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401A - 접이식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401A
KR20120005401A KR1020110067513A KR20110067513A KR20120005401A KR 20120005401 A KR20120005401 A KR 20120005401A KR 1020110067513 A KR1020110067513 A KR 1020110067513A KR 20110067513 A KR20110067513 A KR 20110067513A KR 20120005401 A KR20120005401 A KR 20120005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m
foldable
adhering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072B1 (ko
Inventor
변동환
Original Assignee
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동환 filed Critical 변동환
Publication of KR2012000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5/002Making box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s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5/0022Making boxes from tubular webs or blanks, e.g. with separate bottoms, including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1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cross section of varying size or shape, e.g. conical or pyrami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4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 B31B2120/4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by applying a liner to already made boxes, e.g. opening or distending of the liner or the box
    • B31B2120/406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by applying a liner to already made boxes, e.g. opening or distending of the liner or the box the lining material being a plunger, a web, a sheet or a bag to be forced into the box, e.g. by us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4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 B31B2120/4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by applying a liner to already made boxes, e.g. opening or distending of the liner or the box
    • B31B2120/407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by applying a liner to already made boxes, e.g. opening or distending of the liner or the box involving forming of the liner before inse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면을 담고 있는 용기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는, 기존의 일체형 용기의 중간 부분을 잘라 용기의 아랫부분인 제 1 용기와 용기의 윗부분인 제 2 용기로 나누고, 필름의 한쪽을 상기 제 1 용기와 접착하고 상기 필름의 다른 한쪽을 상기 제 2 용기와 접착함과 동시에 한쪽 용기를 다른 쪽 용기에 밀어 넣어 용기의 높이를 바꿀 수 있는 것이며, 제조 공정은 일체형 용기를 용기의 아랫부분인 제 1 용기와 용기의 윗부분인 제 2 용기로 나누는 단계, 용기의 내부 경사면과 같은 형상을 갖는 필름의 상부를 제 2 용기의 상단에 밀착시켜 용기와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의 다른 쪽을 제 1 용기에 밀착시켜 용기와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기의 상단을 제 2 용기의 하단에 밀어 넣는 단계를 갖는다.

Description

접이식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FOLDABLE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한 예로서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다양한 재질로 다양한 모양을 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밑면이 좁은 원뿔 형태의 종이컵 또는 스티로폼 용기 등이며, 내부에 건조라면과 스프를 내장하고 상부에 뚜껑을 덮어 밀봉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내부 내용물에 비해 용기의 부피가 커서 포장, 보관, 운송에 드는 물류 비용이 많이 들고,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수량도 제한적이다.
상기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부피를 줄여 물류비용을 줄이고, 개인이 휴대하기에 용이할 뿐만이 아니라 용기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식 용기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는, 기존의 일체형 용기의 중간 부분을 잘라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로 나누고, 상기 제 1 용기와 상기 제 2 용기를 필름튜브로 접착하여 제조한다.
상기 용기의 중간 부분이라 함은 내용물이 담기는데 지장이 없으면서 용기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위치로서 용기의 높이방향으로 1/3 ~ 2/3 부분이 적당하다. 제 2 용기를 제 1 용기 쪽으로 내려 제 1 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포장하면 본 발명의 용기의 높이는 일체형 용기의 높이에 비하여 2/3 ~ 1/2 이 된다. (도 4, 5 참조) 이때 용기의 직경은 변함이 없으므로 컵라면의 부피가 2/3 ~ 1/2로 줄어든다. 일체형 용기를 3개 이상으로 나누어 절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은 용기의 높이는 최대 '1/절단된 용기 수량'으로 줄어들 수 있다. (도 6, 7 참조)
이 방법은 시판되고 있는 모든 일체형 용기 중에 적용할 수 있는 용기는 측단면이 약간의 경사진 형태이기만 하면 용기의 전체의 모양은 원형, 사각형 등 다각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이 제한 없이 적용가능하다. 용기의 재질도 기존에 사용하는 종이, 전분, 발포 스틸렌, 플라스틱, 금속 용기 등 모두 적용 가능하다.
