24 2014-08-26 김기태 목조 건축용 벽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26084A (ja) 2012-02-09
NZ593612A (en) 2011-09-30
AU2011202934A1 (en) 2012-02-09
DE102011079425A1 (de) 2012-02-02
CN102337765B (zh) 2015-08-12
CA2742547A1 (en) 2012-01-20
US20120017537A1 (en) 2012-01-26
US8640412B2 (en) 2014-02-04
TWI457490B (zh) 2014-10-21
RU2011125015A (ru) 2012-12-27
JP5667389B2 (ja) 2015-02-12
TW201204906A (en) 2012-02-01
RU2483170C2 (ru) 2013-05-27
CN102337765A (zh) 2012-02-01
CA2742547C (en) 2015-05-12
AU2011202934B2 (en)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0105A (ko)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의 내력면재를 사용한 벽 구조와 그 시공 방법
JP6675646B2 (ja) 木造建築物
JP2863719B2 (ja) 家屋の防湿構造と一体パネル工法
JP4031749B2 (ja) 木造建築
CA2963368C (en) Wall element, wall section of said elements and method for building thereof
JP4044852B2 (ja) 外張り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4026180B2 (ja) 木造建物における断熱材及び表面材の支持ブラケット
JP6916526B2 (ja) 木造建築物の断熱耐震構造
JP3127336U (ja) 建築物の床構造
JP3900019B2 (ja) 外壁下地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JP6963247B2 (ja) 耐力壁及び建物構造体
JP6856887B2 (ja) 部材取付具及び建物
JP2005194783A (ja) 外壁構造
JP2023161323A (ja) 建物のコーナー部の構造及び柱カバー
JP6581354B2 (ja) 建物
JP4120506B2 (ja) 外装下地パネル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2005307517A (ja) 耐力壁
JP2889472B2 (ja) 建築用外壁パネルとこのパネルを用いた建物の外壁
GB2556049A (en) A column assembly
JP4864801B2 (ja) 壁パネルの連結構造
JPH10280580A (ja) 透湿性耐力壁面材
JP2019094632A (ja) 木造建築物の断熱耐震構造
JP2005201025A (ja) 木造建築の構築方法
JPH08144365A (ja) ロング土台使用建物骨組構造
JP2008266908A (ja) 大型壁パネル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