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562A -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562A
KR20100070562A KR1020080129156A KR20080129156A KR20100070562A KR 20100070562 A KR20100070562 A KR 20100070562A KR 1020080129156 A KR1020080129156 A KR 1020080129156A KR 20080129156 A KR20080129156 A KR 20080129156A KR 20100070562 A KR20100070562 A KR 2010007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tainer
cup
folding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갑순
Original Assignee
황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갑순 filed Critical 황갑순
Priority to KR1020080129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0562A/ko
Publication of KR2010007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라면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용물과 함께 용기를 포개어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컵라면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는, 사용 시, 용기를 펼친 후 지지링을 밀어 올려 견고한 용기를 구현하고 있다. 이는 용기를 펼친 후, 지지링을 한번 더 밀어 올려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구성에 있는 지지링을 제거하고, 제2부외벽이 지지링의 역할을 하게하여, 사용 시, 접혀진 용기를 한 번 펼쳐서 사용가능한 용기가 되게 한다. 또한 용기를 펼치기가 용이하게 하며, 사용 시 견고한 용기가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종이컵, 컵라면, 접이식, 축소, 라면

Description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THE FOLDED BOWL FOR INSTANT NOODLE AND THE METHOD OF FABRICATION OF THEM}
본 발명은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는 컵과 그 외벽 및 내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50)이 있으며 상부(20)가 하부(10)보다 넓고 상부(20)와 하부(10) 사이에 옆면(30)(이하 '내벽'(30)이라 함)이 있는 원뿔대 형태의 종이컵이며, 내벽(30) 둘레에 또 다른 옆면(40)(이하 '외벽'(40)이라 함)을 부착하여 용기의 옆면이 이중으로 되어 있고, 내벽(30)과 외벽(4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온수를 부었을 때 단열 및 보온의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내부에 건조라면(70)과 스프(80)를 내장하고 상부에 뚜껑(60)을 덮어 놓았다.
또한, 등록 특허 KR 10-533774호에 공고된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종이컵의 옆면(30)을 하부(10)로부터 상부(20)로 제1부(1),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되며, 상기 제1부(1) 및 제2상부(22)에는 제1부외벽(11)과 제2상부외벽(221)이 각각 부착되어 있고, 제2하부(21)는 가로로 주름이 있으며, 제1부외벽(11) 둘레에 제2부지지링(201)이 삽입되어 있고, 제2부지지링(201)에는 세로로 주름이 있으며, 내부에 내용물이 내장되어 있다.
사용 시에는, 상부와 하부를 잡아당겨 접혀진 컵라면용기를 펼치고, 또 다시 제2부지지링(201)을 밀어 올려 제2하부(21)를 지지하여 견고한 용기로 사용한다. 즉, 용기를 펼친 후 지지링을 체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내벽의 두께가 두꺼우면 용기가 잘 펼쳐지지 않고, 얇으면 용기는 잘 펼쳐지나, 사용 시, 내벽이 온수 및 외부 충격에 약한 약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제조 시 제1부외벽 제조단계, 제2상부외벽 제조단계, 내부 종이컵을 접는 단계뿐만 아니라, 제2부지지링(201) 제조 단계 등을 거쳐야 한다. 특히, 제2부지지링(20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조 장치가 필요하다.
만일, 상기 제2부지지링(201)이 필요 없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설계한다면, 용기제조 단계가 보다 단순해지고, 제조비용 또한 보다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시, 제2부지지링(201)을 체결해야하는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20-214218 (일회용 접이컵) 2000. 12. 08.
[문헌2] KR 20-248369 (접이식 컵라면 용기) 2001. 09. 17.
[문헌3] KR 10-533774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2005. 11. 30.
[문헌4] KR 10-2007-0031358 (지지링 고정수단이 구비된 외벽과 지지링과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2007. 03. 19.
본 발명에서는, 도1b 및 도1c에 도시한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구성에서 제2부지지링(201)을 제거하고, 도3d, 도3e, 도3f 등에 도시한 제2부외벽(200)이, 도1b 및 도1c의 제2상부외벽(221)과 제2부지지링(201)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2부외벽(200)이, 제2상부(22)의 외벽 뿐만아니라, 제2하부(21)를 지지하는, 종래의 제2부지지링(201)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시 용기를 한 번만 펼쳐서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는 종래에, 사용 시, 접혀진 컵라면 용기를 상하로 당겨서 펼친 후, 별도로 제2부지지링(201)을 밀어 올려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내벽의 두께를 제1부(1)와 제2부(2)가 다르게 구성하는 것과, 제2부외벽(200)에 신축성을 구현하는 것과, 제1부외벽(11)에 신축성을 구현하는 것과,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부가함으로써 보다 사용이 편리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실현 한다.