기존의 일체형 용기를 상하로 자르는 도구로서 칼이나 레이저 컷터 또는 금형을 사용하면 신속하고 저렴하게 절단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은 상기 일체형 용기의 내부를 감싸는 주머니 형상을 갖는 것이나 양쪽이 뚫린 튜브형태를 갖는다. 필름튜브를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로 분리된 용기의 내부에 원형으로 접착시켜 사용시에 내부 액체가 용기 외부로 흐르지 않게 한다. 분리된 용기와 필름의 접착 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고주파 등을 이용한 융착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고 접착부의 기밀성도 확보할 수 있게 실시되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접이식 용기는 분리된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와 필름 및 용기 뚜껑으로 용기 내부가 용기 외부와 차단된다.
특히 내부를 감싸는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는 필름이 용기와 컵라면 국물이 접촉하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물에 약한 소재, 한 예로 전분용기를 용기의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용기의 입구가 바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필름이 접착하는 위치는 상기 제 1 용기의 상단과 상기 제 2 용기의 상단이고,(도 6, 7 참조) 상기 일체형 용기의 입구가 바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필름이 접착하는 위치는 상기 제 1 용기의 하단과 상기 제 2 용기의 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9 참조)
용기 내부에 액체가 채워졌을 때 이 액체가 용기 외부로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해 상하로 분리된 용기에 필름을 접착하는 위치는 여러 곳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 용기의 상단과 상기 제 2 용기의 상단 내벽에 필름을 접착하면 용기를 접었을 때에 제 2 용기의 상단과 제 1 용기의 상단은 가깝게 되어 필름은 제 1 용기의 상단 위로 내부를 향해 접힌 상태로 위치하고, 용기를 빼면 필름이 펴지면서 제 2 용기와 제 1 용기를 정렬시켜 용기가 완전히 빠진 상태에서는 상하 용기의 절단면이 맞물려 단단히 고정되어 용기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일체형 용기의 입구가 바닥보다 큰 경우에 제 2 용기의 하단과 제 1 용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접착할 수도 있지만 하부용기를 빼내어 펴면 필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 용기의 절단면이 정렬되도록 보조할 수 없어 상하용기가 따로 놀게 되고, 필름이 내부로 들어와 내용물과 섞이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형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내용물을 사용하기에 불편해 진다. 또한 제 1 용기의 상단 외벽에 접착시킬 수도 있지만 필름 두께로 인해 용기를 빼기가 쉽지 않고, 필름 때문에 제 2 용기위 하단이 제 1 용기의 상단에 걸쳐있기가 어렵다.
상기 필름은 상기 일체형 용기의 내부 경사면에 접촉하여 밀착되고, 접착시키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적합한 필름은 콜라겐 단백질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알루미늄호일, 알루미늄호일 접합지, PP필름, PE필름, 방습지, 폴리에스테르필름, PC필름, 등으로 끓는 물에 내열성이 있는 얇은 막으로 특히 환경호르몬이 용출되지 않게 처리된 것이면 더욱 적합하다.
용기를 절단한 상태에서 또는 용기를 빼내었을 때,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는 필름에 의해 절단면이 정렬되고, 제 2 용기의 하단 내경은 제 1 용기의 상단 내경과 같으므로 제 1 용기의 상단 외경보다는 작아 제 2 용기가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고 제 2 용기를 단단하게 지지한다.
