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398A -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398A
KR20120009398A KR1020110038794A KR20110038794A KR20120009398A KR 20120009398 A KR20120009398 A KR 20120009398A KR 1020110038794 A KR1020110038794 A KR 1020110038794A KR 20110038794 A KR20110038794 A KR 20110038794A KR 20120009398 A KR20120009398 A KR 2012000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rod
plunger
pressure
variable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타로 타노
요시유키 쿠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12000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과제]
비교적 간단하게 플런저와 밸브 봉을 직결할 수 있고, 조립성의 향상, 비용 저감 등을 도모할 수 있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플런저(37)와 밸브 봉(15)을 직결하기 위한 연결 통체(52)가 마련됨과 함께, 밸브 봉(15)에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15e)이 마련되고, 연결 통체(52)에, 상기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15e)을 밀어넣음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 열려져서 상기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15e)을 통과시킴과 함께, 그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15e)이 통과하여 빠져나가면, 그것이 갖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을 계지하는 탄성 계지편(53)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본 발명은, 카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 봉(棒)이 작동 불량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성 등에도 우수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는, 압축기의 크랭크실 내의 압력(Pc)을 조정하기 위해,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토출 압력(Pd)의 냉매가 도입(導入)됨과 함께, 그 토출 압력(Pd)의 냉매를 조여서 크랭크실로 도출(導出)하도록 되고, 이 크랭크실로의 도출량(조임량)을, 압축기의 흡입 압력(Ps)에 따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기본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등에도 보이는 바와 같이, 밸브체부를 갖는 밸브 봉과, 그 밸브 봉이 활주 자유롭게 감삽(嵌揷)된 안내구멍과 상기 밸브체부가 접리(接離)하는 밸브구(口)가 마련된 밸브실을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로부터 토출 압력의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토출압 냉매 입구(Pd구(口))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의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냉매 출구(Pc구)가 마련된 밸브 본체와, 코일, 그 코일의 내주측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스테이터, 그 스테이터에 고정된 흡인자(吸引子), 그 흡인자의 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활주 자유롭게 배치된 플런저, 상기 흡인자와 플런저 사이에 배치된 플런저 스프링, 및 상기 플런저가 활주 자유롭게 감삽되는 안내 파이프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흡인자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흡입압 도입구(Ps구)를 통하여 흡입압이 도입되는 감압실(感壓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따라 상기 밸브 봉을 밸브개방 방향으로 가세하는 감압(感壓) 응동(應動) 부재와, 밸브 봉을 밸브폐쇄 방향으로 가세하는 밸브폐쇄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어 밸브에서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코일이 통전되면, 흡인자로 플런저가 끌어 당겨지고, 이에 수반하여, 밸브 봉이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플런저에 추종하도록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한편, 압축기로부터 Ps구를 통하여 도입된 흡입 압력(Ps)의 냉매는, 도입실로부터 플런저와 그 외주에 배치된 안내 파이프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등을 통하여 감압실에 도입되고, 감압 응동 부재(예를 들면 벨로스 장치)는 감압실의 압력(흡입 압력(Ps))에 따라 신축 변위(흡입 압력(Ps)이 높으면 수축, 낮으면 신장)하여, 그 변위(가세력)가 밸브 봉에 전달되고, 그에 의해, 밸브 개방도가 조정된다.
