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097U - 전기절연테이프 - Google Patents

전기절연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097U
KR20120006097U KR2020110001486U KR20110001486U KR20120006097U KR 20120006097 U KR20120006097 U KR 20120006097U KR 2020110001486 U KR2020110001486 U KR 2020110001486U KR 20110001486 U KR20110001486 U KR 20110001486U KR 20120006097 U KR20120006097 U KR 201200060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ubber
present
electrical insulating
insulat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기
Original Assignee
윤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기 filed Critical 윤창기
Priority to KR2020110001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097U/ko
Publication of KR201200060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66Joining insulating bodies together, e.g. by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natural or synthetic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undling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작업을 할 때에 두 개의 전선의 양단부의 피복재를 벗겨 서로 연결한 후 노출된 심선(心線)을 절연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감싸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비좁은 공간에서 전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절연성능도 개선하는 전기절연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표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얇게 형성된 표면테이프(10), 상기 표면테이프(10)의 내측에 부착된 것으로서 고무테이프(20)(21)(22), 상기 고무테이프(20)(21)(22)의 내측에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30)(31)(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절연테이프{Insulating tape}
본 고안은 전기를 절연(絶緣)하는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작업을 할 때에 두 개의 전선의 양단부의 피복재를 벗겨 서로 연결한 후 누전, 합선 방지를 위하여 노출된 심선(心線)을 테이프를 감싸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비좁은 공간에서 전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절연성능도 개선하는 전기절연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전기절연테이프라 함은 전기가 통하지 않게 제작된 테이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고무, 유지, 비닐 등으로 만든다. 전기절연테이프는 주로 전선을 이을 때 절연체로 된 외부의 피복재를 벗긴 후 양쪽의 내부 심선(心線)을 서로 꼬아 연결하고 전기가 통하는 심선을 절연시킬 때 사용하는 테이프이다. 보통 전기테이프, 검정테이프라고도 하는데, 마트나 전기재료 가게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전기절연테이프는 노출된 심선을 여러 겹으로 감아 절연층을 두껍게 하여 확실하게 누전, 합선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기절연테이프는 전선작업을 할 때에 권취된 전기절연테이프를 조금씩 풀면서 여러 번 심선 주위를 돌리면서 감싸야 하는데 심선을 여러 겹으로 감싸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특히 전기분배함 등 비좁은 공간에서 전선작업을 할 때에는 감싸는 동작이 매우 불편한데 이러한 비좁은 공간에서 테이프의 권취 부분을 심선 주위로 돌리면서 여러 번 감는 작업을 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심한 경우에는 테이프의 권취부분을 돌릴 수 있는 공간이 없어서 먼저 테이프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 후에 심선을 감아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 절단된 테이프가 서로 붙어서 감싸는 작업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기절연테이프는 전선의 심선 주위로 테이프를 돌리면서 감싸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절연테이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연결된 전선의 심선 주위를 여러 겹 감지 않고도 한번의 누름동작으로 확실하게 절연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비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절연성능도 향상시키는 전기절연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표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얇게 형성된 표면테이프, 상기 표면테이프의 내측에 부착된 것으로서 연질고무로 된 고무테이프, 상기 고무테이프의 내측에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또한 상기 고무테이프가 표면테이프의 전면(全面)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또한 상기 고무테이프가 노출된 심선을 감쌀 수 있으며 표면테이프의 크기보다 작은 부분으로 절단되어 표면테이프의 내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또한 상기 접착층에 이형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절연테이프는 종래와 같이 테이프를 노출된 심선 주위를 돌리면서 여러 겹 감는 것이 아니라 노출된 심선 주위에서 한 번의 누름동작에 의하여 심선을 감싸고 절연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전선작업이 매우 간단하며, 특히 비좁은 공간에서 전선작업을 할 때 매우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비교적 두꺼운 고무테이프를 사용하므로 절연성능이 향상된다는 장점도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전기절연테이프의 펼침 상태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전기절연테이프의 종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전기절연테이프의 펼침 상태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전기절연테이프의 종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전기절연테이프의 펼침 상태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전기절연테이프의 종단면도,
도 4a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절연테이프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종단면도,
도 5a는 도 2a 및 도 2b의 전기절연테이프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표면테이프(10), 고무테이프(20)(21)(22), 접착층(30)(31)(32), 그리고 이형테이프(40)로 구성되어 있다.
표면테이프(10)는 전기절연테이프의 겉 표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전기절연테이프와 같이 얇게 형성되어 있다. 표면테이프(10)의 재질은 고무, 비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무테이프(20)(21)(22)는 상기 표면테이프(10)의 내측에 부착된 것으로서 두께가 0.5~6mm의 연질고무로 되어 있다. 고무테이프(20)(21)(22)와 표면테이프(10) 사이의 부착은 접착제로 인한 접착, 열압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무성분은 양호한 절연성능을 갖고 있고 부드러우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고무테이프(20)(21)(22)의 두께는 사용될 전선의 굵기에 따라 다르다. 전선이 굵을수록 두꺼운 고무를 사용하여야 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고무테이프(20)는 표면테이프(10)의 전면(全面)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다. 즉, 표면테이프(10)의 크기와 고무테이프(20)의 크기가 동일하다.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고무테이프(21)(22)는 피복을 벗겨 노출된 심선을 감쌀 수 있으며 표면테이프(10)의 크기보다 작은 부분으로 절단되어 표면테이프(10)의 내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부착되어 있다. 즉, 고무테이프(21)(22)를 표면테이프(10)의 폭과 길이보다 작게 절단하고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고무테이프(21)(22)가 없는 표면테이프(10)의 부분을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별도의 이형지(미도시)로 보호할 수 있다.
접착층(30)(31)(32)은 상기 고무테이프(20)(21)(22)의 내측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사용되는 접착제는 통상의 전기절연테이프의 내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긴 길이의 테이프를 권취하여 시중에 판매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접착층(30)(31)(32)에는 사용을 할 때 벗겨내는 별도의 이형테이프(40)를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형테이프(40)가 없어도 표면테이프(10)의 외면을 매끄럽게 하면 접착층(30)(31)(32)이 표면테이프(10)의 외면에서 용이하게 이탈하므로 이형테이프(40)는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일정길이마다 절취선(1)을 형성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하였다. 그러나 절취선(1)을 형성하지 않고 가위, 칼 등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여 절단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예를 들어 두개의 전선(W)을 잇고자 할 때에서 전선(W)의 양단부의 피복재(W2)를 벗겨내고 도체인 심선(W1)이 드러나도록 한 후 이들 양쪽의 심선(W1)을 서로 꼰다. 이 꼬여진 심선(W1) 부분을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로 절연한다.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절연테이프는 소정의 길이도 절단하여 이형테이프(40)를 벗겨 낸 후에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심선(W1) 주위에 위치시킨 후 손가락으로 양단을 누르면 간단하여 절연작업이 완료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무테이프(30)의 측면이 외부에 노출된다.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3a 및 도 3b의 전기절연테이프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이형테이프(40)를 벗겨낸 후에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서로 연결된 심선(W1)의 주위에 위치시킨 후 손가락으로 양단을 누리고 가장자리를 누른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무테이프(31)(32)의 측면이 밀폐되어 더욱 절연효과가 좋다.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서로 연결된 심선(W1) 주위에 전기절연테이프를 위치시킨 후 손가락에 의한 한 번의 누름동작에 의하여 절연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전선작업이 매우 간단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 특히 전선 분배함과 같은 비좁은 공간에서 전선작업을 할 때 작업효율이 매우 양호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전기절연테이프는 또한 고무테이프(20)(21)(22)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한 겹으로 절연하더라도 절연성능이 양호하여 누전, 합선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절취선 W : 전선
W1 : 심선(心線) W2 : 피복재
10: 표면테이프 20, 21, 22: 고무테이프
30, 31, 32: 접착층 40: 이형테이프

