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081A -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081A
KR20120009081A KR1020100070829A KR20100070829A KR20120009081A KR 20120009081 A KR20120009081 A KR 20120009081A KR 1020100070829 A KR1020100070829 A KR 1020100070829A KR 20100070829 A KR20100070829 A KR 20100070829A KR 20120009081 A KR20120009081 A KR 2012000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and
live fish
guide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768B1 (ko
Inventor
최학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김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김성근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7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부유되는 서로 간격을 갖는 한 쌍의 플로트베이스와; 상기 플로트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플로트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고정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고정하며, 해상에서 육상을 향해 외팔보 형태로 배열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서로 연결고정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모터 및 구동윈치와; 상기 구동윈치에 권취된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어선으로부터 활어를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걸어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어가 활어차로 이송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활어가 받을 이송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여 활어의 상품성을 높이고, 소형어종에서 대형어종까지도 단시간에 이송이 가능하며, 해상에 떠있는 부유식이므로 육상의 공간을 차지 않지 않아 공간적 제약을 적게 받으므로 상차의 효율성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FLOATING TYPE SYSTEM FOR LOADING FISH FROM THE SEA TO LAND}
본 발명은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획된 활어를 포구로 운반한 후 활어차에 상차하지 않고 어선에서 곧바로 활어차로 상차함으로써 활어의 생태적 영향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부유식이어서 이동가능하므로 포구 내는 물론 다른 포구에서도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개선된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산 혹은 양식된 활어를 가능한한 살아 있는 상태로 소비지로 직접 전달하는 활어운반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활어상태의 보급은 물고기의 신선상태를 최대한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선호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어 상태로 보급하기 위해서는 활어수송 차량인 활어차에 선박의 활어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이송하여 주어야 한다.
종래 선박의 활어를 활어차에 보급하는 구조는 해상 가두리 및 해중 가두리에서 양식된 어류를 어선의 어창에 선적하여 포구로 이송한 다음, 포구에 어선의 정박하고 나면 어선에 2명, 육상(지면)에 2명, 육상에 대기하고 있는 활어차에 2명씩 배치한다.
이 중 어선에 배치된 2명은 어선의 어창에 있는 어류들을 뜰채를 사용하여 소형 컨테이너(어류를 약 20kg 정도 담을 수 있는 크기의 것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멍이 나 있는 도구)에 담는 작업을 담당하고, 육상(지면)에 있는 2명은 어류로 채워진 소형 컨테이너를 어선에서 육상으로 끌어올리고 저울에서 무게를 확인하고, 다시 활어차 위로 올려주는 일을 담당한다.
그리고, 활어차에 있는 2명은 활어차 위로 올려지는 소형 컨테이너를 받고 활어차의 어창으로 배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활어 이송수단은 대에 보통 800kg의 활어를 수송하는 차량의 경우 적어도 40회이상의 뜰채에 의한 수송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수동적 수송의 경우 로스가 많고, 이송에 30분이상이 소요되면서 물고기가 스트레스를 받아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통 활어차에는 산소발생기, 해수여과기,온도조절기 등의 각종 안전장치들이 내장되어 있어 일단 활어상태로 활어차의 수조내에 활어가 배치가 되면 활어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소비지에 수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배에서 활어를 육지에 있는 차량의 수조까지 가능한한 활어를 신선한 상태로 스트레스를 덜 받고 이송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제공되지 못하여 소위 뜰채라고 하는 수동적 수단을 이용하여 일일이 활어차의 수조에 담아주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5톤 활어차인 경우 1대에 보통 800kg의 어류를 싣고 다니는데 800kg를 싣기 위해서는 한 번에 20kg씩 어창에서 활어차로 배분한다고 가정할 경우, 40번씩이나 소형 컨테이너를 옮겨야 한다. 때문에 작업이 비능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 번의 이송시 손실되는 무게는 크지 않지만 40번이 중복되면 그 양 또한 무시 못한다.
