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774B1 -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774B1
KR100533774B1 KR10-2003-0092212A KR20030092212A KR100533774B1 KR 100533774 B1 KR100533774 B1 KR 100533774B1 KR 20030092212 A KR20030092212 A KR 20030092212A KR 100533774 B1 KR100533774 B1 KR 10053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cup
support ring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572A (ko
Inventor
황갑순
Original Assignee
황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갑순 filed Critical 황갑순
Priority to KR10-2003-009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7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라면과 그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컵라면 용기의 부피를 축소시켜 휴대하기 용이하게 하고, 사용 시에는 용기를 펼쳐서 일반적인 컵라면 용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종이컵의 옆면을 제1부(1), 제2부(2), 제3부(3)로 나누어 제2부(2)가 하향이 되게 접어서 용기의 부피를 축소시키고, 제2부(2)에 용기를 펼치기 용이하도록 가로로 다수의 요철을 넣어 두며, 제3부(3)에 제2부지지링(21)을 삽입하여 둔다. 그 결과 유통과정에서 운송비를 절감하고 개인이 휴대하기에 용이하며 사용 시에 일반적인 컵라면 용기와 다름이 없는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THE METHOD OF FABRICATION OF THE FOLDED BOWL FOR INSTANT NOODLE}
본 발명은 컵라면과 그 라면을 담고 있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면을 담고 있는 용기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컵라면의 용기는 사발 모양, 컵 모양 등이 있고, 그 재질 또한 종이, 스틸렌수지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여기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10)가 하부(20)보다 넓고 원뿔대형태의 컵 모양을 하고 있으며, 재질이 종이로 되어 있는 종래의 컵라면 용기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내부에 들어 있는 내용물, 즉 건조라면(8)에 비하여 그 부피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크다.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용기의 부피는, 내용물 즉, 건조라면(8)의 부피의 약 300%∼400%정도이다. 내용물에 비하여 포장된 부피가 지나치게 큰 것이다. 물론 포장재 자체가 컵, 즉, 용기의 역할을 겸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컵라면은 용기가 개인이 휴대하기에는 불편할 정도로 부피가 크며, 특히 다수 개를 휴대하기에는 더욱 그러하다. 또한 이러한 사항은 유통과정에서 물류비용 증가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본 발명에서는 컵라면 용기의 부피를 내용물을 포장하는 정도로 축소시켜서 개인이 휴대하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통과정에서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사용 시에는 축소된 용기를 펼침으로써 컵라면 용기로서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종래의 컵라면 용기의 부피를, 휴대하거나 운반하기에 용이하도록 옆면(30)을 접어서 축소시키고, 사용 시에는 축소된 컵라면 용기를, 제2부(2)의 가로요철을 이용하여 펼치고, 제2부지지링(21)을 이용하여 컵라면 용기를 견고하게 하여 용기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50)이 있으며 상부(10)가 하부(20)보다 넓고 상부(10)와 하부(20) 사이에 옆면(30)(이하 내벽(30)이라 함)이 있는 원뿔대 형태의 종이컵이며, 내벽(30) 둘레에 또 다른 옆면(40)(이하 외벽(40)이라 함)을 부착하여 용기의 옆면이 이중으로 되어 있고, 내벽(30)과 외벽(4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온수를 부었을 때 단열 및 보온의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내부에 건조라면과 스프를 내장하고 상부를 밀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도 2의 종이컵의 옆면(30)을 상부(10)로부터 하부(20)로 제1부(1), 제2부(2), 제3부(3)로 구분하여, 제2부(2)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되며, 상기 제1부(1) 및 제3부(3)에는 제1부외벽(11)과 제3부외벽(31)이 각각 부착되어 있고, 제2부는 가로로 다수의 요철이 있으며, 제3부외벽(31) 둘레에 제2부지지링(21)이 삽입되어 있고, 제2부지지링(21)에는 세로로 다수의 요철이 있으며, 내부에 내용물이 내장되어, 상부가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는,
제1부외벽(11) 및 제3부외벽(31)을 각각 제작하는 단계,
제2부지지링(21)을 제작하는 단계,
도 2의 종이컵의 옆면(30)을, 제1부(1), 제2부(2), 제3부(3)로 구분하여 제2부(2)가 하향이 되도록 접는 단계,
제1부외벽(11) 및 제3부외벽(31)을 제1부(1) 및 제3부(3)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제2부(2)에 가로로 다수의 요철을 넣는 단계,
제2부지지링(21)을 제3부외벽(31) 둘레에 삽입하고,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며 상부(10)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부외벽(11) 및 제3부외벽(31)을 각각 제작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즉, 제1부외벽(11)은 도 4a에 도시한 전개도에서 상부는 점선을 따라 위의 부분을 제1부(1)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면(16)으로 그대로 이용하고, 하부는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제1부(1)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면(15)으로 이용하며, 세로접착면(17)(17')을 서로 접착하면 도4b와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1부(1)에 부착할 제1부외벽(11)이 된다.
