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541Y1 - 체적가변 용기 - Google Patents

체적가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541Y1
KR200445541Y1 KR2020090000475U KR20090000475U KR200445541Y1 KR 200445541 Y1 KR200445541 Y1 KR 200445541Y1 KR 2020090000475 U KR2020090000475 U KR 2020090000475U KR 20090000475 U KR20090000475 U KR 20090000475U KR 200445541 Y1 KR200445541 Y1 KR 200445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olume
present
inner bod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주
Original Assignee
박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주 filed Critical 박건주
Priority to KR2020090000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541Y1/ko
Priority to PCT/KR2010/000127 priority patent/WO201008274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0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of variable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적가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구조로 형성된 용기의 몸체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용기 내부의 부피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적가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용기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간 부분을 비닐 등 얇고 접힘 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하여 외경이 큰 용기의 상부로 외경이 작은 용기의 하부가 삽입됨으로서 체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내용물을 용기에 미리 담아서 판매하고 후에 용기를 개봉하여 첨가물을 넣도록 한 제품을 시판하는데 있어서 용기의 부피를 감소시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부피가변 용기, 용량, 체적

Description

체적가변 용기{Cup having variable volume}
본 고안은 체적가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구조로 형성된 용기의 몸체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용기 내부의 부피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적가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뚜껑을 이용해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는 원통형,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대부분 일정한 한가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용기는 형태의 변경이 불가능하여 제조시부터 일정한 정도의 체적을 그대로 유지할 수 밖에 없다.
한편, 시중에는 상기와 같은 용기에 식품이 담겨져서 판매되는 경우가 많은데 가장 대표적인 경우의 예를 들자면 컵 라면과 같은 것이 있다.
컵 라면은 먼저 용기의 뚜껑을 열어 뜨거운 물을 붓고 용기 내부에 담긴 면을 익혀서 먹도록 되어 있는데 용기에 물을 붓기 전의 상태에서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 부피보다 용기 자체의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크게 되어있다. 이는 용기 내부에 물을 채울 수 있는 공간을 미리 마련해 놓기 위해서인데 물을 붓기 전까지는 물 이 채워지는 부분만큼의 공간은 필요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의 체적이 필요치 않게 커지게 되면 물류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된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용기의 부피가 커지게 되면 휴대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것뿐만 아니라 다량의 용기 제품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더욱 넓은 적재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간단하게는 컵 라면의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우려내는 등의 과정에서 처음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 이외에 물 등의 필요한 다른 성분을 용기에 더 주입하여야 하는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실용실안 출원번호 제20-2008-0012735호 (2008. 9. 22) 체적가변 용기를 개량한 것으로서, 용기의 체적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 또한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량한 새로운 형태의 체적가변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용기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간 부분을 비닐 등 얇고 접힘 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하여 외경이 큰 용기의 상부로 외경이 작은 용기의 하부가 삽입됨으로서 체적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의 상부가 되며 상부면과 하부 면이 개방된 외부몸체; 용기의 하부가 되며 상부면이 개방된 내부몸체; 상기 외부몸체와 내부몸체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어 상기 외부몸체와 내부몸체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비닐 등 얇고 접힘 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다단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가변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의 개방된 상부면을 막는 마개 혹은 덮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외부몸체와 내부몸체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비닐 등 얇고 접힘 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몸체와 내부몸체를 압착시키기 위해 힘을 가할 경우 연결부의 일정부분이 접혀짐으로서 외경이 작은 내부몸체가 외경이 큰 외부몸체로 삽입되어 체적 가변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체적의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용기의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 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실용실안 출원번호 제20-2008-0012735호 (2008. 9. 22) 체적가변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적가변 용기가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적가변 용기(1)는 종이, 금속,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적가변 용기(1)는 용기의 하부가 되는 내부몸체(2), 용기의 상부가 되는 외부몸체(3), 용기의 중간부가 되는 연결부(4)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몸체(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몸체(3)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외부몸체(3)의 내경은 내부몸체(2)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외부몸체(3)에 내부몸체(2)가 삽입됨으로써 다단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4)는 비닐 등 얇고 접힘 성이 좋은 재질로, 내부몸체(2)의 외주면 상부 둘레와, 외부몸체(3)의 외주면 하부 둘레에 접착되어 상기 내부몸체(2)와 외부몸체(3)가 일체화 될 수 있도록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4)는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열접착 방식 등을 이용해 내부몸체(2)와 외부몸체(3)에 접착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적가변 용기의 부피가 축소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체적가변 용기의 부피가 확장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적가변 용기(1)의 부피가 축소된 상태에서는 비닐 등 얇고 접힘 성이 좋은 재질의 연결부(4)가 접혀져 내부몸체(2)가 외부몸체(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내부몸체(2)가 외부몸체(3)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몸체(2)와 외부몸체(3)를 잡아당기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가 펴져 내부몸체(2)가 외부몸체(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통상의 용기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즉, 용기(1)의 부피를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체적이 축소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용기(1)에 미리 담은 후, 개방된 용기의 상부를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열압착하여 뚜껑부(5)를 형성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시판 가능하다.
또한, 용기의 체적이 전체로 확장된 상태에서나 비닐연결부가 반쯤 접혀진 상태(즉 용기의 체적이 반쯤 축소된 상태)에서 뜨거운 액체 내용물을 용기(1)에 담은 후 밀봉하게 되면, 내용물이 서서히 식어감에 따라 비닐로 된 연결부가 접혀지면서 용기가 자연적으로 축소하게 되어 '내용물이 담긴 축소된 용기'가 된다.
이러한 원리는 밀봉된 상태에서 수증기가 응축되면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인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 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출원인이 선 출원한 실용실안 출원번호 제20-2008-0012735호 (2008. 9. 22) 체적가변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체적가변 용기의 부피가 확장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적가변 용기의 부피가 축소된 상태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체적가변 용기의 부피가 확장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적가변 용기 2 : 내부몸체
3 : 외부몸체 4 : 연결부
5 : 뚜껑부

