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297A -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297A
KR20120006297A KR1020100066947A KR20100066947A KR20120006297A KR 20120006297 A KR20120006297 A KR 20120006297A KR 1020100066947 A KR1020100066947 A KR 1020100066947A KR 20100066947 A KR20100066947 A KR 20100066947A KR 20120006297 A KR20120006297 A KR 20120006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creen
insect screen
insect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894B1 (ko
Inventor
진명수
Original Assignee
진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명수 filed Critical 진명수
Priority to KR102010006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8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밖으로 밀어서 열리는 개폐구조를 갖는 창문측에 설치 사용되는 방충망이 기존 건축물의 창문이나 또는 신 건축물의 창문에 상관없이 수납수단을 통하여 간편하게 설치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창문 또는 창틀중 어느 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방충망이 절첩될 때 절첩부분을 수용하는 수납수단을 마련하되, 상기 수납수단은 창틀 전면에 부착 형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을 통하여 방충망의 절첩부분을 수용하는 수납커버로 구성되며, 이 수납커버는 기존 건축물의 창틀에 적용되는 것과, 상기 수납수단은 창문 내주면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방충망의 절첩부분을 수용케 하고, 이 수용홈은 신 건축물의 창문에 적용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A FLY NET}
본 발명은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밖으로 밀어서 열리는 개폐구조를 갖는 창문측에 설치 사용되는 방충망이 기존 건축물의 창문이나 또는 신 건축물의 창문에 상관없이 수납수단을 통하여 간편하게 설치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창틀이 형성되어 있고, 이 창틀에는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창문은 대부분이 좌,우 개폐되는 미닫이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모기, 파리, 하루살이, 나방 등과 같이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문 배면에 방충망이 설치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좌,우 개폐되는 미닫이식 창문에 설치 사용되는 방충망은 창문을 열고 닫을 때 창문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열면 바로 방충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 개폐 동작에 아무런 장해가 되지 않으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창문을 밖으로 밀어서 여닫는 여닫이식 경우 여닫이식 창문은 밖으로 열리기 때문에 방충망이 창문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창문을 밖으로 열기 위해서는 먼저 방충망을 열은 후 창문을 열고 다시 방충망을 닫아 방충망을 사용하고 있으며, 반대로 창문을 닫을시에는 방충망을 열은 후 창문을 닫고 다시 방충망을 닫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또한, 종래 방충망은 창문 전면에 위치하고 있기 창문 주변의 전체적인 미관을 저하시키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밖으로 밀어서 열리는 개폐구조를 갖는 창문측에 설치 사용되는 방충망이 기존 건축물의 창문이나 또는 신 건축물의 창문에 상관없이 수납수단을 통하여 간편하게 설치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창문 또는 창틀중 어느 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방충망이 절첩될 때 절첩부분을 수용하는 수납수단을 마련하되, 이 수납수단에 의해 방충망의 절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과,
상기 수납수단은 창틀 전면에 부착 형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을 통하여 방충망의 절첩부분을 수용하는 수납커버로 구성되며, 이 수납커버는 기존 건축물의 창틀에 적용되는 것과,
상기 수납수단은 창문 내주면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방충망의 절첩부분을 수용케 하고, 이 수용홈은 신 건축물의 창문에 적용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밖으로 밀면 열리는 창문에 적합한 방충망이 설치 사용되고 있고, 이 방충망은 수납수단을 통하여 절첩부분이 수용 보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 건축물일 경우 수납커버를 창틀에 설치하고, 창틀에 설치된 수납커버의 단턱을 통하여 방충망의 절첩부분을 수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신 건축물일 경우 창문 제작시 미리 방충망을 설치할 것을 감안하여 창문 내주면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이 수용홈을 통하여 방충망의 절첩부분이 수용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밖으로 밀어서 열리는 개폐구조를 갖는 창문측에 적합하게 구성된 방충망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수단을 통하여 기존 건축물이나 신 건축물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설치 사용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이 창문과 창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이 창문과 창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설치되는 창틀(300)과, 상기 창틀(300)에서 전후 개폐되는 전,후 개폐식 창문(200)은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사용되는 방법은 종래와 같다.
본 발명은 창문(200)을 밖으로 열고 닫는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방충망(110)이 펼쳐지면서 방충망 기능을 수행하고 절첩 보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7에서와 같이 창문을 밖으로 열 때 발생되는 창문(200)과 창틀(30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관 형태의 방충장치(100)를 마련하고 상기 방충장치(100)는 창문(200)과 창틀(300) 사이에 연결 형성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충장치(100)는 창문(200)과 창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하기 때문에 각종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창문(200)을 밖으로 열면 방충장치(100)가 펼쳐지면서 방충망(110) 기능을 수행하고, 창문(200)을 닫으면 절첩 보관되어 창문(200)의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충장치(100)는 창문(200)과 창틀(30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기술이면 족하다 할 것이나, 창문(200)을 열고 닫을 때 원할하게 펼쳐지고 절첩 보관될 수 있도록 방충망(110) 몸체에 자바라 타입을 적용하거나 또는 규칙적인 주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충장치(100)의 몸체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져 창문(200)을 열고 닫을 때 절첩되고 펼쳐지는 방충망(110)과, 상기 방충망(110) 전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가 창틀(300)에 부착 고정되는 제1연결부(120)와, 상기 방충망(110) 후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가 창문(200)에 부착 고정되는 제2연결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방충망(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창문(200)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크기 및 형상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연결부(120)가 창틀(30))에 부착 고정되고 제2연결부(130)가 창문(200)에 부착 고정되게 하는 것은 양면테이프, 체결부재와 같은 여러가지의 결합수단을 통해 부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밖으로 밀어서 열리는 개폐구조를 갖는 창문측에 설치 사용되는 방충망은 기존 건축물이나 신 건축물에 따라 설치 방법이 달라진다.
본 발명은 창문(200) 또는 창틀(300)중 어느 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방충망(110)이 절첩될 때 절첩부분을 수용하는 별도의 수납수단(400)을 마련하되, 이 수납수단(400)에 의해 방충망(110)의 절첩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본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수납수단(400)은 창틀(300) 전면에 부착 형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420)을 통하여 방충망(110)의 절첩부분을 수용하는 수납커버(410)로 구성되며, 이 수납커버(410)는 기존 건축물의 창틀(300)에 적용된다.
도5 내지 도7에서와 같이 수납수단(400)은 창문(200) 내주면에 수용홈(430)을 형성하여 방충망(110)의 절첩부분을 수용케 하고, 이 수용홈(430)은 신 건축물의 창문(110)에 적용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존 건축물일 경우에는 단턱(420)이 형성된 수납커버(410)를 준비한 후, 상기 수납커버(410)를 창틀(300) 전면에 설치한다. 이후 방충망의 제1연결부(120)는 창틀(300) 전면에 형성된 수납커버에 부착 고정하고 제2연결부(130)는 창문(200)에 부착 고정하면 창문(200)과 창틀(300) 사이의 공간을 방충망(110)이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창문(200)이 닫힌 상태 즉, 방충망(110)의 절첩부위는 수납커버(410)의 단턱(420)을 통하여 수용 보관되는 것이다.
신 건축물일 경우에는 창문(110)을 제작하기 전에 미리 창문(110)의 내주면에 수용홈(430)을 형성한 다음 방충망(110)의 제1연결부(120)는 창틀(300)에 부착 고정하고 제2연결부(130)는 창문(200)의 수용홈(430)측에 부착 고정하면 창문(200)과 창틀(300) 사이의 공간을 방충망(110)이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창문(110)이 닫힌 상태 즉, 방충망(110)의 절첩부위는 창문(110)에 형성된 수용홈(430) 통하여 수용 보관되는 것이다.
한편, 창문(200)이 닫혔을 때에는 방충망(110) 몸체가 절첩되어 있기 때문에 방충망(1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창문(200) 주변의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반대로 창문(200)을 밖으로 열면 절첩되어 있던 방충망(110) 몸체가 펼쳐지고, 방충망(110)이 펼쳐지면서 창문(200)과 창틀(30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여 일반적인 방충망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방충장치 110 ; 방충망
120 ; 제1연결부 130 ; 제2연결부
200 ; 창문 300 ; 창틀
400 ; 수납수단 410 ; 수납커버
420 ; 단턱 430 ; 수용홈