다음, 제3부외벽(31)은 도 4c에 도시한 전개도에서 상부와 하부를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제3부(3)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면(12)(13)으로 이용하고, 세로 접착면(14)(14')을 서로 접착하면 도4d와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3부에 부착할 제3부외벽(31)이 된다.
제2부지지링(21)을 제작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2부지지링(21)은 도 6a의 전개도에서 세로 접착면(18)(18')을 서로 접착하면 도6b의 단면도와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2부지지링(21)이 된다. 제2부지지링(21)은 제3부외벽(31) 둘레에 삽입된 상태에서, 컵라면 용기의 사용 시 용기를 펼친 후 제2부(2) 쪽으로 밀어 올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1)의 하단과 제3부(3)의 상단에 걸쳐져서 제2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부지지링(21)은 수평방향으로 다소의 신축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 신축성의 문제는 제2부지지링(21)에 세로로 다수의 요철을 넣어둠으로써 해소한다. 도 6c에 도시한 세로로 요철을 넣을 수 있는 틀(이하 세로요철틀이라 함)을 이용하여, 제2부지지링(21)에 세로로 요철을 넣는다. 상부세로요철틀(22)과 하부세로요철틀(23) 사이에 도 6b의 제2부지지링(21)을 끼우고 압착하면, 제2부지지링(21)에 도 6e 및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정착제(묽은 풀 같은 물질)를 분무기로 뿜어서 제2부지지링(21)의 종이에 정착제가 스며들게 한 후 압착하면, 제2부지지링(21)이 건조된 후 세로요철이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종이컵의 옆면(30)을, 제1부(1), 제2부(2), 제3부(3)로 구분하여 제2부(2)가 하향이 되도록 접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즉, 도2는, 도1에 도시한 종래의 컵라면 용기, 즉, 종이컵의 옆면(30)을, 제 1부(1), 제 2부(2), 제 3부(3)로 구분한 것이다. 도 3a의 옆면(30)의 전개도에서 제1점선(4)과 제2점선(5)을 따라서 제2부(2)가 하향이 되도록 옆면(30)을 접고 제1접착부(6)를 제2접착부(6')와 접착한 후, 도 3b의 밑면(50)의 접착부(51)를 일측으로 구부려서 도 3a의 밑면접착부(7)에 부착하면, 도 3c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옆면(30)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종래의 컵라면 용기 보다 부피가 정도 축소된다.
제1부외벽(11) 및 제3부외벽(31)을 제1부(1) 및 제3부(3)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즉, 도 4b와 같이 제작된 제1부외벽(11)을 접착면(15)(16)을 이용하여 제1부(1)에 부착하면, 도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부(1)의 벽과 제1부외벽(11)사이에 공기층(1')이 형성되며 제1부외벽(11)이 부착된다. 다음, 도 4d와 같이 제작된 제3부 외벽(31)을 접착면(12)(13)을 이용하여 제 3부에 부착시키면, 도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부(3)의 벽과 제3부외벽(31) 사이에, 공기층(3')이 형성되며 제3부외벽(31)이 부착된다.
상기 제1부외벽(11) 및 제3부외벽(31)은 컵라면 용기를 견고하게 하는 기능을 하며, 공기층(1')(3')은 보온 및 단열 효과가 있게 한다.