또한, 상기 제조된 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내장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컵라면 용기를 포개 접어서 축소시키고 사용 시에는 펼쳐서 종래의 컵라면 용기와 다름없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 어서, 사용 시 잘 펼쳐지고 외부의 힘에 잘 견디는 견고성, 그리고 보온 및 단열 효과가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재질의 선택은 종이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하의 설명이 재질 선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종이 이외의 재질을 선택하여도, 예를 들면 플라스틱류 등, 그 구성과 작용이 본 발명과 동등하다면 본 발명의 사상임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30)(이하 내벽이라 함.)을 하부(10)로부터 상부(20)로 제1부(1), 제2부(2)로 구분,
상기 제2부(2)를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되고,
상기 제2하부(21)는 가변부이고,
상기 제1부(1)에 제1부외벽(11)이 부착되고,
상기 제2상부(22)에 제2부외벽(20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2부외벽(200)은, 용기를 펼칠 시, 그 하부가 상기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부외벽(200)은 다소의 신축성(유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온수를 수용해야함으로 내벽에 내수성을 부여 하는 것은 당연한 사항이다. 내수성의 부여는, 재질이 종이인 경우, 일반적으로 PE(Polyethylene) 코팅을 함으로써 달성되고 있다. 내벽의 재질을 종이로 하면, 고온에서 변형되지 않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견고성은, 내벽 보다 외벽이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용기는 접혀진 상태에서 펼칠 때, 잘 펼쳐지게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내벽은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기능이 잘 수행 될 수 있도록 재질 및 기술적 사항을 부과해야 한다. 물론 재질이 종이인 경우, 그 두께가 얇을수록 잘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으나, 너무 얇으면 사용 시 온수 및 외부 충격에 찢어지는 등 훼손될 수 있고, 종래의 컵라면용기의 내벽의 두께(0.30.6mm정도)정도로 내벽을 구성한 경우, 가로로 주름을 넣어 가변수단을 구성하여도, 사용 시, 접혀진 용기가 잘 펼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내벽의 두께는 상기 종래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외부영향(온수 및 외부충격 등)에 보다 견고한 내벽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벽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내벽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구성할 경우, 내부 컵의 제1부(1)의 내벽의 두께를, 제2부(2)보다 두껍게 하고, 가변수단이 있는 제2부(2)의 내벽의 두께는 제1부(1)보다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사용 시, 용기가 잘 펼쳐지면서 외부영향에는 강한 내부 컵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도6c와 같이 제1부(1)의 벽의 일부분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여도 외부영향에 강한 내부 컵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내벽(30)의 벽 두께를 제1부(1)가 적 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외부영향에 강한 내부 컵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내벽(30)의 벽 두께를 제1부(1)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기술적 사항은, 도2d에 도시한 제1부(1)에 부착할 옆면(111)(이하 '보조내벽'(111)이라함)의 전개도면의 외형선을 절취하여 제1부(1)에 부착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도3h에, 상기 보조내벽(111)이 부착되고 옆면이 포개어 접혀진 내벽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제1부(1)의 내벽 둘레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되어 그 두께가 제2부(2) 보다 두껍다. 이는 사용 시, 온수 및 외부 충격에 강한 내벽을 구현하게 한다. 또한, 가변수단이 있는 제2부(2)는 제1부(1)보다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쉽게 가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1b 및 도1c에 도시한,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는 제2상부(22)에 제2상부외벽(221)을 부착하고, 제2부지지링(201)을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 시 용기를 펼친 후, 또 다시 제2부지지링(201)을 위로 밀어 올려서 제2하부(21)에 체결함으로써, 제2하부(21)를 지지 및 보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부외벽(200)은, 종래의 제2상부외벽(221)과 제2부지지링(201)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던 것을 일체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부외벽(200)은 종래의 제2상부외벽(221)과 제2부지지링(201)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용기를 펼치면, 제2부외벽(200)에 의하여 제2하부(21)가 지지 및 보호된다. 즉,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사용 시, 접혀진 상태에서 한 번 상하로 당겨 펼침으로써 용기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3d 및 도3e에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사용 시 상부와 하부를 잡아당기면, 도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하부(21)의 가변수단에 의해 용기가 쉽게 펼쳐지고,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걸쳐져서 컵라면 용기로 사용가능하다.
