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037B1 - 시신안치대 및 이를 구비한 종이 관 - Google Patents

시신안치대 및 이를 구비한 종이 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037B1
KR101123037B1 KR1020090004768A KR20090004768A KR101123037B1 KR 101123037 B1 KR101123037 B1 KR 101123037B1 KR 1020090004768 A KR1020090004768 A KR 1020090004768A KR 20090004768 A KR20090004768 A KR 20090004768A KR 101123037 B1 KR101123037 B1 KR 10112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xing frame
paper
coffin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080A (ko
Inventor
문주연
Original Assignee
문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주연 filed Critical 문주연
Publication of KR2009010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4Corps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2Linings and vene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신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신안치대와 이를 구비한 종이를 이용한 관을 개시한다.
상기 종이관은 연소가 잘되는 종이를 주재료로 하여 그 화장시 화장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골판지 등과 같은 폐지를 재활용하여 관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고가의 목관을 대신하여 종이 재료의 관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의 가격부담을 내려주며, 종이를 접어 관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관이 가벼우면서도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관 제작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의 내부에 시신이 안치될 수 있는 시신안치대가 구성되고 이러한 시신안치대는 시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길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어 맞춤형 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관의 외면에는 천 또는 한지 등으로 마감처리를 하고 관 내부에는 천으로 마감처리 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시신안치대, 종이, 관, 관 본체, 관 뚜껑, 한지, 보강재, 코팅

Description

시신안치대 및 이를 구비한 종이 관{CORPSE ENSHRINING FRAME AND A PAPER COFFI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의용 관에 관한 것으로, 보관이 용이하며 비용이 적게 드는 한편, 시신의 신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시신안치대 및 시신안치대가 구비된 종이 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은 시신 또는 유해를 넣은 궤라고도 하며 원칙적으로는 유해를 직접 넣는 것을 가리키고 화장이나 세골 후의 뼈를 넣는 납골함과는 구별된다.
상기 관의 경우 현재에는 주로 목관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예를 중요시하는 유교 문화권에서는 사망시 시신을 목관에 넣어 밀폐한 후 매장하는 것이 관례화되어 있다.
매장에 사용되는 종래의 목관들은 원목을 판재로 가공한 판자형의 목관과, 이러한 판자형 목관과는 차별화된 것으로서 특정 원목을 가공하여 만든 고급 재질의 관 본체 또는 관 뚜껑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로 직접 조각하여 장식한 예술성 있는 고가의 장식 목관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목관은 원자재가 원목으로서, 그 원목을 판재로 가공한 것이기 때문에 자원낭비의 폐단이 있음은 물론, 화장시에도 연료의 소비가 가중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목관은 그 자체 무게가 대단히 무겁기 때문에 이동이 어렵고 보관이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대부분 원목으로 제작되는 상기 목관은 원목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어렵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목관이 고가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종이관의 경우 일회성으로 제작되어 시신의 체형이 고려되지 않고 목관에 비하여 관의 외면이나 내면 모두에서 미감이 떨어져 시신을 모시기 꺼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목관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이 재료를 이용하여 관을 제작함으로써 가볍고 보관이 용이하여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함과 더불어 목관에 비해 시신을 지지할 만한 강도를 갖고 시신의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종이를 이용한 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신을 관 내부에 바르게 안치시키기 위한 시신안치대 및 시신의 신장에 따라 조절 가능한 시신안치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재단선과 접이선에 따라 접어 시신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개구측 일면부와, 상기 접이선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시신의 측방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개구측 일면부의 양 측방이 절곡되어 형성된 측면부로 구성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을 둘러싸고 방수처리되어 시신을 고정하는 시신고정용 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고정틀은 상단고정틀과 하단고정틀로 이분되고, 상기 상단고정틀과 하단고정틀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고정틀은 제1상단고정틀과 제2상단고정틀로 이분되고, 상기 하단고정틀은 제1하단고정틀과 제2하단고정틀로 이분되어 슬라이딩 결합에 의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틀의 빈공간에 충진물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이판에 다수의 재단선과 접이선이 형성되어 한 쌍의 종측면과 횡측면이 각각 접혀져 세워지고 각 모서리의 이음면이 상기 종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된 관 본체, 상기 관 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된 관 뚜껑, 및 상기 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시신을 고정하는 고정틀과 시신고정용 천으로 구성된 시신안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관 본체는 일정 두께를 갖는 보강재, 상기 보강재의 양 측면에 순차적으로 종이, 마감재, 및 코팅층이 형성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재는 판재와 판재 사이에 물결형 재료 또는 벌집형 재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는 한지, 아트지, 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밀랍, 옻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 본체의 개구측 끝단부의 외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뚜껑의 결합부와 접촉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 본체의 이음면의 끝단부는 겹치게 구성되고,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 본체의 개구측 끝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테두리가 구성되고, 상기 제1테두리는 관 뚜껑과 결합되도록 상기 관 본체의 끝단에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에 의하면, 연소가 잘되는 종이를 주재료로 하여 그 화장시 화장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골판지 등과 같은 폐지를 재활용하여 관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고가의 목관을 대신하여 종이 재료의 관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의 가격부담을 내려주며, 종이를 접어 관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관이 가벼우면서도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관 제작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의 내부에 시신이 안치될 수 있도록 고정틀이 구성되고 시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길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방수 코팅된 천으로 마감처리 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동시에 천과 지지부에 의하여 시신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각 실시예 별로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신안치대가 관에 삽입되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신안치틀을 넓게 펼친 전개도와 이를 접어 시신안치대를 조립한 조립도이다.
