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920U -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920U
KR20120004920U KR2020100013501U KR20100013501U KR20120004920U KR 20120004920 U KR20120004920 U KR 20120004920U KR 2020100013501 U KR2020100013501 U KR 2020100013501U KR 20100013501 U KR20100013501 U KR 20100013501U KR 20120004920 U KR20120004920 U KR 201200049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astening
fastener
groo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117Y1 (ko
Inventor
황영석
Original Assignee
황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석 filed Critical 황영석
Priority to KR2020100013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11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9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1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85Joining sheets or plates to 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관(P)에 삽입되고, 일측면에 너트(N)가 삽입되는 안착홈(12)이 형성되는 고정구본체(10);상기 고정구본체(10)의 일단부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위치조절부재(20);상기 원형관(P)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구본체(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편(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고정부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위치조절부재에 의해 관재에 인입된 너트의 방향조정이 가능하면서도, 안착홈과 직교하게 형성된 탄성편이 고정구본체를 기울어짐 없이 정위치에 고정되어 신속한 체결작업이 가능하고, 너트와 안착홈 사이의 헐거운 끼움공차가 체결 오차를 보정해주어 체결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가 있다.

Description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Nut fixing device for Pipe connection}
본 고안은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볼트체결을 위해 관재 내측에 삽설되는 너트의 삽입깊이 및 방향을 외부에서 간편하게 조절하는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내부가 빈 중공의 관재는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우수하여 문틀, 도어손잡이, 난간을 포함하는 골조프레임으로 널리 사용된다. 골조프레임으로 사용되는 관재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바, 용접고정시 추후 분리가 불가능하고, 또 용접후 연결부를 매끈하게 하기 가공하기 위한 연마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주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예컨대, 관재를 나사결합으로 체결시 일단에 볼트 또는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관재 내측으로 너트를 삽설한 후 외부에서 볼트를 나사결합하고 있지만, 이때 관재 내측에 삽설된 너트의 삽입깊이 및 방향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프레임골조용 나사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실용신안공개 제20-1997-42379호에서 프레임골조의 걸림턱을 가진 요입안내홈에 끼워져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너트의 하면에 탄편을 부설한 것으로, 탄편이 프레임골조의 내벽에 밀착되어 체결위치에 따라 너트의 삽입깊이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너트의 삽입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나, 너트가 프레임골조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프레임골조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이동이 제한되는 전용성 부품이므로, 원형관에 적용시 외부에서 너트의 삽입깊이 및 방향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원형 단면을 가진 관재 체결용으로 적용시 너트가 관재 일측으로 편중되는 미세한 오차에도 나사홈과 볼트의 중심이 불일치하여 체결불량으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원형관에 삽입되는 너트의 삽입깊이와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나사체결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되고, 또 체결과정에서의 나사홈과 볼트의 중심이 불일치하는 미세한 오차로 인한 체결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볼트(B)와 너트(N)의 나사결합에 의해 원형관(P)을 고정하는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원형관(P)의 내주면과 미끄럼운동되는 슬라이드면(11)이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고, 측면에 너트(N)가 수용되는 안착홈(12)이 형성되는 고정구본체(10);
상기 고정구본체(10)의 일단부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고, 육각렌치 및 소켓렌치,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회동공구(T)가 체결되는 위치조절부재(20); 및
상기 원형관(P)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고정구본체(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편(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너트(N)는 안착홈(12)상에 헐거운 끼움공차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재(20)는 각봉, 각홈 또는 +, -형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30)은 안착홈(12)과 직교하는 고정구본체(10) 양단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원형관에 삽설된 고정구본체가 탄성편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방항조절부재에 의해 외부에서 삽입깊이 및 방향조절이 용이함에 따라 원형관 외부에서 너트를 볼트체결위치와 간편하게 일치시켜 조립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 탄성편이 안착홈과 직교하는 고정구본체 양단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어 원형관에 삽설시 너트가 자연스럽게 원형관의 중심과 일치되고, 또 너트가 안착홈에 삽입된 상태로 헐꺼운 끼움공차에 의해 위치이동됨에 따라 볼트를 체결하는 중에 너트와 중심이 불일치하더라도 너트가 정위치로 미세이동하여 체결오차가 보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의 적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가 걸림지지편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가 위치조절부재에 의해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4는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부착구조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볼트(B)와 너트(N)의 나사결합에 의해 원형관(P)을 고정하는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에 관련되며, 이때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는 너트(N)를 수용한 상태로 원형관(P)에 삽설되어 깊이 및 방향조절이 용이하도록 고정구본체(10), 위치조절부재(20), 탄성편(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본체(10)는 원형관(P)의 내주면과 미끄럼운동되는 슬라이드면(11)이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고, 측면에 너트(N)가 수용되는 안착홈(12)이 형성된다. 고정구본체(10)는 양단에 후술하는 탄성편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각봉형태로 형성되되, 각각의 모서리부분에 슬라이드면(11)이 형성되어 원형관의 내주면과 국부적으로 면접된다. (도 3b는 슬라이드면이 4개소에서 원형관의 내주면과 면접된 상태를 도시함)
이때, 슬라이드면(11)은 원형관(P)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면접되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고정구본체(10)가 원형관(P) 내주면을 타고 미끄럼이송시 좌우유동이 방지된다.
또, 고정구본체(10)는 측면에 안착홈(12)이 형성되는바, 안착홈(12)은 너트(N)가 수용된 상태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너트(N)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형성된다. 그리고 너트(N)와 헐거운 끼움공차(예컨대, 1~3mm 공차)로 가공되어 너트(N)의 미세위치이동을 허용함에 따라 원형관(P)을 체결하는 중에 볼트(B)와 너트(N)의 중심이 불일치하더라도 너트(N)가 안착홈(12)상에서 미세 위치이동하여 중심을 찾아가므로 나사결합에 따른 체결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20)는 고정구본체(10)의 일단부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고, 육각렌치 및 소켓렌치,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회동공구(T)가 체결된다. 위치조절부재(20)는 각봉, 각홈 또는 +, -형 홈으로 형성되고, 회동공구(T)의 초기진입이 용이하도록 진입구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너트(N)가 수용된 고정구본체(10)를 원형관(P)에 삽입한 상태로 외부에서 육각렌치 및 소켓렌치,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회동공구(T)를 위치조절부재(20)에 결속하여 밀거나 선회시킴으로 너트(N)의 삽입깊이 및 방향이 간편하게 조절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탄성편(30)은 원형관(P)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고정구본체(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탄성편(30)은 일단이 고정구본체(10)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일단이 경사각으로 돌출되며, 도 3a에서는 한쌍이 1조로 고정구본체(10) 양단에 각각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고정구본체(10)를 원형관(P)에 삽입시 탄성편(30)이 탄성변형에 의해 휘어지면서 단부가 원형관(P)의 내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고정구본체(10)가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때, 탄성편(30)은 안착홈(12)과 직교하는 고정구본체(10) 양단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된다. 탄성편(30)은 고정구본체(10)의 양단에 대칭되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고정구본체(10)의 양단에서 원형관(P) 내주면을 동일한 힘으로 탄지함에 따라 원형관(P)에 삽입된 고정구본체(10)가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원형관(P)의 중심과 일치되어 볼트(B)와 너트(N)의 중심 불일치로 인한 체결불량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도어손잡이는 원형관(P)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볼트(B)를 체결하기 위한 관통공이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된다. 도어손잡이를 도어상에 체결함에 있어, 먼저 안착홈(12)에 너트(N)가 수용된 고정구본체(10)를 도어손잡이 내측으로 삽입한 후, 회동공구(T)를 위치조절부재(20)에 끼우고 너트(N)가 관통공과 일치되도록 삽입깊이 및 방향을 조절한다. 이어서 회동공구(T)를 분리하면 고정구본체(10)가 탄성편(30)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고정되고, 이어서 도어와 연결된 볼트(B)를 관통공으로 삽입하여 너트(N)와 나사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고정구본체(10)의 초기 위치설정에 의해 관통공과 너트(N)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볼트(B)가 관통공으로 진입하여 나사결합되는 중에 너트(N)의 위치가 안착홈상에서 미세조절되어 정위치에 고정된다.
10: 고정구본체 11: 슬라이드면 12: 안착홈
13: 보조홈 20: 방향조정구 30: 탄성편
P: 원형관 B: 볼트 N: 너트