한편, 사용 시, 용기를 펼쳤을 때 상부의 누르는 힘에 잘 견디는 용기의 구현이 요구될 경우에는, 도11a 및 도11d의 점선부분 상세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외벽(200)의 하단과 제1부외벽(11)의 상단이 일치하여,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펼쳐진 용기의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기 위해서는, 도11a 및 도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의 하단의 내부직경이, 제1부외벽(11) 상단의 외부직경 보다, 상기 상단의 접혀진 두께(d)의 2배 만큼 작게 설계되어야 하고, 이 경우 제2부외벽(200)을 상향시켜 용기를 펼치기 위해서는, 제1부외벽(11)의 상부둘레를 상기 두께(d) 만큼 내부로 변형시켜야 한다. 이는 용기를 펼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고, 용기를 펼칠 시, 용기가 변형 및 파손될 수 있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제2부외벽(200)을 그 하부가, 수평방향으로 다소 신축성을 갖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용기를 펼칠 시, 상기 신축성으로 인하여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통과 할 때, 상부로 당기는 약한 외력에도, 상기 두께(d) 만큼 벌어짐으로, 제1부외벽(11)의 상단으로 쉽게 빠져 올라올 수 있고, 재질이 가진 탄성에 따른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신축성에 대한 기술적 사항은, 제2부외벽(200)에 주름을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주름은 외벽(200)면에 세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스듬히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용기를 펼칠 시, 제2부외벽(200)의 하단이 제1부외벽(11)의 상단과 일치하여도, 사용 시 상부의 힘에 의해 제2부외벽(200)이 이탈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주름(19)을 구성하여 수평방향의 신축성이 있게 하고, 도8a 및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면의 하부를 벽면에 대하여 다소 내부로 경사를 두어, 하단의 직경을 제1부외벽(11)의 상단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용기를 펼칠 시, 수평방향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제2부외벽(200)의 하단은 제1부외벽(11)의 상단으로 쉽게 빠져 올라올 수 있고, 펼쳐진 용기의 제2부외벽(200)의 하단의 직경은 본 상태(제1부외벽(11)의 상단의 직경보다 작음.)로 돌아감으로, 제1부외벽(11)의 상단에 걸쳐진 제2부외벽(200)은 상부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신축성에 대한 또 다른 기술적 사항은,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0)을 구성하는 것이다. 용기를 펼칠 시, 도11b 및 도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통과할 때, 상기 절개선(100)이 있음으로 외향으로 용이하게 변형이 되고(즉, 절개선(100)으로 인하여 제2부외벽(200)의 하단 둘레의 장력이 제거되므로.), 따라서 제1부외벽(11)의 상단으로 쉽게 빠져 올라온 후 본 상태로 복원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부의 누르는 힘에 더욱 견고한 용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2부외벽(200)면의 하부를 벽면에 대하여 다소 내부로 경사를 두어, 하단의 직경을 제1부외벽(11)의 상단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선(100)은 도10a 또는 도10b의 전개도에서 외형선 절취 시 함께 절개하면 되므로 그 실현이 간편하다.
한편, 상기 절개선(100)은, 도10a 및 도10b의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를 만곡부(또는 원형)(100)으로 구성하면, 사용 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에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외벽(200)에 신축성이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제1부외벽(11)이 신축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내벽의 제2상부(22)에는 신축성이 없는 제2부외벽(20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부외벽(11)을 그 상부가, 수평방향으로 다소 신축성을 갖도록 하면 된다. 상기 신축성은,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1)을 구성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그러면 용기를 펼칠 시, 상기 신축성으로 인하여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통과 할 때, 약한 외력에도, 도11c, 도1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외벽(11)의 상부의 반경이 상기 두께(d) 만큼 수축됨(내향으로 약간 변형이 됨.)으로, 제2부외벽(200)의 하단이 제1부외벽(11)의 상단으로 쉽게 빠져 올라올 수 있고, 제1부외벽(11)의 상단은 재질이 가진 탄성에 따른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개선(101)은, 도13a 및 도13c의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를 만곡부(101)로 구성하면, 사용 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부외벽(11)에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외벽(11)에 신축성이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용기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외력이 함께 작용하여 제2부외벽(200)이 이탈하여 용기가 찌그러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 제2부외벽(200)의 하단과 제1부외벽(11)의 상단에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의 한 예는, 도3f, 도3k, 도8c, 도8d, 도9b, 도9d, 도12b, 도12d, 도14b, 도14d의 점선부분상세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의 하단에 걸림턱(34)(凸부)을 구성하고 제1부외벽(11)의 상단에 상기 걸림턱의 수용부(32)(凹부)를 구성하여, 용기를 펼칠 시, 걸림턱(34)과 그 수용부(32)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2부외벽(200)의 하단에 걸림턱의 수용부를 구성하고 제1부외벽(11)의 상단에 상기 걸림턱을 구성하여, 그 위치가 바뀌어도 이는 배열의 변경에 불과하고 그 효과가 동등함으로 본 발명의 사상임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부외벽(11)과 제2부외벽(200)에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외벽(11)(200)에 고정수단이 구비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부외벽(200) 또는 제1부외벽(11)에 신축성과 고정수단을 함께 구비하면 더욱 바람직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제공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 각각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 내부에 내용물(건조라면, 누릉지, 떡국용 떡 등)을 내장하고 뚜껑을 덮으면 내용물이 내장된 접이식 컵라면용기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제조는,
내부 컵의 옆면을, 제1부(1), 제2상부(22), 제2하부(21)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는 단계,
제2하부(21)에 가변수단을 구비하는 단계,
제1부외벽(11)을 제작하는 단계,
신축성이 있는 제2부외벽(200)을 제작하는 단계,
제1부외벽(11)을 제1부(1)에 부착하는 단계,
제2부외벽(200)을 제2상부(22)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제조방법에,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면, 용기가 잘 펼쳐지면서 외부영향에는 강한 내부 컵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2부외벽(200)의 제작 단계에서, 상기외벽(200)에 신축성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신축성은 제2부외벽(200)에 주름을 구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가능하다. 신축성의 또 다른 기술적 사항으로는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0)을 구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2부외벽(200)면 하부를, 벽면에 대하여 내향으로 다소 경사를 두면, 상 부에서 누르는 힘에 강한 용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2부외벽(200)에 신축성을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부외벽(11)의 제작 단계에서, 상기외벽(11)에 신축성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신축성은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1)을 구성하여 그 실현이 가능하다.
