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671A - 정량 배출용기 - Google Patents

정량 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671A
KR20120004671A KR1020100065295A KR20100065295A KR20120004671A KR 20120004671 A KR20120004671 A KR 20120004671A KR 1020100065295 A KR1020100065295 A KR 1020100065295A KR 20100065295 A KR20100065295 A KR 20100065295A KR 20120004671 A KR20120004671 A KR 20120004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raw
container body
contents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306B1 (ko
Inventor
박헌호
Original Assignee
박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호 filed Critical 박헌호
Priority to KR1020100065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3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1Supporting means fixed to the contai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28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stationary measuring chambers having constant volume during measur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청결제나 양념 또는 의약품 등의 액상 내용물을 정해진 량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몸체의 하부에 정량수용부를 형성하고, 그 용기몸체의 개구부에는 별도의 용기마개를 결합하되, 용기마개의 하측으로는 용기마개의 토출구와 연결된 스트로우 및 그 스트로우의 하단에 형성된 확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정량수용부에 채워진 내용물만이 스트로우를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량수용부 내에 담겨진 량의 내용물만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항상 동일한 량으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고, 용기를 바로 세우기만 하면 정량수용부의 내측으로 자동으로 내용물이 흘러들어가 채워져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별도의 조작이나 작동 없이도 연속 반복적인 배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대량 생산에 적합하면서도 내용물을 리필하여 용기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양념류 또는 의약품 등과 같이 항상 정량만을 사용하거나 복용하여야 하는 액상의 내용물의 경우에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정량 배출용기 {Receptacle for discharging required quantity}
본 발명은 구강청결제나 양념 또는 의약품 등의 액상 내용물을 정해진 량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몸체의 하부에 정량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정량수용부에는 용기마개와 연결된 스트로우의 하단 확장부가 삽입되게 구성하여, 상기의 정량수용부에 채워진 상태의 내용물만이 스트로우를 통해 용기의 마개 배출구를 통해 정확한 량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청결제의 경우 한 모금 정도의 양을 입에 넣고 수십 초 동안 머금어 구강 및 입속의 청결을 도모하고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구강청결제는 한 번에 모든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십 회에 걸쳐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므로 용기에 입을 대고 바로 사용하게 되면 입안의 침이나 이물질 등이 용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는 용기의 뚜껑에 내용물을 부어 이를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용물의 사용방식은 비단 구강청결제뿐만 아니라 간장이나 식초와 같은 양념류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고, 액상의 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에도 동일한 방식으로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는 것이며, 일부 의약품이나 음료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방식은 많은 량의 내용물을 여러 번 나누어 음용하거나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이어서, 일시에 많은 량의 내용물이 과다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용물의 입구나 용기 내에 잔류하게 될 내용물에 이물질이나 오염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계량 및 청결 사용법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계량 용기의 경우 계량컵의 역할을 하는 뚜껑으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부어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내용물의 배출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용기의 배출구가 매우 큰 내경을 갖고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인데, 이와 같은 용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과다하게 많은 량의 내용물이 일시에 쏟아지면서 뚜껑을 넘쳐 흘려 낭비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매우 비경제적인 것이다.
더욱이, 상기의 뚜껑을 이용하여 계량하고자 하는 경우 용기가 작고 가벼운 경우에는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이나, 액체 세제나 섬유 유연제와 같이 용기가 크고 무거운 경우에는 뚜껑으로 내용물을 쏟아 계량하는 과정이 매우 힘이 들고 무거워 대부분 뚜껑이 넘치도록 내용물을 쏟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과다 사용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간장이나 참기름 또는 들기름과 같은 액상 양념이나 장류에도 상기와 같은 계량 용기가 일부 적용된 바 있으나, 사용상의 불편함이 크고 효과적인 계량도 이루어지지 못하여 그대로 사장된 경우가 있었으며, 의약품과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정량을 지켜 복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계량 용기를 따로 구매 및 휴대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과도한 경제적인 지출은 물론 휴대의 불편함과 동시에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매우 큰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용기몸체의 하부에 정량수용부를 형성하고, 그 용기몸체의 개구부에는 별도의 용기마개를 결합하되, 용기마개의 하측으로는 용기마개의 토출구와 연결된 스트로우 및 그 스트로우의 하단에 형성된 확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정량수용부에 채워진 내용물만이 스트로우를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되고 있던 용기에 대한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정량 배출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용기몸체의 하부에 정량수용부를 형성하고, 그 용기몸체의 상부에는 별도의 용기마개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용기마개의 하측에는 용기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스트로우를 결합 형성하되, 스트로우의 선단은 용기마개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고, 스트로우의 하단에는 유입홈을 갖는 확장부를 형성하여 그 확장부가 정량수용부에 삽입되게 구성함으로써,
