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8598B1 - 일회용 라면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라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598B1
KR100218598B1 KR1019970001178A KR19970001178A KR100218598B1 KR 100218598 B1 KR100218598 B1 KR 100218598B1 KR 1019970001178 A KR1019970001178 A KR 1019970001178A KR 19970001178 A KR19970001178 A KR 19970001178A KR 100218598 B1 KR100218598 B1 KR 100218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container
main body
disposabl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943A (ko
Inventor
차민호
Original Assignee
차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민호 filed Critical 차민호
Priority to KR101997000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59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라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합성수지제로 제작되는 용기내에 건조상태의 라면 및 그에 따른 스프등을 함께 포장한 상태로 유통되고 용기내에 온수를 보충하여 시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라면용기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어느 일측에 개방부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의 본체(10)와,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라면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하도록 신축부(12)를 형성하여, 유통시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단위공간에 더욱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휴대를 간편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포장용 비닐의 량을 감소시켜 폐비닐로 인한 쓰레기공해등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라면용기
본 발명은 일회용 라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합성수지제로 제작되는 용기내에 건조상태의 라면 및 그에 따른 스프등을 함께 포장한 상태로 유통되고 용기내에 온수를 보충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라면용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회용 라면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광 하협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본체(1)가 구비된다. 본체의 상단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를 덮는 뚜껑(2)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1)내에는 건조에 의해 축소된 부피를 갖는 건조라면(3)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본체(1)는 건조라면이 온수에 의해 수분을 함유하여 불어나는 것과, 소정량의 국물을 담을 수 있기 위해서는 건조라면(3)에 비해 충분히 큰 내용적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내에 수용되는 라면은 사용시에는 뚜껑을 개방하고, 본체내에 소정량의 온수를 보충하여 건조상태의 라면이 온수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수분을 흡수하여 부풀어 올라 먹을 수 있는 상태로 조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라면용기는 부피가 크므로 보관성 및 유통시 물량에 제한이 뒤따르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본체내에는 건조상태의 라면이 제공되므로 이를 먹을 수 있는 상태를 조리하게 위해서는 충분한 량의 온수를 보충하여야 하므로 본체는 건조상태의 라면에 비해 충분히 큰 내용적을 보유하여야 하므로 본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동일물량에 대해 더욱 넓은 보관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은 물론 유통시에도 적재물량 작아지게 되므로 유통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라면은 온수의 보충에 의해 의해 손쉽게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일반인들이 손쉽게 구입하여 각종 등산 또는 낚시등 각종 레저활동시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그 부피가 크게 되므로 배낭등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등 휴대가 번거로워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나아가서, 상기와 같은 라면용기는 포장시 본체(1)와 뚜껑(2)을 결합한 상태에서 그 주연전체를 주로 비닐등으로 포장하게 된다. 따라서 비닐의 사용량이 많아 지게되므로 폐비닐의 발생량이 많아지게 되는 것은 물론 그로인해 쓰레기공해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및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폐비닐등의 발생을 줄일수 있는 일회용 라면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라면용기의 구성을 보인 뚜껑분리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회용 라면용기의 구성을 보인 뚜껑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라면용기의 구성을 보인 뚜껑분리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라면용기의 구성을 보인 뚜껑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라면용기의 사용상태의 구성을 보인 뚜껑분리상태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라면용기의 사용상태의 구성을 보인 뚜껑결함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지지용 지지대의 구성을 보이는 도 5의 A - 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신축부
14 : 상부지지홈 16 : 하부지지홈
20 : 뚜껑 30 : 지지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어느 일측에 개방부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의 본체와,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라면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하도록 신축부를 형성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축부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별도의 지지대를 추가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라면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략 상광 하협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본체(1)가 구비된다. 본체의 상단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개방부를 덮는 뚜껑(2)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1)내에는 건조에 의해 축소된 부피를 갖는 건조라면(3)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주로 신축시 가공경화에 의한 파손이 없도록 유연성이 양호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칠렌(PE)이나 고밀도 스치로폴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따르면 신축부(12)는 본체의 상항ㅇ으로 상단 및 하단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최초성형시에는 축소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신축부(12)가 축소상태를 유지할 때 본체(10)의 내용적은 건조상태의 라면(3)을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내용적을 갖으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상부지지홈(14) 및 하부지지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지지홈(14) 및 하부지지홈(16)은 주연상에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주를 90°각도로 등분하는 4개소에 형성함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단이 상기 상부지지홈(14) 및 하부지지홈(16)에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대(30)를 포함한다. 이 지지대(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12)가 최대 길이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부지지홈(14) 및 하부지지홈(16)에 삽입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신축부(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신장된 길이가 줄어들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30)들은 건조라면과 함께 본체내에 제공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뚜껑의 내면에 부착하여 제공됨이 좋다.