상기 제조된 컵라면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건조라면(70), 스프(80)등과 유사한 식품, 예를 들면, 떡국용 떡, 누릉지 등 )을 내장하고 뚜껑(60)을 덮으면, 내용물이 내장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제2부지지링(201) 제조단계 및 상기 지지링(201) 삽입단계를 제거하였으며, 따라서 제2부지지링(201) 제조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내부 컵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단계를 추가할 경우에도, 이는 공정이 단순함으로, 전체 제조공정은 종래보다 단순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은,
첫째,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이하 '용기'라함.) 보다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즉, 종래에는 사용 시, 용기를 한 번 펼친 후, 또다시 제2부지지링(201)을 밀어 올려서 용기를 견고하게 한 후 사용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를 한 번 펼치면 사용가능한 견고한 용기가 되는 것이다.
둘째,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한 경우에는, 용기를 펼치기가 종래의 용기보다 용이하고, 외부 영향(온수 및 젓가락 사용 등에 따른 외부 충격)에 강한 내벽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첫째와 둘째에 따르면, 종래의 용기보다 소비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용기를 구현할 수 있다.
세째, 제조공정상 단순성의 이득이 있다. 즉, 종래의 제2부지지링(201)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보조내벽(111)의 제작이 추가되나 이는 제2부지지링(201) 제작 보다 단순함으로, 제조공정이 종래보다 단순해진다.
네째, 제조 시 경제성의 이득이 있다. 즉, 별도의 지지링제조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의 용기보다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다섯째, 상술한 세째와 네째의 효과에 따라, 종래의 용기보다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그 재질이 종이를 주요 대상으로 하지만, 본 발명이 그 재질을 종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이하의 설명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내부 컵의 옆면을, 제1부(1), 제2상부(22), 제2하부(21)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즉, 도2a는, 내부 컵의 옆면을, 제1부(1), 제2부(2)로 구분한 전개도이고, 도2b는, 상기 제2부(2)를 제2하부(21)와 제2상부(22)로 구분한 전개도이다. 도 2b의 옆면의 전개도에서 제1점선(51)과 제2점선(52)을 따라서 제2하부(21)가 하향부가 되 도록 옆면을 접고 제1접착부(56)를 제2접착부(57)와 접착한 후, 도2c의 밑면(50)의 접착부(53)를 일측으로 구부려서 도 2b의 밑면접착부(58)에 부착하면, 도3c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옆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종래의 컵라면 용기 보다 부피가 정도 축소된다.
상기 도2a의 전개도의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위의 과정을 거치면, 제1부(1)의 벽의 두께가 제2부(2)보다 두껍게 구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도2a 및 도2b의 전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의 상부에 컬링부를 구성할 부분(17')을 마련해 두고, 필요 시 컬링부(190)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불필요 시 제2부외벽(200)을 부착할 접착부로 이용해도 된다.
제2하부(21)에 가변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상기 가변수단은 주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구성없이, 상부와 하부를 잡아당겨 접혀진 컵이 펼쳐질 정도로 내벽의 두께 또는 재질(비닐, 플라스틱류 등 용이하게 접히거나 굽혀지는 물질)을 선택하여 구성한다면, 내벽의 두께 또는 재질 자체가 가변수단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가변수단으로 주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은 용기가 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되는데, 가로로 주름을 구성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재질이 종이인 경우에는, 주름과 종이의 두께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수단으로 가로로 주름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로로 주름을 넣을 수 있는 틀(이하 가로주름틀이라 함)을 이용한다. 도6a는 가로주름틀의 사시도이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로주름틀(24)과 하부가로주름틀(25) 사이에 제2하 부(21)를 끼우고 압착하면, 도6c와 같이 제2하부(21)에 가로로 다수의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재질이 종이인 경우에는, 정착제(묽은 풀 같은 물질)를 분무기로 뿜어서 제2하부(21)의 종이에 정착제가 스며들게 한 후 압착하면, 제2하부(21)가 건조된 후 가로주름이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변수단으로 가로로 주름을 구성하고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를, 도6c의 점선부분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제1부외벽(11)을 제작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1예는, 도4a에 도시한 제1부외벽(11)의 전개도에서 외형선을 제거하고 상부와 하부를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제1부(11)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면(12)(13)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착면(12)(13)은 외벽(11)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부(1)의 벽과 제1부외벽(11) 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유발한다. 세로 접착면(14)(15)을 서로 접착하면 도4b와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1부에 부착할 제1부외벽(11)이 된다.
제2예는 도13a에 도시한 제1부외벽(11)의 전개도에서 외형선의 외부와 절개선(101)을 구성하기 위한 외형선의 내부를 제거한 다음, 상부와 하부를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제1부(11)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면(12)(13)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착면(12)(13)은 외벽(11)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부(1)의 벽과 제1부외벽(11) 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유발한다. 세로 접착면(14)(15)을 서로 접착하면 도13b와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1부에 부착할 제1부외벽(11)이 되고, 상부에는 절개선(101) 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다소 신축성을 갖게 된다.
