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027U - 외벽용 줄눈 - Google Patents

외벽용 줄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027U
KR20120007027U KR2020100010188U KR20100010188U KR20120007027U KR 20120007027 U KR20120007027 U KR 20120007027U KR 2020100010188 U KR2020100010188 U KR 2020100010188U KR 20100010188 U KR20100010188 U KR 20100010188U KR 20120007027 U KR20120007027 U KR 201200070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tch
groove
wall
hous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원
Original Assignee
이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원 filed Critical 이계원
Priority to KR2020100010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027U/ko
Publication of KR20120007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0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Abstract

본 고안은 외벽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한 외벽용 줄눈에 관한 것으로, 접착제에 의해 벽면에 부착되며, 내측으로 이형지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접착제와 맞닿는 하측면에는 접착제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크래치 홈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형지 홈에 삽입되는 이형지;로 구성되어, 다수의 스크래치 홈을 형성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특히,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스크래치 홈을 내측의 스크래치 홈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장방향 양 끝단의 접착력저하에 따른 탈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래치 홈 중 양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스크래치 홈의 두께를 한정하여 자국이 생기지 않고 미려한 장식을 제공할 수 있는 외벽용 줄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외벽용 줄눈{Lining mark for outer wall}
본 고안은 외벽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한 외벽용 줄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스크래치 홈을 형성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특히,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스크래치 홈을 내측의 스크래치 홈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장방향 양 끝단의 접착력저하에 따른 탈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래치 홈 중 양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스크래치 홈의 두께를 한정하여 자국이 생기지 않고 미려한 장식을 제공할 수 있는 외벽용 줄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벽용 줄눈은 밋밋하게 이루어진 외벽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해 이용된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통상적인 건축물의 벽체에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제를 시공하고, 그 위에 유리섬유를 입힌 후 이를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발포제 및 유리섬유를 결합한 상태에서 유리섬유의 표면에 코크나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에 줄눈을 결합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줄눈을 결합할 때에는 외벽에 미장스톤이나 분무칠과 같은 마감공정을 어떠한 형태로 하느냐에 따라 줄눈의 부착형상 등을 정하게 된다.
그런 후, 마감공정을 완료한 후 줄눈의 이형지를 제거하여 외벽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줄눈은 도 1에서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을 통해 종래 줄눈의 구성을 살펴보면, 바닥판(3)과 상기 바닥판(3)의 표면 중앙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띠고정돌기(5)를 포함하여 설치부(1)가 구성되고, 상기 설치부(1)의 띠고정돌기(5)에 의해 형성되는 띠홈(7)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띠(2)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줄눈은 시공자가 시공함에 있어서, 설치부(1)의 하측면이 민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접착제에 붙일 때에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시키기가 어려웠으며, 특히, 상기와 같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을 경우 접착제가 경화되면서 줄눈을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결합 위치가 제대로 이루어진 후에도 설치부(1)와 접착제의 성분이 상이한 , 다시 말해 이형재질 간의 결합으로 인해 시간이 지난 후에 벽면에서 탈착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줄눈의 장방향의 양 끝단에는 접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양 끝단 중 어느 한 끝단 또는 양 끝단에서 탈착되는 현상이 발생해 유지보수를 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벽용 줄눈은 접착제에 의해 벽면에 부착되며, 내측으로 이형지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접착제와 맞닿는 하측면에는 접착제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크래치 홈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형지 홈에 삽입되는 이형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은 반원 형상,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은 2 ? 10개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이 3개 이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양 가장자리에 있는 스크래치 홈이 내측에 있는 스크래치 홈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의 두께는 하우징의 바닥면과 이형지 홈까지 두께의 1/2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벽면의 장식을 위해 접착제를 통한 접착시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에 의해 접착제와 하우징 하측면이 맞닿는 면적이 늘어나면서 접착성이 향상되며, 특히, 벽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스크래치 홈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력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의 개수가 3개 이상일 경우 양 가장자리의 스크래치 홈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하여 장방향의 양 끝단에서 발생되는 탈착 현상을 방지하여 시공성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하우징의 스크래 홈 중 양 가장자리에 형성한 스크래치 홈의 두께를 하우징 바닥면과 이형지 홈까지 두께의 1/2이하로 형성하기 때문에, 시공 후 이형지를 제거하였을 때에 이형지가 접착되어 있던 이형지 홈의 바닥면이 스크래치 홈에 의해 자국이 생기지 않아 미려한 장식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의 외벽용 줄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벽용 줄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크래치 홈의 형상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크래치 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측에 이형지 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외벽(W)에 도포되는 접착제(E)와 맞닿는 하측면에는 스크래치 홈(12)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래치 홈(12)은 도 4에서와 같이 반원형 형상이나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스크래치 홈(12)은 하우징(10)의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본 고안의 가공시 압출성형을 통해 가공되기 때문에, 가공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장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래치 홈(12)는 2 ? 10개소의 개수로 형성되는데, 특히, 3개소 이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스크래치 홈(12)은 내측에 형성되는 스크래치 홈(12)보다 더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상기 스크래치 홈(12)의 두께(t2)는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이형지 홈(11)의 이형지 홈 바닥면(11a)과의 두께(t1)의 1/2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의 이형지 홈(11)에 결합하는 이형지(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외벽용 줄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외벽용 줄눈(50)은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외벽(W)에 설치된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건축물의 외벽(W)에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E)를 도포한 후 본 고안의 외벽용 줄눈(50)을 접착시킨다.
이때에, 본 고안에서의 하우징(10)의 하측면, 다시 말해, 접착제와 맞닿는 면에는 다수의 스크래치 홈(12)이 형성되어 접착제(E)와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는, 상기 하우징(10)의 하측면과 접착제(E)가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줌과 동시에 스크래치 홈(12) 내부로 접착제(E)의 일부가 충진된 상태로 굳어 버림으로써, 스크래치 홈(12) 내부로 충진되어 굳어 버린 접착제(E)가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스크래치 홈(12)의 개수를 2 ? 10개소로 형성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스크래치 홈(12)의 개수가 3개소 이상일 경우,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크래치 홈(12)의 크기를 내측에 형성된 스크래치 홈(1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외벽용 줄눈(50)의 장방향의 양 끝단부에서 벽면(W)과의 탈착 현상을 방지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발생하는 탈착 현상 방지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자에게는 신뢰성이 높은, 다시 말해,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스크래치 홈(12) 중 내측의 스크래치 홈(12)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스크래치 홈(12)의 최대 두께(t2)를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이형지 홈(11)의 이형지 홈 바닥면(11a)과 두께(t1)의 1/2이하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이형지 홈 바닥면(11a)이 스크래치 홈(12)에 의해 자국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 가능함을 명시한다.
E : 접착제 W : 외벽
10 : 하우징 11 : 이형지 홈
11a : 이형지 홈 바닥면 12 : 스크래치 홈
20 : 이형지 t1 : 하우징 바닥면과 이형지 홈까지 두께
t2 : 스크래치 홈 두께
50 : 외벽용 줄눈