한편, 상기 지지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구성하여 길이방향의 충분한 강성을 유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라면용기는 최초상태에서 본체가 건조라면과 대응하는 내용적을 갖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라면을 먹고자 할 때에는 외부 포장비닐을 제거한 상태에서 뚜껑(20)을 열고 본체(10)를 상하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신축부(12)가 늘어나게 된다. 이때 함께 제공되는 지지대(30)를 상부지지홈(14) 및 하부지지홈(16)사이에 끼우게 되면 신축부(12)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본체는 내용적이 확장되어 온수의 보충에 의한 라면의 체적팽창 및 국물등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내용적을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라면용기는 본체에 신축부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내용적을 확장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유통시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단위공간에 더욱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휴대를 간편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포장용 비닐의 량을 감소시켜 폐비닐로 인한 쓰레기공해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에 내용물이 출입가능한 개방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가능한 신축부(12)가 형성된 원통형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20)으로 구성된 일회용 라면용기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12)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상부지지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12) 하부에는 상기 각각의 상부지지홈(14)에 대향하는 복수개의 하부 지지홈(16)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본체(10)를 팽창된 상태로 유지 시키기위해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홈(14)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지지홈(16)에 삽입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대(30)가 탈거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라면용기.
KR1019970001178A 1997-01-16 1997-01-16 일회용 라면용기 KR100218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178A KR100218598B1 (ko) 1997-01-16 1997-01-16 일회용 라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178A KR100218598B1 (ko) 1997-01-16 1997-01-16 일회용 라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943A KR19980065943A (ko) 1998-10-15
KR100218598B1 true KR100218598B1 (ko) 1999-10-01

Family

ID=1949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178A KR100218598B1 (ko) 1997-01-16 1997-01-16 일회용 라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85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983Y1 (ko) * 2010-03-31 2012-10-11 곽병규 조리용 용기
KR101901834B1 (ko) * 2016-05-31 2018-09-27 (주) 신산이 용적 조절이 가능한 발열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983Y1 (ko) * 2010-03-31 2012-10-11 곽병규 조리용 용기
KR101901834B1 (ko) * 2016-05-31 2018-09-27 (주) 신산이 용적 조절이 가능한 발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943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0988A (en) Expandable shock protected carrying case
ES2297329T3 (es) Recipiente plegable.
US5065879A (en) Collapsible multi-layer insulator for a beverage container
US5190152A (en) Portable file box
US20050279124A1 (en) Collapsible folding cooler
RU99107978A (ru) Упаковка для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KR100218598B1 (ko) 일회용 라면용기
GB2561346A (en) A reconfigurable container
US5632405A (en) Container for lobsters and the like
JP4806506B2 (ja) ゴルフバッグ
US11910905B2 (en) Container for cosmetic sponge applicator
KR200331054Y1 (ko) 낚시가방의 보강 구조
US5706844A (en) Pocketable folding umbrella
SE8404849L (sv) Dryckesbehallare
KR200296742Y1 (ko) 손잡이가 부착된 도시락 용기
KR930002909Y1 (ko) 자바라식 휴대용 컵
KR970004026Y1 (ko) 낚시세트 보관통
GB2223941A (en) Inflatable quilts
DE29701969U1 (de) Lagerkasten mit unterer Schwenkachse der Entnahmeklappe
KR200331055Y1 (ko) 낚시가방의 보강 구조
KR200285719Y1 (ko) 낚싯대 보관집
KR200207734Y1 (ko) 절첩식 물고기 보관함
US20020174835A1 (en) Portable pet food or water bowl
KR200260711Y1 (ko) 우산주머니 수납실을 갖는 우산
KR200152324Y1 (ko) 신선도가 유지되는 김치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