제3예는, 도5a에 도시한 전개도에서 외형선의 외부와 제2부외벽의 걸림턱(34)을 수용할 수용부(32)의 외형선(33)의 내부를 제거한 다음, 또는 도13c에 도시한 전개도에서 외형선의 외부와 제2부외벽의 걸림턱(34)을 수용할 수용부(32)의 외형선(33)의 내부, 절개선(101)을 구성하기 위한 외형선의 내부를 제거한 다음, 상부와 하부를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제1부(11)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면(12)(13)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착면(12)(13)은 외벽(11)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부(1)의 벽과 제1부외벽(11) 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층(5)은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유발한다. 세로 접착면(14)(15)을 서로 접착하면, 도5a의 경우에는, 도5b에 도시한 원뿔대 형태의 제1부에 부착할 제1부외벽(11)이 되는데, 상부에는 제2부외벽의 걸림턱(34)의 수용부(32)가 구성되어 있게 되고, 도13c의 경우에는, 도13d에 도시한 원뿔대 형태의 제1부에 부착할 제1부외벽(11)이 되는데, 상부에는 제2부외벽의 걸림턱(34)의 수용부(32)가 구성되어 있게 되고 절개선(101)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다소 신축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예 및 제3예에서, 절개선(101)은, 도13a 및 도13c의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를 만곡부(101)로 구성하면, 사용 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신축성이 있는 제2부외벽(200)을 제작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1예는, 도4c에 도시한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에서 외형선을 제거하고 상부 접착면(17)(17')은 제2상부(22)에 부착하기위한 접착면으로 이용하고, 접착면(17)의 상부(17')는 제2상부(22)에 접착한 후 외측으로 말아서, 필요 시 컬링부(190)를 구성할 부분이다.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의 하부는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돌출부(16)를 구성함으로써, 도3f, 도8c, 도12b, 도14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를 펼쳤을 때, 공기층(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유발하도록 한다. 세로 접착면(14)(15)을 서로 접착하면 도4d와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2상부에 부착할 제2부외벽(200)이 된다.
제2예는 도5c에 도시한 전개도에서 외형선의 외부와 제1부외벽(11) 상부의 걸림턱 수용부(32)에 수용될 걸림턱(34)이 될 외형선의 내부(35)를 제거한 다음, 상부 접착면(17)(17')은 제2상부(22)에 부착하기위한 접착면으로 이용하고, 접착면(17)의 상부(17')는 외측으로 말아서, 필요 시 컬링부(190)를 구성할 부분이다.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의 하부는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돌출부(16)를 구성함으로써, 도3f, 도8c, 도12b, 도14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를 펼쳤을 때, 공기층(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유발하도록 한다. 세로 접착면(14)(15)을 서로 접착하면 도5d와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2상부(22)에 부착할 제2부외벽(200)이 되는데, 하부에는 걸림턱(34)이 구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예와 제2예의 공통사항으로, 제2부외벽(200)에 신축성을 주어, 용기를 펼칠 시 펼침을 용이하게 하고, 제1부외벽(11)의 상단과 제2부외벽(200)의 하단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상부의 누르는 힘에 대한 제2부외벽(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음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실현하면 된 다.
첫째, 제2부외벽(200)에 주름(19)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세로주름틀(26)과 하부세로주름틀(27)의 사이에, 상기 제1예 또는 제2예의 제2부외벽(200)을 삽입한 후 상하로 압력을 가하면 된다. 상기 외벽(200)면의 하부를, 벽면에 대하여 내부로 다소의 경사를 주면, 상부의 힘에 대항하는 견고한 용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8a 및 도8b에 도시하였다. 상기 주름은 세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벽면을 따라 비스듬히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주름(19)은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0)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예 및 제2예의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인 도4c와 도5c를 각각 도10a와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선(100)을 추가하고 상기 제1예 및 제2예와 동일한 과정을 실현하면, 도10c 및 도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절개선(100)이 있는 제2부외벽(200)이 된다. 상기 하부는, 용기를 펼칠 시, 다소의 신축성을 갖게 된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제작 장치가 필요치 않으므로 제작의 간편성을 더할 수 있다. 상기 절개선(100)은 세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벽면을 따라 비스듬히 구성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 절개선(100)은, 도10a 및 도10b의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를 만곡부(또는 원형)(100)으로 구성하면, 사용 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부외벽(11)을 제1부(1)에 부착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즉, 도4b, 도5b, 도13b, 도13d와 같이 제작된 제1부외벽(11)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면(12)(13)을 이용하여 제1부(1)에 부착하면, 도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1)의 벽과 제1부외벽(11)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되며 제1부외벽(11)이 부착된다.(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에는, 도3i와 같이 보조내벽(111)의 벽과 제1부외벽(11)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은 사용 시 보온 및 단열효과를 있게 한다.
한편, 도5b 및 도13d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1부외벽(11) 상부에 제2부외벽 걸림턱(34) 수용부(32)가 있게 되며, 특히 도13d의 경우는 상부의 절개선(101)으로 인한 다소의 신축성이 있게 된다. 물론 도13b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부에 제2부외벽 걸림턱(34) 수용부(32)가 없지만, 상부의 절개선(101)으로 인한 다소의 신축성은 있게 된다.