Claims (5)

  1. 접착제에 의해 벽면에 부착되며, 내측으로 이형지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접착제와 맞닿는 하측면에는 접착제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크래치 홈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이형지 홈에 삽입되는 이형지;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외벽용 줄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은 반원 형상,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외벽용 줄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은 2 ? 10개소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외벽용 줄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이 3개 이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양 가장자리에 있는 스크래치 홈이 내측에 있는 스크래치 홈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외벽용 줄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스크래치 홈의 두께는 하우징의 바닥면과 이형지 홈까지 두께의 1/2이하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외벽용 줄눈.
KR2020100010188U 2010-10-04 2010-10-04 외벽용 줄눈 KR201200070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88U KR20120007027U (ko) 2010-10-04 2010-10-04 외벽용 줄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88U KR20120007027U (ko) 2010-10-04 2010-10-04 외벽용 줄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027U true KR20120007027U (ko) 2012-10-12

Family

ID=4750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188U KR20120007027U (ko) 2010-10-04 2010-10-04 외벽용 줄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02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2269744T3 (pl) Panel z płyty z tworzywa drzewnego z powłoką powierzchniową
KR101501810B1 (ko)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MY172552A (en) Decorative brick mould for in-situ production on building
KR101393616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CA2556332A1 (en) Siding element for creating structured facades of buildings
KR101124734B1 (ko) 건축용 패널 구조체
JP7148684B2 (ja) クロスコーナ仕上げ材
JP5348684B2 (ja) 断熱複合パネルの壁面などへの施工法
JP2013032667A (ja) 剥落防止タイ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剥落防止構造
ITRN20110067A1 (it) Pavimento ceramico a piastrelle.
KR20100013375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시공용 스크류 피스
KR101208412B1 (ko) 천장 마감 몰딩
KR20120007027U (ko) 외벽용 줄눈
KR100845245B1 (ko) 건물외장용 패널의 시공방법
KR200201261Y1 (ko) 접착 몰딩
KR20070014429A (ko) 건축내외장재용 이피에스몰딩체와 그 성형방법
JP3154169U (ja) 出隅ジョイナ−
JP3145265U (ja) 壁面パネル
KR200476254Y1 (ko) 단열재
JP5289381B2 (ja) 二重床の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6738374B2 (ja) 化粧板の施工方法及び化粧板の施工構造
KR101515057B1 (ko) 접착식 기와 상걸이
JP2014020018A (ja) 組立式床材
JP3132916U (ja) 目地ジョイナー
JP3183310U (ja) ヘ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