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098A -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098A
KR20120008098A KR1020100068737A KR20100068737A KR20120008098A KR 20120008098 A KR20120008098 A KR 20120008098A KR 1020100068737 A KR1020100068737 A KR 1020100068737A KR 20100068737 A KR20100068737 A KR 20100068737A KR 20120008098 A KR20120008098 A KR 20120008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hip
recess
upper deck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영
김홍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098A/ko
Publication of KR2012000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컨테이너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상갑판과, 상기 상갑판 아래에 위치하고 선박 운항에 이용하는 선박 내부 시설물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상기 상갑판은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의 상단 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S}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갑판에 리세스부가 형성된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선박은 선박의 내부 및 상갑판 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수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은 크게 컨테이너를 전문으로 수송하는 특수한 구조의 풀 컨테이너선, 선창의 일부를 컨테이너 전용으로 만든 세미 컨테이너선의 두 종류로 나뉜다. 또한, 컨테이너를 싣는 방법에 따라 적재한 차량이 선박의 측면 또는 선미에 설치한 현문(舷門)을 통해서 선내로 들어와 짐을 부리는 롤-온 롤-오프(roll-on roll-off) 방식의 선박과, 컨테이너를 선박 또는 안벽에 장치한 기중기로 들어서 배에 싣는 리프트-온 리프트-오프(lift-on lift-off) 방식의 선박으로 나뉘기도 한다.
컨테이너를 적재 및 운반하는 컨테이너 선박은 컨테이너를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세계경제 발전에 따른 해상화물의 물동량 증가에 따라, 컨테이너의 적재능력을 높이는 것은 컨테이너의 단위 운송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컨테이너의 적재능력은 컨테이너선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척도로 작용한다.
도1및 도 2에는 종래 컨테이너 선박에서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일반적인 컨테이너 선박은 선박 내부에 위치하여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엔진룸 또는 연료저장탱크 등의 선박 내부 시설물(10), 선원들의 주거 및 사무에 필요한 장소로 사용되는 거주구를 포함하는 갑판실(20,Deck house) 및 컨테이너(100)를 적재하는 컨테이너 적재부(3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에는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이 선미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은 선수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선미 및 선수 모두에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컨테이너 적재부(30)는 상갑판(40) 아래 공간 및 위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양 공간 모두에 컨테이너(100)를 적재하게 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갑판(40) 아래에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을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갑판(40)과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상단 사이에 컨테이너(100)를 적재할 공간적 여유가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에 대응하는 상갑판(40)의 위 공간에만 컨테이너(100)를 적재하게 된다.
한편, 컨테이너(100)는 그 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것은 20피트, 40피트, 45피트 크기의 ISO 컨테이너이다. 이러한 컨테이너(100)의 적재시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컨테이너(100) 적재시 발생하는 여유공간을 최소화하여 컨테이너(100) 적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개 동일한 크기의 컨테이너(100)끼리 적재하게 된다.
도 3에는 종래 컨테이너 적재부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공간이 도시되어 있는 바,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100)가 적재되는 공간에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폭과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셀 가이드(50)가 복수 개 배치된다. 상기 셀 가이드(50)는 기둥 모양으로 직립한 가이드 본체(52)와 상기 가이드 본체(52)를 지지하는 가이드 받침대(5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받침대(54) 상부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적재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부면 네 모서리가 맞닿는 위치에 컨테이너 고정부(56)를 체결한다. 상기 컨테이너 고정부(56)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시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부면 네 모서리에 형성된 홈과 맞물리게 되어 상기 컨테이너(100)를 끼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셀 가이드(5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적재위치를 지정하고, 상기 컨테이너(100)가 적재된 후에는 컨테이너(100)의 수평 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고정부(56)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부면 네 모서리에 형성된 홀과 맞물려 컨테이너(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셀 가이드(50) 및 상기 컨테이너 고정부(56)는 컨테이너(100)의 수직, 수평운동을 제어함으로써, 컨테이너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적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갑판(40) 아래에 선박 내부 시설물(10)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갑판(40)과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상단 사이에 컨테이너(100)를 적재할 공간적 여유가 부족하게 되어, 상기 공간을 빈 공간으로 남겨두어 공간활용을 적절히 행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의해 컨테이너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상갑판을 선박 내부 시설물 상단 방향으로 인입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량을 증가시킨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갑판과, 상기 상갑판 아래에 위치하고 선박 운항에 이용하는 선박 내부 시설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상기 상갑판은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의 상단 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부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자동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 자동 잠금장치는 트위스트-스태커일 수 있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선박은 선박의 상갑판을 선박 내부 시설물의 상단 방향으로 인입하여 리세스부를 형성함으로써, 선박 내부 시설물 상단과 상갑판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컨테이너의 적재공간을 보다 늘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선박은 리세스된 상갑판 상에 컨테이너 자동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셀 가이드 없이도 적재된 컨테이너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컨테이너 선박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컨테이너 선박에서 상갑판 상에만 컨테이너가 적재된 모습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컨테이너 선박의 컨테이너 적재부에 컨테이너가 적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에서 상갑판에 리세스부가 형성된 모습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에서 상갑판에 리세스부가 형성된 모습을 단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에서 리세스부 및 컨테이너 자동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에서 상갑판에 리세스부가 형성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상기 상갑판(40)이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상단 방향으로 인입되어 리세스부(42)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컨테이너 선박은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상부와 상기 상갑판(40) 사이의 공간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상기 리세스부(42)를 통해,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상부와 상기 상갑판(40)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여 컨테이너(100)의 적재량을 보다 늘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세스부(42)의 형상을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이는 컨테이너(100)의 형상이 일반적으로 직육면체이기 때문이고, 상기 리세스부(42)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리세스부(42)의 폭, 길이, 움푹 들어간 정도, 내부 형상, 위치 등은 특정한 수치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리세스부(4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 상단에 밀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 상단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세스부(42)의 폭 역시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형태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부(42)는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상부와 대응하는 위치라면, 상기 상갑판(40)의 어느 위치에서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에서, 상기 리세스부(4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선박 내부 시설물(10)이 선박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크기에 따라 계단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선박 내부에 엔진룸과 연료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엔진룸 및 연료저장탱크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세스부(42)를 엔진룸 및 연료저장탱크의 상단에 대응하도록 계단 형상으로 형성한다면,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공간을 효율적으로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리세스부(42) 및 상기 리세스부(42)에 설치된 컨테이너 자동 잠금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상기 리세스부(42) 상에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자동잠금장치(4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자동잠금장치(44)는 컨테이너(100)가 상기 리세스부(42)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100)를 리세스부(42) 상에 단단히 고정하여, 상기 컨테이너(100)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컨테이너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컨테이너 자동잠금장치(4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 자동잠금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트위스트-스태커(twist-stacker)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자동잠금장치(44)는 상기 리세스부(42) 상에, 적재될 컨테이너의 네 모서리와 맞닿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상기 컨테이너 자동잠금장치(44)를 상기 리세스부(42) 상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세스부(42)에는 종래 상술한 바와 같은 셀 가이드(50)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상기 적재된 컨테이너(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트위스트-스태커(twist-stacker)는 컨테이너(10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서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셀 가이드(50)를 설치하지 않고도 컨테이너(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된 것으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선박 내부 시설물 : 10 갑판실 : 20
컨테이너 적재부 : 30 상갑판 : 40
리세스부 : 42 컨테이너 자동 잠금장치 : 44
셀 가이드 : 50 가이드 본체 : 52
가이드 받침대 : 54 컨테이너 고정부 : 56
컨테이너 : 100

