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54Y1 - 단열재 - Google Patents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54Y1
KR200476254Y1 KR2020140006787U KR20140006787U KR200476254Y1 KR 200476254 Y1 KR200476254 Y1 KR 200476254Y1 KR 2020140006787 U KR2020140006787 U KR 2020140006787U KR 20140006787 U KR20140006787 U KR 20140006787U KR 200476254 Y1 KR200476254 Y1 KR 200476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layer
heat insulating
outer frame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평
Original Assignee
이문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평 filed Critical 이문평
Priority to KR2020140006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5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75Insulating linings for the interior face of exterior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발포성 합성수지층, 목재층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이 접착제에 의하여 차례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단열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단열재에서, 상기 목재층과 결합하는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의 내표면에는 섬유시이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섬유시이트에 의하여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은 상기 목재층과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목재층은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층 및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 중 외곽부에 대응하는 외곽프레임부 및 상기 외곽프레임부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프레임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재는 발포성 합성수지층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 사이에 타카핀이 고정되기 용이한 구조로 목재층을 형성하면서 또한 그러한 목재층이 중공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타카핀에 의하여 단열재를 건물의 내벽에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그러한 작업에 의하여 단열재를 건물 내벽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동시에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재{Heat Insulator}
본 고안은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벽에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단열성능이 우수한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내벽, 천장과 같은 슬라브에는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고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사용된다.
특허공개 제2002-0063084호(2002. 08. 01. 공개)는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를 개시한다. 이 문헌이 공개하는 결로방지 단열재는 발포성 합성수지의 하부면에 기계적인 성질이 딱딱하고 표면이 매끄러운 합성수지표면재를 갖추는 것이다. 마감용 벽지는 풀이나 접착제에 의하여 합성수지표면재에 부착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48961호(2004. 04. 19. 등록)는 상기한 결로방지 단열재에서 합성수지표면재는 합성수지의 특성상 접착제와 쉽게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벽지를 고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합성수지표면재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작업도중 부주위에 의해서 합성수지표면재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지만 벽지나 시멘트 등이 쉽게 접착되지 않아 보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고 설명하면서, 발포성합성수지와 합성수지표면재로 형성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머리부가 양쪽 단부에 돌출된 리벳 형상 고정부재를 발포성합성수지와 합성수지표면재에 관통되게 설치하는 단열재를 개시한다. 이러한 단열재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틀을 형성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단열재의 발포성합성수지와 밀착된 상태에서 양생되는 것이다. 그러면, 콘크리트가 발포성합성수지의 상부로 돌출되는 머리부의 사이로 스며들어 양생되면서 콘크리트와 고정부재의 머리부가 일체로 양생된다. 그럼으로써 단열재는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특허등록 제10-0654210호(2006. 11. 29. 등록)는 건축용 복합단열재를 개시한다. 이 문헌은 상기한 특허공개 문헌 및 실용신안등록공고 문헌에 기재된 발명의 단점을 언급하였다. 즉, 접착제만으로는 매끄러운 합성수지표면재가 발포성합성수지에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없고, 고정부재에 의한 단열재의 견고한 결합은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단열재의 생산비용 및 시공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이 특허문헌은 합성수지표면재에 섬유시이트를 결합하고, 섬유시이트를 매개로 하여 합성수지표면재를 발포성합성수지에 접착제로 결합시킴으로써 합성수지표면재가 발포성합성수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한편, 특허공개 제10-2006-0035677호(2006. 04. 26. 공개)는 뜬바닥구조체용 단열재 및 구조재가 내장된 판상재를 개시한다. 이 단열재에는 합판 및 외곽틀이 사용된다.