제2부(2)에 가로로 다수의 요철을 넣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 2부(2)에 가로로 다수의 요철을 넣는 방법은, 가로로 요철을 넣을 수 있는 틀(이하 가로요철틀이라 함)을 이용한다. 도 5a는 가로요철틀의 사시도이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로요철틀(24)과 하부가로요철틀(25) 사이에 제2부(2)를 끼우고 압착하면 제2부에 가로로 다수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요철은 만곡부(26)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26)가 종이컵의 외부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정착제(묽은 풀 같은 물질)를 분무기로 뿜어서 제2부(2)의 종이에 정착제가 스며들게 한 후 압착하면, 제2부(2)가 건조된 후 가로요철이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 시에는, 본 발명의 컵라면 용기의 상부(10)와 하부(20)를 잡아당기면 용기가 펼쳐지는데, 제 1부(1)가 위쪽으로 위치이동을 하고 제 2부(2)는 위쪽으로 펼쳐진다. 이때 다수의 요철은 용기를 펼치기 용이하게 하여준다.
제2부지지링(21)을 제3부외벽(31) 둘레에 삽입하고,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며 상부(10)를 밀봉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즉, 제3부외벽(31) 둘레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지지링(21)을 삽입하여 두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내용물(건조라면(8)과 스프(9))를 내장하고, 상부의 가장자리를 뚜껑(60)과 접착해 밀봉한다.
상술한 단계를 거쳐서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작할 수 있으며, 사용 시에는 상부(10)의 뚜껑(60)을 개봉하고 상부(10)와 하부(20)를 잡아당기면, 제 2부(2)의 가로줄의 요철은 용기를 쉽게 펼쳐지도록 하며, 제 2부지지링(21)이 제3부외벽(31) 둘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2부지지링(21)을 밀어 올려서 제1부(1)의 하단과 제3부(3)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설치하면 견고한 컵라면 용기가, 도 9와 같이 완성이 된다. 제2부 가로요철과 제2부지지링(21) 사이에는 다소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종래의 컵라면 용기와 동일한 단열 및 보온의 효과가 있게 된다. 내부에는 건조라면(8)과 수프(9)가 들어 있으므로 온수를 부어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컵라면 용기의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유통단계에서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개인이 휴대하기에도 용이하며 사용 시에 종래의 컵라면 용기와 같이 견고하며, 단열 및 보온 효과가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컵라면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종이컵의 단면도.
도 3a는 종이컵의 옆면의 전개도.
도 3b는 종이컵의 밑면의 전개도.
도 3c는 종이컵의 옆면을 제2부가 하향이 되게 접은 단면도.
도 4a는 제1부외벽(11)의 전개도.
도 4b는 제1부외벽(11)의 사시도.
도 4c는 제3부외벽(31)의 전개도.
도 4d는 제3부외벽(31)의 사시도.
도 4e는 제1부외벽(11) 및 제3부외벽(31)을 부착한 단면도.
도 5a는 가로요철틀의 사시도.
도 5b는 제2부(2)를 가로요철틀에 끼운 단면도.
도 5c는 제2부(2)에 가로요철이 형성된 단면도.
도 6a는 제2부지지링(21)의 전개도.
도 6b는 제2부지지링(21)의 단면도.
도 6c는 세로요철틀에 제2부지지링(21)을 끼운 단면도.
도 6d는 도 6c의 AA'선의 수평절단면도.
도 6e는 세로요철을 형성한 재2부지지링(21)의 단면도.
도 6f는 도 6e의 BB'선 수평절단면도.
도 7은 제2부지지링(21)을 제3부외벽(31) 둘레에 삽입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펼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펼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부(도 2에서 옆면의 상부) 2. 제2부(도 2에서 옆면의 중간부)
3. 제3부(도 2에서 옆면의 하부) 8. 건조라면
9. 스프 10. 상부
11. 제1부외벽. 12. 13. 15. 16. 접착면
6. 6' . 14. 14' . 17. 17' . 18. 18' . 세로접착면
20. 하부 21. 제2부지지링.
31. 제3부외벽. 50. 밑면.
60. 뚜껑.

