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983Y1 - 조리용 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2983Y1 KR200462983Y1 KR2020100003336U KR20100003336U KR200462983Y1 KR 200462983 Y1 KR200462983 Y1 KR 200462983Y1 KR 2020100003336 U KR2020100003336 U KR 2020100003336U KR 20100003336 U KR20100003336 U KR 20100003336U KR 200462983 Y1 KR200462983 Y1 KR 2004629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water
- container
- water injection
- inlet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조리할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뚜껑과, 용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게 뚜껑에 연결되며 끝단은 폐쇄된 물 주입관을 포함하며, 물 주입관을 절단하여 개방시킨 뒤, 물 주입관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용기 몸체의 내부로 물을 넣을 수 있는 조리용 용기가 개시되며, 개시된 조리용 용기로는 2가지 이상의 음식을 포장하여 즉석으로 조지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물이 넘치는 것을 억제하여 물을 넣은 상태로 용기의 이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라면, 컵우동, 컵짜장 등과 같이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조리를 해먹을 수 있는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하고 이에 따라 바쁜 현대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제때 식사를 거르지 않고 챙겨 먹는 일은 쉽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바쁜 현대인들이 간단하면서도 간편하게 식사 대용으로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인스턴트 식품이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고 다양한 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대표적인 인스턴트 식품이 컵라면이다.
종래의 컵라면은 용기 몸체 내부에 라면이 수용되고, 그 용기 몸체의 상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판매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컵라면은 사용자가 컵라면 뚜껑을 열고, 용기 몸체 내부에 라면 스프와 야채 등을 용기 몸체에 털어 넣은 다음에 뜨거운 물을 소정량 넣는다. 그런 다음에, 뚜껑을 눌러서 뜨거운 김이 용기 몸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거나, 넓은 부재 예를 들어서 책 등의 부재로 용기 몸체의 상부를 눌러서 뚜껑을 용기 몸체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어 뜨거운 김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를 통상 3분 내지 5분 정도 경과 하면, 뜨거운 물에 의해 용기 몸체 내부의 재료(라면, 우동, 짜장면 등)가 섭취할 수 있을 정도로 익게 되어 섭취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라면과 같은 조리용 용기의 경우에는, 그 용기의 전체 부피에 비하여 그 용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재료의 부피는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실제 재료부피에 비해 용기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저장공간, 운반 등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용 용기에는 그 내부에 한가지의 음식 재료만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한가지 종류의 음식만을 선택하여 섭취할 수밖에 없다. 즉, 예를 들어, 라면과 우동, 또는 라면과 짜장면 등을 함께 먹고 싶은 경우에는 두 가지 제품을 구입해야 하므로, 두 가지 제품을 구입할 경우 양이 많게 되고, 비용이 많이 지출되므로, 실제로 두 가지 음식을 먹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구성의 조리용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 몸체에 뜨거운 물을 넣은 상태에서는, 용기 몸체를 들고 장소를 이동하는 것이 쉽지 않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뚜껑을 임시로 용기 몸체에 눌러 놓은 상태이므로, 용기 몸체를 들고 이동할 경우, 흔들리게 되어 용기 몸체의 뜨거운 물이 쉽게 흘러 넘치게 된다. 따라서, 뜨거운 물을 부은 상태에서, 용기 몸체를 들고 이동하다가, 뜨거운 물이 흘러 넘쳐서 화상을 입거나, 옷을 더럽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복수의 음식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뜨거운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개선된 조리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리용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조리할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용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뚜껑에 연결되며, 끝단은 폐쇄된 물 주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물 주입관을 절단하여 개방시킨 뒤, 상기 물 주입관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로 물을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서로 다른 조리 재료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수용부로 구분되도록 격리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주입관은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물 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물 주입관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비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어느 한쪽 수용부의 물을 물 주입관을 통해 외부로 빼낼 때 다른 쪽 수용부의 물이 물 주입관을 통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와 상기 격벽 각각은 그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부피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물 주입관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주름지게 형성된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조리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몸체의 내부를 격벽을 설치하여 서로 격리된 복수의 수용부로 구성하고, 각각의 수용부에 서로 다른 음식 재료를 수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을 하나의 용기에 넣어서 판매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는 하나의 제품을 통해서 2가지 이상의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에 부피 조절부를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보관 및 운송시에는 부피를 최소로 하여 보관 및 운송하고, 섭취하기 위해 물을 넣기 전에는 부피를 늘려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보관 및 운송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뚜껑에 각각의 수용부에 대응되게 물 주입구를 설치하되, 각각은 뚜껑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절취후 그 절취된 부분을 통해 물을 용기 내부로 넣을 수 있으며, 물을 넣은 후에는 절취되고 남은 물 주입구를 비틀거나 눌러서 밀폐시킴으로써, 용기 몸체 내부의 열이나, 물이 밖으로 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 몸체에 물을 넣은 상태로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이 편리하고, 물을 밖으로 쉽게 흘러나오지 않게 되어 화상 등으로부터 안전하며, 흐르는 물에 의해 옷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용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조지용 용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물 주입관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물 주입관을 연장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물 주입관의 상부를 절취한 뒤 물을 넣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조지용 용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물 주입관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물 주입관을 연장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물 주입관의 상부를 절취한 뒤 물을 넣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용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용기(10)는, 내부에 조리할 재료(1,2)가 수용되는 용기 몸체(20)와, 상기 용기 몸체(2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뚜껑(30)과, 상기 용기 몸체(20)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뚜껑(30)에 연결되며 끝단은 폐쇄된 물 주입관(40)을 구비한다.