상기한 특허등록 제10-0654210호에 기재된 단열재는 합성수지표면재를 간단하게 접착제에 의하여 발포성합성수지에 접착시키기만 하여도 합성수지표면재가 발포성합성수지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였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건물의 내벽, 즉 콘크리트 벽체에 발포성합성수지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의 내벽을 형성할 때 또는 건물의 내벽 상에 별도로 콘크리트 또는 몰타르를 타설하고 그 위에 단열재의 발포성합성수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또는 몰타르를 양생시켜 콘크리트 또는 몰타르와 단열재의 발포성합성수지 간의 결합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즉 이러한 단열재 시공방법은 작업성이 좋지 않아 작업능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간단한 방법으로, 접착제에 의하여 단열재의 발포성합성수지를 콘크리트 벽체에 접착시키는 것을 상정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 벽체와 접착제 간의 결합력은 일반적으로 좋지 않으므로 그러한 방법으로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기는 어렵다. 또한 콘크리트 벽체에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접착을 위하여 사용된 접착제 성분 및 용제 성분이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여 인체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타카에 의하여 타카핀을 발사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단열재를 건물의 내벽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단열성능이 우수한 단열재, 특히 건축용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단열재는 발포성 합성수지층, 목재층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이 접착제에 의하여 차례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목재층과 결합하는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의 내표면에는 섬유시이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섬유시이트에 의하여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은 상기 목재층과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목재층은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층 및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 중 외곽부에 대응하는 외곽프레임부 및 상기 외곽프레임부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프레임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재층은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은 한 쌍의 평활시이트 및 그것들 사이에 복수개의 간벽들이 형성되어 평활시이트 및 간벽들 사이에 중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 중 상기 목재층과 결합하는 제1 평활시이트의 내표면에 섬유시이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평활시이트의 외표면에도 섬유시이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는 건물의 내벽에 설치할 때,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층을 상기 건물의 내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목재층이 있는 외곽부에 타카에 의하여 타카핀을 발사함으로써 상기 단열재를 상기 건물의 내벽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층은 체적 탄성계수(bulk modulus)가 0.25~5kgf/cm2의 범위인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재는 발포성 합성수지층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 사이에 타카핀이 고정되기 용이한 구조로 목재층을 형성하면서 또한 그러한 목재층이 중공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타카핀에 의하여 단열재를 건물의 내벽에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그러한 작업에 의하여 단열재를 건물 내벽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동시에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건물 내벽에 시공한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단열재(10)는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목재층(200)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이 차례로 접착제(400 및 500)에 의하여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에 사용되는 발포성 합성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티로폼, 아이소핑크, 아이소골드 등과 같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발포성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단열재(10)에서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은 너무 딱딱한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타카에 의하여 타카핀을 발사할 때, 발사된 타카핀에 의하여 깨질 수 있으므로, 적당한 강성(stiffness)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은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의 강성은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살짝 들어간 후 손가락을 떼면 다시 복원되는 정도인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은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에서 4cm2의 면적에 대하여, 1~20kg의 하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kg의 하중, 특히 2~8kg의 하중을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에 작용시켰을 때, 변형되는 정도의 체적 탄성계수를 가진다면 적당하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은 바람직하게는 0.25~5kgf/c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2.5kgf/cm2, 특히 0.5~2kgf/cm2의 체적 탄성계수를 가진다.
이러한 강성이라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단열재를 건물 내벽(20)에 설치할 때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을 건물 내벽(2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타카에 의하여 타카핀을 발사하여 타카핀(600)이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을 관통하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은 깨지지 않으므로 단열재(10)를 건물 내벽(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건물 내벽(20)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와 같은, 건물 내벽(20)의 수평상태를 저해하는 이물질이 있더라도, 그러한 이물질 부분에서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은 그러한 이물질에 대응하여 함입됨으로써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은 건물 내벽(20)과 밀착될 수 있다.
만약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이 너무 딱딱하다면 건물 내벽(20)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와 같은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은 건물 내벽(20)과 밀착될 수 없어 건물 내벽(20)과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단열재(10)는 그것의 설치전에 건물 내벽(20)의 표면 상태를 완벽하게 평탄하게 하는 이물질 제거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단열재(10)에서 목재층(200)은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300)과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중 일부의 면적에만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목재층(200)은 외곽프레임부(210)와 지지부(220)로 이루어진다.