제2부외벽(200)을 제2상부(22)에 부착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4d 또는 도5d와 같이, 신축성이 구현되지 않은 제2부외벽(200)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면(17)(17')을 이용하여 제2상부(22)에 부착시키면, 도3d 및 도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이 부착된다.
제2부외벽(200)으로 도4d를 선택하여 부착하는 경우는, 제1부외벽(11)으로 도4b 또는 도13b의 것 중 어느 하나가 제1부(1)에 부착되도록 하되, 도13b를 부착하는 것이, 도14b, 도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선(101)이 있어 용기를 펼치기가 용이하므로 더 바람직하다.
제2부외벽(200)으로, 하부에 걸림턱(34)이 구성되어 있는 도5d를 선택하여 부 착하는 경우는, 제1부외벽(11)으로, 걸림턱(34)의 수용부(32)가 구성되어 있는 도5b 또는 도13d의 것 중 어느 하나가 제1부(1)에 부착되도록 하되, 도13d를 부착하는 것이, 도14b 및 도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선(101)이 있어 용기를 펼치기가 용이하므로 더 바람직하다.
둘째, 도8a 및 도8b와 같이 제작된 제2부외벽(200)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면(17)(17')을 이용하여 제2상부(22)에 부착시키면, 도3d 및 도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이 부착되는데, 도9a, 도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벽(200)의 하부에는 주름이 있어 다소 신축성이 있게 되고, 내향으로 다소 경사가 있는 경우, 용기를 펼쳐서 사용할 시 상부의 누르는 힘에 잘 견디게 된다.
제2부외벽(200)으로, 하부에 걸림턱(34)이 구성되어 있는 도8b를 선택하여 부착하는 경우는, 제1부외벽(11)으로는 도5b의 것이 부착되도록 하여, 도9b, 도9d의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걸림턱(34)의 수용부(32)가 구성되어 있게 한다.
셋째, 도10c 및 도10d와 같이 제작된 제2부외벽(200)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면(17)(17')을 이용하여 제2상부(22)에 부착시키면, 도3d 및 도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이 부착되고, 도12a및 도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벽(200)의 하부에는 절개선(100)이 있으므로 다소 신축성이 있게 된다. 상기 하부에 내향으로 다소 경사를 두면, 용기를 펼쳐서 사용할 시 상부의 누르는 힘에 잘 견디게 된다.
제2부외벽(200)으로, 하부에 걸림턱(34)이 구성되어 있는 도10d를 선택하여 부 착하는 경우는, 제1부외벽(11)으로는 도5b의 것이 부착되도록 하여, 도12b, 도12d의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걸림턱(34)의 수용부(32)가 구성되어 있게 한다.
사용 시 용기를 펼치면, 제2부외벽(200)하부의 돌출부(16)는 내부 컵의 벽과 제2부외벽(200) 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되도록 하여 보온 단열의 효과가 있게 한다.
상술한 단계를 거쳐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제조된다.
한편, 상기 제조방법에,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면, 가변수단이 있는 제2부(2)를 제1부(1)보다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용기가 잘 펼쳐지면서, 온수가 주로 수용되는 제1부(1)는 그 두께가 제2부(2)보다 두껍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외부영향에 강한 내부 컵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도2d에 도시한 보조내벽(111)의 전개도의 외형선을 절취한 후, 도2a에 도시한 내부 컵의 옆면의 전개도의 제1부(1)에 부착시키면 된다. 그러면, 제1부(1)의 벽 두께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되어 있는 옆면의 전개도가 되고, 다음으로 옆면을 포개어 접으면, 당연히 제1부(1)의 벽 두께가 제2부(2)보다 두꺼운 내부 컵이 된다.
또 다른 방법은, 도2d에 도시한 보조내벽(111)의 전개도의 외형선을 절취한 후, 접착부(58)(59)를 접착하여 도2e 및 도2f와 같이 원뿔대 형태의 보조내벽(111)을 완성한 다음, 도3c의 접혀진 옆면(30)의 제1부(1)에 부착하여도 된다. 도3h는 옆면(30)이 포개어 접혀진 내벽의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을 부착한 단면도이다.
상기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도3h와 같은 내부 컵에, 본 발명에 따른 단계를 거쳐서 외벽(11)(200)을 부착하면, 도3i, 도3j, 도9c, 도12c, 도14c 등과 같은,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된다.
한편, 재질이 종이인 경우, 도3d, 도3i와 같이 제2부외벽(200)을 제2상부(22)에 부착한 후, 제2부외벽(200)의 상부(17')를 외측으로 말아서, 도3e, 도3j에 도시한 컬링부(190)를 구성함으로써 용기를 견고하게 하고, 사용 시 용기의 상단이 액체에 젖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내부 종이컵의 상부(17')와 제2부외벽(200)의 상부(17')를 접착한 후 외측으로 말아서 컬링부(190)를 구성하면, 내벽과 외벽이 일체가 되어 컬링부가 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용기가 된다.