상기 시신안치대(1)는 관 본체(2)에 삽입되어 시신을 안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관 본체(2) 및 이를 개폐하는 관뚜껑(3)은 일반적인 목관 이외에도 관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관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시신안치대(1)는 고정틀(10)과 상기 고정틀(10)를 감싸는 시신고정용 천(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틀(10)은 시신 형상의 개구부(H)가 형성되는 개구측 일면부(1a), 상기 개구측 일면부(1a)의 외 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혀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부(1b), 및 시신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고정틀(1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시신의 머리가 안착되는 원형부분은 제1재단선(X1)과 제3재단선(X3)을 재단하고 원주 형상의 제2접이선(Y2)를 따라 접어 시신의 머리가 안치될 공간을 마련하고, 시신의 몸체가 안착되는 부분은 제1재단선(X1), 제4재단선(X4), 및 제5재단선(X5)을 재단하고 제3접이선(Y3)을 따라 접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1접이선(Y1)을 접어 형성된 측면부(1b)를 구성하여 시신이 상기 개구부(H)에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재단선(X1 내지 X5)에 의하여 재단된 뒤 다수의 제2접이선(Y2)과 제3접이선(Y3)에 의하여 접혀 형성되는 지지부(1c)는 이후 시신이 상기 시신안치대(1)에 안치될 때 시신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틀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틀(10)은 크게 시신의 상부를 안치하는 상단고정틀(10a)과 시신의 하부를 안치하는 하단고정틀(10b)로 구성되어 상기 상단고정틀(10a)과 상기 하단고정틀(10b) 중 어느 일방이 타 방에 끼워짐으로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단고정틀(10a)은 다시 양분되어 제1상단고정틀(11)과 제2상단고정틀(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시신의 폭을 조절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상단고정틀(11)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시신의 형상이 형성된 개구측 일면부(11a)와 고정틀(10)의 높이를 형성하는 측면부(미도시) 및 시신의 측면을 지탱하는 지지부(11c)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동일하게 제2상단고정틀(12)도 상단부(12a)와 측면부(12b) 및 지지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단고정틀(10b)도 상기 상단고정틀(10a)와 동일하게 제1하단고정틀(13)과 제2하단고정틀(14)로 구성되며 각각 개구측 일면부(13a)과 측면부(14b) 및 지지부(13c)로 구성되어 있는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단고정틀(10a)과 하단고정틀(10b)을 슬라이딩 결합하여 시신의 신장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신의 체형에 맞게 제1,2 상단고정틀(11,12)를 슬라이딩 결합할 수도 있어 좌우 폭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틀의 길이를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할 때 시신의 신장이 큰 경우 상기 고정틀(10)의 하단고정틀(10b)이 상단고정틀(10a)에 깊게 삽입되지 않는 반면 유아와 같이 신장이 작은 경우 상기 하단고정틀(10b)가 상단고정틀(10a)에 깊게 삽입(L1)되어 고정됨으로써 시신의 신장에 따라 고정틀(10)을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상단고정틀(11)과 제2상단고정틀(12) 또는 제1하 단고정틀(13)과 제2하단고정틀(14)을 겹치도록 구성하여 체형에 따라서 폭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C-C' 방향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할 때 상기 고정틀(10)은 관 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시신고정용 천(20)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상기 시신고정용 천(20)은 상기 고정틀(10)의 측면부(12b)와 개구측 일면부(12a)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틀(10)의 개구부(H)의 안쪽 면까지 덮어 외부에서 볼 때 시각적으로 우아한 관의 형태를 가능하게 하고, 시신이 안치될 때 시신(A)을 자연스럽게 감싸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틀(10)의 측면부(12b)와 개구측 일면부(12a)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고정틀(10)의 지지부(12c)와 함께 시신(A)의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운반시에도 관 본체(2)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종이로 이루어진 관의 경우 시신이 배출되는 분비물이 관에 스며들어 관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시신고정용 천(20)은 방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신안치대의 내부에 포함되는 충관물의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 시신안치대(1)의 내부에 