Claims (3)

  1.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지고 창문(200)을 열고 닫을 때 절첩되고 펼쳐지는 방충망(110)과, 상기 방충망(110) 전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가 창틀(300)에 부착 고정되는 제1연결부(120)와, 상기 방충망(110) 후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가 창문(200)에 부착 고정되는 제2연결부(130)로 이루어진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창문(200) 또는 창틀(300)중 어느 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방충망(110)이 절첩될 때 절첩부분을 수용하는 수납수단(400)을 마련하되, 방충망(100) 절첩시 수납수단(400)에 의해 방충망(110)의 절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400)은 창틀(300) 전면에 부착 형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420)을 통하여 방충망(110)의 절첩부분을 수용하는 수납커버(410)로 구성되며, 이 수납커버(410)는 기존 건축물의 창틀(300)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400)은 창문(200) 내주면에 수용홈(430)을 형성하여 방충망(110)의 절첩부분을 수용케 하고, 이 수용홈(430)은 신 건축물의 창문(110)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KR1020100066947A 2010-07-12 2010-07-12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KR10119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947A KR101195894B1 (ko) 2010-07-12 2010-07-12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947A KR101195894B1 (ko) 2010-07-12 2010-07-12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97A true KR20120006297A (ko) 2012-01-18
KR101195894B1 KR101195894B1 (ko) 2012-10-30

Family

ID=4561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947A KR101195894B1 (ko) 2010-07-12 2010-07-12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7007A (zh) * 2023-11-28 2023-12-29 广东皇派定制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不挡视线纱窗装置及其平开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2520D0 (en) 1993-06-17 1993-08-04 Gillette Co Correction tape dispenser
JP2002097873A (ja) * 2000-09-25 2002-04-05 National House Industrial Co Ltd 収納網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7007A (zh) * 2023-11-28 2023-12-29 广东皇派定制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不挡视线纱窗装置及其平开窗
CN117307007B (zh) * 2023-11-28 2024-02-20 广东皇派定制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不挡视线纱窗装置及其平开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894B1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JP4875953B2 (ja) 開閉手段を備える開口部装置
AU2013317725B2 (en) An assembly for closing an opening
KR20170132702A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20120128802A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101195894B1 (ko)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JP6190163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KR200472218Y1 (ko) 건물 개구용 방충 및 방한장치
JP2007177431A (ja) 網戸の框が隠蔽される開口部装置
KR20120006295A (ko) 전,후 개폐식 창문 방충장치
KR200349223Y1 (ko)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구조
KR200322035Y1 (ko) 방충용 도어
KR200329031Y1 (ko) 방충용 도어
JP2015224524A (ja) サッシ
JPS5819268Y2 (ja) 全開口内障子付金属製窓
JP3244403U (ja) 外付け防虫窓網
KR20140144889A (ko) 접이식 창틀
KR20040018007A (ko) 출입문용 방충망
KR200437613Y1 (ko) 절첩식 방충망
KR200163137Y1 (ko) 건축물의 현관문
JP3730915B2 (ja) 建物開口部用網戸
KR200318028Y1 (ko) 권취식 방충망
JP6371095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