Claims (4)

  1. 볼트(B)와 너트(N)의 나사결합에 의해 원형관(P)을 고정하는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원형관(P)의 내주면과 미끄럼운동되는 슬라이드면(11)이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고, 측면에 너트(N)가 수용되는 안착홈(12)이 형성되는 고정구본체(10);
    상기 고정구본체(10)의 일단부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고, 육각렌치 및 소켓렌치,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회동공구(T)가 체결되는 위치조절부재(20); 및
    상기 원형관(P)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고정구본체(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편(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N)는 안착홈(12)상에 헐거운 끼움공차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20)는 각봉, 각홈 또는 +, -형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30)은 안착홈(12)과 직교하는 고정구본체(10) 양단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KR2020100013501U 2010-12-28 2010-12-28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KR200462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01U KR200462117Y1 (ko) 2010-12-28 2010-12-28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01U KR200462117Y1 (ko) 2010-12-28 2010-12-28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20U true KR20120004920U (ko) 2012-07-06
KR200462117Y1 KR200462117Y1 (ko) 2012-08-27

Family

ID=4685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501U KR200462117Y1 (ko) 2010-12-28 2010-12-28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1866A1 (de) * 2020-01-30 2021-08-05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Längseinsteller und fahrzeugsitz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284B1 (ko) 2017-01-31 2018-07-24 조성진 중공부재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317A (en) 1976-09-20 1978-11-07 Metalworks Limited Coupling means
JP4237029B2 (ja) 2003-10-29 2009-03-11 矢崎化工株式会社 パイプ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1866A1 (de) * 2020-01-30 2021-08-05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Längseinsteller und fahrzeugsi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117Y1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4896B2 (ja) 異形断面材レール用のホルダ
KR101398314B1 (ko) 배관결속전용의 클램프
US20120308328A1 (en) Fastening tool
KR101450161B1 (ko) 클램핑 요소
KR20040041688A (ko) 연결구
CN108350916B (zh) 用于装配轨的连接组件
SK144995A3 (en) Arrangement of joint
KR200462117Y1 (ko)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KR200432250Y1 (ko)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
JP2009144809A (ja) 管体継ぎ手用クランプ
JP4551777B2 (ja) 分岐管継ぎ手の固定装置
JP2012082658A (ja) 壁つなぎ取付金具
EP2336474B1 (en) A clip
JP5433119B2 (ja) 配設体支持具
KR20070047741A (ko)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JP2013174054A (ja) 屋根上取付具
JP5248817B2 (ja) 鉄筋とセパレータの接合金具
KR100967083B1 (ko) 편측 조임용 볼트넛
JP2004263789A (ja) 単管パイプの伸縮ジョイント構造
US20050055809A1 (en) Fastening element
RU1917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ания крепежных деталей
CN101802333A (zh) 用于将配件固定在空心型材上的系统
JP3114414U (ja) 壁つなぎ取付具
JP5760211B1 (ja) C形鋼用取付具
CN217152596U (zh) 一种双向螺纹紧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