빈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충관물(3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충관물(30)은 양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외피(31)와 이 외피(31) 내에 충진되는 충진재(32) 및 외피(31)를 감싸는 포장지(33)로 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충관물(30)의 외피(31)는 시신이 안치된 관 내부의 빈 공간에 채워지도록 중공부(31a)를 갖는 상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외피(31)의 중공부(31a)에 삽입설치되는 상기 충진재(32)는 일정 넓이의 골판지가 말려진 형태를 이루며, 상기 외피(31)를 감싸도록 된 상기 포장지(33)는 일정 넓이의 한지로 이루어져 시신을 지지하는 동시에 시신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신안치대가 구비된 종이를 이용한 관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을 넓게 펼친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본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이음면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신안치대(1)를 구비한 종이관은 시신이 안치되는 상자형의 관 본체(100)와 이 관 본체(10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관 뚜껑(200) 및 상기 관 본체(100) 내에 위치하는 시신안치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신안치대(300)는 고정틀(310)과 시신고정용 천(320)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시신안치대(1)와 동일한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관 본체(100)와 관 뚜껑(200)은 종이판을 접어 그 형상을 이루게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넓게 펼친 종이에 다수의 실선(S2)과 점선(S1,S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 본체(100)는 도 9와 같이 한 쌍의 횡측면(113)과 한 쌍의 종측 면(112)이 각각 접혀져 세워질 수 있도록 횡측면(113)의 연장선상이 재단된다.
이 재단으로 각 모서리에 이음면(115, 116,117,118 :이하 115로 표기함)이 형성되어 이음면(115)을 상기 종측면(112)의 후방에 그 선단부가 일치되도록 부착시켜 상기 관 본체(100)를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관 본체(100)를 구성하는 종이판에 다수의 점선(S1)이 형성되어 상기 횡측면(113)과 종측면(112)을 각각 수직된 방향으로 접어 올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실선(S2)에 의해 절개하고 점선(S3)을 따라 접어 형성된 상기 이음면(115)이 종측면(114)의 후방 쪽에 접혀져 고정된다.
상기 이음면(115)의 부착을 위하여 이음면(115)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양면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음면(11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이음면의 끝단부(115a,116b)에 단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음면(115)이 종측면(112) 후방에 부착될 때 이음면(115)의 끝단부(115a, 116b)가 서로 겹쳐지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관 본체(10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관 뚜껑(200)은 상기 관 본체(1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되며 상기 관 본체(100)를 덮은 뚜껑판(211)과 상기 관 본체(100)와 결합되는 결합부(212)로 구성된다.
도 11은 도 8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관 본체(100)와 뚜껑(200)을 이루는 재질에 대하여 살펴보면 관 본체(110) 의 AA'단면은 그 중앙부에 일정 두께를 갖는 보강재(d1)가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d1)의 양 측면에 각각 얇은 종이(d2)가 부착되며, 상기 일반 종이(d2)의 외 측에는 각각 마감재(d3)가 부착되고, 상기 마감재(d3)의 외 측에는 코팅층(d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d3)는 한지, 아트지, 무늬목 또는 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감재(d3)에는 종교에 필요한 다양한 그림이나 글씨를 인쇄할 수 있고, 상기 마감재(d3)를 생화 잎이 부착된 고급 종이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d4)은 밀랍, 옻 등이 분무기 등에 의하여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 도포하거나 섞어서 적절하게 도포함으로써 종이가 갖는 습기에 대한 취약한 점을 완벽히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재(d1)는 판재(d5)와 판재(d5) 사이에 물결형 재료(d6) 또는 벌집형 재료(미도시)가 삽입되어 다양한 형상의 보강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종이관(100)을 이루는 종이 재료에 내구성을 주기 위하여 골판지와 유사한 형태의 보강재(d1)를 사용하게 되고, 상기 보강재(d1)는 물결형 재료(d6)나 벌집형 재료(미도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관 본체에 시신이 안치되어 운반될 때 시신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구성된다.
