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778B1 - 접이식 컵라면 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컵라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778B1
KR101227778B1 KR1020110081414A KR20110081414A KR101227778B1 KR 101227778 B1 KR101227778 B1 KR 101227778B1 KR 1020110081414 A KR1020110081414 A KR 1020110081414A KR 20110081414 A KR20110081414 A KR 20110081414A KR 101227778 B1 KR101227778 B1 KR 101227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m
cup
bonding surfac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599A (ko
Inventor
변동환
Original Assignee
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동환 filed Critical 변동환
Publication of KR2012001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면을 담고 있는 컵라면 용기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옆지와 밑지로 구성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에 있어서, 옆지를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로 분리하는 용기 절단부(3)를 갖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와 상기 옆지(1, 2)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1 접합면(9a)과 제2 접합면(9b)을 겹쳐서 컵으로 성형하였을 때에 상기 절단부(3)을 컵 내부에서 감싸고, 아래 용기(1)가 윗 용기(2)에 들어갈 수 있게 윗 용기부(2)의 상부와 아래 용기부(1)에 융착되는 필름(4')으로 성형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컵라면 용기{COLLAPSIBLE CONTAINER FOR INSTANT NOODLE(RAMEN)}
본 발명은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즉석 라면을 담고 있는 컵라면 용기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다양한 재질로 다양한 모양을 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밑면이 좁은 원뿔 형태의 종이컵 또는 스티로폼 용기 등이며, 내부에 건조라면과 스프를 내장하고 상부에 뚜껑을 덮어 밀봉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내부 내용물에 비해 용기의 부피가 커서 포장, 보관, 운송에 드는 물류 비용이 많이 들고,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수량도 제한적이다.
상기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컵라면 용기의 부피를 줄여 물류비용을 줄이고, 개인이 휴대하기에 용이할 뿐만이 아니라 용기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에서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옆지와 밑지로 구성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를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로 분리하는 용기 절단부(3)를 갖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와 상기 옆지(1, 2)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1 접합면(9a)과 제2 접합면(9b)을 겹쳐서 컵으로 성형하였을 때에 상기 절단부(3)을 컵 내부에서 감싸고, 아래 용기(1)가 윗 용기(2)에 들어갈 수 있게 윗 용기부(2)의 상부와 아래 용기부(1)에 융착되는 필름(4')으로 접착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의 중간부분은 컵라면 내용물이 담기는데 지장이 없으면서 컵라면 용기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위치로서 용기의 높이방향으로 1/3 ~ 2/3 부분이 적당하다. 제 2 용기를 제 1 용기 쪽으로 내려 제 1 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포장하면 본 발명의 컵라면 용기의 높이는 일체형 컵라면 용기의 높이에 비하여 1/3 ~ 1/2 정도가 된다. 이때 컵라면 용기의 직경은 변함이 없으므로 컵라면의 부피가 1/3 ~ 1/2로 줄어든다. 이 방법은 시판되고 있는 모든 컵라면의 일체형 용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용기의 재질도 기존에 사용하는 것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상기 필름(4')과 옆지(1, 2)는 제 1 접합면(9a)을 제외하고 2개의 원호(5, 6)를 그리며 접합하여 제2 접합면(9b)까지 접합하되 상기 2개의 원호 사이에 용기와 필름이 접합하지 않는 면(4)은 옆지(1, 2)와 접합하지 않고, 상기 필름(4')은 제2 접합면(9b)을 지나 돌출하는 필름 접합면(4b)을 갖고, 상기 필름(4')의 용기와 접합하지 않는 면(4)과 옆지(1, 2)가 접합 되지 않게 상기 옆지의 접합면(9a, 9b)과 상기 필름의 접합면(4a, 4b)이 각각 접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상기의 필름 접합면(4b)은 접합면(4a)의 아래 용기와 접합하는 면(5)과 윗 용기와 접합하는 면(6)과 원주방향으로 접합하고(5a, 6a), 아래 용기와 접합하는 면(5)에서부터 윗 용기와 접합하는 면(6)까지 높이 방향으로 접합하는(4c)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는, 옆지를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로 분리하면서, 상기 두 용기부가 같이 이송될 수 있게 연결하고 쉽게 끊어질 수 있게 재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8)가 형성된 용기 절단부(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는, 상기 옆지(1, 2)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1 접합면(9a)과 제2 접합면(9b)을 겹쳐서 컵으로 성형하였을 때에 상기 절단부(3)을 