즉, 밸브 개방도는, 흡인자에 의한 플런저의 흡인력과, 감압 응동 부재의 가세력과, 플런저 스프링(밸브개방 스프링) 및 밸브폐쇄 스프링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결정되고, 그 밸브 개방도에 따라, Pd구로부터 밸브실에 도입된 토출 압력(Pd)의 냉매의 출구측, 즉 크랭크실에의 도출량(조임량)이 조정되고, 이에 의해, 크랭크실 내의 압력(Pc)이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 밸브에서는, 밸브 봉은,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만으로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봉과 안내구멍의 활주접촉면 사이에 이물이 차거나, 오일 소착 등에 의해 밸브 봉의 활주 저항이 증대하면, 밸브 봉이 로크하는 등의 작동 불량, 예를 들면, 플런저가 흡인자로 끌어 당겨져도, 밸브 봉이 밸브폐쇄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방치되는 것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일이 있고, 이 경우, 밸브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정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 불량을 해소하는데에는,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을 증대시키면 좋지만, 그렇게 하면 플런저 스프링(밸브개방 스프링)의 가세력도 증대시켜야 하므로, 스프링 및 제품의 대형화, 비용 상승 등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하기 특허 문헌 2에는, 플런저와 밸브 봉을 직결(일체화)하여, 흡인자로 플런저가 끌어 당겨질 때, 이와 함께 밸브 봉을 밸브폐쇄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의, 플런저와 밸브 봉을 직결(直結)한 제어 밸브에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통전시에 플런저는 자기(磁氣) 회로 상(흡인자와 플런저의 동축도(同軸度) 등의 관계로부터) 횡방향으로 어긋나거나(편측으로 치우치거나) 경사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밸브 개폐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플런저와 밸브 봉을 덜거덕거림 없이 직결하여 버리면, 플런저의 옆으로 어긋남이나 경사에 수반하여, 밸브 봉이 안내구멍에 꽉 눌려서, 활주 저항이 증대하고, 원활히 이동하지 않게 되고, 심하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로크 등의 작동 불량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플런저와 밸브 봉을 직결하는 경우는, 상기 문제도 있고, 부품의 치수 관리, 조립 정밀도 등이 엄격하게 되어,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원의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하기 특허 문헌 3(의 도 3 내지 도 5)에 게재된 바와 같이, 밸브 봉이 흡인자로 플런저가 끌어 당겨질 때, 그 밸브 봉은 플런저에 의해 밸브폐쇄 방향에 강제적으로 끌어 당겨지지만, 플런저의 옆으로 어긋남 및 경사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플런저에 대해 소정의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를 갖고서 밸브 봉을 감합(嵌合)시켜서 이루어지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를 제안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제어 밸브에서는, 해당 특허 문헌 3의 도 3 내지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밸브 봉에 소경부를 마련함과 함께, 그 소경부의 상측에 강제 이동용 계지부가 되는 대경부를 마련하고, 플런저의 중앙에 상기 소경부가 감삽되는 중앙구멍을 마련함과 함께, 조립시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상기 중앙 구멍에 대해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지름 방향으로 소정 거리 편심하여 상기 대경부를 삽입 가능한 편심구멍을 마련하고, 플런저와 그 외주에 배치된 안내 파이프의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어런스보다, 상기 소경부와 상기 중앙 구멍의 사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의 쪽을 크게 하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3-17225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2004-10047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2007-285159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3에 게재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서는, 밸브 조립시, 밸브 본체에 밸브 봉을 아래로부터 삽입하고, 밸브 봉에 플런저를 통과시킨 후, 플런저를 횡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밸브 봉에 감합시키거나, 코킹하거나 함에 의해, 플런저와 밸브 봉을 직결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 조립에 수고가 들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비교적 간단히 플런저와 밸브 봉을 직결할 수 있고, 조립성의 향상, 비용 절감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는, 기본적으로는, 밸브체부를 갖는 밸브 봉과, 그 밸브 봉이 활주 자유롭게 감삽되는 안내구멍과 상기 밸브체부가 접리하는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을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로부터 토출 압력의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토출압 냉매 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의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냉매 출구가 마련된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봉을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흡입압이 도입되는 감압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따라 상기 밸브 봉을 밸브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감압 응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와 상기 밸브 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가 마련되고, 그 연결 부재는, 상기 밸브 봉을 상기 밸브 본체의 안내구멍에 삽입함에 의해 상기 밸브 봉의 일단에 계합하여 그 일단을 계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밸브 봉에 버섯형상 내지 차양(鍔)형상 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탄성을 갖는 판재(板材)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것으로, 상기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을 밀어 넣음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 열려져서 상기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을 통과시킴과 함께, 그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이 통과하여 빠져나가면, 그것이 갖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을 계지하는 탄성 계지편이 마련된다.
