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06Y1 -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06Y1
KR200478806Y1 KR2020140004472U KR20140004472U KR200478806Y1 KR 200478806 Y1 KR200478806 Y1 KR 200478806Y1 KR 2020140004472 U KR2020140004472 U KR 2020140004472U KR 20140004472 U KR20140004472 U KR 20140004472U KR 200478806 Y1 KR200478806 Y1 KR 200478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lid
container
vowel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윤
Original Assignee
(주)디. 앤. 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 앤. 엠 filed Critical (주)디. 앤. 엠
Priority to KR2020140004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속에 남은 내용물을 모아 저장할 수 있으면서,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구현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배출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유도해서 모으기 위한 모음부; 상기 모음부를 통해 모인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 뚜껑 {A Cap}
본 고안은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속에 남은 내용물을 모아 저장할 수 있으면서,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구현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오염 및 부패 등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샴푸, 린스, 화장품 등 여러 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에는 뚜껑이 체결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뚜껑을 열고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한다.
뚜껑은, 평소에는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다가 사용 시에 뚜껑을 열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용기 내의 내용물이 한꺼번에 많은 양이 유출되지 않도록 뚜껑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며,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뚜껑을 연 후에 용기를 눌러 짜서 배출시킴으로써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5859호(2001.06.14 등록)는 용기 뚜껑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점도가 높은 내용물을 담는 용기의 주둥이에 결합되는 용기뚜껑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앙 상부가 융기되며, 상기 상부의 융기된 부분에는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직경이 작은 구멍이 형성되는 하부덮개;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내측 하부면 상기 구멍과 상응하는 위치에 원통형의 누출 방지구가 구멍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에 융기된 부분에 끼워지게 결합되며, 일 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상부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맞은편 측면에 상기 하부덮개의 일 측면에서 연장된 부분과 상부덮개의 일 측면에서 연장된 부분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힌지를 구성하여 개폐가능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4679호(2005.01.24 등록)는 튜브용기 뚜껑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액상크림, 샴푸, 린스 또는 바디로션과 같은 액상용액을 충전하여 사용하기 위해 수나사가 형성된 넥크부를 구비한 튜브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어 사용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넥크부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되고, 외부에는 이탈방지용 환테가 형성된 제1캡과; 일체식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한 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캡의 이탈방지용 환테와 계합되는 이탈방지용 환테를 구비하여 상기 제1캡에 헛돌림 가능하게 결합된 제2캡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용기 뚜껑은 내용물이 많이 남지 않았을 경우에 뒤집어 세워 놓더라도 용기 뚜껑 쪽으로 모으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용기 뚜껑이 평평하기 때문에 뒤집어 세워 놓더라도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용기 뚜껑에 별도의 저장 공간이 없기 때문에 내용물이 거의 남지 않았을 때에는 외부로 내용물이 바로 나오지 않아 흔들어 배출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585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4679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어려움 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저장 공간을 구비하여 남은 내용물을 모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 시에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용기 내에 남은 내용물을 저장 공간으로 용이하게 모을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 뚜껑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용기의 배출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유도해서 모으기 위한 모음부; 상기 모음부를 통해 모인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음부는, 중앙 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음부는, 중앙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공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하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용물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하부가 상기 내용물 배출구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내용물 배출구의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막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의 일 말단과 상기 덮개부의 일 말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 및 상기 힌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를 개폐하기 위한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음부는, 상부와 하부가 중앙 부분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음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막기 위한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깔대기 형태의 배출 수단이 형성됨으로써, 남은 내용물을 모아 저장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용기 뚜껑의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 시에 내용물을 바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저장 공간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모음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저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모음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용기 뚜껑(10)은, 체결부(100), 모음부(200), 저장부(300), 덮개부(400)를 포함한다.
체결부(100)는, 샴푸 등과 같은 점성이 큰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용기(50)의 배출구에 체결되며, 용기(50)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모음부(200)를 통해 저장부(300)로 보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100)는, 암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수나사산으로 형성된 용기(50)의 배출구와 서로 체결할 수 있다.