그러나 용기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용기를 이동할 때에는 제 2 용기의 하단 절단면 내경은 제 1 용기의 상단 절단면 내경과 같아 제 1 용기의 상단 외경보다는 작다는 것 때문에 두 용기가 끼여 접히거나 빠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용기(1)나 제 2 용기(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상기 용기의 절단면에서부터 높이 방향으로 자른 옆트임홈(7)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옆트임홈(7)에 의해 용기의 반경이 커지거나 줄어드는 유동성이 생겨 두 용기가 끼지 않고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제 2 용기의 하단 절단면인 절단면에 굴곡을 형성함으로써 제 2 용기의 하단이 제 1 용기의 상단에 확실히 걸쳐있는 것을 보장하여 용기를 사용 중에 제 2 용기가 미끄러져 내려가 용기의 내용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용기의 하단 절단면에 상기 제 1 용기의 상단 절단면보다 작은 반경의 굴곡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접이식 용기를 만드는 방법은 기존의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일체형 용기를 용기의 아랫부분인 제 1 용기와 용기의 윗부분인 제 2 용기로 나누는 단계, 용기의 내부 경사면과 같은 형상을 갖는 필름의 상부를 제 2 용기의 상단에 밀착시켜 용기와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의 다른 쪽을 제 1 용기에 밀착시켜 용기와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기의 상단을 제 2 용기의 하단에 밀어 넣는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한 컷터를 사용하여 용기를 상하로 자르고, 상기 제 2 용기의 하단 절단면을 높이 방향으로 자른 홈을 만드는 용기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컷터 칼이나 금형에 의한 절단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 용기의 절단면이 서로 마주하고 있고, 필름이 상하 용기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한쪽을 다른 한쪽에 밀어 넣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제 1 용기의 상단을 제 2 용기의 하단에 밀어 넣기 위해 제 1 용기의 상단을 용기 외부에서 안쪽으로 가압하는 장치 또는 제 2 용기의 하단을 용기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장치를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하여 용기 단면을 변형시켜 다른 한쪽에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부피를 작게 하여 유통단계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고, 개인이 휴대하기에도 용이하며, 사용 시에 종래의 용기와 같이 견고한 접이식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용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그 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기존의 제조 공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접이식 용기를 제조하는데 들어가는 추가 비용이 저렴한 접이식 용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접이식 용기의 일 실시예
도 2는 일체형 용기의 일례
도 3은 도 2의 일체형 용기를 2단으로 레이저 컷팅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로 펼친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접이식 용기를 접어 부피를 줄인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구가 바닥보다 넓은 3단 접이식 용기의 일 실시예로 접은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일 실시예로 펼친 상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구가 바닥보다 좁은 3단 접이식 용기의 일 실시예로 접은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일 실시예로 펼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0은 용기의 절단면에 작은 반경의 굴곡을 형성하여 놓은 일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용기를 접이식 용기로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일실시 예로서 접이식 용기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용기를 접어 부피를 줄인 컵라면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용기를 접이식 용기로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는 도 11에서와 같이 기존의 일체형 용기(10)를 회전이 가능한 용기 홀더(30)에 삽입하고(a), 옆트임 칼 홀더(31)로 용기를 고정함과 동시에 옆트임 칼(32)를 작동시켜 옆트임홈을 만들고, 동시에 용기 홀더(30)를 돌리며 상하분리 칼(33)로 용기를 상하로 분리한다(b). 상하분리 칼(33)은 일반 컷터 칼이나, 회전형 칼을 사용할 수 있다. 절단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이용할 수도 있다. 레이저 컷터를 용기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시키고 용기 홀더를 회전시키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여 용기를 상하로 분리한다.
공정 C에서는 필름(4)이 필름홀더(34)에 부착되어 제 2 용기(2)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필름(4)의 양 끝단에는 반건조 상태의 접착제가 도포 되어있을 수도 있다. 각각의 필름 접착 롤러(35, 36, 37)가 전진하여 필름과 용기를 압착하고, 용기 홀더는 회전하여 필름과 용기는 원주 방향으로 단단히 접착된다.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롤러를 가열하여 가열압착하는 방법도 있다.
공정 D에서는 제 2 용기고정판(38)으로 제 2 용기를 고정하고, 용기 홀더를 회전시키며 용기 접이 롤러로 제 1 용기를 가압하여 제 1 용기가 제 2 용기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작업한다. 제 1 용기가 제 2 용기에 삽입되었으면 제 1 용기의 아래를 위로 올려 용기 홀더에서 추출한다.
접이식 용기에 내용물을 삽입하는 단계는 D 공정의 전후가 적합하다.