또한, 작업 시간이 길어질수록 어류에게 미치는 스트레스는 점점 많아지게 되어, 결국 활어의 품질저하, 폐사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연구 완성된 후 특허받은 등록특허 제0903039호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개시 기술의 실시예 따른 보완사항이 발견되었으며, 더욱 더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보완사항을 고려하여 더욱 더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해 창출된 것으로, 활어의 육상 상차 시스템을 부유식으로 만들어 포구 내에서는 물론 다른 포구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고, 활어를 포구로 이송한 후 활어차로 상차하는 절차를 밟지 않고, 어선에서 곧바로 활어차로 상차할 수 있도록 하여 상차 시간을 더욱 단축하며, 보다 효율적인 상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상에 부유되는 서로 간격을 갖는 한 쌍의 플로트베이스와; 상기 플로트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플로트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고정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고정하며, 해상에서 육상을 향해 외팔보 형태로 배열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서로 연결고정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모터 및 구동윈치와; 상기 구동윈치에 권취된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어선으로부터 활어를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걸어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플로트베이스의 내부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구비되고, 선미 부분의 밸러스트를 통해 전후 트림(Trim)을 상쇄하도록 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에 의해 더 지지보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구동휠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휠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윈치가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하단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전펜스를 갖춘 작업대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어가 활어차로 이송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활어가 받을 이송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여 활어의 상품성을 높이고, 소형어종에서 대형어종까지도 단시간에 이송이 가능하며, 해상에 떠있는 부유식이므로 육상의 공간을 차지 않지 않아 공간적 제약을 적게 받으므로 상차의 효율성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을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을 보인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을 보인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어의 육상 상차 시스템은 해상에 뜰 수 있도록 부유식으로 설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플로트베이스(Float Base)(1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트베이스(100)는 해상에 부유되는 일종의 베이스플레이트로서, 각종 구조물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베이스(100)는 한 쌍이 구비되고, 이들의 하부는 연결부재(110)를 통해 서로 견고히 연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10)를 포함한 플로트베이스(100)의 하부는 해상에 잠기게 되고, 상부 일부만 노출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플로트베이스(100)는 쌍동형 부력체(부유식)로서 상기 연결부재(110)는 그 수면하 하부를 연결하고, 수면 상부에서는 후술할 연결프레임(220)에 의해 연결고정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한 하나의 구조물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부유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해당 포구 내에서의 이동은 물론 다른 포구로의 이동도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로트베이스(100)간 간격은 어선이 충분히 들어올 수 있을 정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플로트베이스(100)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상을 유지함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 형상으로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설치될 장소의 지형이나 접안시설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베이스(100)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구비되고, 이를 통해 전후 트림(Trim)을 상쇄하여 안정성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팔보 구조를 갖는 본 발명 시스템의 선미 부분에서 밸러스트를 수행하도록 구성하여 시스템의 전후 트림(Trim)을 상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로트베이스(100)의 각 상면에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00)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일종의 기둥으로 상기 플로트베이스(100)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일직선상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고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210)에 의해 더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상단은 연결프레임(220)에 의해 각각 서로 연결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하단은 플로트베이스(100)에 견고히 고정되고, 상단은 연결프레임(220)에 의해 견고히 상호 연결고정되므로 견실 안정적으로 세워 설치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220)이 접합되는 부위에는 플로트베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수평프레임(230)이 각각 고정되어 수직프레임(200) 및 연결프레임(220)과 일체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평프레임(230)은 해상에서 육상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각 수평프레임(23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프레임(240)이 일체로 고정되는데, 상기 가이드프레임(240)은 상기 수평프레임(2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24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레일(R)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R)에는 구동휠(미도시)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R)을 따라 활주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휠(미도시)의 회전축에는 구동모터(300)가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구동모터(300)를 고정하는 모터베이스(310)에는 제어박스(320)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어박스(320)를 경유하여 구동윈치(330)가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일체로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윈치(33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40)의 저면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레일(R)과 구동휠(미도시)처럼 상기 가이드프레임(240)의 저면에도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윈치(330)가 이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아울러, 상기 구동윈치(330)에는 와이어로프(W)가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로프(W)의 하단에는 걸이용 후크(H)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모터(300) 및 구동윈치(330)는 유선 혹은 무선방식으로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직접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가이드프레임(240)이 상측에는 작업대(400)가 상기 수평프레임(230)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대(400)는 높이가 높기 때문에 안전펜스를 구비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후크(H)에는 일정크기의 활어수송용 컨테이너가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활어수송용 컨테이너를 원활하게 리프팅시키고 이송하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300) 및 구동윈치(330)는 적정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차 시스템은 육상에 근접한 해상에 부유식으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활어를 실은 어선이 접근하면 어선을 플로트베이스(100)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하여 진입시키도록 한다.
어선의 진입이 완료되면 어선을 정박시킨 후 제어박스(320)를 통해 구동모터(300)를 제어하여 후크(H)에 걸린 활어수송용 컨테이너(미도시)를 정위치시킨다.
이때, 육상에는 활어차가 대기중이어야 한다.
이렇게 하여, 작업준비가 완료되면 구동윈치(330)를 구동시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를 정박된 어선 쪽으로 하강시킨다.
컨테이너의 하강이 완료되면 어선에 담긴 활어를 컨테이너로 옮기게 된다.