이 경우, 보다 구체적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통 형상의 연결 부재의 저부에, 그 저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복수 분할 원추대 형상의 상기 탄성 계지편이 마련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 내에 상기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스 장치 및 상기 감압실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서는, 밸브 봉을 밸브 본체의 안내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극히 간단하게 플런저와 밸브 봉을 연결할 수 있고, 조립성의 향상, 비용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를 탄성을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것으로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 내에 벨로스 장치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벨로스 장치를 코일의 내주 부분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코일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컴팩트화, 비용 절감화 등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3의 (a)의 X-X화살로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밸브 조립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시하는 제어 밸브(1)는, 전자식 액추에이터(30)와, 밸브 본체(20)와, 그 밸브 본체(20) 내에 활주 자유롭게 감삽된 밸브 봉(15)과,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스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식 액추에이터(30)는, 통전 여자용의 코일(32), 그 코일(32)의 상측에 부착된 전원 커넥터부(31A)를 갖는 커넥터 헤드(31), 코일(32)의 내주측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흡인자(34)(스테이터), 흡인자(34)의 하단부 외주(단차부)에 그 상단부가 TIG 용접에 의해 접합된 계단형상의 단(段)이 있는 안내 파이프(35), 흡인자(34)의 하방에서 안내 파이프(35)의 내주측에 상하 방향으로 활주 자유롭게 배치된 플런저(37), 상기 코일(32) 및 커넥터 헤드(31)에 외삽된 단이 있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60), 및, 그 하우징(60)의 하단부와 단이 있는 안내 파이프(35)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을 밸브 본체(20)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인자(34)의 상부에는, 육각 구멍이 있는 조절 나사(65)가 나사결합되고, 이 조절 나사(65)의 하단면에, 흡인자(34) 및 플런저(37)에 활주 자유롭게 감삽된 버팀 봉(捧)(33)의 상단면이 맞대어져 있다.
밸브 본체(20)는, 밸브 봉(15)의 밸브체부(15a)가 접리하는 밸브 시트(밸브구)(22)가 마련된 밸브실(21)를 가지며, 이 밸브실(21)의 외주부(밸브 시트(22) 보다 하측)에 압축기로부터 토출 압력(Pd)의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압 냉매 도입구(25)가 마련됨과 함께, 밸브 시트(22)의 상측에는, 플런저(37)의 최하강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볼록형상 스토퍼부(28)가 압입(壓入) 등에 의해 고정되고, 이 볼록형상 스토퍼부(28)와 밸브 시트(22) 사이에는, 밸브실(21)로부터 밸브 시트(밸브구)(22)를 통하여 조여져서 흐르는 냉매(의 압력(Pc))를 크랭크실에 유도하기 위한 도출실(24)이 마련됨과 함께, 밸브 본체(20)의 하부에는 상기 도출실(24)과 밸브 본체(20)의 하단면에 개구한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도출구멍(2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밸브 본체(20)의 하단부 중앙에는, 조립시에 밸브 봉(15)을 삽통시키기 위한 삽통구멍(13)이 마련됨과 함께, 그 삽통구멍(13)에는, 후술하는 밸브 봉(15)의 하단부(하부 감삽부)(15b)가 활주 자유롭게 감삽되는 바닥이 있는 단이 있는 원통 형상의 마개(栓) 형상 가이드 부재(12)가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밸브 본체(20)에서의 볼록형상 스토퍼부(28)의 상측에는 흡입압 도입구(Ps 구)(27) 및 흡입압 도입실(23)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봉(15)은, 상기 볼록형상 스토퍼부(28)에 형성된 안내구멍(19)에 활주 자유롭게 감삽되는 하측 봉형상 부재(15A)와 그 하측 봉형상 부재(15A)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볼록형상 부재(15B)로 이루어져 있고, 하측 봉형상 부재(15A)는, 아래로부터 차례로, 하부 감삽부(15b). 그 하부 감삽부(15b)보다 대경(大徑)의 밸브체부(15a), 소경부(15c), 상부 감삽부(15d), 버섯형상 머리부(15e)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상측 볼록형상 부재(15B)는, 위로부터 차례로, 소경 봉형상부(15f), 대경부(15g), 차양형상 스프링 받이부(15h)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측 봉형상 부재(15A)와 상측 볼록형상 부재(15B)로 이루어지는 밸브 봉(15)의 내부에는 단면 T형의 균압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런저(37)와 상기 밸브 봉(15)(의 하측 봉형상 부재(15A))를 직결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박판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연결 통체(연결 부재)(52)가 구비되고, 이 연결 통체(52) 내에 상기 벨로스 장치(40) 및 상기 밸브 봉(15)의 상측 볼록형상부(15B)가 수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 통체(52)는, 플런저(37)의 하부 외주에 형성된 환상(環狀) 홈(37a)에 그 상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고(코킹부(52a)), 또한, 그 저부(52b) 중앙에는,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부(52b)로부터 내측(상측)으로 절곡되는 4분할 원추대(圓錐臺) 형상의 탄성 계지편(53)가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 계지편(53)은, 도 3의 (a)→(b)→(c)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 봉(15)에서의 하측 봉형상 부재(15A)의 버섯형상 머리부(15e)로 하측부터 밀어올림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 열려져서 버섯형상 머리부(15e)를 통과시키고, 버섯형상 머리부(15e)가 통과한 후는, 그것이 갖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4분할 원추대 형상으로 복원하여 버섯형상 머리부(15e)를 계지하도록 되어 있다. 탄성 계지편(53)으로 버섯형상 머리부(15e)가 계지됨에 의해, 플런저(37)와 밸브 봉(15)이 연결 통체(52)를 통하여 직결되고, 그들은 일체로 상하이동하게 된다.