이때 종이 재료의 외측면 역시 상기 마감재(d3)와 코팅층(d4)에 의하여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관은 상기 종이관이 펼쳐진 사각형상의 종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종이 재료를 쌓아 놓고 보관할 수 있는 보관상의 이점이 있고, 또한 한번에 많은 양의 종이 재료를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상의 편리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이를 이용하여 관을 제작함으로써 목관 제작시 발생되는 각종 폐단을 해소할 수 있고, 종이관의 경우 가볍기 때문에 그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편리하며, 사용자가 저비용으로 종이관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의 관 뚜껑과 결합되는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관 본체(100)의 상단부 외 측에 상기 관 뚜껑(200)의 결합부(212)가 단차를 두고 접촉 및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관 본체(110)와 관 뚜껑(200)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상기 관 본체(100)에 관 뚜껑(200)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종이관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면과 같이 상기 관 본체(100)의 상부에 단턱(119)을 형성하여 상기 관 뚜껑(200)의 결합부(212)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에 제1테두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은 관 본체(100)에 상단 외 측에 종방향의 테두리(122)와 횡방향 테두리(121)로 구성된 제1테두리(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테두리(1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관을 화장할 때 연소가 잘되기 위하여는 나무판자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두리(120)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방향의 홈(123)을 형성하여 관에 장식을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횡축과 종축의 테두리가 결합하는 결합부(121a, 122a)에는 도 13의 확대 도면과 같이 일정한 단차를 형성하여 접착제 등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제1테두리(120)의 결합부(121a, 122a)를 돌기와 홈 형태로 형성하여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접착제 등에 의하지 않고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테두리(120)는 상기 관 본체(100)의 끝단보다 일정간격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도면 14을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테두리(120)가 상기 관 본체(100)의 끝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돌출된 간격은 뚜껑판(211)이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테두리(120)의 돌출된 부분의 높이는 상기 관 뚜껑(211)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의 관 뚜껑에 제2테두리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할 때 상기 관 뚜껑(200)의 결합부(212)를 길게 연장 형성하고 상기 뚜껑(200)의 외 측 상단에 일치하게 길이 방향으로 홈(213a)이 형성된 제2테두리(21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테두리(213)는 앞서 설명한 제1테두리(120)의 형태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뚜껑(200)의 결합부(212)는 상기 관 본체(100)와 결합시 상기 관 본체(100)의 측면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뚜껑(200)의 결합부(212)의 높이와 관 본체(10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신안치대가 관에 삽입되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틀을 넓게 펼친 전개도와 이를 접어 시신안치대를 조립한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신안치대를 시신의 신장에 따라 길이를 조절한 예시도,
도 5는 도 3의 C-C'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신안치대의 빈공간에 채워지는 충관물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신안치대가 구비된 종이를 이용한 관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을 넓게 펼친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본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상태도.
도 11은 도 7의 A-A' 방향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의 관 뚜껑과 결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에 제1테두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B-B' 방향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관의 관 뚜껑에 제2테두리부가 형성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시신안치대 1a:개구측 일면부
1b:측면부 1c:지지부
10:고정틀 10a:상단고정틀
10b:하단고정틀 11:제1상단고정틀
12:제2상단고정틀 13:제1하단고정틀
14:제2하단고정틀 20:시신고정용 천
30:충관물 100:관 본체
111:바닥면 112:종측면
113:횡측면 115:이음면
115a:선단부 120:제1테두리
200:관 뚜껑 211:뚜껑판
212:결합부 213:제2테두리

Claims (9)

  1. 다수의 재단선과 접이선에 따라 접어 시신 형상의 개구부(H)가 형성되는 개구측 일면부(1a)와, 상기 접이선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시신의 측방을 지지하는 지지부(1c)와, 상기 개구측 일면부(1a)의 양 측방이 절곡되어 형성된 측면부(1b)로 구성되는 고정틀(10);
    상기 고정틀(10)에 덮이고 방수처리되어 시신을 고정하는 시신고정용 천(20); 및
    상기 고정틀(310)의 빈공간에 삽입되고 그 양측이 개방된 외피(31)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32)와, 상기 외피를 감싸는 포장지(33)로 구성되는 충진물(30);을 포함하는 시신안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0)은 상단고정틀(10a)과 하단고정틀(10b)로 이분되고, 상기 상단고정틀(10a)과 하단고정틀(10b)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안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틀(10a)은 제1상단고정틀(11)과 제2상단고정틀(12)로 이분되고, 상기 하단고정틀(10b)은 제1하단고정틀(13)과 제2하단고정틀(14)로 이분되어 각각 슬라이딩 결합에 의하여 폭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안치대.