모음부(200)는, 체결부(100)의 하부에 중앙 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홀이 구비되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된다. 체결부(100)로 인입된 내용물을 모음부(200)의 경사를 따라 흐르도록 하여 가운데 부분에 구비된 홀을 통해 저장부(300)로 이동시킨다.
저장부(300)는, 용기(50)를 거꾸로 세워 놓았을 때에 모음부(200)를 통해 인입된 내용물을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300)는, 내용물이 고이지 않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가 배출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300)는, 10~20mm(바람직하게는, 16.5mm) 높이로 형성되어, 내용물 0~10ml의 양을 저장할 수 있다.
덮개부(400)는, 저장부(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저장부(300)를 덮어서 내용물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보호하고 사용 시에는 열어서 저장부(3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400)는, 하단이 납작하게 형성되어, 용기(50)를 거꾸로 세웠을 때에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용기 뚜껑(10)은, 깔대기 형태의 모음부(200)가 형성됨으로써, 용기(50)내에 남은 내용물을 저장부(300)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모아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00)가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사용 시에 외부로 바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모음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음부(200)는, 홀(210)을 포함한다.
홀(210)은, 중앙 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모음부(20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다. 모음부(200)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려온 내용물이 홀(210)을 통해 저장부(300)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모음부(200)는, 공기 배출구(220)를 더 포함한다.
공기 배출구(220)는, 모음부(200)의 중앙 부분(즉, 홀(210))을 제외한 부분에 다수 개로 형성된다. 공기가 저장부(300) 내부에 꽉 차 있으면, 내용물이 내려올 때에 공기에 의해 홀(210)로 유입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모음부(200)의 중앙 부분(즉, 홀(210))을 제외한 부분(바람직하게는, 모음부(200)의 테두리 근처)에 다수 개의 홀로 형성되어, 저장부(3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모음부(200)는, 사용자가 용기를 눌러 짜서 사용한 후에 용기 내에 내용물이 거의 남지 않아 잘 나오지 않는 경우, 내용물을 용이하게 모아 저장할 수 있다. 기존의 용기 뚜껑은 용기를 거꾸로 세워 용기 내의 내용물이 인입될 때에 양옆을 타고 흘러 모으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모음부(200)를 중앙 부분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경사를 따라 내용물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홀(210)을 통해 저장부(300)로 모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저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300)는, 내용물 배출구(310)를 포함한다.
내용물 배출구(310)는, 저장부(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모음부(200)를 통해 인입된 내용물을 저장부(300)에 저장시켜 두었다가 사용자가 사용 시에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내용물 배출구(310)는, 내용물이 한 번에 많은 양이 나오지 않도록 작은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저장부(300)는, 하부가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되면 모음부(200)를 통해 내용물이 인입되어, 저장부(300)에 저장되더라도 하부에 고여 배출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300)의 하부를 내용물 배출구(310)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이 항상 내용물 배출구(310) 쪽으로 모이도록 하여 고이지 않고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부(400)는, 힌지(410), 노브(420)를 포함한다.
힌지(410)는, 저장부(300)의 하부의 일 말단과 덮개부(400)의 일 말단 사이에 형성되어, 덮개부(400)를 회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410)는, 덮개부(400)가 저장부(300)를 덮은 상태에서 저장부(300)와 덮개부(400)의 각 일 측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노브(420)는, 힌지(410)의 반대 방향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 시에 오목한 부분을 잡고 하부 방향으로 밀어 힌지(410)를 중심으로 덮개부(400)를 개폐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노브(420)는, 볼록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볼록한 부분을 잡고 하부 방향으로 밀어 힌지(410)를 중심으로 덮개부(400)를 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덮개부(400)는, 막음부재(430)를 더 포함한다.
막음부재(430)는, 덮개부(400)가 저장부(300)를 덮은 상태에서 저장부(300)에 형성된 내용물 배출구(310)를 삽입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용물 배출구(310)를 막아준다.