또한, 연결 통체(52)의 저부(52b) 및 버섯형상 머리부(15e) 상에는, 상기 하측 볼록형상부(15B)의 차양형상 스프링 받이부(15h)및 대경부(15g)가 맞대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 통체(52) 내에 배치되는 벨로스 장치(40)는,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스(41), 역철자(逆凸字) 형상의 상스토퍼(42), 역요자(逆凹字) 형상의 하스토퍼(43), 압축 코일 스프링(44), 원통 형상 스프링 받이(48) 등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통체(52)와 벨로스(4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감압실(45)로 되어 있다. 벨로스 장치(40)의 상단면(상스토퍼(42))은 상기 버팀 봉(33)에 맞대어지고, 하스토퍼(43)에는, 상기 상측 볼록형상 부재(15B)의 소경 봉형상부(15f)가 삽입 맞대어져 있다.
또한, 하스토퍼(43)와 상기 상측 볼록형상 부재(15B)의 차양형상 스프링 받이부(15h) 사이에는, 벨로스(41)를 지지함과 함께, 밸브 봉(15)을 밸브개방 방향(하향)으로 가세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46)이 수축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어 밸브(1)에서는, 흡인자(34)로 플런저(37)가 끌어당겨지면(통전시), 밸브 봉(15)은 플런저(37)에 의해 연결 통체(52)를 통하여 밸브폐쇄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끌어 당겨진다. 한편, 압축기로부터 흡입압 도입구(27)에 도입되는 흡입 압력(Ps)은, 각 부재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감압실(45)에 도입되고, 벨로스 장치(40)(내부는 진공압)은 감압실(45)의 압력(흡입 압력(Ps))에 따라 신축 변위(흡입 압력(Ps)이 높으면 수축, 낮으면 신장)하고, 그 변위가 밸브 봉(15)에 전달되고, 그에 의해, 밸브 개방도가 조정된다.
즉, 밸브 개방도는, 흡인자(34)에 의한 플런저(37)의 흡인력과, 벨로스 장치(40)의 가세력과, 압축 코일 스프링(46)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결정되고, 그 밸브 개방도에 따라, 토출압 냉매 도입구(25)로부터 밸브실(21)에 도입되는 토출 압력(Pd)의 냉매의 출구(26)측, 즉 크랭크실에의 도출량(조임량)이 조정되고, 이에 의해, 크랭크실 내의 압력(Pc)이 제어된다.
본 실시예의 제어 밸브(1)를 조립함에서는, 먼저, 플런저(37), 연결 통체(52), 벨로스 장치(40), 및 상측 볼록형상 부재(15B)로 된 부분을 조립하고, 그 조립체를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전자식 액추에이터(30) 및 밸브 본체(20)에 조립하고 두고, 그리고 나서, 밸브 봉(15)의 하측 봉형상 부재(15A)를 밸브 본체(20)의 하측에서 삽통구멍(13)에 통하여, 도 3의 (a)→(b)→(c)에 도시하는 것처럼, 4분할 원추대 형상의 탄성 계지편(53)를 밸브 봉(15)에 있어서 하측 봉형상 부재(15A)의 버섯형상 머리부(15e)로 하측으로부터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탄성 계지편(53)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 열려져서 버섯형상 머리부(15e)가 탄성 계지편(53)보다 상측으로 빠지고, 이것과 함께, 탄성 계지편(53)은 그것이 갖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4분할 원추대 형상으로 복원하고, 버섯형상 머리부(15e)를 계지한다. 탄성 계지편(53)에 버섯형상 머리부(15e)가 계지됨에 의해, 플런저(37)와 밸브 봉(15) 이 연결 통체(52)를 통하여 직결되고, 그들은 일체로 상하이동하게 된다. 그 후, 마개형상 가이드 부재(12)를 삽통구멍(13)에 압입 등에 의해 고정함에 의해, 제어 밸브(1)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어 밸브(1)에서는, 연결 통체(52)에 마련된 탄성 계지편(53)에 밸브 봉(15)의 버섯형상 머리부(15e)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극히 간단하게 플런저(37)와 밸브 봉(15)을 직결할 수 있고, 조립성의 향상, 비용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통체(52)는, 박금속판을 예를 들면 드로잉 프레스 성형함에 의해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코일(32)의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 통체(52) 내에 벨로스 장치(40)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환언하면, 연결 통체(52)가 벨로스 수용실을 겸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벨로스 장치를 코일(32)의 내주 부분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코일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코일(32)의 소경화에 의해, 컴팩트화, 비용 저감화 등도 도모할 수 있다.