용기몸체가 세워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정량수용부의 내측으로 유입홈을 통해 채워지도록 하고, 용기몸체가 기울어지는 동시에 정량수용부 내의 내용물이 스트로우를 따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량수용부 내에 담겨진 량의 내용물만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항상 동일한 량으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고, 용기를 바로 세우기만 하면 정량수용부의 내측으로 자동으로 내용물이 흘러들어가 채워져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별도의 조작이나 작동 없이도 연속 반복적인 배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대량 생산에 적합하면서도 내용물을 리필하여 용기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특히, 양념류 또는 의약품 등과 같이 항상 정량만을 사용하거나 복용하여야 하는 액상의 내용물의 경우에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의 전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에 내용물이 충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용기는, 내용물이 채워지는 용기몸체(10)와 그 용기몸체(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용기마개(20) 및 용기마개(20)의 하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용기몸체(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트로우(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용기몸체(10)의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하부받침대(40)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용기몸체(1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거나 유리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상측의 개구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하측으로는 용기몸체(10) 보다 작은 내부 체적을 갖는 정량수용부(11)가 일체로 축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의 정량수용부(11) 상측으로는 상기 용기몸체(10)의 내부와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용기마개(20)는 일반적인 원터치식 마개와 동일한 것인데, 용기몸체(10)의 선단에 통상적인 구성과 같이 나사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고, 상부 중앙에는 수직 관통의 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마개(20)의 상측으로는 저면에 끼움구(22)를 갖는 원터치덮개(23)가 일측 힌지 결합 형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상기 원터치덮개(23)의 끼움구(22)가 배출구(21)로 삽입되게 함에 따라 배출구(21)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원터치덮개(23)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그 배출구(21)가 개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의 용기마개(20) 저면에는 스트로우(30)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나사체결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스트로우(30)는 선단에 나사결합부(33)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확장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나사결합부(33)는 용기마개(20)의 나사체결부(24)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고, 하단의 확장부(32)는 정량수용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용기몸체(10)의 내부와 정량수용부(11)의 내부를 서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확장부(32)의 외면에는 수직의 유입홈(31)이 사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어 결국 용기몸체(10)의 내용물은 유입홈(31)을 통하는 제한적인 경로로만 정량수용부(11)의 내측으로 흘러들어가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마개(20)의 하측 나사체결부(24)에 스트로우(30) 상측의 나사결합부(33)를 서로 나사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용기마개(20)를 용기몸체(10)의 상측에 결합하면 되는 것인데, 이때의 스트로우(30) 하단의 확장부(32)는 용기몸체(10)의 정량수용부(11) 상측을 통해 내측 밀착상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용기몸체(10)의 내부에 각종 내용물을 채워넣게 되면 그 내용물은 용기몸체(10)의 내부에 채워짐과 동시에 하부의 정량수용부(11)의 내측으로도 스트로우(30)의 유입홈(31)을 통해 흘러들어가 도 5의 도시와 같이 일정량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용기마개(20)의 배출구(21)는 원터치덮개(23)의 끼움구(22)에 의해 밀폐상태가 이루어져 있어 결국 상기 스트로우(30)의 내부 공간에는 정량수용부(11)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소정의 공기압을 형성하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스트로우(30) 내부의 공기압은 정령수용부(11)의 내측으로 과도하게 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원터치덮개(23)를 개방시켜 용기몸체(10)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정량수용부(11)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이 확장부(32)와 스트로우(30) 및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에 의해 용기몸체(10)의 바닥부 및 정량수용부(11)의 내측으로는 공기층이 형성될 것이므로 정량수용부(11)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 이외의 내용물이 추가로 배출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량수용부(11) 내의 내용물이 배출된 상태에서 기울어진 용기몸체(10)를 다시 똑바로 세워놓게 되면 용기몸체(10)의 내용물은 유입홈(31)을 통해 다시 정량수용부(11)의 내측으로 흘러들어가 정량수용부(11)를 채우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스트로우(30)는 전기한 바와 같이 용기마개(20)의 저면으로부터 나사 결합구조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스트로우(30)를 용기마개(20)로부터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그 스트로우(30)는 상,하 방향으로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될 것인데, 이와 같은 스트로우(30)의 상,하 승강작용은 결국 하단의 확장부(32)가 정량수용부(11)의 내측으로 깊숙이 삽입되거나 상측으로 상승하는 결과를 얻게 되므로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정량수용부(11) 내의 체적을 가변시켜 정량수용부(11) 내의 내용물에 대한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용기몸체(10) 하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하부받침대(40)는, 상부가 개방된 합성수지 사출물로서, 용기몸체(10)의 하부에는 축소 형상의 정량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수 형상의 정량수용부(11)에 의해 용기몸체(11)에 대한 자립도가 떨어질 것이 자명하여 상기의 용기몸체(10)와 동일한 외경으로 된 별도의 하부받침대(40)를 결합 사용함에 따라 용기에 대한 자립도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의 용기몸체(10)와 하부받침대(40)는 나사 체결이나 언더컷에 의한 록킹방식 또는 회전 걸림턱에 의한 구조 등 서로 분리된 두 개의 개체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공지의 결합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용기몸체 11 : 정량수용부