상기 용기 몸체(20)의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수용부(22)로 구분하여 격리시키도록 격벽(50)이 더 설치된다. 상기 격벽(50)은 용기 몸체(20)의 내부의 바닥에서 내측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기 몸체(20)의 내부에 상하 수직으로 설치됨으로써, 용기 몸체(20) 내부를 제1 및 제2수용부(21,22)로 격리하여 구분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제1 및 제2수용부(21,22) 각각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 재료(1,2)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용부(21)에 수용된 재료(1)는 라면일 수 있고, 제2수용부(22)에 수용된 재료(2)는 우동 또는 짜장면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용기 몸체(2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조리 재료(1,2)를 서로 격리되게 포장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을 함께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20)와 격벽(50) 각각에는 상하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용기 몸체(20)의 전체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부피 조절부(23,51)가 형성된다. 상기 부피 조절부(23,51)는 용기 몸체(20)와 격벽(50)의 상부에 소정 높이부터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재료(1,2)의 상단 높이부터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눌리면 압축되어 그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위로 잡아당기면 주름이 펼쳐지면서 부피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보관 및 운반시의 공간을 줄일 수 있어서,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20)에는 그 내부 즉, 제1 및 제2수용부(21,22) 각각에 물을 부을 때 그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25,2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창(25,26)은 용기 몸체(20)에 상하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투명한 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확인창(25,26)은 반투명한 재질의 종이, 예를 들어 반투명의 기름종이 또는 친환경 종이 호일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반투명한 재질의 확인창(25,26)을 설치하게 되면, 물의 수위를 외부에서 충분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뚜껑(30)을 열지 않고 물을 넣더라도 외부에서 물의 수위를 확인하면서 적정량의 물을 넣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의 용기 몸체(20)와 격벽(50)은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면,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뚜껑(30)은 용기 몸체(2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 된다. 이러한 뚜껑(30)은 일반적인 컵라면의 뚜껑과 동일한 구성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용기 몸체(20)의 상부 테두리에 접착되어 결합되며, 외부의 힘에 의해 용기 몸체(2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뚜껑(30)에는 상기 물 주입관(4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 주입관(40)은 제1 및 제2수용부(21,22)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물 주입관(41,42)을 구비한다.
상기 제1물 주입관(41)은 제1수용부(21)로 뜨거운 물을 넣기 위해 마련된 것이고, 제2물 주입관(42)은 제2수용부(22)로 뜨거운 물을 넣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물 주입관들(41,42)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단지 그 설치 위치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50)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비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물 주입관(41,42)이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지 않고 서러 반대편에 위치되게 설치됨으로써, 조리를 위하여 제1 및 제2수용부(21,22) 각각에 뜨거운 물을 넣은 다음에, 조리가 끝난 후에 필요 없는 물을 쏟아 버릴 경우(짜장면, 짜파게티의 경우 물을 따라 버려야 하므로), 한쪽으로 용기 몸체(10)를 기울여서 물을 쏟아 버리더라도 다른 쪽 수용부의 물은 흘러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물 주입관(41,42)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물 주입관(41)을 대표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물 주입관(41)은 바람직하게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상하로 압축 및 팽창시켜 길이 조정 가능하도록 주름진 구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포장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21) 쪽으로 압축되어 밀려 들어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을 뜯고 제1수용부(21) 내부로 물을 넣기 위해서는 제1물 주입관(41)의 상단의 손잡이(41a)를 잡고 위로 잡아당기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물 주입관(41)이 펼쳐지면서 길이가 늘어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4의 절취선(L) 부분을 손으로 잡고 절취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물 주입관(41)의 상단이 개방됨으로써, 제1수용부(21)는 제1물 주입관(41)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개방된 제1물 주입관(41)을 통해 뜨거운 물을 제1수용부(21)로 쏟아 넣을 수 있다.