Claims (4)

  1. 표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얇게 형성된 표면테이프(10),
    상기 표면테이프(10)의 내측에 부착된 것으로서 연질고무로 된 고무테이프(20)(21)(22),
    상기 고무테이프(20)(21)(22)의 내측에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30)(31)(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테이프(20)는 표면테이프(10)의 전면(全面)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테이프(21)(22)는 노출된 심선을 감쌀 수 있으며 표면테이프(10)의 크기보다 작은 부분으로 절단되어 표면테이프(10)의 내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30)(31)(32)에 이형테이프(4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테이프.
KR2020110001486U 2011-02-22 2011-02-22 전기절연테이프 KR201200060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86U KR20120006097U (ko) 2011-02-22 2011-02-22 전기절연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86U KR20120006097U (ko) 2011-02-22 2011-02-22 전기절연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97U true KR20120006097U (ko) 2012-08-30

Family

ID=5368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486U KR20120006097U (ko) 2011-02-22 2011-02-22 전기절연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09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896A1 (ko) * 2013-12-19 2015-06-25 주식회사 그린탑 탄소섬유 발열제품의 탄소섬유 발열체와 전원선 결속구조
KR20190002699U (ko) 2018-04-19 2019-10-29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절연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896A1 (ko) * 2013-12-19 2015-06-25 주식회사 그린탑 탄소섬유 발열제품의 탄소섬유 발열체와 전원선 결속구조
KR20190002699U (ko) 2018-04-19 2019-10-29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절연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79458A (en) Flexible tape conductors
JPH0828139B2 (ja) テープ電線の製造方法
WO2011034642A3 (en) Wrapped stator coil
CN105957591A (zh) 一种非规则母排及其绝缘方法
KR20120006097U (ko) 전기절연테이프
KR101020828B1 (ko)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281488A (en) Foil strip conductor
CN203659465U (zh) 电缆
JPH08195124A (ja) 平型多心電線
JP5914928B2 (ja) 防水絶縁ラバーの製造方法
CN209657862U (zh) 一种可延展电气装备用电缆
JP4894624B2 (ja) 導線の接続方法
CN202888410U (zh) 铝漆包线和铜导线的压接接头结构
JP6834742B2 (ja) 二芯平行ケーブル
CN205122222U (zh) 一种加金属丝的复合带
CN205247956U (zh) 一种外绝缘层可剥落的线缆
CN203269851U (zh) 一种金属箔绝缘胶布
CN204760101U (zh) 方便去皮的电线
CN208622489U (zh) 一种耐高温绝缘线
CN201444412U (zh) 一种新型屏蔽导线
CN208400593U (zh) 一种复合绝缘线
CN203659499U (zh) 线缆
ES1040251U (es) Conector rapido de cables electricos aislados por reformacion del aislante.
CN213844855U (zh) 一种注条螺纹电线
JP6630189B2 (ja) 止水機能付きシールド電線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