Claims (4)

  1. 상갑판(40)과, 상기 상갑판(40) 아래에 위치하고 선박 운항에 이용하는 선박 내부 시설물(10)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상기 상갑판(40)은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상단 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리세스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42)는 상기 선박 내부 시설물(10)의 상단 방향으로 인입되어 계단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42)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자동 잠금장치(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자동 잠금장치(44)는 트위스트-스태커(twist-stack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KR1020100068737A 2010-07-16 2010-07-16 컨테이너 선박 KR20120008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37A KR20120008098A (ko) 2010-07-16 2010-07-16 컨테이너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37A KR20120008098A (ko) 2010-07-16 2010-07-16 컨테이너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98A true KR20120008098A (ko) 2012-01-30

Family

ID=4561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737A KR20120008098A (ko) 2010-07-16 2010-07-16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0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550A (ko) * 2015-04-07 2017-08-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550A (ko) * 2015-04-07 2017-08-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617B1 (ko) 액상 화물 화물창의 슬로싱 임팩트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KR20130090215A (ko) 선박의 화물창
KR20130033003A (ko) 펌프 타워
JP2011148358A (ja) 船舶
KR20110139349A (ko) 천연액화연료탱크를 가진 컨테이너선
KR101185517B1 (ko)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CN205707179U (zh) 一种用于液货舱的稳液装置
KR101300707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의 지지구조
CN105644723B (zh) 集装箱船
KR20120008098A (ko) 컨테이너 선박
US9132892B2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KR20140067852A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 하부 구역의 슬로싱 감소 구조물
KR101686907B1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WO2014013584A1 (ja) 船舶
KR101258924B1 (ko) 컨테이너 선박
KR102432768B1 (ko) 횡동요 저감 탱크가 구비된 컨테이너선
US10081412B2 (en) Floating vessel with tank trough deck
KR20150007650A (ko) 컨테이너선의 측면 블록 구조
CN204310015U (zh) 集装箱船
KR20130090561A (ko) 적재량 증대형 컨테이너선
JP2012153334A (ja) 船舶
KR100827397B1 (ko) 이중저구조 연료탱크 컨테이너선
KR20150081882A (ko) 컨테이너선
KR20110006287A (ko) 슬로싱 유동 억제 및 충격 하중 발생을 방지하는 lng운반선 화물창
KR102528429B1 (ko) 액화가스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