외곽프레임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300) 중 외곽부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성된다. 즉 외곽프레임부(210)는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의 외곽부의 아래 및 위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의 외곽부라 함은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의 모서리로부터 소정 너비를 가지는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의 둘레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의 가운데부를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지지부(220)는 외곽프레임부(210) 사이에 놓여 외곽프레임부(210)에 결합함으로써 외곽프레임부(210)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때 외곽프레임부(210)와 지지부(220)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일체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만약 지지부(220)가 없다면 목재층(200)은 외곽프레임부(210)로만 이루어지고 외곽프레임부(210) 가운데에 큰 중공이 형성되는데, 그러한 구조에 의하면 가운데 중공부에서는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또는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은 휘어지게 되어 단열재(10)의 구조적 견고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220)는 외곽프레임부(210)를 지지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것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을 지지하는 것이기도 하다. 지지부(220)는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하여, 목재층(200)은 외곽프레임부(210) 및 지지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230)을 가지게 된다. 목재층(20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부(210)에 의하여 타카핀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되게 할 뿐만 아니라 중공(230)에 의하여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목재층(200)은 다양한 목재로 형성될 수 있지만, 편리성과 경제성을 고려할 때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당하다.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은 특허등록 제10-0654210호에 개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은 목재층(200)과 결합하는 그것의 내표면에 섬유시이트(311)가 일체로 결합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은 합성수지 표면재가 완전히 경화하기 전에 그것의 내표면에 섬유시이트(311)를 열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활시이트(310 및 320) 및 그것들 사이에 복수개의 간벽들(330)이 형성되어 평활시이트(310 및 320) 및 간벽들(330) 사이에 중공(34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에서, 목재층(200)과 결합하는 제1 평활시이트(310)의 내표면에 섬유시이트(311)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평활시이트(320)의 외표면에도 섬유시이트(321)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제2 평활시이트(320)의 외표면에 형성된 섬유시이트(321)는 접착제에 의하여 벽지 등과 같은 마감재와 결합하는데, 섬유시이트(321)에 의하여 제2 평활시이트(320)의 결합력은 마감재에 대하여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단열재(10)는 건물 내벽(2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건물 내벽(20)에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이 접촉하도록 단열재(10)를 배치한 상태에서, 그 하부에 목재층(200)이 있는 합성수지 표면재층(300)의 외곽부에, 타카에 의하여 타카핀(600)을 발사하면, 타카핀은 합성수지 표면재층(300), 목재층(200) 및 발포성 합성수지층(100)을 차례로 관통한 후 최종적으로 건물 내벽(20)에 박혀 고정된다. 타카핀(600)은 단열재(10)의 합성수지 표면재층(300), 목재층(200) 및 발포성 합성수지층(100) 그리고 건물 내벽(20)에 걸쳐 박힘으로써 단열재(10)를 건물 내벽(20)에 고정시킨다.