밑면이 넓은 접이식 용기는 같은 공정에서 밑이 뚫린 용기로 필름 부착 공정(c)까지 제작한 후, 넓은 밑면을 접착하고 d 공정에서 접는 단계를 거치면 제조가 가능하다.
1 : 제 1 용기 1a : 제 1 용기 상단
2: 제 2 용기 2z : 제 2 용기 상단
2y : 제 2 용기 하단 2a : 제 3 용기
3 : 용기 절단부 4, 4a : 필름 5 : 제 1 용기 접착부 6 : 제 2 용기 접착부
6a : 제 3 용기 접착부 7 : 옆트임홈 8 : 굴곡을 갖는 홈 10 : 일체형 용기
30 : 용기 홀더 31 : 옆트임 칼 홀더
32 : 옆트임 칼 33 : 상하 분리 칼
34 : 필름 홀더 35, 36, 37 : 필름 접착 롤러
38 : 제 1 용기 고정판 39 : 용기 접이 롤러

Claims (10)

  1. 접이식 용기에 있어서, 경사진 측면을 갖는 일체형 용기(10)의 중간 부분(3)을 잘라 용기의 아랫부분인 제 1 용기(1)와 용기의 윗부분인 제 2 용기(2)로 나누고, 필름(4)의 한쪽(5)을 상기 제 1 용기(1)와 접착하고 상기 필름의 다른 한쪽(6)을 상기 제 2 용기(2)와 접착하여 용기에 담긴 액체가 용기 밖으로 흐르지 않는 용기를 형성하고, 한쪽 용기를 다른 쪽 용기에 밀어 넣어 용기의 높이를 줄여 포장하고 사용시에는 본래의 높이로 늘려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4)은 상기 절단면이 접촉해 있는 제 1 용기(1) 및 제 2 용기(2)의 내부 경사면에 접촉하여 밀착되고, 접착시키기에 적합한 원통 형상을 갖는 것(21)인 접이식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4)은 상기 절단면이 접촉해 있는 제 1 용기(1) 및 제 2 용기(2)의 내부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 것(22)인 접이식 용기
  4. 제 2항 및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4)이 접착하는 위치는 상기 일체형 용기(10)의 입구가 바닥보다 넓은 경우에는 각 용기의 상단이고, 상기 일체형 용기(10)의 입구가 바닥보다 좁은 경우에는 각 용기의 하단인 접이식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용기(1)나 제 2 용기(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상기 용기의 절단면에서부터 높이 방향으로 자른 옆트임홈(7)을 하나 이상 갖는 접이식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2)의 하단 절단면(3)에 상기 제 1 용기(1)의 상단 절단면(3)보다 작은 반경의 굴곡(8)을 갖는 접이식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2)는 제 2 용기의 중간 부분을 잘라 용기의 아랫부분인 제 2 용기(2)와 용기의 윗부분인 제 3 용기로 나누고, 필름의 한쪽을 상기 제 2 용기와 접착하고 상기 필름의 다른 한쪽을 상기 제 3 용기와 접착하여 용기에 담긴 액체가 용기 밖으로 흐르지 않는 용기를 형성하고, 같은 방법으로 제 4 용기, 제 5 용기를 만들고, 용기 각각을 필름으로 접착하여 용기에 담긴 액체가 용기 밖으로 흐르지 않는 용기를 형성하며, 한쪽 용기를 다른 쪽 용기에 밀어 넣어 용기의 높이를 줄여 포장하고 사용시에는 본래의 높이로 늘려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
  8. 접이식 용기를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일체형으로 제조된 용기(10)를 용기의 아랫부분인 제 1 용기(1)와 용기의 윗부분인 제 2 용기(2)로 나누는 단계(b), 용기의 내부 경사면과 같은 형상을 갖는 필름(4)의 상부(6)를 제 2 용기(2)의 상단(2a)에 밀착시켜 용기(2)와 필름(6)을 접착하는 단계(c36), 상기 필름의 다른 쪽(5)을 제 1 용기(1)에 밀착시켜 용기(1)와 필름(5)을 접착하는 단계(c37), 상기 제 1 용기의 상단(1a)을 제 2 용기의 하단(2b)에 밀어 넣는 단계(d)를 갖는 접이식 용기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상부(6)를 제 2 용기의 상단(2a)에 밀착시켜 용기(2)와 필름(4)을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의 다른 쪽(5)을 제 1 용기의 상단(1a)에 밀착시켜 용기(1)와 필름(5)을 접착하는 단계를 동시(c)에 실시하는 접이식 용기의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제 1 용기의 상단(1a)을 용기 외부에서 안쪽으로 가압하는 장치(39)와 제 2 용기의 하단(2b)을 용기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장치를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하여 상기 제 1 용기의 상단(1a)을 제 2 용기의 하단(2b)에 밀어 넣는 단계를 갖는 접이식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10067513A 2010-07-08 2011-07-07 접이식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377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037 2010-07-08
KR20100066037 2010-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01A true KR20120005401A (ko) 2012-01-16
KR101377072B1 KR101377072B1 (ko) 2014-03-24

Family