Claims (2)

  1.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도 2의 종이컵의 옆면(30)을 상부(10)로부터 하부(20)로 제1부(1), 제2부(2), 제3부(3)로 구분하여, 제2부(2)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되며, 상기 제1부(1) 및 제3부(3)에는 제1부외벽(11)과 제3부외벽(31)이 각각 부착되어 있고, 제2부는 가로로 다수의 요철이 있으며, 제3부외벽(31) 둘레에 제2부지지링(21)이 삽입되어 있고, 제2부지지링(21)에는 세로로 다수의 요철이 있으며, 내부에 내용물이 내장되어, 상부가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2.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1부외벽(11) 및 제3부외벽(31)을 각각 제작하는 단계,
    제2부지지링(21)을 제작하는 단계,
    도 2의 종이컵의 옆면(30)을, 제1부(1), 제2부(2), 제3부(3)로 구분하여 제2부(2)가 하향이 되도록 접는 단계,
    제1부외벽(11) 및 제3부외벽(31)을 제1부(1) 및 제3부(3)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제2부(2)에 가로로 다수의 요철을 넣는 단계,
    제2부지지링(21)을 제3부외벽(31) 둘레에 삽입하고,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며 상부(10)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KR10-2003-0092212A 2003-12-16 2003-12-16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KR100533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212A KR100533774B1 (ko) 2003-12-16 2003-12-16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212A KR100533774B1 (ko) 2003-12-16 2003-12-16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572A KR20050060572A (ko) 2005-06-22
KR100533774B1 true KR100533774B1 (ko) 2005-12-07

Family

ID=3725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212A KR100533774B1 (ko) 2003-12-16 2003-12-16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4044A2 (ko) * 2010-09-27 2012-04-05 Byun Donghwan 접이식 종이컵의 옆지 성형 방법과 접이식 종이컵
KR101227778B1 (ko) 2010-08-16 2013-01-29 변동환 접이식 컵라면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9198A (zh) * 2011-09-28 2013-07-03 卞东奂 折叠式纸杯的侧面纸成型方法以及折叠式纸杯
KR101936579B1 (ko) * 2018-06-01 2019-04-03 임병철 접어서 뒤집는 접이식 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78B1 (ko) 2010-08-16 2013-01-29 변동환 접이식 컵라면 용기
WO2012044044A2 (ko) * 2010-09-27 2012-04-05 Byun Donghwan 접이식 종이컵의 옆지 성형 방법과 접이식 종이컵
WO2012044044A3 (ko) * 2010-09-27 2012-07-05 Byun Donghwan 접이식 종이컵의 옆지 성형 방법과 접이식 종이컵
KR101367018B1 (ko) * 2010-09-27 2014-02-24 변동환 접이식 종이컵의 옆지 성형 방법과 접이식 종이컵
US9167927B2 (en) 2010-09-27 2015-10-27 Donghwan Byun Method of forming side paper of a foldable paper cup, and foldable paper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572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5644C2 (ru) Контейнер
RU2655286C1 (ru) Упаковочная коробка сжатого типа для лапш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6109518A (en) Heating-insulating cup and method of making same
RU2399568C2 (ru) Стакан с изоляцией
CN109641681A (zh) 薄片材料容器
CN210842533U (zh) 折叠式纸杯
US4232048A (en) Package containing pressured liquid
KR100533774B1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JP2005132419A (ja) バリア性紙カップ
US20060231552A1 (en) Microwave popcorn container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0248369Y1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20060132754A (ko) 접이식 사발
CN210391856U (zh) 一种用于制造液体包装容器的坯料及其包装容器
JP4754953B2 (ja) 即席食品およびその容器
TWM452702U (zh) 接合式之沖泡物摺疊包覆結構
JP2024045785A (ja) 折りたたみコップ
CN106364734A (zh) 物品包装方法
JP3242623U (ja) 組合せ式携帯食器箱
KR200364685Y1 (ko)
JP4266123B2 (ja) ポップコーン調理用包装体
KR20040017993A (ko) 일회용 이중종이용기
CN214452664U (zh) 胶囊杯调味茶的包装结构
KR200294465Y1 (ko) 일회용 즉석면 용기
JP3065302U (ja) 断熱容器
RU2780351C1 (ru) Картонная складная упаковка с дополнительным отсеком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