1 :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15 : 밸브 봉
15A : 하측 봉형상 부재
15B : 상측 볼록형상 부재
15e : 버섯형상 머리부
19 : 안내구멍
20 : 밸브 본체
21 : 밸브실
22 : 밸브 시트(밸브구)
30 : 전자식 액추에이터
40 : 벨로스 장치
52 : 연결 통체(연결 부재)
53 : 탄성 계지편

Claims (4)

  1. 밸브체부를 갖는 밸브 봉과, 그 밸브 봉이 활주 자유롭게 감삽되는 안내구멍과 상기 밸브체부가 접리하는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을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로부터 토출 압력의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토출압 냉매 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의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냉매 출구가 마련된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봉을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흡입압이 도입되는 감압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따라 상기 밸브 봉을 밸브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감압 응동 부재를 구비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로서,
    상기 플런저와 상기 밸브 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가 마련되고, 그 연결 부재는, 상기 밸브 봉을 상기 밸브 본체의 안내구멍에 삽입함에 의해 상기 밸브 봉의 일단에 계합하여 그 일단을 계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봉에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탄성을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것으로, 상기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을 밀어넣음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 열려져서 상기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을 통과시킴과 함께, 그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이 통과하여 빠져나가면, 그것이 갖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버섯형상 내지 차양형상 부분을 계지하는 탄성 계지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의 연결 부재의 저부에, 그 저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복수 분할 원추대 형상의 상기 탄성 계지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내에 상기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스 장치 및 상기 감압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20110038794A 2010-07-21 2011-04-26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200093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3642A JP2012026311A (ja) 2010-07-21 2010-07-21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JP-P-2010-163642 2010-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398A true KR20120009398A (ko) 2012-02-01

Family

ID=4464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794A KR20120009398A (ko) 2010-07-21 2011-04-26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20814A1 (ko)
EP (1) EP2410220A2 (ko)
JP (1) JP2012026311A (ko)
KR (1) KR201200093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58B1 (ko) * 2012-10-26 2018-07-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KR102067098B1 (ko) * 2013-10-04 2020-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US9739203B2 (en) * 2014-05-15 2017-08-2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Fuel metering valve and method of managing fuel in a metering valve
JP2017110544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355617B2 (ja) * 2015-12-16 2018-07-11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906233B2 (ja) * 2018-01-29 2021-07-21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3869A (en) * 1970-07-31 1972-01-11 Danfoss As Solenoid valve with adjustable stroke
US4257553A (en) * 1978-03-20 1981-03-24 Robertshaw Controls Company Valv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R2717550B1 (fr) * 1994-03-17 1996-06-07 Europ Propulsion Vanne cryogénique intégrale sous vide.
JP4829419B2 (ja) * 2001-04-06 2011-12-07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100858604B1 (ko) * 2001-11-30 2008-09-17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JP3461343B2 (ja) 2001-11-30 2003-10-27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4173980B2 (ja) 2002-09-05 2008-10-29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2005256770A (ja) * 2004-03-12 2005-09-22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4714626B2 (ja) 2006-04-13 2011-06-29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10163642A (ja) 2009-01-13 2010-07-29 Toshiba Corp 真空バルブ用接点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0220A2 (en) 2012-01-25
US20120020814A1 (en) 2012-01-26
JP2012026311A (ja)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3514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20120009398A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5202117B2 (ja) 減圧弁
JP4714626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06291867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US10578087B2 (en)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 valve
US20110114204A1 (en) Control valve
JP4550651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US20090032750A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s
JP2008298013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292013A1 (en) Solenoid valve
EP2708970A1 (en) Pressure regulator
JP6757074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906233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08297974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5789364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102280349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4641190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11070420A (ja) 減圧弁
JP5269391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06291864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20200118136A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JP2011122540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1008461A (ja) 減圧弁および減圧弁の組立方法
JP2019132137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