상기 제조된 컵라면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건조라면(70), 스프(80)등과 유사한 식품, 예를 들면, 떡국용 떡, 누릉지 등 )을 내장하고 뚜껑(60)을 덮으면, 내용물이 내장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되는 것이다. 도9a 및 도12a는,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신축성을 구현한 경우, 도14a 및 도14c는,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신축성을 구현한 경우, 또한 도12c와 도14c는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 내용물을 내장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내용물이 내장된 용기의 경우, 사용 시에는 상부(20)의 뚜껑(60)을 개봉하고 상부(20)와 하부(10)를 잡아당기면, 제2하부(21)의 하향부의 가변수단으로 인하여 용기가 펼쳐지며, 제2부외벽(200)이 제1부외벽(11)의 상단에 걸쳐져서, 견고한 컵라면 용기가 완성이 된다. 특히, 제2부(2)가 제1부(1)보다 두께가 얇게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 시, 용기가 잘 펼쳐진다.
도3f, 도8c, 도12b, 도12d, 도14b, 도14d 등의 점선의 원은, 제2부외벽(200)의 하부의 걸림턱(34)이 제1부외벽(11) 상단 수용부(32)에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이 경우에는 외부의 강한 힘에 견디는 용기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내부에는 건조라면(70)과 수프(80)가 들어 있는 경우 온수를 부어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1a는 종래의 컵라면 용기의 단면도.
도1b는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접혀진 단면도.
도1c는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를 펼친 단면도.
도2a는 제1점선(51)이 있는 내벽의 전개도.
도2b는 제1점선(51)과 제2점선(52)이 있는 내벽의 전개도.
도2c는 밑면의 전개도.
도2d는 보조내벽(111)의 전개도.
도2e는 보조내벽(111)의 단면도.
도2f는 보조내벽(111)의 사시도.
도3a는 제1점선(51)이 있는 내벽의 단면도
도3b는 제1점선(51)과 제2점선(52)이 있는 내벽의 단면도
도3c는 제1부(1),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포개 접어 부피를 축소한 내벽의 단면도.
도3d는 부피가 축소된 내벽에 제1부외벽(11)과 제2부외벽(200)을 부착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3e는 상부에 컬링부(190)를 구성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3f는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3g는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고 뚜껑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3h는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 제1부(1),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포개 접어 부피를 축소한 내벽의 단면도.
도3i는 도3h의 내벽에, 제1부외벽(11)과 제2부외벽(200)을 부착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3j는 도3i에서 상부에 컬링부(190)를 구성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3k는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3l은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고 뚜껑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4a는 제1부외벽(11)의 전개도.
도4b는 도4a에 따라 제작된, 제1부외벽(11)의 단면도.
도4c는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
도4d는 도4c에 따라 제작된, 제2부외벽(200)의 단면도.
도5a는 상부에 걸림턱 수용부(32)가 있는 제1부외벽(11)의 전개도.
도5b는 도5a에 따라 제작된 제1부외벽(11)의 단면도.
도5c는 하부에 걸림턱(34)이 구성된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
도5d는 도5c에 따라 제작된 제2부외벽(200)의 단면도.
도6a는 가로주름틀의 사시도.
도6b는 제2하부(21)에 가로주름을 넣는 내부 컵의 단면도.
도6c는 제2하부(21)에 가로주름이 구성된 내부 컵의 단면도.
도7a는 제2부외벽(200)에 세로주름을 넣는 단면도.
도7b는 도7a의 세로주름틀의 AA'선 절단면도.
도8a는 하부에 세로주름과 경사가 구성된 제2부외벽(200)의 부분단면도.
도8b는 하부에 세로주름과 경사 및 걸림턱(34)이 구성된 제2부외벽(200)의 부 분단면도.
도8c는 도8a 또는 도8b의 제2부외벽(200)을 부착하고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8d는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 도8a 또는 도8b의 제2부외벽(200)을 부착하고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9a는 제2부외벽(200)에 세로주름 및 걸림턱을 구성한 경우,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고 뚜껑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도9b는 상기 도 9a에서 뚜껑을 열고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도9c는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되고 제2부외벽(200)에 세로주름 및 걸림턱을 구성한 경우,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고 뚜껑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도9d는 상기 도9c에서 뚜껑을 열고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도10a는 하부에 절개선(100)이 구성된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
도10b는 하부에 걸림턱(34)과 절개선(100)이 구성된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
도10c는 도10a에 따라 제작된 제2부외벽(200)의 부분단면도.
도10d는 도10b에 따라 제작된 제2부외벽(200)의 부분단면도.
도11a는 펼쳐진 용기의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계된 경우, 용기를 펼칠 시,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걸려진 단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11b는 하부에 절개선(100)이 구성된 제2부외벽(200)이,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지나면서 외향으로 변형되는, 도 11a의 점선부분 상세도.
도11c는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절개선(101)이 구성된 경우,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지날 시, 상기 상부가 내향으로 변형되는, 도 11a의 점선부분 상세도.