그리고 물을 다 넣은 다음에는, 제1물 주입관(41)을 비틀어서 눌러주게 되면, 그 제1물 주입관(41)이 폐쇄되어 제1수용부(2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고 조리가 빨리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물 주입관(41,42)을 설치하여 물을 넣게 되면, 물을 넣은 다음에 물 주입관(41,42)을 비틀어서 견고하게 폐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을 넣은 용기 몸체(20)를 들고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으며, 옮기는 과정에서 물을 흘리지 않게 되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조리용 용기 200..용기 몸체
21,22..제1, 제2수용부 23,51..부피 조절부
25,26..확인창 30..뚜껑
40..물 주입관 41.42..제1, 제2물 주입관
50..격벽
21,22..제1, 제2수용부 23,51..부피 조절부
25,26..확인창 30..뚜껑
40..물 주입관 41.42..제1, 제2물 주입관
50..격벽
Claims (5)
-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조리할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용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뚜껑에 연결되며, 끝단은 폐쇄된 물 주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물 주입관을 절단하여 개방시킨 뒤, 상기 물 주입관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로 물을 넣을 수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서로 다른 조리 재료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수용부로 구분되도록 격리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주입관은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물 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물 주입관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비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어느 한쪽 수용부의 물을 물 주입관을 통해 외부로 빼낼 때 다른 쪽 수용부의 물이 물 주입관을 통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와 상기 격벽 각각은 그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부피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물 주입관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주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3336U KR200462983Y1 (ko) | 2010-03-31 | 2010-03-31 | 조리용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3336U KR200462983Y1 (ko) | 2010-03-31 | 2010-03-31 | 조리용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9504U KR20110009504U (ko) | 2011-10-06 |
KR200462983Y1 true KR200462983Y1 (ko) | 2012-10-11 |
Family
ID=4559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3336U KR200462983Y1 (ko) | 2010-03-31 | 2010-03-31 | 조리용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2983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8598B1 (ko) * | 1997-01-16 | 1999-10-01 | 차민호 | 일회용 라면용기 |
-
2010
- 2010-03-31 KR KR2020100003336U patent/KR20046298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8598B1 (ko) * | 1997-01-16 | 1999-10-01 | 차민호 | 일회용 라면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9504U (ko) | 2011-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165020A1 (en) | Container intended for vacuum-storage of foods, cover, assembly comprising the container and the cover and system for vacuum-packing foods | |
JP5279179B2 (ja) | 即席麺包装体 | |
JP3202469U (ja) |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 |
JP2018150054A (ja) | 容器入り食材、スタック及び包装スタック | |
JP5618658B2 (ja) | 食材用容器 | |
WO2016032061A1 (ko) |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 |
JP2011046450A (ja) | 即席食品容器 | |
KR200462983Y1 (ko) | 조리용 용기 | |
KR200445541Y1 (ko) | 체적가변 용기 | |
JP3133066U (ja) | 食品容器 | |
KR200485349Y1 (ko) | 음식물 포장 용기 | |
KR101971896B1 (ko) |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 |
KR101008885B1 (ko) | 라면 용기 | |
KR200333039Y1 (ko) | 고형 내용물 인출수단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 | |
CN110436011A (zh) | 包装 | |
KR200487369Y1 (ko) | 다중 간편식 포장체 | |
CN211076843U (zh) | 一种可盛装多种口味方便面的包装盒 | |
KR101267511B1 (ko) | 적층식 음식포장용기 | |
CN209455258U (zh) | 一种可替代一次性餐盒的外卖运输装置 | |
JP2014105013A (ja) | 食品用複合容器及び食品用複合容器の使用方法 | |
JP4736168B2 (ja) |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 |
JP3172557U (ja) | 包み蒸し用の袋 | |
KR200398299Y1 (ko) | 햄버거 포장용 박스 | |
KR200487454Y1 (ko) | 즉석 식품 포장 세트 | |
RU2318714C1 (ru) | Упаковка с веществами для разовой заварк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