컵 내부에서 감싸고, 아래 용기(1)가 윗 용기(2)에 들어갈 수 있게 윗 용기부(2)의 상부와 아래 용기부(1)에 필름(4')을 접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는, 상기 필름(4')과 옆지(1, 2)는 제 1 접합면(9a)을 제외하고 2개의 원호(5, 6)를 그리며 접합하여 제2 접합면(9b)까지 접합하되 상기 2개의 원호 사이에 용기와 필름이 접합하지 않는 면(4)은 옆지(1, 2)와 접합하지 않고, 상기 필름(4')은 제2 접합면(9b)을 지나 돌출하는 필름 접합면(4b)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는, 상기 절단부(3)와 측면 절단부(3a)가 성형되고, 상기 절단부(3)를 감싸고 필름이 접착되는 연속지(100)로부터 생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는, 상기 옆지를 성형하는 원지는 라미네이팅이 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는, 상기 절단부(3)에서부터 높이 방향으로 자른 수직 절단홈(7)을 윗 용기부(2)나 아래 용기부(1)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하나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은, 낱장의 옆지를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로 절단하되 두 부분이 일부 연결되어 같이 이송될 수 있게 연결부(8)를 갖게 재단하는 단계,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를 연결하는 필름(4')을 옆지에 융착하는 단계, 옆지를 말아 융착하여 컵을 성형하는 단계, 용기가 누수 되지 않고 접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필름과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성형된 컵의 윗 용기와 아래 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절단하는 단계, 아래 용기를 윗 용기에 밀어 넣는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은, 연속지(100)를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로 절단하되 두 부분이 일부 연결되어 같이 이송될 수 있게 연결부(8)를 갖는 절단부(3)와 필름 접합면을 위한 측면 절단부(3a)를 재단하는 단계,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를 연결하는 필름(4')을 옆지에 융착하는 단계, 옆지를 말아 융착하여 컵을 성형하는 단계, 용기가 누수 되지 않고 접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필름과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성형된 컵의 윗 용기와 아래 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절단하는 단계, 아래 용기를 윗 용기에 밀어 넣는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필름(4')은 제2 접합면(9b)을 지나 돌출하는 필름 접합면(4b)을 갖고, 필름(4')을 옆지(1, 2)에 융착하는 단계에서 옆지의 제 1 접합면(9a)을 제외하고 2개의 원호(5, 6)를 그리며 접합하여 제2 접합면(9b)까지 접합하되 상기 2개의 원호 사이에 용기와 필름이 접합하지 않는 면(4)은 옆지(1, 2)는 접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은, 옆지를 말아 융착하여 컵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한쪽 회동 플레이트로 제1 접합면을 먼저 말아 배치하고, 다른 쪽 회동 플레이트로 제1 접합면 위에 제2 접합면을 말아 배치하고, 옆지 접합면을 접합하되 필름이 옆지에 접합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은, 필름이 옆지와 융착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은 성형틀 내부에서 필름을 냉각하여 융착열이 필름을 녹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은, 필름이 옆지와 융착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은 필름접합면(4b)를 성형틀 내부로 빨아들여 옆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옆지 접합면을 접합하고, 옆지 접합이 완료된 후에 필름 접합면을 필름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은, 필름이 컵지와 융착도록 하는 수단은 초음파 또는 고주파 접착기 또는 히터 블럭, 열풍 가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은, 용기가 누수 되지 않게 하기 위해 필름과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에서, 필름의 한쪽 끝부분(4b)을 융착하지 않고 남겨 놓은 필름 접합면(4b)을 옆지(1, 2)와 이미 접합해 있는 필름 접합면(4a)에 융착하여 옆지에 중첩(5a, 6a) 고정하고, 중첩된 필름(4a, 4b)을 옆지(1, 2)와 융착되지 않게 하면서 높이 방향으로 융착하는(4c) 단계를 가져 컵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내용에 의해 새로운 형태로서 고려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컵라면 용기의 부피를 작게 하여 유통단계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고, 개인이 휴대하기에도 용이하며, 사용 시에 종래의 컵라면 용기와 같이 견고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컵라면 용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그 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기존의 제조 공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조하는데 들어가는 추가 비용이 저렴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와 필름을 융착한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필름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실시예인 필름 접합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를 연속지에서 연속으로 제조하는 실시예
도 6은 도 1의 실시예를 접어 옆지를 접착하여 컵을 성형한 실시예로 필름의 접합면은 접착하지 않은 상태로 있다.