Claims (2)

  1. 삭제
  2.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내부몸체(2)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내부몸체(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외부몸체(3)와,
    상기 내부몸체(2)의 외주면 상부 둘레와, 외부몸체(3)의 외주면 하부 둘레에 접착되어 상기 내부몸체(2)와 외부몸체(3)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4)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몸체(2)는 상기 외부몸체(3)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하여 다단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몸체(2)와 외부몸체(3)의 재질은 종이, 합성수지이고,
    상기 연결부(4)의 재질은 비닐이며,
    상부 외부몸체(3)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두껑부(5)를 구비하여 뜨거운 내용물이 투입되고 밀폐되어 냉각되면 자동으로 연결부가 수축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체적 가변 용기.
KR2020090000475U 2009-01-14 2009-01-14 체적가변 용기 KR200445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75U KR200445541Y1 (ko) 2009-01-14 2009-01-14 체적가변 용기
PCT/KR2010/000127 WO2010082742A2 (ko) 2009-01-14 2010-01-08 체적가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75U KR200445541Y1 (ko) 2009-01-14 2009-01-14 체적가변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541Y1 true KR200445541Y1 (ko) 2009-08-11

Family

ID=4135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475U KR200445541Y1 (ko) 2009-01-14 2009-01-14 체적가변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5541Y1 (ko)
WO (1) WO201008274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535A2 (ko) * 2010-07-08 2012-01-12 Byun Donghwan 접이식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2138A (ja) * 2011-09-28 2013-11-21 ドンファン ピョン 折畳み式紙カップの側紙成型方法及び折畳み式紙カップ
CN108297481A (zh) * 2018-01-31 2018-07-20 六安维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杯体纸杯及其生产方法
DE102021121836B4 (de) * 2021-08-24 2023-10-12 Mondi Ag Verfahren zum Verpacken eines Gegenstandes in einem Papiersack und Papiers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42U (ko) * 1999-05-11 2000-12-05 한영희 휴대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29Y2 (ko) * 1985-04-16 1991-02-12
JPS6252475U (ko) * 1985-04-30 1987-04-01
JPH09286437A (ja) * 1996-04-15 1997-11-04 Shibaura Eng Works Co Ltd 弁当容器
KR970009572U (ko) * 1996-12-28 1997-03-27 윤정환 포갤수 있는 밀봉용 종이컵
JP2003182741A (ja) * 2001-12-18 2003-07-03 Toppan Printing Co Ltd 紙カップ及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42U (ko) * 1999-05-11 2000-12-05 한영희 휴대용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535A2 (ko) * 2010-07-08 2012-01-12 Byun Donghwan 접이식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WO2012005535A3 (ko) * 2010-07-08 2012-05-18 Byun Donghwan 접이식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CN102985335A (zh) * 2010-07-08 2013-03-20 卞东奂 折叠式容器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2742A2 (ko) 2010-07-22
WO2010082742A3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020B1 (ko) 압축식 라면 용기 및 그 제작방법
KR200445541Y1 (ko) 체적가변 용기
WO2013146592A1 (ja) 容器入り即席食品、容器入り即席食品の調理方法、及び即席食品用容器
JP2011046450A (ja) 即席食品容器
WO2016032061A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CN218056647U (zh) 冲泡快餐套餐
CN218056646U (zh) 冲泡快餐容器
KR20060132754A (ko) 접이식 사발
CN103079963A (zh) 用于冰激凌的包装
KR200479506Y1 (ko) 높이 조절 용기
CN205441213U (zh) 一种可压缩的食品包装容器
CN110436011A (zh) 包装
CN220403350U (zh) 一种密封效果好的一次性餐盒
CN211076843U (zh) 一种可盛装多种口味方便面的包装盒
JP6138587B2 (ja) 内袋付き容器
KR101840872B1 (ko) 즉석식품용 압축 용기
KR200364685Y1 (ko)
CN207467389U (zh) 一种折叠泡面容器
RU91327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набора из кондитерского изделия и употребляемого совместно с ним продукта
JP7450378B2 (ja) 食品用容器及び容器入り食品
KR200462983Y1 (ko) 조리용 용기
KR200395420Y1 (ko) 즉석식품용 포장용기
KR101950099B1 (ko) 단위체 분리 구조의 양념 보관 용기
JP2606119Y2 (ja) 脚部を有する食品用包装容器
CN207030034U (zh) 多功能食品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