타카핀을 적당한 갯수로 사용하면 본 고안의 단열재(10)는 건물 내벽(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단열재(10)는 건물 내벽(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번잡한 시공과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타카핀을 발사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용이하고 견고하게 건물 내벽(20)에 결합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단열재(10)는 그러한 작업성에 더하여 중공(230)을 포함하는 목재층(200)의 구조에 의하여 단열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10: 단열재 20: 건물 내벽
100: 발포성 합성수지층 200: 목재층
210: 외곽프레임부 220: 지지부
230: 중공 300: 합성수지 표면재층
310: 제1 평활시이트 311: 섬유시이트
320: 제2 평활시이트 321: 섬유시이트
330: 간벽 340: 중공
400,500: 접착제층 600: 타카핀

Claims (4)

  1. 발포성 합성수지층, 목재층 및 합성수지 표면재층이 접착제에 의하여 차례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단열재이고,
    상기 목재층과 결합하는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의 내표면에는 섬유시이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섬유시이트에 의하여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은 상기 목재층과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목재층은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층 및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 중 외곽부에 대응하는 외곽프레임부 및 상기 외곽프레임부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프레임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단열재는 건물의 내벽에 설치할 때,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층을 상기 건물의 내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목재층이 있는 외곽부에 타카에 의하여 타카핀을 발사함으로써 상기 건물의 내벽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층은 건물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건물 내벽의 수평상태를 저해하는 이물질이 있더라도, 그러한 이물질에 대응하여 그러한 이물질 부분에서 함입됨으로써 건물 내벽과 밀착되도록 체적 탄성계수(bulk modulus)가 0.5~2kgf/cm2의 범위인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층은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은 한 쌍의 평활시이트 및 그것들 사이에 복수개의 간벽들이 형성되어 평활시이트 및 간벽들 사이에 중공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표면재층 중 상기 목재층과 결합하는 제1 평활시이트의 내표면에 섬유시이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평활시이트의 외표면에도 섬유시이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KR2020140006787U 2014-09-17 2014-09-17 단열재 Expired - Fee Related KR200476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87U KR200476254Y1 (ko) 2014-09-17 2014-09-17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87U KR200476254Y1 (ko) 2014-09-17 2014-09-17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54Y1 true KR200476254Y1 (ko) 2015-02-12

Family

ID=5259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78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6254Y1 (ko) 2014-09-17 2014-09-17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80B1 (ko) * 2015-08-10 2017-04-28 이문평 방음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697A (ja) * 1996-03-28 1997-10-14 Masahiro Oide 外壁パネル
KR200377248Y1 (ko) 2004-11-26 2005-03-10 이영희 건축용 복합단열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697A (ja) * 1996-03-28 1997-10-14 Masahiro Oide 外壁パネル
KR200377248Y1 (ko) 2004-11-26 2005-03-10 이영희 건축용 복합단열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80B1 (ko) * 2015-08-10 2017-04-28 이문평 방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339B2 (en) Method for making façades of buildings
US9909303B2 (en) Building exterior insulation structure
KR101754194B1 (ko) 시공, 철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비접착식 바닥밀착형 조립식 마루판 및 이를 이용한 마루판의 밀착 시공 방법
JP6928326B2 (ja) 二重構造材
KR200476254Y1 (ko) 단열재
KR101602608B1 (ko) 컨테이너 단열 시스템
KR101475122B1 (ko) 복합단열보드 및 그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 방법 및 구조체
JPWO2005088022A1 (ja) 型枠兼用断熱パネルおよび外断熱構造
KR20150056742A (ko) 점형 열교를 차단하고 마감재 부착이 용이한 단열패널 고정용 연결유닛,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14258A (ko) 건축물용 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2025410B1 (ko) 다기능 복합타일패널 구조체
EP2857609A1 (en) Method for making facades of buildings
JP6626324B2 (ja) 断熱改修施工方法および断熱構造
KR100585986B1 (ko) 모서리 크랙 방지제
JP3185137U (ja) 壁パネル
KR20100114255A (ko)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JP7202210B2 (ja) 外壁のリフォーム方法
KR20150010112A (ko) 양면 압력-점착테이프를 이용한 벽돌 조적공법
JP5171273B2 (ja) コンクリート外壁の防湿構造
KR101003069B1 (ko) 슬래브 건조용 통풍패널
JPS6350331Y2 (ko)
JP2010216134A (ja) 防水面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017088B1 (ko) 초단열 시공방법 및 그 단열구조
CN207892122U (zh) 一种外墙保温一体板
JP4062568B2 (ja) 断熱型枠パネル及び断熱型枠パネル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9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8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2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111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