도 7은 도 6의 다음 단계로 필름의 양쪽을 겹쳐 높이 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 융착한 실시예
도 8은 도 7의 다음 단계로 컵지와 필름이 접착되지 않은 부분을 원주방향으로 융착한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옆지와 밑지를 결합한 접이식 종이컵로써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를 성형하는 옆지성형 유니트의 간략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옆지와 밑지를 결합한 접이식 종이컵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접이식 종이컵을 펼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종이컵의 제조 공정은 부채꼴 모양의 옆지를 둥굴게 말고 둥근 밑지를 접합시켜 만들게 된다. 옆지는 상단부에 외향의 컬부(2a)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내향의 컬부(1a)가 형성되어 밑지(10)와 함께 용기를 형성한다. 또한 용기는 상단이 개구되는 역 원추형의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을 성형하기 위하여 부채꼴의 옆지를 말아 용기의 측벽을 형성한다.
따라서 부피가 가변되는 종이컵이 되기 위해서는 옆지의 가변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도 2와 같이 옆지를 윗 용기가 될 부분과 아래 용기가 될 부분으로 절단한다. 이때 절단부는 옆지의 일부분을 자르므로 옆지의 윗 용기와 아래 용기가 될 부분은 옆지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옆지는 종이가 수분과 접촉해 팽창되고 변형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종이에 적어도 한쪽 면이 얇은 필름으로 라미네이팅 되어 있다.
윗 용기와 아래 용기를 나누는 절단부는 단면이 서로 같고 필름이 두 단면을 일치하도록 잡아주므로 서로 단단히 지지한다. 따라서 펼쳐진 용기는 충분한 강도로 윅 용기를 지지하여 무너지지 않는다.
절단홈은 용기 상부의 하단 또는 용기 하부의 상단에 다수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절단홈은 절단부의 반경을 변화할 수 있게 해서 윗 용기가 아래 용기를 감싸고 이동하는 것이 쉽도록 해준다.
또한 용기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절단부를 보완할 필름을 옆지에 부착한다. 필름은 상하가 좁은 부채꼴 모양을 하고 있는 가변성이 있으며 재질은 각종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롤(PS), 폴리아미드(PA),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친환경 수지 등을 두께 수 μm에서 수 mm로 압출하여 형성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얇은 막이다.
필름은 옆지의 한쪽 접착면을 피하여 윗 용기의 컬부 아래와 아래 용기의 절단부 아래에 접착되고, 필름 접착면이 옆지 다른 쪽 접착면을 지나 돌출해 있다. 필름과 옆지가 접착하는 좁은 원호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고 기밀을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연속지에서 옆지를 생산하는 공정은 연속된 옆지에 용기 절단부와 측면 절단부를 성형하고, 준비된 필름을 접착한다. 필름은 절단부의 한쪽 끝을 벗어나 다른쪽으로 치우치고, 필름 접착면이 측변 절단부를 벗어나게 접합한다. 이 상태에서 옆지를 펀칭하면 측면 절단부에 의해 옆지 일부가 떨어져 나가 도 1과 같은 옆지가 얻어진다.
옆지 성형 유니트는 옆지를 둥글게 말기 위해 사용한다. 성형 유니트는 성형 몰드와 회동 플레이트, 융착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회동 플레이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한다.
필름이 접착된 옆지가 성형 유니트에 들어오면 한쪽 회동 플레이트는 필름 접합면이 있는 한쪽 옆지를 성형 몰드에 압착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회동 플레이트가 다른 쪽 옆지를 성형 몰드에 압착한다. 이것에 의해 옆지 접합면과 필름 접합면은 각각 서로 겹치게 된다. 옆지 접합면은 외부에서 초음파 융착기로 가열 접합하고, 필름 접합면은 성형 몰드에서 필름을 가열 접합한다.