ID=4544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513A KR101377072B1 (ko) 2010-07-08 2011-07-07 접이식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77072B1 (ko)
CN (1) CN102985335A (ko)
WO (1) WO20120055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68B1 (ko) * 2013-10-25 2015-05-22 신호철 어뎁터 구성을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4055B2 (en) * 2018-04-04 2021-03-02 Jay Ferro Expandable packaging
CN110537888B (zh) * 2018-05-29 2023-03-14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内胆部件制造方法及其内胆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3735U (ko) * 1978-10-06 1980-04-11
JP3054459U (ja) 1998-05-28 1998-12-04 進 浅見 携帯用コップ
AUPS338102A0 (en) * 2002-07-04 2002-07-25 Nauveau Technology Investments Ltd 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a waste material having a high ph and/or alkalinity
KR200380031Y1 (ko) * 2004-10-02 2005-03-25 우윤희 용기
KR20080112927A (ko) * 2007-06-21 2008-12-26 황갑순 내벽과 외벽을 구비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20090277812A1 (en) * 2008-05-08 2009-11-12 Driscoll Daniel G Stackable Drinking Vessel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445541Y1 (ko) * 2009-01-14 2009-08-11 박건주 체적가변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68B1 (ko) * 2013-10-25 2015-05-22 신호철 어뎁터 구성을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5535A2 (ko) 2012-01-12
WO2012005535A3 (ko) 2012-05-18
CN102985335A (zh) 2013-03-20
KR101377072B1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5510B2 (ja) 包装スリーブ、包装体、および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9510702A (ja) 包装スリーブ、包装体、および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9510697A (ja) 包装スリーブ、包装体、および包装体の製作方法
KR101377072B1 (ko) 접이식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NL2010835C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age, a blank and a package manufactured with said method.
JP2017019568A (ja) 包装容器、及びかかる包装用域の製造において使用可能なブランク
KR20190017441A (ko) 재사용할 수 있는 캡 형 파우치
KR101367018B1 (ko) 접이식 종이컵의 옆지 성형 방법과 접이식 종이컵
KR20120124519A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JP2024045785A (ja) 折りたたみコップ
KR20110138315A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CN209241647U (zh) 一种包装箱
RU71640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яиц
WO2019211453A1 (en) A package
AU2016228289B2 (en) Carton and a blank for a carton
JP3208118U (ja) 包装箱
KR101409401B1 (ko) 용기 외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보조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N109018650A (zh) 一种包装箱及其制造方法
KR101227778B1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20160000996A (ko) 골판지가 적용된 다겹 종이용기의 제조방법 및 골판지가 적용된 다겹 종이용기
KR20120013018A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RU212779U1 (ru) Стакан для мелкоштучных продуктов с элементом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отделения для отходов
RU2780351C1 (ru) Картонная складная упаковка с дополнительным отсеком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FR2579582A1 (fr) Perfectionnement aux entonnoirs
KR200391890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