일 실시 예에서, 막음부재(430)는, 내용물 배출구(310)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 뚜껑(10)은, 저장부(300)와 덮개부(400) 사이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50)로부터 용기 뚜껑(10)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덮개부(400)만 분리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체결방법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나사산을 이용한 회전식 결합방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덮개부(400)를 일정 방향으로 소정 횟수 회전시켜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덮개부(4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내용물 배출구(310)와 막음부재(430)가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저장부(300)는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내용물 배출구(310)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용물을 가운데 부분으로 모아주어 고이지 않고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모음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음부(200)는, 상부와 하부가 중앙 부분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홀(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50)를 거꾸로 세워 용기 속에 남은 내용물을 모아 저장부(300)에 저장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뚜껑(10)과 용기(50)를 분리시켰을 때에도 용기 뚜껑(10)을 똑바로 세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모음부(200)는, 마개(230)를 더 포함한다.
마개(230)는, 용기 뚜껑(10)과 용기(50)를 분리시켰을 때에 저장부(30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홀(210)에 삽입되어,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또한, 저장부(300)에 저장된 내용물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모음부(200)는, 다 쓴 용기(50)를 용기 뚜껑(10)과 분리하여, 용기(50)는 버리고 용기 뚜껑(10)만 따로 사용하더라도 내용물을 모으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용기 뚜껑(10)을 분리시켜 재활용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용기 뚜껑
50 : 용기
100 : 체결부
200 : 모음부
210 : 홀
220 : 공기 배출구
230 : 마개
300 : 저장부
310 : 내용물 배출구
400 : 덮개부
510 : 힌지
420 : 노브
430 : 막음부재

Claims (10)

  1. 용기(50)의 배출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00);
    상기 체결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유도해서 모으기 위한 모음부(200);
    상기 모음부(200)를 통해 모인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300); 및
    상기 저장부(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300)를 덮기 위한 덮개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모음부(200)는,
    중앙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공기 배출구(220)를 더 포함하는 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200)는,
    중앙 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홀(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300)는,
    하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용물 배출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300)는,
    하부가 상기 내용물 배출구(310)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00)는,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용물 배출구(310)를 막기 위한 막음부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00)는,
    상기 저장부(300)의 하부의 일 말단과 상기 덮개부(400)의 일 말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400)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410); 및
    상기 힌지(410)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400)를 개폐하기 위한 노브(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300)와 상기 덮개부(400) 사이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200)는,
    상부와 하부가 중앙 부분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홀(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200)는,
    상기 홀(210)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막기 위한 마개(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KR2020140004472U 2014-06-13 2014-06-13 용기 뚜껑 KR200478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72U KR200478806Y1 (ko) 2014-06-13 2014-06-13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72U KR200478806Y1 (ko) 2014-06-13 2014-06-13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806Y1 true KR200478806Y1 (ko) 2015-11-19

Family

ID=5486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472U KR200478806Y1 (ko) 2014-06-13 2014-06-13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0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56B1 (ko) * 2012-02-20 2012-06-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량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56B1 (ko) * 2012-02-20 2012-06-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량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3926A1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US20100102094A1 (en) Package with fluid-dispenser system
KR101270347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US20150021363A1 (en) Easy-open flip top lid for a portable water dispenser
CN106904376B (zh) 一种方便取药的按压式药瓶
US10098818B2 (en) Cuspidor funnels attachable to empty drink containers
EP2744720B1 (en) Holder for a liquid
US9409760B1 (en) Fluid dispenser
US5497916A (en) Liquid dispenser featuring automatic pouring of measured doses
KR200478806Y1 (ko) 용기 뚜껑
CN211703763U (zh) 自动吸液滴管装置
KR200478920Y1 (ko)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클렌징용 액상 화장용기
CN208491780U (zh) 茶水分离器及杯组
TWM468207U (zh) 具有葉脈形狀之滴管型妝用容器
KR20090112372A (ko) 마개의 좌우회전으로 개폐되어지는 점안액용기
JP2011235944A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KR101260230B1 (ko) 원터치캡이 구비된 튜브용기
KR101646641B1 (ko)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료용 튜브용기
CN209009360U (zh) 安瓿瓶锐器盒
JP5546944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CN202828279U (zh) 一种防回流的方便挤出液体的瓶子
JP2012101804A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のカートリッジ容器
CN206566320U (zh) 呼吸机冷凝水收集消毒装置
JP5837709B1 (ja) 漏斗
KR200412108Y1 (ko) 포장튜브의 캡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