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670U - 공기순환 물통 - Google Patents

공기순환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670U
KR20100011670U KR2020090006201U KR20090006201U KR20100011670U KR 20100011670 U KR20100011670 U KR 20100011670U KR 2020090006201 U KR2020090006201 U KR 2020090006201U KR 20090006201 U KR20090006201 U KR 20090006201U KR 20100011670 U KR20100011670 U KR 201000116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inlet
bucket
flow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섭
Original Assignee
심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용섭 filed Critical 심용섭
Priority to KR2020090006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670U/ko
Publication of KR20100011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6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순환 물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나 유류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관 및 사용하는 물통에서, 물이 물통 내부로 유입된 후 배출되는 과정 중에 물이 물통 내부에서 외부로 출렁거리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순환 물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은,
물이 유입과 배출되는 통로인 입구가 상부에 구비된 채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상기 입구의 일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몸체를 휴대 이동 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입구는, 상기 물이 상기 몸체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물유동구와, 상기 물유동구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동구와, 상기 공기유동구와 물유동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공기유동구와 연결형성된 채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몸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공기유동관을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 물, 입구, 물유동구, 공기유동구, 이격판, 물배출기, 손잡이

Description

공기순환 물통{AIR SUPPLY WATER PAIL}
본 고안은 공기순환 물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나 유류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관 및 사용하는 물통에서, 물이 물통 내부로 유입된 후 배출되는 과정 중에 물이 물통 내부에서 외부로 출렁거리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순환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통은 주로 생수나 유류 등을 담아 보관하며 필요한 경우 배출뚜껑을 열고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물이나 유류를 물통에서 배출시, 배출구를 통하여 물이나 유류 등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물통 내부에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 지지 않으므로, 물이나 유류 등이 물통 입구로부터 출렁이면서 외부로 배출되었다.
따라서 물이나 유류의 배출시, 컵이나 용기 등의 필요한 위치에 배출시키지 못하거나 출렁거림으로 인하여, 컵이나 용기 등의 주변에 물이나 유류가 흘러 주변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량하기 위해 종래의 물통은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물통의 상면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또 하나의 입구가 형성된 구성의 물통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물통은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물통 상부 일단에, 물통 내부의 내용물이 유입 및 배출 되도록 개폐하는 입구를 두고 마개로 복개되도록 하고, 물통 상부 타단에, 공기가 유입 및 배출 되도록 개폐하는 또 다른 입구를 두고 마개로 복개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물통의 제작시 복수 개의 입구와 복수 개의 마개를 더 필요로 하므로 제작공정과 소요자재 및 조립공정수의 증가로 원가 상승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통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사용시에는 복수 개의 마개를 개폐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물통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물통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시, 소량을 컵이나 용기에 조절하여 배출하기가 어려워, 물통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 대부분 컵이나 용기 주변에 내용물이 흘러 그 주변을 더럽히는 그 사용상의 곤란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첫 번째 목적은,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나 유류 등을 물통 외부로 배출시, 출렁임 없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 되도록 하는 공기순환 물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두 번째 목적은, 물통을 제작시 불필요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제작공정과 소요자재사용이 감소 되도록 하여 제품제작원가를 절감하는 공기순환 물통을 제공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세 번째 목적은, 일반적인 물통의 사용과 동일하게 물통 내부의 물이나 유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개를 개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물이나 유류가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순환 물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네 번째 목적은, 작은 컵이나 용기에도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나 유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배출하여 채울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 물통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은,
물이 유입과 배출되는 통로인 입구가 상부에 구비된 채로, 내부에 물이 수용 되는 공간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상기 입구의 일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몸체를 휴대 이동 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입구는, 상기 물이 상기 몸체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물유동구와, 상기 물유동구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동구와, 상기 공기유동구와 물유동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공기유동구와 연결형성된 채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몸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공기유동관을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입구는, 상기 물유동구에 탈착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가 관통되어, 상부를 통해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도록 하는 물배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배출기는, 내부가 수직관통된 채로 상기 물배출기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에 억지 끼움 결합으로 탈착되는 탈착부와, 상기 물배출기 상부에 상 방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되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하는 배출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첫 번째 효과는, 물통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형성된 뚜껑을 열어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나 유류를 배출하면서도, 물이나 유류가 출렁거리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이나 유류에 의해 물통 주변이 더럽혀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두 번째 효과는, 물통에서 물이나 유류를 출렁임 없이 원활하게 배출하면서도 제품의 제작시 불필요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제작공정과 소요자재사용이 감소 되기 때문에 제품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세 번째 효과는,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나 유류를 물통의 입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소량으로 작은 컵이나 용기에 배출가능하면서도, 물이나 유류를 컵이나 용기 주변에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채울 수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을 나타낸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의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의 실시를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이다. 이러한 공기순환 물통은,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나 유류를 출렁거림 없이 물통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사용된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은,
내부에 물(30) 또는 유류가 수용되는 몸체(100)는, 상부에 상기 물(30) 또는 유류가 유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된 입구(110)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110)를 개폐하는 덮개(300)를 갖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00) 상부에는 상기 입구(110)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입구(110)와 일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된 손잡이(2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100)와 덮개(300) 및 손잡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입구(110)는, 상기 물(30)이 상기 몸체(100)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물유동구(112)와, 상기 물유동구(112)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100)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동구(114)와, 상기 공기유동구(114)와 물유동구(112)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판(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공기유동구(114)와 연결형성된 채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공기유동관(210)을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격판(116)으로 인해, 상기 물유동구(112)로는 상기 물(30) 또는 유류만 유입 및 배출되고, 상기 공기유동구(114)로는 상기 몸체(100)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몸체(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구(110)는, 상기 물유동구(112)에 탈착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가 관통되어, 상부를 통해 상기 몸체(100) 내부에 수용된 물(30)이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도록 하는 물배출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배출기(120)는, 내부가 수직관통된 채로 상기 물배출기(120)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110)에 억지 끼움 결합으로 탈착되는 탈착부(122)와, 상기 물배출기(120) 상부에 상 방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되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의 물(30)이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하는 배출공(1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몸체(100) 내부에 물(30) 또는 유류를 채운 후, 상기 몸체(100) 외부로 상기 물(30) 또는 유류를 배출시에는, 상기 공기유동구(114)를 통해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물(30) 또는 유류가 출렁임 없이 상기 물유동구(112)를 통해 상기 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입구(110)에 구비된 이격판(116)과 상기 손잡이(200)의 형태에 따라 형성된 공기유동관(210)에 의해, 상기 물(30)과 공기는 별도로 상기 몸체(100) 내부에 유입 및 배출 되게 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물배출기(12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탈착부(122)를 상기 물유동구(112)에 억지 끼움 결합한 후, 상기 몸체(100) 내부에 수 용된 상기 물(30) 또는 유류를 상기 몸체(100)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상기 물배출기(120)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124)에 의해 소량의 물(30) 또는 유류를 상기 몸체(10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구(110)는, 상기 물배출기(120)와 결합 된 채로, 상기 덮개(300)에 의해 외부로 단절된 되도록 덮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을 나타낸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의 분리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물통의 실시를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물
100 : 몸체 110 : 입구
112 : 물유동구 114 : 공기유동구
116 : 이격판
120 : 물배출기 122 : 탈착부
124 : 배출공
200 : 손잡이 210 : 공기유동관
300 : 덮개