여기에서, 설명상 컨테이너란 용어를 선택하였을 뿐 이 컨테이너가 통상적으로 화물 수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란 의미는 아니며 활어를 대량 운반할 수 있는 용기로 해석함이 타당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테이너를 통해 활어를 한 번에 인양, 이송할 수 있는 양은 3톤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작업과정을 거쳐 적정량의 활어가 컨테이너로 수납되면 구동윈치(330)를 감아 상기 컨테이너를 상승시키고, 상승이 완료되면 구동모터(300)가 구동되어 가이드프레임(240)을 타고 육상을 향해 외팔보 형태로 뻗어 있는 수평프레임(23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하여, 육상까지 이송이 완료되면 다시 구동모터(300)의 구동을 정지하고 구동윈치(330)를 하강시켜 원하는 활어차에 원하는 양만큼 직접 실을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처럼 활어를 실은 어선을 육상 접안시설에 접압시킨 다음 어선에서 활어는 퍼담아 육상으로 옮기고, 육상에서 다시 활어차로 상차하는 복잡하고 장시간이 소요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 해상의 어선에서 곧바로 활어차로 활어를 상차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보다 활어에 상처 등이 생기지 않아 우수한 품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수행함으로써 어선으로부터 직접 육상의 활어차로 활어를 상차할 수 있게 되며, 작업이 완료되면 정박되었던 어선이 빠져나가고 대기중인 다른 어선이 인입되어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100 : 플로트베이스 110 : 연결부재
200 : 수직프레임 210 : 보강프레임
220 : 연결프레임 230 : 수평프레임
240 : 가이드프레임 300 : 구동모터
310 : 모터베이스 320 : 제어박스
330 : 구동윈치 400 : 작업대

Claims (5)

  1. 해상에 부유되는 서로 간격을 갖는 한 쌍의 플로트베이스와;
    상기 플로트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플로트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고정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고정하며, 해상에서 육상을 향해 외팔보 형태로 배열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서로 연결고정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모터 및 구동윈치와;
    상기 구동윈치에 권취된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어선으로부터 활어를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걸어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베이스의 내부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구비되고, 선미 부분의 밸러스트를 통해 전후 트림(Trim)을 상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에 의해 더 지지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구동휠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휠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윈치가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하단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전펜스를 갖춘 작업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KR1020100070829A 2010-07-22 2010-07-22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KR10120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29A KR101202768B1 (ko) 2010-07-22 2010-07-22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29A KR101202768B1 (ko) 2010-07-22 2010-07-22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81A true KR20120009081A (ko) 2012-02-01
KR101202768B1 KR101202768B1 (ko) 2012-11-19

Family

ID=4583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829A KR101202768B1 (ko) 2010-07-22 2010-07-22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3720A (zh) * 2019-05-22 2019-07-26 中交一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沉管组合式运输安装设备及运输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8331B1 (en) * 1997-03-21 2001-10-02 Walker Digit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ling an aging food product
CN103070124A (zh) * 2013-02-05 2013-05-01 湖北省水产科学研究所 一种将大水面批量水产品带水运输到岸的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2991A (en) 1990-08-24 1991-12-17 Jochen Rohr Floating grab dredge and unloading method therefor
KR200402590Y1 (ko) * 2005-07-29 2005-12-05 김성근 소형선박양륙시스템
US20100162935A1 (en) 2006-12-13 2010-07-01 Jon Khachaturian Marine Lif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3720A (zh) * 2019-05-22 2019-07-26 中交一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沉管组合式运输安装设备及运输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768B1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094B1 (ko) 오프쇼어 구조물을 운반 및 설치하기 위한 선박 및 방법
KR102050614B1 (ko) 선박의 라인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견인 시스템
AU2018203017A1 (en)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during port operations, comprising a crane, and a base located in the body of the crane that supports and stacks hatchway covers
JP2008080941A (ja) 貨物船
KR101202768B1 (ko)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
KR20110039004A (ko) 자가구동식 선박이송장치를 이용한 진수바지선으로의 선박로딩방법
CN102730158B (zh) 一种船舶码头集装箱装卸系统
KR100718928B1 (ko)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EP2465764B1 (en) Spar hull load out method
CN201321148Y (zh) 石块运输船
KR101543420B1 (ko) 바퀴 회동형 트레일러
CN114408106B (zh) 打捞用海上工作平台及打捞方法
KR20110074433A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KR100794257B1 (ko)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KR100926890B1 (ko) 잔교 이동이 가능한 부잔교
CN205524835U (zh) 一种船舶
CN106989077A (zh) 用于高速快艇艉滑道收放装置的液压控制系统和工作方法
KR100750893B1 (ko)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CN204452843U (zh) 船舶浮动维修平台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FI88383C (fi) Ro-ro-fartyg
CN113482004A (zh) 一种海上多筒导管架基础及其风电整机码头下水施工方法
KR20100123443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CN203727616U (zh) 填石运输工程船
CN202728543U (zh) 船用防横倾浮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