접합면이 누수 되지 않게 위해서는 도 7과 같이 필름 접합면이 아래 용기와 윗 용기의 필름 접합면과 결합하고, 두 접합면을 수직으로 이어 접합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아래 용기부 1a : 내향 접기부
2 : 윗 용기부 2a : 외향 컬부 2b : 외향 컬부가 말려 접힌 상태
3 : 용기 절단부 3a : 옆지 측면 절단부
4' : 필름 4a, 4b : 필름접합면
4 : 용기와 필름이 접합하지 않는 면
4c : 4a, 4b 필름 접합면이 높이방향으로 접합 된 부분
5 : 아래 용기와 필름이 접합하는 면
5a : 4b 필름 접합면이 아래 용기의 필름 접합면과 결합한 부분
6 : 윗 용기와 필름이 접합하는 면
6a : 4b 필름 접합면이 윗 용기의 필름 접합면과 결합한 부분
7 : 수직 절단홈 8 : 성형지 연결부
9a : 옆지 제1 접합면 9b : 옆지 제2 접합면
10 : 밑지 12 : 관통 구멍
11 : 옆지 펀칭 후 남은 공백
20 : 옆지 성형 유니트 21 : 융착 블럭
22 : 성형몰드 23, 24 : 회동플레이트
100 : 연속지

Claims (17)

  1. 옆지와 밑지로 구성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옆지를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로 분리하는 용기 절단부(3)를 갖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와 상기 옆지(1, 2)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1 접합면(9a)과 제2 접합면(9b)을 겹쳐서 컵으로 성형하였을 때에 상기 절단부(3)을 컵 내부에서 감싸고, 아래 용기(1)가 윗 용기(2)에 들어갈 수 있게 윗 용기부(2)의 상부와 아래 용기부(1)에 융착되는 필름(4')으로 성형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4')과 옆지(1, 2)는 제 1 접합면(9a)을 제외하고 2개의 원호(5, 6)를 그리며 접합하여 제2 접합면(9b)까지 접합하되 상기 2개의 원호 사이에 용기와 필름이 접합하지 않는 면(4)은 옆지(1, 2)와 접합하지 않고, 상기 필름(4')은 제2 접합면(9b)을 지나 돌출하는 필름 접합면(4b)을 갖고, 상기 필름(4')의 용기와 접합하지 않는 면(4)과 옆지(1, 2)가 접합 되지 않게 상기 옆지의 접합면(9a, 9b)과 상기 필름의 접합면(4a, 4b)이 각각 접합 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의 필름 접합면(4b)은 접합면(4a)의 아래 용기와 접합하는 면(5)과 윗 용기와 접합하는 면(6)과 원주방향으로 접합하고(5a, 6a), 아래 용기와 접합하는 면(5)에서부터 윗 용기와 접합하는 면(6)까지 높이 방향으로 접합하는(4c) 접이식 컵라면 용기
  4. 옆지와 밑지로 구성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에 있어서, 옆지를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로 분리하면서, 상기 두 용기부가 같이 이송될 수 있게 연결하고 쉽게 끊어질 수 있게 재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8)가 형성된 용기 절단부(3)를 갖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1, 2)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1 접합면(9a)과 제2 접합면(9b)을 겹쳐서 컵으로 성형하였을 때에 상기 절단부(3)을 컵 내부에서 감싸고, 아래 용기(1)가 윗 용기(2)에 들어갈 수 있게 윗 용기부(2)의 상부와 아래 용기부(1)에 필름(4')을 접합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4')과 옆지(1, 2)는 제 1 접합면(9a)을 제외하고 2개의 원호(5, 6)를 그리며 접합하여 제2 접합면(9b)까지 접합하되 상기 2개의 원호 사이에 용기와 필름이 접합하지 않는 면(4)은 옆지(1, 2)와 접합하지 않고, 상기 필름(4')은 제2 접합면(9b)을 지나 돌출하는 필름 접합면(4b)을 갖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와 측면 절단부(3a)가 성형되고, 상기 절단부(3)를 감싸고 필름이 접착되는 연속지(100)로부터 생산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
  8. 제 4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를 성형하는 원지는 라미네이팅이 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인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에서부터 높이 방향으로 자른 수직 절단홈(7)을 윗 용기부(2)나 아래 용기부(1)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하나 이상 갖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옆지
  10. 낱장의 옆지를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로 절단하되 두 부분이 일부 연결되어 같이 이송될 수 있게 연결부(8)를 갖게 재단하는 단계,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를 연결하는 필름(4')을 옆지에 융착하는 단계, 옆지(1, 2)를 말아 융착하여 컵을 성형하는 단계, 용기가 누수 되지 않고 접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필름(4a)과 필름(4b)을 접착하는 단계, 성형된 컵의 윗 용기(2)와 아래 용기(1)를 연결하는 연결부(8)를 절단하는 단계, 아래 용기(1)를 윗 용기(2)에 밀어 넣는 단계;를 갖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
  11. 연속지(100)를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로 절단하되 두 부분이 일부 연결되어 같이 이송될 수 있게 연결부(8)를 갖는 절단부(3)와 필름 접합면을 위한 측면 절단부(3a)를 재단하는 단계, 윗 용기부(2)와 아래 용기부(1)를 연결하는 필름(4')을 옆지에 융착하는 단계, 옆지(1, 2)를 말아 융착하여 컵을 성형하는 단계, 용기가 누수 되지 않고 접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필름(4a)과 필름(4b)을 접착하는 단계, 성형된 컵의 윗 용기(2)와 아래 용기(1)를 연결하는 연결부(8)를 절단하는 단계, 아래 용기(1)를 윗 용기(2)에 밀어 넣는 단계;를 갖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4')은 제2 접합면(9b)을 지나 돌출하는 필름 접합면(4b)을 갖고, 필름(4')을 옆지(1, 2)에 융착하는 단계에서 옆지의 제 1 접합면(9a)을 제외하고 2개의 원호(5, 6)를 그리며 접합하여 제2 접합면(9b)까지 접합하되 상기 2개의 원호 사이에 용기와 필름이 접합하지 않는 면(4)은 옆지(1, 2)는 접합하지 않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옆지(4')를 말아 융착하여 