  4. 삭제
  5. 종이판에 다수의 실선과 점선이 형성되어 한 쌍의 종측면(112)과 횡측면(113)이 각각 접혀져 세워지고 각 모서리의 이음면(115,116,117,118)이 상기 종측면(112)에 부착되어 형성된 관 본체(100);
    상기 관 본체(100)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부(212)가 형성된 관 뚜껑(200); 및
    상기 관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시신을 고정하는 고정틀(310)과 시신고정용 천(320)으로 구성된 시신안치대(300);
    상기 고정틀(310)의 빈공간에 삽입되고 그 양측이 개방된 외피(31)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32)와, 상기 외피를 감싸는 포장지(33)로 구성되는 충진물(30);을 포함하고,
    상기 관 본체(1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보강재(d1), 상기 보강재(d1)의 양 측면에 순차적으로 종이(d2), 마감재(d3), 및 코팅층(d4)이 형성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재(d1)는 판재(d5)와 판재(d5)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마감재(d3)는 한지, 아트지, 천, 무늬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d4)은 밀랍, 옻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안치대가 구비된 종이 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 본체(100)의 개구측 끝단부의 외측에 단차(119)를 형성하여 상기 관 뚜껑(200)의 결합부(212)와 접촉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안치대가 구비된 종이 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 본체(100)의 양 이음면(115,116)의 끝단부(115a,116a)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종측면(112)에 겹쳐져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안치대가 구비된 종이 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 본체(100)의 개구측 끝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홈(123)이 형성된 제1테두리(120)가 구성되고, 상기 제1테두리(120)는 뚜껑판(211)의 둘레면이 끼워지도록 상기 관 본체(100)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안치대가 구비된 종이 관.
  9. 삭제
KR1020090004768A 2008-03-20 2009-01-20 시신안치대 및 이를 구비한 종이 관 KR101123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918 2008-03-20
KR20080025918 2008-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80A KR20090101080A (ko) 2009-09-24
KR101123037B1 true KR101123037B1 (ko) 2012-06-14

Family

ID=4135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768A KR101123037B1 (ko) 2008-03-20 2009-01-20 시신안치대 및 이를 구비한 종이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866A (ko) 2019-09-10 2021-03-18 김안태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KR102592084B1 (ko) 2022-09-15 2023-10-23 주식회사 바이오마스터 시신안치용 친환경 조립식 종이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34Y1 (ko) * 2017-01-26 2018-05-16 문주연 길이 조절이 되는 반려 동물용 조립식 종이관
KR102469593B1 (ko) * 2022-01-28 2022-11-22 심상열 친환경 장례용 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43Y1 (ko) * 2000-03-24 2000-08-16 윤창수 장의용 관의 시신 안치장치
KR200194668Y1 (ko) * 2000-04-17 2000-09-01 윤창수 장의용관의 시신 안치장치
JP2003210534A (ja) * 2002-01-21 2003-07-29 Juko Chin 環境保護棺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43Y1 (ko) * 2000-03-24 2000-08-16 윤창수 장의용 관의 시신 안치장치
KR200194668Y1 (ko) * 2000-04-17 2000-09-01 윤창수 장의용관의 시신 안치장치
JP2003210534A (ja) * 2002-01-21 2003-07-29 Juko Chin 環境保護棺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866A (ko) 2019-09-10 2021-03-18 김안태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KR102592084B1 (ko) 2022-09-15 2023-10-23 주식회사 바이오마스터 시신안치용 친환경 조립식 종이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80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1832B2 (en) Box with reinforcement ring
KR101123037B1 (ko) 시신안치대 및 이를 구비한 종이 관
US7003855B2 (en) Collapsible cardboard cremation casket
US20110136641A1 (en) Package box and box forming member
JP2009506865A (ja) 花びん及びその作製用ブランク
US20200206057A1 (en) Coffins
JPWO2008136299A1 (ja) 棒状喫煙物品のパッケージ及びそのブランク
JPWO2010126145A1 (ja) 棺桶
WO2006097683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dded boxes
JPH07206061A (ja) 紙巻き煙草用ソフトパック
JP3104832U (ja) 重箱型紙製包装容器
BRPI0801972B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urna funerária totalmente em fibra celulósica papelão ondulado e processo de montagem
WO1992019514A1 (en) Floral container with decorative panels and method
JP3129940U (ja)
KR200417986Y1 (ko) 포장용 상자
CN211281819U (zh) 一种手工成型的伴手礼盒
JP4965177B2 (ja) 八角形状の段ボール紙製の組み立て用棺桶
CN215099195U (zh) 包装盒内衬及内衬胚体
US1946433A (en) Box
KR200382462Y1 (ko) 포장용 상자
TWI788806B (zh) 紙棺
KR200479067Y1 (ko) 포장용 상자
JP3110027U (ja) 簡易型花瓶
JP3101022U (ja) 折り畳み式の置物装置
JPS6013775Y2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