20 : 용기마개 21 : 배출구
22 : 끼움구 23 : 원터치덮개
24 : 나사체결부
30 : 스트로우 31 : 유입홈
32 : 확장부 33 : 나사결합부
40 : 하부받침대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용기몸체(10)의 하부에 서로 연통된 정량수용부(11)를 형성하고, 그 용기몸체(10)의 상부에는 별도의 용기마개(2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용기마개(20)의 하측에는 용기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스트로우(30)를 결합 형성하되,
    스트로우(30)의 선단은 용기마개(20)에 형성된 배출구(21)와 연통되게 하고, 스트로우(30)의 하단에는 유입홈(31)을 갖는 확장부(32)를 형성하여 그 확장부(32)가 정량수용부(11)에 삽입되게 구성함으로써,
    용기몸체(10)가 세워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정량수용부(11)의 내측으로 유입홈(31)을 통해 채워지도록 하고, 용기몸체(10)가 기울어짐에 따라 정량수용부(11) 내의 내용물이 스트로우(30)를 따라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용기마개(20)는 배출구(21)로부터 삽탈되는 끼움구(22)가 저면에 형성된 원터치덮개(23)를 일체로 힌지 결합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용기마개(20)의 저면에는 나사체결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스트로우(30)의 선단에는 그 나사체결부(24)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33)를 형성하여, 나사체결부(23)와 나사결합부(33)의 상호 나사 회전에 의해 서로 결합 및 스트로우(30)에 대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로우(30)의 확장부(32)는 정량수용부(11)의 상부 내측으로 밀착 삽입되게 하여, 확장부(32)에 형성된 사방의 유입홈(31)을 통해 용기몸체(10) 내의 내용물이 정량수용부(11)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용기몸체(10)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정량수용부(11)가 위치되게 한 별도의 하부받침대(40)를 결합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용기.
KR1020100065295A 2010-07-07 2010-07-07 정량 배출용기 KR10114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95A KR101142306B1 (ko) 2010-07-07 2010-07-07 정량 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95A KR101142306B1 (ko) 2010-07-07 2010-07-07 정량 배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71A true KR20120004671A (ko) 2012-01-13
KR101142306B1 KR101142306B1 (ko) 2012-05-17

Family

ID=4561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295A KR101142306B1 (ko) 2010-07-07 2010-07-07 정량 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3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94B1 (ko) * 2013-10-24 2014-09-26 씨코리아(주) 세제 정량 투입기
KR101469048B1 (ko) * 2012-11-01 2014-12-05 이은혁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
KR101516809B1 (ko) * 2013-11-05 2015-05-04 (주)아이디플라텍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말 저장용기
WO2015069025A1 (ko) * 2013-11-05 2015-05-14 (주)아이디플라텍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말 저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14B1 (ko) * 2013-10-28 2014-11-03 박헌호 용이한 토출구조를 갖는 정량 배출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953B1 (ko) * 2004-09-02 2006-09-19 구재림 분체 정량 배출용기
JP4953358B2 (ja) * 2006-10-30 2012-06-1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48B1 (ko) * 2012-11-01 2014-12-05 이은혁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
KR101444894B1 (ko) * 2013-10-24 2014-09-26 씨코리아(주) 세제 정량 투입기
KR101516809B1 (ko) * 2013-11-05 2015-05-04 (주)아이디플라텍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말 저장용기
WO2015069025A1 (ko) * 2013-11-05 2015-05-14 (주)아이디플라텍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말 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306B1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306B1 (ko) 정량 배출용기
US5261569A (en) Squeezable container for liquid material having a detachable measuring cap
JP2007099322A (ja) 計量カップと該計量カップ装着容器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KR200376734Y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JP2007168854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398033Y1 (ko) 정량 배출 용기
KR200462617Y1 (ko)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JP4684648B2 (ja) 液体計量注出容器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KR101196302B1 (ko)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JP4998812B1 (ja) 洗剤用の壁面設置容器
KR20110060594A (ko) 물약병
JP3753230B2 (ja) 計量栓付き容器
JPH0213314Y2 (ko)
KR101456114B1 (ko) 용이한 토출구조를 갖는 정량 배출용기
US20010035436A1 (en) Double opening container
KR100659786B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KR10217831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KR200282211Y1 (ko) 페트병
KR20130130910A (ko)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KR200354366Y1 (ko) 공기 유입이 원활한 음료용 팩
JP5373554B2 (ja) 注出栓
KR200449211Y1 (ko) 과실주 용기용 과실 걸름 장치
KR20100011670U (ko) 공기순환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