컵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한쪽 회동 플레이트(23, 24)로 제2 접합면(9b)을 먼저 말아 배치하고, 다른 쪽 회동 플레이트(23, 24)로 제2 접합면(9b) 위에 제1 접합면(9a)을 말아 배치하고, 옆지 접합면(9a, 9b)을 접합하되 필름(4')이 옆지에 접합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갖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필름(4')이 옆지(1, 2)와 융착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은 성형틀(22) 내부에서 필름(4')을 냉각하여 옆지 접합면(9a, 9b)을 접착하는 융착열이 필름을 녹이지 않도록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필름(4')이 옆지(1, 2)와 융착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은 필름접합면(4b)를 성형틀(22) 내부로 빨아들여 옆지(1, 2)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옆지 접합면(9a, 9b)을 접합하고, 옆지 접합이 완료된 후에 필름 접합면(4b)을 필름과 접합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필름(4')이 옆지(1, 2)와 융착도록 하는 수단은 초음파 접착기 또는 고주파 접착기 또는 히터 블럭, 열풍 가열기인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
  17.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용기가 누수 되지 않게 하기 위해 필름(4')과 필름(4')을 접착하는 단계에서, 필름의 한쪽 끝부분(4b)을 융착하지 않고 남겨 놓은 필름 접합면(4b)을 옆지(1, 2)와 이미 접합해 있는 필름 접합면(4a)에 융착하여 옆지에 중첩(5a, 6a) 고정하고, 중첩된 필름(4a, 4b)을 옆지(1, 2)와 융착되지 않게 하면서 높이 방향으로 융착하는(4c) 단계를 가져 컵을 성형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10081414A 2010-08-16 2011-08-16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101227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029 2010-08-16
KR1020100079029 2010-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599A KR20120016599A (ko) 2012-02-24
KR101227778B1 true KR101227778B1 (ko) 2013-01-29

Family

ID=4583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414A KR101227778B1 (ko) 2010-08-16 2011-08-16 접이식 컵라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05A1 (ko) * 2012-08-14 2014-02-20 Byun Donghwan 접이식 컵라면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2428U (ko) 1977-12-27 1979-07-19
JPH0354459U (ko) * 1989-09-27 1991-05-27
KR100533774B1 (ko) 2003-12-16 2005-12-07 황갑순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KR20100070562A (ko) * 2008-12-18 2010-06-28 황갑순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2428U (ko) 1977-12-27 1979-07-19
JPH0354459U (ko) * 1989-09-27 1991-05-27
KR100533774B1 (ko) 2003-12-16 2005-12-07 황갑순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KR20100070562A (ko) * 2008-12-18 2010-06-28 황갑순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599A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9609A1 (en) Polymeric container
EP1178930B1 (en) Insulated cup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398242B2 (en) Overwrap container,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JP2019510697A (ja) 包装スリーブ、包装体、および包装体の製作方法
JP2008501588A (ja) ラミネート材料から作られる容器、ブランク及び方法
JPH06293334A (ja) 包装容器及びそのブランク
WO2010006272A1 (en) Thermally insulated sidewall, a container made therewith and a method of making the container
US2021001528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overwrap container using clamping and reforming
JP2014037265A (ja) カップ型紙容器
MX2014009167A (es) Componente de embudo y metodo de fabricacion para la fabricacion de un recipiente de empaque que utiliza el componente de embudo.
JP2013542138A (ja) 折畳み式紙カップの側紙成型方法及び折畳み式紙カップ
US9550599B2 (en)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ainer
KR101367018B1 (ko) 접이식 종이컵의 옆지 성형 방법과 접이식 종이컵
KR101227778B1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EP1637459B1 (en) Folded container and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20281632A1 (en) A container for foodstuff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container
JP5551204B2 (ja) 自立袋
JP2001002056A (ja) 紙製容器
WO2014027705A1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JP4517446B2 (ja) カップ状容器
CN215285638U (zh) 一种多边形纸餐盒
KR20120014625A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JP7472740B2 (ja) トレー容器
JP2003146348A (ja) 角形蓋材の製造法
JP2004051160A (ja) 紙カ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