도11d는 도11a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11e는 도11b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11f는 도11c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12a는 절개선(100)이 있는 제2부외벽(200)을 부착하고, 내용물을 내장하여 뚜껑(60)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도12b는 상기 도12a에서 뚜껑(60)을 열고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12c는 도12a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12d는 도12b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13a는 상부에 절개선(101)이 있는 제1부외벽(11)의 전개도.
도13b는 도13a에 따라 제작된, 제1부외벽(11)의 단면도.
도13c는 상부에 절개선(101)과 걸림턱 수용부(32)가 있는 제1부외벽(11)의 전개도.
도13d는 도13c에 따라 제작된, 제1부외벽(11)의 단면도.
도14a는 절개선(101)이 있는 제1부외벽(11)을 부착하고, 내용물을 내장하여 뚜껑(60)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도14b는 상기 도14a에서 뚜껑(60)을 열고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14c는 도14a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부분단도.
도14d는 도14b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부(도2a에서 옆면의 하부) 2. 제2부(도2a에서 옆면의 상부)
5,5'. 공기층 10. 하부
20. 상부 11. 제1부외벽.
12, 13, 17 접착면 16.돌출부
14, 15 세로접착면 21. 제2하부.
22. 제2상부. 30.옆면
32. 걸림턱 수용부. 34. 걸림턱.
50. 밑면. 60. 뚜껑.
70. 건조라면 80. 스프
100. 101. 절개선 111. 보조내벽
200. 제2부외벽. 221. 제2상부외벽.

Claims (14)

  1.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30)을 하부(10)로부터 상부(20)로 제1부(1), 제2부(2)로 구분,
    상기 제2부(2)를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된 내부 컵과,
    상기 제2하부(21)는 가변부이고,
    제1부(1)에 부착된 제1부외벽(11)과,
    제2상부(22)에 제2부외벽(200)이 부착되며,
    상기 제2부외벽(200)은 신축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2부외벽(200)에 주름 또는 절개선을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여 신축성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컵의 제1부(1)의 벽의 두께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내부 컵의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되어, 제1부(1)의 벽의 두께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5.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30)을 하부(10)로부터 상부(20)로 제1부(1), 제2부(2)로 구분,
    상기 제2부(2)를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된 내부 컵과,
    상기 제2하부(21)는 가변부이고,
    제1부(1)에 부착된 제1부외벽(11)과,
    제2상부(22)에 제2부외벽(200)이 부착되며,
    상기 제1부외벽(11)에 신축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제1부외벽(11)에 절개선을 구성하여 신축성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제2하부(21)에 가변수단으로 주름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제1부외벽(11)과 제2부외벽(200)을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제1부외벽(11)과 제2부외벽(200)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걸림턱(凸부)과 그 수용부(凹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11.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을, 제1부(1), 제2상부(22), 제2하부(21)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는 단계,
    제2하부(21)에 가변수단을 구비하는 단계,
    제1부외벽(11)을 제작하는 단계,
    신축성이 있는 제2부외벽(200)을 제작하는 단계,
    제1부외벽(11)을 제1부(1)에 부착하는 단계,
    제2부외벽(200)을 제2상부(22)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제조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1020080129156A 2008-12-18 2008-12-18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KR20100070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156A KR20100070562A (ko) 2008-12-18 2008-12-18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156A KR20100070562A (ko) 2008-12-18 2008-12-18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62A true KR20100070562A (ko) 2010-06-28

Family

ID=4236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156A KR20100070562A (ko) 2008-12-18 2008-12-18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05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78B1 (ko) * 2010-08-16 2013-01-29 변동환 접이식 컵라면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78B1 (ko) * 2010-08-16 2013-01-29 변동환 접이식 컵라면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2927A (ko) 내벽과 외벽을 구비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95621B1 (ko) 펼침가능 박스
RU2225154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фе или аналогичных напитков
KR20100070562A (ko)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JP2007534564A5 (ko)
KR20110068506A (ko) 찌그러짐 방지 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용기 및 제조방법
KR20080112913A (ko) 부분적으로 두께가 다른 내벽을 구비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및 그 제조방법.
KR20080112903A (ko) 외벽을 구비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3727270B2 (ja) 支持具付抽出バッグ、被抽出材料収容支持具付抽出バッグ、及びそれらの製造用シート複合体
US20060222738A1 (en) Package for draining an infusion bag
JP2004024763A (ja) 濾過具
KR20130000820U (ko) 식품포장용 용기
KR19980059445U (ko) 절첩되는 일회용 종이컵
KR20130006841U (ko)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JP2005296213A (ja) ドリッパー
JP3201887U (ja) 飲料抽出バッグ
KR101235120B1 (ko) 신축형 용기
JP3508851B2 (ja) コーヒー等の濾過器
JP3672402B2 (ja) コーヒー抽出バッグ
KR20070031358A (ko) 지지링 고정수단이 구비된 외벽과 지지링과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533774B1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JPH09131263A (ja) 支持具付嗜好性飲料バッグ
JP5760477B2 (ja) ドリッパー
CN212448727U (zh) 一种便于携带干货的新型瓶袋
CN216070983U (zh) 盲盒及盲盒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