Claims (3)

  1. 물(30)이 유입과 배출되는 통로인 입구(110)가 상부에 구비된 채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 상부에 상기 입구(110)의 일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를 휴대 이동 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00)와;
    상기 입구(110)를 개폐하는 덮개(300);로 구성되고,
    상기 입구(110)는,
    상기 물(30)이 상기 몸체(100)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물유동구(112)와, 상기 물유동구(112)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100)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동구(114)와, 상기 공기유동구(114)와 물유동구(112)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판(11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공기유동구(114)와 연결형성된 채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공기유동관(210)을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물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110)는,
    상기 물유동구(112)에 탈착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가 관통되어, 상부를 통해 상기 몸체(100) 내부에 수용된 물(3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물배출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물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기(120)는,
    내부가 수직관통된 채로 상기 물배출기(120)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110)에 억지 끼움 결합으로 탈착되는 탈착부(122)와, 상기 물배출기(120) 상부에 상 방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되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의 물(30)이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하는 배출공(1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물통.
KR2020090006201U 2009-05-22 2009-05-22 공기순환 물통 KR201000116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201U KR20100011670U (ko) 2009-05-22 2009-05-22 공기순환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201U KR20100011670U (ko) 2009-05-22 2009-05-22 공기순환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670U true KR20100011670U (ko) 2010-12-01

Family

ID=4420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201U KR20100011670U (ko) 2009-05-22 2009-05-22 공기순환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67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4720B1 (en) Holder for a liquid
KR101142306B1 (ko) 정량 배출용기
KR20100011670U (ko) 공기순환 물통
KR200445126Y1 (ko)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는 물통
KR101406591B1 (ko)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RU2005122407A (ru) Составное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идкого активного вещества для унитаза
KR200427775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GB2456230A (en) A liquid spray container having a second opening for pouring/filling
JP5546944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CN201404078Y (zh) 桶装水自流式饮水机
US20010035436A1 (en) Double opening container
JP2000118552A (ja) 液体注ぎ容器
JP6737631B2 (ja) 吐出装置
CN209008255U (zh) 基于定量的墨水瓶装置
KR200438625Y1 (ko)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KR20180002815U (ko) 공기 유입관이 포함된 용기
RU67552U1 (ru) Колпачок с поворотной крышкой для укупорки бутылки
KR200301585Y1 (ko) 병마개 조립체
KR20090011087U (ko) 물통의 마개
CN101362530A (zh) 挤压容器自动出液模块
KR20230111058A (ko) 음압을 이용한 음용 용기
KR20090011009U (ko)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CN114275326A (zh) 一种可自动控制出液装置
KR200478806Y1 (ko) 용기 뚜껑
JP3090328U (ja) 注出機構付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